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660B1 -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660B1
KR101284660B1 KR1020120147992A KR20120147992A KR101284660B1 KR 101284660 B1 KR101284660 B1 KR 101284660B1 KR 1020120147992 A KR1020120147992 A KR 1020120147992A KR 20120147992 A KR20120147992 A KR 20120147992A KR 101284660 B1 KR101284660 B1 KR 10128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om
unloading
vehicl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스텍
광림특장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스텍, 광림특장공업(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스텍
Priority to KR102012014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e hydraulic syste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60Industrial applications, e.g. pipe inspection vehicles
    • B60Y2200/66Containers; Pallets; Sk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유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 과정에서 컨테이너와 붐을 추가적으로 결속시켜 컨테이너의 요동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더불어 차량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붐과, 상기 붐에 설치되며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한 붐의 회전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고리로 구성된 핸들링유닛; 및 상기 컨테이너와 붐에 구비되며,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하여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붐과 컨테이너를 결속하여 컨테이너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유닛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Loading and Unloading vehicl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shake of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 작업시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컨테이너가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를 비롯하여 중량물과 관련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현장에서는 각종 스크랩등의 부산물이 발생되며, 이처럼 발생되는 부산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한편, 부산물의 효율적인 수거를 위하여 각각의 작업장에는 버켓형상의 컨테이너가 배치되어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컨테이너에 모아두도록 하고 있으며, 하역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싣고 집하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에 적재된 부산물을 집하장에 언로딩한 후, 컨테이너를 원래의 작업장에 다시 갖다 놓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스크랩의 언로딩 과정을 보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종래 하역차량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차량본체(10)에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과 더불어 차량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1)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체인(31,32)을 매개로 컨테이너(50)와 연결되는 붐(30)과, 상기 컨테이너(50)에 적재된 스크랩의 언로딩을 위한 붐(30)의 회전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51)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0)에 설치된 하부고리(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역차량이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을 언로딩하고자 할 경우, 하부고리(40)가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도 1 참조)에서 붐(30)의 회전에 의해 컨테이너(50)가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컨테이너의 이동과정에서 컨테이너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51)이 하부고리(40)와 결합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결속 브래킷(51)과 하부고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붐(30)의 계속된 회전에 의하여 컨테이너(50)가 이동하게 되면, 결속 브래킷(51)과 하부고리(40)의 결합으로 인하여 컨테이너의 하단부 움직임이 상단부 움직임에 비하여 작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컨테이너(50)는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면서 내부에 적재된 내용을 물을 쏟아 붓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용물의 언로딩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서 붐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제1 체인(31) 및 제2 체인(32)이 힘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서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인하여 컨테이너가 요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요동은 언로딩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요동으로 인하여 관련 부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컨테이너의 이탈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 과정에서 컨테이너와 붐을 추가적으로 결속시켜 컨테이너의 요동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차량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더불어 차량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붐과, 상기 붐에 설치되며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한 붐의 회전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고리로 구성된 핸들링유닛; 및 상기 컨테이너와 붐에 구비되며,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하여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붐과 컨테이너를 결속하여 컨테이너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유닛이,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된 걸림부재; 상기 컨테이너와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재의 이동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붐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며, 컨테이너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와 결속됨으로써 컨테이너의 요동을 억제하는 돌출부재로 구성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억제유닛이 컨테이너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컨테이너의 좌우 양측면을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재가 고정 브래킷에 고정되는 실린더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걸림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재가 컨테이너의 