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249B1 - 가방끈 및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끈 및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249B1
KR101284249B1 KR1020080105317A KR20080105317A KR101284249B1 KR 101284249 B1 KR101284249 B1 KR 101284249B1 KR 1020080105317 A KR1020080105317 A KR 1020080105317A KR 20080105317 A KR20080105317 A KR 20080105317A KR 101284249 B1 KR101284249 B1 KR 10128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tring
strap
r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785A (ko
Inventor
지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Publication of KR2010001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하나의 가방끈으로, 손가방상태, 팔에 건 상태, 어깨에 멘 상태, 그리고, 팔을 넣어서 크로스로 매는 상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 등에 맨 상태에서 쓸 수 있어, 또한, 이것들을 재빨리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나 등에 맨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방끈 및 가방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에 의거하는 가방끈6은,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제1끈 부분 6A와,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제2끈 부분 6B를 갖추고,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6B가,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가방, 가방끈, 고리(윤상)모양, 접속, 결합부, 표면부, 쇠고리끈

Description

가방끈 및 가방{omitted}
본 발명은, 가방끈 및 가방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에 걸쳐 무거운 가방을 손가방상태, 팔에 건 상태, 또는, 어깨에 맨 상태만으로 휴대할 때에는, 양손을 교대로 바꾸지 않으면 손이나 팔이 아프기 십상이다. 한편, 륙색(배낭 형 가방)과 같이 등에 맨 상태에서는, 양어깨에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다. 그러므로 손가방상태 또는, 어깨에 맨 상태뿐만이 아니라 륙색(배낭 형 가방)과 같이 등에 맨 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한 가방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참조).
이 가방은, 가방끈의 구조가, 어깨에 건 상태에서 중복된 위쪽의 벨트를 풀어, 반대 측의 어깨에 벨트를 걸어, 어깨에 메는 사용과 등에 지는 사용을 원터치로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방을 사용할 때의 건강상태나 주위의 상황, 내용물의 상태에 의해, 파지상태로 여러가지 사용가능하며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의 가방끈 및 가방에서는, 실제로 어깨에 맨 상태 에서의 원터치 조작이 어렵고,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서 돌이켜 볼 수 있기 때문이므로, 하나의 가방끈으로, 손가방상태, 팔에 건 상태, 어깨에 맨 상태, 그리고, 팔을 넣어서 크로스로 매는 상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 등에 맨 상태에서 쓸 수 있어, 또한, 이것들을 재빨리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나 등에 맨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방끈 및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거하는 가방끈은,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제1끈 부분과,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제2끈 부분을 갖추고,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의 각각의의 고리안에 팔을 넣어서, 가방 본체를 앞으로 안은 상태 또는, 등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이 상대이동하기 때문에, 앞으로 안았을 때나 등에 맸을 때 제1가방끈 및 제2가방끈이 어깨에서 이탈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에 걸리는 힘을 균등하게 배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몸에 부담이 적은 상태에서 가방 본체를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각각의 이동 이 자유롭게 접속된 결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의 제1끈 부분이 관입되어, 또한,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관입된 결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결합부가, 상기의 제1끈 부분이 관입된 제1고리모양(윤상)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관입된 제2고리모양(윤상)부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가방 본체를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 또는, 등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때, 결합부가 제1끈 부분과 제2끈 부분과에 대하여 각각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하여, 제1가방끈 및 제2가방끈의 어깨에서의 끈 흘림을 규제하여 가방 본체를 휴대하기 쉽거나 또는, 등에 매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제1끈 부분의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가방 본체와 접속된 제1접속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의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가방 본체와 접속된 제2접속 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가방 본체에 대하여 제1가방끈 및 제2가방끈이 상대 이동 할 수 있으며, 제1가방끈 및 제2가방끈에 팔을 넣기 쉽게 할 수 있으며, 가방 본체를 휴대하기 쉽거나 또는, 등에 매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결합부가, 상기의 가방 본체와 접속가능한 제3접속 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제1접속 부 및 제2접속 부를 가방 본체와 접속된 상태에서, 제3 접속부와 가방 본체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가방끈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가방 본체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제3접속 부를 복수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제3접속 부를 각각의 가방 본체와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부 만의 길이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제1끈 부분과 상기의 제2끈 부분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제1끈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조절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의 각각의의 고리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방 본체의 휴대시의 끈 길이나 맨 느낌, 또는, 등에 맸을 때의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가방끈으로, 상기의 결합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3조절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제3조절부에 의해,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 간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매기 좋은 상태 또는, 등에 매는 상태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하는 가방은, 본 발명에 의거하는 가방끈과, 상기의 제1가방끈 및 상기의 제2가방끈과 각각의 접속된 가방 본체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하는 가방은, 상기의 가방이며, 상기의 제1가방끈과 상기의 가방 본체, 및 상기의 제2가방끈과 상기의 가방 본체가 각각의 자유자재로 탈부착 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가방끈으로, 손가방상태, 팔에 건 상태, 어깨에 맨 상태, 그리고, 팔을 넣어 크로스로 매는 상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 등에 맨 상태에서 쓸 수 있어, 또한, 이것들을 재빨리 바꾸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나 등에 맨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하는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림1에서 그림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1은, 가방 본체2와, 가방 본체2를 자유자재로 탈부착 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는 제1쇠고리 끈 (제1접속 부)3 및 제2쇠고리 끈 (제2접속 부)5를 갖는 가방끈6을 갖추고 있다.
