KR101358056B1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8056B1 KR101358056B1 KR1020120053030A KR20120053030A KR101358056B1 KR 101358056 B1 KR101358056 B1 KR 101358056B1 KR 1020120053030 A KR1020120053030 A KR 1020120053030A KR 20120053030 A KR20120053030 A KR 20120053030A KR 101358056 B1 KR101358056 B1 KR 101358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sound
- support
- sealed container
- power
- generat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동바리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20)과, 동바리(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10)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밀폐 용기(11)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21)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구형 추(15)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뚜껑(12)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15)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14)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15)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22)이 연결되는 도전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바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여 동바리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20)과, 동바리(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10)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밀폐 용기(11)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21)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구형 추(15)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뚜껑(12)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15)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14)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15)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22)이 연결되는 도전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바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여 동바리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동바리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경사감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동바리의 기울어짐을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바리(Support)란, 건축 현장이나 토목 공사 등에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재를 의미하며, 용도에 따라 거푸집 동바리와 지붕 동바리, 비계 동바리 및 교량 동바리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설치 위치에 따라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支柱)로 사용되는 수직 동바리와, 기둥이나 수직 동바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그들의 움직임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중이 특정한 수직 동바리에 집중되지 않도록 수직 동바리들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동바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리고 지붕 동바리의 경우에는 일반 동바리와 함께 시스템 동바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시스템 동바리는 나사와 고정 핀 등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동바리로서, 천정의 높이가 일반 동바리로는 설치할 수 없는 높이인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동바리는 일정 높이 이상에서 좌굴이 발생하는 일반 동바리에 비해 안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런데, 공사 현장에서 동바리가 붕괴할 경우에는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즉, 지붕 동바리나 비계 동바리와 같은 동바리를 설치한 후에도 동바리의 하부 또는 주위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게 되고, 특히 비계 동바리의 경우 작업자가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동바리가 붕괴할 경우 인명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다.
따라서, 동바리는 평평한 바닥면에 설치하여야 하며, 수직 동바리에 수평 동바리를 연결하여 거푸집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동바리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더라도 콘크리트의 하중 등으로 인한 동바리의 붕괴 위험은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동바리 등의 붕괴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물론, 경사 센서를 동바리에 설치함으로써 동바리 붕괴에 따른 인명 사고의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동바리의 붕괴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동바리에 경사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경사 센서를 이용하여 동바리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후 제어장치가 경보음 발생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바리 붕괴가 우려되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동바리의 붕괴를 감지하기 위하여 경사 센서와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공사 현장의 여건상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경사 센서와 제어장치 등의 고가의 설비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바리에 설치되어 동바리가 기울어지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빠르게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스위치가 온 되어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동바리 등의 붕괴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와 같이 붕괴가 우려되는 장치에 경사감지 스위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금속재는 물론 비금속 재질의 동바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가 아닌 절토구간이나 흙막이 벽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과, 동바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밀폐 용기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구형 추와, 상기 밀폐 용기의 뚜껑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와, 상기 밀폐 용기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이 연결되는 도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는 상기 밀폐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대과, 상기 동바리에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일체화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된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동바리에 고정하는 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밴드 고정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하측으로부터 지지용 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막혀 있는 꽂음 구멍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밀폐 용기는 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도전판 및 구형 추는 구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지지 와이어는 강선 또는 낚시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은 