측면에서 후방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재의 내측에 탄성패드가 더 설치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컨테이너의 자세 및 내용물의 쏠림으로 인한 컨테이너의 요동을 억제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전한 언로딩 작업이 가능하며, 컨테이너의 요동으로 인한 관련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 는 스크랩의 언로딩 과정을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역차량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억제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의 작동구조를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차량이 내용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역차량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차량은 차량본체(100)와, 상기 차량본체(100)에 탑재되는 핸들링유닛(200)과 유동억제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본체(100)는 일반적인 트럭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이러한 차량본체(100)의 구조는 특징차와 관련된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차량본체(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핸들링유닛(200)은 컨테이너(50)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또는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50)를 지면에 내려놓거나, 또는 탑재된 컨테이너(50)를 기울여 컨테이너(50)에 적재된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핸들링유닛(200)은 베이스 프레임(210)과, 붐(220)과, 체인(230)과, 하부고리(2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은 차량본체(100)에 설치되어 컨테이너(50)가 탑재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붐(220)과 하부고리(24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210)의 후방 끝단에는 지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지지프레임(21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11)은 공지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컨테이너(50)에 적재된 내용물의 하역작업시 지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키고, 차량의 이동과정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 프레임(210)에 탑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붐(220)은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21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차량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01)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붐(220)은 베이스 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체인(230)은 서로 연결되어 함께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230)은 붐(220)과 컨테이너(50)를 연결하는 것으로, 붐(22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에 의하여 컨테이너(50)와 결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인(230)은 붐(220)의 상단부로부터 컨테이너(50)의 제1 지점(P2)으로 연장되어 결속되는 제1 체인(231)과, 컨테이너(50)의 제2 지점(P3)으로 연장되어 결속되는 제2 체인(232)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컨테이너(50)는 상부가 개방된 버킷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컨테이너(50)의 내부에는 상기 내용물, 예를 들면 금속 스크랩들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50)의 후방 하단부에는 하부고리(240)와 결속되는 결속 브래킷(51)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리(240)는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한 컨테이너(50)의 이동시 컨테이너(50)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51)과 결합되어 컨테이너(50)가 기울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고리(240)는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2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붐(220)과 동일한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고리(240)는 모터나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세워져 결속 브래킷(51)과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억제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의 작동구조를 보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유동억제유닛(300)은 컨테이너(50)와 붐(220)에 구비되며, 컨테이너(50)의 기울어짐에 의한 내용물의 언로딩 과정에서 컨테이너(50)와 붐(220)을 추가적으로 결속하여 컨테이너(50)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걸림부재(310)와, 고정 브래킷(320)과, 돌출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컨테이너(50)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된 '⊂'자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310)의 내측에는 돌출부재(330)와 걸림부재(31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돌출부재(330)와 걸림부재(310)의 균일한 접촉을 유도하기 위한 탄성패드(311)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330)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312)가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320)은 컨테이너(50)와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재(310)의 이동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붐(220)에 설치되어 돌출부재(33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재(330)는 고정 브래킷(320)에 설치되며, 컨테이너(5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310)와 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재(330)는 고정 브래킷(320)에 고정된 실린더(340)에 설치되어 실린더(340)의 구동에 의하여 컨테이너(50)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걸림부재(310)와 결속되거나, 또는 컨테이너(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재(310)와 분리되게 구성된다.
비록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돌출부재(330)는 랙과 피니언을 매개로 하여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유동억제유닛(300)은 컨테이너(5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컨테이너(50)의 좌우 양측면을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이 컨테이너(50)에 적재된 내용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하역차량이 갖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차량이 내용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하부고리(240)가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세워지고, 이와 함께 돌출부재(330)가 컨테이너(5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 브래킷(320)으로부터 돌출된다.(도 8 참조)