가방 본체2에는, 표면부 2A와, 그 양쪽에 접속된 측부 2B, 2C가 갖추어져 있다. 측부 2B에는, 제1쇠 고리 끈3이 접속된 제1 고리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부 2C에는, 제2 쇠 고리 끈5가 접속된 제2 고리8이 배치되어 있다.
가방끈6은,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되어, 제1쇠 고리 끈3이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끈 부분 6A와,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되어, 제2 쇠 고리 끈5가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끈 부분 6B와,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6B의 쌍방이 각각의 관입된 고리모양(윤상)의 결합 부 6C를 갖추고 있는 즉, 고리모양(윤상)의 제1끈 부분 6A와 결합 부6C가 서로 연결되어, 또한, 고리모양(윤상)의 제2끈 부분 6B와 결합 부 6C가 서로 연결되어,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결합 부 6C를 중개하여 서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일체의 가방끈6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끈 부분 6A, 제2끈 부분 6B, 결합 부 6C의 상대이동을 소정의 범위 안에 규제하는 부재가, 적어도 제1끈 부분 6A, 제2끈 부분 6B, 결합 부 6C의 어느 하나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는, 둘 다 띠 모양으로 가죽이나 천(헝겊)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1끈 부분 6A의 중간에는, 제1끈 부분 6A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1이동 고리(제1조절부)10이 배치되어 있어, 제1끈 부분 6A가 제1이동 고리10에 의해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끈 부분의 중간에는, 제2끈 부분6B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이동 고리 (제2조절부) 11이 배치되어 있어, 제2끈 부분6B가 제2이동 고리11에 의해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 6C도 띠 모양으로 가죽이나 천(헝겊)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부 6C는, 또한 가방 본체2의 제1 고리7 또는, 제2 고리8과 접속가능한 제3 쇠 고리 끈 (제3접속 부)12를 갖추고 있는,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1 및 가방끈6의 작용에 대하여 사용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우선, 가방끈6의 제1 쇠 고리 끈3과 가방 본체2의 제1고리 7을 접속하고, 동시에 제2고리 끈5와 제2 고리8을 접속해서 가방1로 한다. 이 가방1을 어깨에 맨 상태(또는, 크로스로 매는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방끈6과 가방 본체2와의 사이에 팔을 넣어서, 그림2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어깨에 건다. 이 때, 제1이동 고리10 및 제2이동 고리11을 조정하여,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길이를 각각의 적절한 길이로 조절해 놓는다.
가방 본체2를 배 쪽에 안은 것처럼 앞으로 가방을 안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고리의 크기가 팔을 삽입하기 쉬운 크기가 되도록, 또한, 팔을 넣었을 때 가방 본체2가 앞쪽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이동 고리10 및 제2이동 고리11을 이동해 조절한다.
그리고, 그림3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방 본체2를 앞쪽으로 하여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각각의의 고리 안에 팔을 각각 넣는다. 이 때, 결합부6C가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에 대하여 각각의 상대이동하면서,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이간되지 않도록 잡아당겨진 상태로 등 쪽에 배치한다.