핸드 마이크이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핸드 마이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에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가 복수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는 건축 현장 또는 토목 공사장 등에 설치된 동바리 또는 시스템 동바리에 설치되어 동바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을 인가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므로 동바리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는 동바리는 물론 절토 사면이나 흙막이 벽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붕괴 위험을 사전에 경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고가의 경사감지 센서와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의 경사감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동바리의 붕괴 징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지지대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경사감지 스위치를 동바리에 고정함에 따라 경사감지 스위치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고정수단으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주로 스틸 재질로 형성된 동바리에 경사감지 스위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고정수단으로 밴드가 구비된 밴드 고정부가 포함됨에 따라, 부도체로 이루어진 동바리에도 경사감지 스위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밴드 고정부의 꽂음 구멍에 삽입되는 지지용 바를 이용하여, 절토 법면과 같이 자석이나 밴드 고정부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도 경사감지 스위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밀폐 용기가 투명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동바리의 경사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경보음 발생수단으로 핸드 마이크를 사용하고 전원공급수단으로 핸드 마이크 내부의 건전지를 사용함에 따라, 경사감지 스위치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 및 전원인출선을 연결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경보음 발생수단에 다수의 경사감지 스위치를 연결하여 시스템 동바리의 여러 구역에 대한 붕괴 위험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에 고정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대 및 고정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감지 스위치를 경보음 발생수단에 복수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에 고정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대 및 고정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감지 스위치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감지 스위치를 경보음 발생수단에 복수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는,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20)과, 동바리(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30)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밀폐 용기(11)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21)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리 재질의 구형 추(15)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뚜껑(12)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15)를 지지하며 강선이나 낚시줄 등으로 형성되는 지지 와이어(14)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15)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22)이 연결되는 구리 재질의 도전판(13)과, 상기 밀폐 용기(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 용기(11)를 지지하는 지지대(16)와, 상기 동바리(50)에 상기 지지대(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형 추(15)와 도전판(13) 사이의 거리는 대략 5m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밀폐 용기(11)의 직경 및 구형 추(15)와 도전판(13) 사이의 거리는, 동바리나 흙막이 벽 또는 절토면 등 붕괴가 우려되는 부분의 사용 장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형 추(15)가 기울어져 상기 도전판(13)에 접촉되면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지지대(16)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자석(17)이 사용되며, 상기 지지대(16)의 하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일체화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된 밴드(18a)(18b)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16)를 상기 동바리(50)에 고정하는 밴드 고정부(18)를 상기 자석(17)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밴드 고정부(18)는, 상기 동바리(50)가 목재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를 동바리(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 고정부(18)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밴드 고정부(18)의 폭방향 양측에는 하측으로부터 지지용 바(1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막혀 있는 꽂음 구멍(18c)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토사면과 같이 고정수단으로 작석(17)이나 밴드 고정부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으로는 핸드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수단(30)으로는 핸드 마이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를 복수개 연결하여, 그 중 하나의 경사감지 스위치(10)만 온 되더라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동바리의 여러 곳에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를 설치하여, 어느 곳의 경사감지 스위치(10)가 온 되더라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이 경보음을 발생하여 동바리(50)가 붕괴될 수 있음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는, 동바리 또는 시스템 동바리에 설치되어 동바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을 인가하여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지지대(16)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동바리(50)에 경사감지 스위치(1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의 구형 추(15)는 자중에 의하여 연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주위의 도전판(13)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형 추(15)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1)과 상기 도전판(13)에 연결된 전원인출선(32)이 분리되어, 경보음 발생수단(20)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만약, 동바리(50)가 어느 정도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지지대(16)와 일체화된 밀폐 용기(11)도 함께 기울게 되므로, 연직 방향의 구형 추(15)가 상기 도전판(13)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가 온(On) 상태로 되면서 전원공급선(31)과 전원인출선(3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공급수단(30)의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작업자들은 경보음을 듣고 동바리(50)의 붕괴를 우려하여 신속하게 대피하게 된다. 따라서, 동바리(50)가 계속 기울어져 순간적으로 붕괴하더라도 작업자들의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경사감지 스위치
11...밀폐 용기
12...뚜껑
13...도전판
14...지지 와이어
15...구형 추
16...지지대
17...자석
18...밴드 고정부
18a, 18b....밴드
18c...꽂음 구멍
20...경보음 발생수단
30...전원공급수단