이후, 유압 실린더(101)의 구동에 의하여 붐(220)이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컨테이너(50)가 이동하게 되며, 컨테이너(50)의 이동 초기과정에서 하부고리(240)는 결속 브래킷(51)과 결합되고, 돌출부재(330)는 걸림부재(310)의 개방된 후방을 통하여 걸림부재(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부재(310)와 결속된다.(도 9 참조)
한편, 하부고리(240)와 결속 브래킷(51)의 결합된 이후부터는 붐(220)의 회전에 의하여 컨테이너(50)가 점차적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컨테이너(50)가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내용물의 언로딩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처럼 붐(220)의 회전에 의하여 컨테이너(50)가 기울어지게 되면, 종래에는 제1,2 체인에만 의존하여 컨테이너(50)의 자세를 유지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재(330)와 걸림부재(310)가 결속되어 제1,2 체인(231,232)과 함께 컨테이너(50)를 지지하게 되며, 특히 제1,2 체인(231,232)과 컨테이너(50)가 연결된 제1 지점(P2)과 제2 지점(P3) 및 돌출부재(330)와 걸림부재(310)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제3 지점(P4), 그리고 하부고리(240)와 결속 브래킷(51)이 결속되어 형성되는 제4 지점(P5)이 힌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컨테이너(50)가 이후 어떠한 각도에 위치한 경우에도 제1,2,3 지점(P2,P3,P4)이 힌지점(P1)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컨테이너(50)의 자세나 위치 그리고 적재된 내용물의 상태에 상관없이 컨테이너(50)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컨테이너 51: 결속 브래킷
100: 차량본체 101: 유압 실린더
200: 핸들링유닛 210: 베이스 프레임
220: 붐 230: 체인
240: 하부고리 300: 유동억제유닛
310: 걸림부재 311: 탄성패드
320: 고정 브래킷 330: 돌출부재
340: 실린더

Claims (6)

  1. 삭제
  2. 차량본체(100)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더불어 차량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101)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붐(220)과, 상기 붐(220)에 설치되며 컨테이너(50)와 연결되는 체인(230)과, 상기 컨테이너(50)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한 붐(220)의 회전 과정에서 컨테이너(50)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된 결속 브래킷(51)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10)에 설치된 하부고리(240)로 구성된 핸들링유닛(200); 및
    상기 컨테이너(50)와 붐(220)에 구비되며, 컨테이너(50)에 적재된 내용물의 언로딩을 위하여 컨테이너(5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붐(220)과 컨테이너(50)를 결속하여 컨테이너(50)의 유동을 억제하는 유동억제유닛(300)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유닛(300)은,
    상기 컨테이너(50)에 설치된 걸림부재(310);
    상기 컨테이너(50)와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재(310)의 이동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붐(220)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320);
    상기 고정 브래킷(320)에 설치되며, 컨테이너(5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310)와 결속됨으로써 컨테이너(50)의 요동을 억제하는 돌출부재(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억제유닛(300)은 컨테이너(5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컨테이너(50)의 좌우 양측면을 균일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330)는 고정 브래킷(320)에 고정되는 실린더(340)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컨테이너(5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걸림부재(3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10)는 컨테이너(50)의 측면에서 후방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10)의 내측에는 탄성패드(31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KR1020120147992A 2012-12-18 2012-12-18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KR10128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92A KR101284660B1 (ko) 2012-12-18 2012-12-18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992A KR101284660B1 (ko) 2012-12-18 2012-12-18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660B1 true KR101284660B1 (ko) 2013-07-10

Family

ID=4899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992A KR101284660B1 (ko) 2012-12-18 2012-12-18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87B1 (ko) * 2020-02-27 2020-04-14 에코필드 유한회사 전복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로드러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863B2 (ja) * 1996-12-02 2002-02-12 ティー・シー・エム株式会社 荷役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863B2 (ja) * 1996-12-02 2002-02-12 ティー・シー・エム株式会社 荷役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87B1 (ko) * 2020-02-27 2020-04-14 에코필드 유한회사 전복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로드러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396B1 (ko) 암롤트럭의 적재함 안전장치
JP2000198672A (ja) 建設機械のa型フレ―ム
KR101284660B1 (ko) 컨테이너의 요동억제구조를 갖는 하역차량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5759765B2 (ja) 荷役車両
JP4494287B2 (ja) 発電機搭載作業機械
JP6172757B2 (ja) バンパ付き荷受台昇降装置が架装されたダンプカー
JP5881245B2 (ja) ダンプ車両用バンパ
JP5991072B2 (ja) 作業機械
JP5266011B2 (ja) 荷役車両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2019112166A (ja) フック格納構造及びフック格納方法
KR20130074017A (ko)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 및 굴삭기용 포크
US10112518B2 (en) Work vehicle with fold-out tipping edge
JP2004256206A (ja) 自走式コンベア
JP6540653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シリンダ固定装置、および、作業機械におけるシリンダ固定方法
KR10192469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훅 블록 격납 장치
KR101695420B1 (ko) 컨테이너 덤핑장치
JP6746207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積載方法
JP5266008B2 (ja) 荷役車両
JP6905100B2 (ja) 荷役車両
US20210323460A1 (en) Adaptable Container Assembly For Truck-mounted Containers To Increase Dumping Effectiveness
JP6881128B2 (ja) ガントリを備えた建設機械
JP5009192B2 (ja) バレル研磨装置
JP6406664B2 (ja) 荷受台昇降装置が架装されたダンプ車両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