가방 본체2를 등 쪽에 배치하여 등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도, 가방 본체2를 앞쪽으로 끌어안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고리의 크기를 조절한 후, 그림4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방 본체2를 등 쪽으로 하여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고리 안에 팔을 각각 넣는다. 이 때, 결합부 6C는 등 쪽에 배치되어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이간되지 않도록 잡아당겨진 상태가 된다.
가방끈6을 팔에 건 상태나 손가방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경우보다 가방끈6전체의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림5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끈 부분 6A에 배치된 제1쇠 고리 끈3을 제1고리7에서 이탈시켜, 대신 결합부 6C에 배치된 제3 쇠 고리 끈12와 제1고리 7를 접속하는. 제1끈 부분 6A는, 가방 본체2안에 수납해 놓을 수 있다. 이 때, 가방끈6의 전체 길이는 제2끈 부분 6B와 결합부 6C를 더한 길이가 된다. 이렇게, 가방끈6과 가방 본체2와의 사이에 팔을 넣어서 팔꿈치에 건 상태에서 사용, 또는, 가방끈6을 붙잡아 손가방상태에서 사용한다.
이 가방1 및 가방끈6에 의하면, 제1 쇠 고리 끈3 및 제2 쇠 고리 끈5를 가방 본체2의 제1 고리7 및 제2고리8에 각각의 접속함으로써, 팔에 걸거나 어깨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고리안에 팔을 넣어서, 가방 본체2를 앞으로 안은 상태 또는, 등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상대이동하기 때문에, 앞으로 안았을 때나, 등에 맸을 때 제1가방끈 6A 및 제2가방끈6B가 어깨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에 걸리는 힘을 균등하게 배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몸에 부담이 적은 상태에서 가방 본체2를 휴대할 수 있다.
특히,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결합부 6C를 갖추고, 제1끈 부분 6A와 제2끈 부분6B가 각각의 결합부 6C와 서로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안았을 때나 등에 맸을 때의 중간에, 결합부 6C가 제1 끈 부분 6A와 제2 끈 부 분 6B와에 대하여 각각의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결합부 6C가 불편을 주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가방 본체2를 휴대하기 쉽거나, 등에 매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쇠 고리 끈 3이 제1가방끈6A의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및 제2 쇠 고리 끈 5가 제2가방끈6B의 주변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방끈6을 가방 본체2와 접속했을 때, 가방 본체2에 대하여 제1가방끈6A 및 제2가방끈6B가 상대이동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제1가방끈 및 제2가방끈에 팔을 빼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 6C가, 가방 본체2와 접속된 제3 쇠고리 끈 12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제3 쇠고리 끈 12와 제1 고리 7 또는, 제2 고리 8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가방끈6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가방 본체2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끈 부분 6A에는, 제1이동 고리10이, 제2끈 부분 6B에는, 제2 이동 고리 1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의 각각의의 고리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방 본체2의 휴대시에 늘어뜨리는 길이나 매기 좋은 상태, 또는, 등에 맸을 때의 등에 매는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그림6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결합부 20의 중간에, 결합부 20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3이동 고리(제3조절부)21이 배치되어, 제3이동 고리21에 의해 결합부 20이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가방끈22 및 가방23이라도 좋다.
이 제3이동 고리21에 의해,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매기 좋은 상태 또는, 등에 매는 상태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림7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결합부 25가, 제1끈 부분 6A가 관입된 제1고리모양(윤상)부25A와, 제2끈 부분 6B가 관입된 제2고리 모양(윤상)부 25B와, 제1고리모양(윤상)부25A 및 제2고리모양(윤상)부25B가 양단에 배치된 띠모양의 결합본체25C를 갖추는 가방끈26 및 가방27이라도 좋다.