31...전원공급선
32...전원인출선
50...동바리
11...밀폐 용기
12...뚜껑
13...도전판
14...지지 와이어
15...구형 추
16...지지대
17...자석
18...밴드 고정부
18a, 18b....밴드
18c...꽂음 구멍
20...경보음 발생수단
30...전원공급수단
31...전원공급선
32...전원인출선
50...동바리
Claims (10)
-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20)과, 동바리(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10)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밀폐 용기(11)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21)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구형 추(15)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뚜껑(12)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15)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14)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15)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22)이 연결되는 도전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는(10), 상기 밀폐 용기(11)의 측면에서 밀폐 용기(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 용기(11)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지지대(16)와, 상기 동바리(50)에 상기 지지대(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16)에 설치되어 스틸재질의 동바리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자석(17)과,
사각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대(16)의 하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지지대(16)와 일체화되며, 폭방향 양측에 밴드(18a)(18b)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16)를 부도체 재질의 동바리(50)에 고정하는 밴드 고정부(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정부(18)의 폭방향 양측에는, 절토사면에 삽입되는 지지용 바(19)가 하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막힌 꽂음 구멍(18c)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폐 용기(11)는 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13) 및 구형 추(15)는 구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14)는 강선 또는 낚시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은 핸드 마이크이고, 상기 전원공급수단(30)은 핸드 마이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가 복수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030A KR101358056B1 (ko) | 2012-05-18 | 2012-05-18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030A KR101358056B1 (ko) | 2012-05-18 | 2012-05-18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886A KR20130128886A (ko) | 2013-11-27 |
KR101358056B1 true KR101358056B1 (ko) | 2014-02-05 |
Family
ID=4985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030A KR101358056B1 (ko) | 2012-05-18 | 2012-05-18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80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087A (ko) | 2017-08-09 | 2019-02-20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물 구조물의 벽체에 포함되는 완충 장치 |
KR102259374B1 (ko) * | 2020-01-14 | 2021-05-31 | 정동근 | 가로등 아암 회전 방지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21755A1 (ko) * | 2014-08-08 | 2016-02-11 | 김강 |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장치 |
CN111377058A (zh) * | 2018-12-29 | 2020-07-07 | 天津师范大学 | 一种触发装置 |
CN111377057A (zh) * | 2018-12-29 | 2020-07-07 | 天津师范大学 | 一种自触发水动力火箭 |
KR102207886B1 (ko) * | 2019-05-02 | 2021-01-26 |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 동바리 위치 변동 경보기 |
KR20240121649A (ko) | 2023-02-01 | 2024-08-09 | 주식회사 유래이앤씨 | 콘크리트 양생 중 하중변화를 센싱하는 지능형 동바리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670U (ko) * | 1989-07-20 | 1991-03-20 | ||
JPH08240476A (ja) * | 1995-03-03 | 1996-09-17 | Yoichiro Kuroiwa | 地震報知器 |
JP2000193754A (ja) | 1998-12-28 | 2000-07-14 | Furuhito Tomiyama | 地震感知器 |
JP2006338632A (ja) | 2005-05-30 | 2006-12-14 | Sanai Bussan Kk | 地震避難誘導ポール |
-
2012
- 2012-05-18 KR KR1020120053030A patent/KR101358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7670U (ko) * | 1989-07-20 | 1991-03-20 | ||
JPH08240476A (ja) * | 1995-03-03 | 1996-09-17 | Yoichiro Kuroiwa | 地震報知器 |
JP2000193754A (ja) | 1998-12-28 | 2000-07-14 | Furuhito Tomiyama | 地震感知器 |
JP2006338632A (ja) | 2005-05-30 | 2006-12-14 | Sanai Bussan Kk | 地震避難誘導ポール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087A (ko) | 2017-08-09 | 2019-02-20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물 구조물의 벽체에 포함되는 완충 장치 |
KR102259374B1 (ko) * | 2020-01-14 | 2021-05-31 | 정동근 | 가로등 아암 회전 방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886A (ko) | 2013-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8056B1 (ko)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
US8967401B2 (en) | Supporting base for stabilizing an angle iron post of a cabinet | |
KR101304985B1 (ko) |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 |
KR101627905B1 (ko) | 레벨게이지 | |
KR101153903B1 (ko) |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 |
CN108489440B (zh) | 一种高支模支撑架立杆动态水平位移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 |
US9360397B1 (en) | Anchor inspection device | |
KR101237518B1 (ko) | 지주용 기초구조물 | |
KR200480367Y1 (ko) | 가설구조물용 붕괴 경보장치 | |
KR101257367B1 (ko) |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 |
KR101326157B1 (ko) |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 |
JP2005090116A (ja) | 鉄骨柱の立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位置決め用枠体 | |
KR101909396B1 (ko) | 기초파일 | |
JP3164861U (ja) | 土砂崩れ検知装置 | |
KR102430871B1 (ko)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
CN204940874U (zh) | 用于梁柱核心区钢筋安装的辅助装置 | |
CN106245898A (zh) | 脚手架扣件滑移报警装置及其安装方法 | |
KR10183862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시공방법 | |
JP2016050413A (ja) |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 |
KR101568411B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JP2009063304A (ja) | 土砂崩れ検知装置 | |
JP2017088351A (ja) | 高所作業車用安全装置 | |
KR101101182B1 (ko) |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 |
CN108240177A (zh) | 一种用于锚索施工的钻孔装置 | |
KR102282059B1 (ko) |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