이 가방끈26은, 제1끈 부분 6A와 제1고리 모양(윤상)부25A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또한, 제2끈 부분 6B와 제2고리모양(윤상)부25B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를 결합부 25를 중개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림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고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의 실시형태와 제1의 실시형태와의 다른 점은, 이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끈30이, 결합부 6C를 경유하지 않고, 제1끈 부분 6A와 제2끈 부분 6B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가방끈30 및 가방31도, 가방 본체2를 앞쪽에 끌어안거나 등에 맸을 때,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가 상대이동하기 때문에, 몸에 부담이 적은상태에서 가방 본체2를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에서 실시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각종 변경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제1끈 부분 6A 및 제2끈 부분 6B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이나 수지로 딱딱하게 변형되기 어려운 재질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은, 이동 고리 대신 버클을 갖추고, 벨트 구조에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1끈 부분 및 제2끈 부분은, 벨트 모양일 필요는 없고 끈 모양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가방 본체와 가방끈이 제1 쇠 고리끈3이나 제2 쇠 고리끈 5과 같은 것을 경유하지 않고, 처음부분과 일체에 접속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결합부가 제3 쇠 고리 끈 12를 복수로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제3 쇠 고리 끈 12를 각각의 제1 고리 7 및 제2 고리 8의 쌍방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결합부 만의 길이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손가방상태에서의 사용이 보다 적절해진다. 이 경우, 제1가방끈6A 및 제2가방끈6B를 가방 본체2 안에 수납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솔더백 형태의 가방의 끈 부분을 개량하여, 가방을 휴대하는 각종 형태에 다양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통하는 가방형태와 본 가방끈부분을 융합한 형태로의 폭넓은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숄더백 형태의 가방에 본 발명의 끈 부분을 응용하면, 기존의 숄더백의 사용형태에 덧붙여 등산가방과 같이 매는 가방으로서의 기능, 또한 기존의 매는 가방으로는 불가능했던 앞으로 매는 가방의 기능성까지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앞으로 매는 가방의 기능은 실생활에 있어서 많은 편의점을 부여한다. 숄더백을 앞으로 맬 경우 가방의 무게는 한 어깨에 집중하지만, 본 발명의 끈 형태는 양어깨에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다. 카메라나 노트형 컴퓨터 등을 휴대 시에 앞으로 매어 착용하면 무게를 분산시키고 가방본체를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에 앉아서의 컴퓨터 작업, 이동하면서 가방 안의 렌즈나 부속품을 신속하게 바꿔 가면서의 촬영 작업 등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가방끈 부분만을 착 탈 가능한 단독상품으로 개발할 경우, 기존의 가방끈과 병용하여 설치하거나, 가방끈 부분만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끈 조절부를 본 발명의 양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면, 기존의 숄더백 끈의 전체길이를 손에 닿을 수 있는 위치 두 곳에서 동시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끈 전체의 길이를 대폭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고, 착용형태의 폭도 넓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을 제시하는 정면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을 어깨에 맨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를 제시하는 설명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의 가방 본체를 앞쪽으로 안은 상태에서 가방끈에 팔을 넣어서 사용할 경우를 제시하는 설명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의 가방 본체를 등쪽으로 맨 상태에서 가방끈에 팔을 넣어서 사용할 경우를 제시하는 설명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을 팔에 걸기 또는, 손가방상태에서 사용할 경우를 제시하는 설명그림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의 다른 예를 제시하는 정면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의 다른 예를 제시하는 정면 그림이다.
도 8은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가방 및 가방끈을 제시하는 정면 그림이다.
부호의 설명
1, 23, 27, 31 가방
2 가방 본체
3 제1 쇠 고리 끈 (제1 접속부)
5 제2 쇠 고리 끈 (제2 접속부)
6, 22, 26, 30 가방끈
6A 제1끈 부분
6B 제2끈 부분
6C, 20, 25 결합부
10 제1이동 고리(제1조절부)
11 제2이동 고리(제2조절부)
12 제3 쇠 고리 끈 (제3 접속부)
21 제3이동 고리 (제3조절부)
25A 제1고리 모양 (윤상)부
25B 제2고리 모양 (윤상)부

Claims (12)

  1.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윤상)으로 형성된 제1끈 부분과, 팔 직경보다 큰 직경과, 유연한 고리모양 (윤상)으로 형성된 제2끈 부분을 갖추고,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1끈 부분의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가방 본체와 접속된 제1접속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의 주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가방 본체와 접속된 제2접속 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끈.
  2.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 상기의 제1끈 부분 및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각각의 이동이 자유롭게 접속된 결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 1에 기재한 가방끈.
  3. 상기의 제1끈 부분이 관입되어, 또한,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관입된 결합 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2에 기재한 가방끈.
  4. 상기의 결합부가, 상기의 제1끈 부분이 관입된 제1고리모양(윤상)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이 관입된 제2고리모양(윤상)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2에 기재한 가방끈.
  5. 삭제
  6. 상기의 결합부가, 상기의 가방 본체와 접속가능한 제3접속 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1에 기재한 가방끈.
  7. 상기의 제3접속 부를 복수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6에 기재한 가방끈.
  8. 상기의 제1끈 부분과 상기의 제2끈 부분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1에 기재한 가방끈.
  9. 상기의 제1끈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의 제2끈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조절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1 내지 4 및 6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가방끈.
  10. 상기의 결합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3조절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2 내지 4, 6 및 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가방끈.
  11. 청구 항1 내지 4 및 6 내지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가방끈과, 상기의 제1가방끈 및 상기의 제2가방끈과 각각의 접속된 가방 본체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2. 상기의 제1가방끈과 상기의 가방 본체, 및 상기의 제2가방끈과 상기의 가방 본체가 각각의 자유자재로 탈착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 항11에 기재한 가방.
KR1020080105317A 2007-12-05 2008-10-27 가방끈 및 가방 KR101284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9353U JP3139571U (ja) 2007-12-05 2007-12-05 鞄紐及び鞄
JPJP-P-2008-192936 200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85A KR20100012785A (ko) 2010-02-08
KR101284249B1 true KR101284249B1 (ko) 2013-07-09

Family

ID=7214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317A KR101284249B1 (ko) 2007-12-05 2008-10-27 가방끈 및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3139571U (ko)
KR (1) KR101284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57Y1 (ko) * 2014-03-31 2015-07-06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가방끈 고리
KR20230000258U (ko) 2021-07-26 2023-02-02 김은경 기능성 가방 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9300B2 (ja) * 2009-08-11 2013-01-30 成姫 池
JP5367657B2 (ja) * 2010-08-09 2013-12-11 賢治 浦 ショルダーストラップおよび携帯用運搬具
KR20190034444A (ko) 2017-09-23 2019-04-02 김현지 한 팔로 무거운 물건 드는 것을 도와주는 스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01A (ja) * 2002-07-16 2004-04-02 Yukihiko Saito コンピュータ携帯用鞄
KR200373164Y1 (ko) * 2004-10-21 2005-01-15 최기남 가방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801A (ja) * 2002-07-16 2004-04-02 Yukihiko Saito コンピュータ携帯用鞄
KR200373164Y1 (ko) * 2004-10-21 2005-01-15 최기남 가방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57Y1 (ko) * 2014-03-31 2015-07-06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가방끈 고리
WO2015152595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그래픽캠프 가방끈 고리
KR20230000258U (ko) 2021-07-26 2023-02-02 김은경 기능성 가방 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85A (ko) 2010-02-08
JP3139571U (ja) 2008-02-21
JP4338763B2 (ja) 2009-10-07
JP2009136668A (ja)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249B1 (ko) 가방끈 및 가방
US20150292834A1 (en) Quick Conversion Sling
US9386841B2 (en) Pet accessory bag coupleable with leash in multiple different configurations
JP2022515698A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090283561A1 (en) Anti-slip apparatus
US20170215559A1 (en) Adjustable garment support system and kit for the same
US20070033713A1 (en) Wearable garment holder
WO2016036793A1 (en) Wrist mounted hand sling
JP6385242B2 (ja) 圧迫回避機能付き腰部負担軽減具
EP3753443B1 (en) Method and tool for preventing sliding down of shoulder belt, shoulder belt, and bag
US10827819B2 (en) Carrying system for carrying an object
US20190142084A1 (en) Modular Sanitation Outfit
US20230248602A1 (en) Bimodal exosuit
JP2010201105A (ja) 体躯装着型補助器具
JP2019154917A (ja) 背負いベルトの取り付け構造
US11654312B2 (en) Shoulder harness
TWI474793B (zh) 用於揹負袋子或類似物的可調整帶
KR200477657Y1 (ko) 가방끈 고리
JP7153780B1 (ja) 作業者用ベスト
US12004619B1 (en) System to attach a luggage
JP4714795B1 (ja) 胸元の衣服ズレ防止具
JP5112543B1 (ja) カーブ付ストラップ
US20230121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vert clothing for sexual interest, bondage and power play
JP3190642U (ja) 長袖衣類着用時用の補助具
JP2022029350A (ja) 安全帯ユニットおよび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