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62B1 - 고온 산화 시험 설비 - Google Patents

고온 산화 시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62B1
KR101284062B1 KR1020120025424A KR20120025424A KR101284062B1 KR 101284062 B1 KR101284062 B1 KR 101284062B1 KR 1020120025424 A KR1020120025424 A KR 1020120025424A KR 20120025424 A KR20120025424 A KR 20120025424A KR 101284062 B1 KR101284062 B1 KR 10128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reheater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oxid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영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산화 시험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 산화 시험수가 유입되는 제1가압 탱크, 상기 제1가압 탱크에 연결되는 제2가압 탱크, 상기 제2가압 탱크에 연결되어 시험수를 순환시키는 메인 펌프, 상기 메인 펌프에 연결되고, 시편이 산화되도록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를 정량 제어로 토출하는 정량 펌프와, 상기 정량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예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받아 시편에 대한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테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는 상기 제1가압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온 산화 시험 설비{HIGH TEMPERATURE OXIDATION TEST EQUIPMENT}
본 발명은 고온 산화 시험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산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대상 시편의 부식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고온 산화 시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상 사용되는 각종 소재는 사용 분위기 및 조건에 따라서 전면 부식, 공식, 침식, 응력 부식, 틈 부식 및 고온 부식 등의 형태로 부식이 발생하며, 이는 여러 가지 부식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된다.
한편, 소재의 부식은 재료 자체의 소모뿐만 아니라 공식 및 틈 부식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 기계적 강도의 저하, 응력 부식 균열, 부식 피고 및 수소 취성 등을 일으켜 기계적 성질을 훼손하며 미관을 해지고 오염 발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산업상 사용되는 소재들을 각종의 사용 조건하에서 내식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여러 부식 환경에서 소재의 부식 정도를 평가하여 그에 따른 대책 및 개선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한편, 산업상 사용되는 소재의 부식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전기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부식액 중에서의 소재 부식 속도를 비롯한 부식 현상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치와, 부식 용액을 단위 시간당 일정량을 분무하여 부식성을 정성적으로 조사하는 장치가 있다.
즉, 정량적으로 소재의 부식 정보를 얻는 장치는 기준 전극, 보조 전극 및 시편 전극으로 구성되는 세 개의 전극을 부식 용액 중에 침적시킨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시편 전극과 보조 전극 사이에 전류를 부여하면서 부식 용액을 매체로 일어나는 전기 화학적 변화를 기준 전극에서 감지하여 부식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이 장치는 부식 조건이 단지 용액일 때 사용 가능하며, 부식 용액의 증기나 분진에 의한 부식 환경에 대해 부식성을 평가하여 적용할 경우에는 큰 오차를 인정해야 한다.
또한, 소재의 표면에 흐르는 부식 용액에 의한 부식 현상도 같은 용액 상태의 부식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소재 표면의 용액과 같은 조성의 용액이라도 부식 셀 안에 담긴 용액은 용존 산소량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식 현상에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부식 용액을 일정 속도로 분무하여 부식 용액 분진이 떨어지는 위치에 소재를 노출시키고, 소재의 외관이 부식되는 현상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장치는 부식 용액을 증기 상태로 만들기 어렵고, 분무를 미세하게 하여 증기에 가까운 부식액 분진을 형성시킨다고 하더라도 부식 용액에 독성이 있거나 휘발성이 강하면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분무된 부식 용액 중에는 일부분이 표면에 부착되어 고화되기 때문에 부식 용액의 부분적 농도 편차를 일이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 시편인 강(steel)의 부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업상 실제의 부식 환경과 근접한 부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제어 가능한 시험 습도 및 온도를 통하여 고온 수증기를 발생시켜 산화 분위기를 만들고, 시험수의 특성인 용존 산소량(DO), 전기 전도도(conductivity) 및 pH 등을 제어 가능하게 설계하여 장시간동안 균일한 산화 분위기에서 시편의 부식 특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시험수가 유입되는 제1가압 탱크; 상기 제1가압 탱크에 연결되는 제2가압 탱크; 상기 제2가압 탱크에 연결되어 시험수를 순환시키는 메인 펌프; 상기 메인 펌프에 연결되고, 시편이 산화되도록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를 정량 제어로 토출하는 정량 펌프와, 상기 정량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예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받아 시편에 대한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테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는 상기 제1가압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예열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가열기 내부에 쿼츠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 산화 대상인 시편이 마련되는 테스트 챔버와,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세라믹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챔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와, 시편을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시편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기의 내부는 구획 리브에 의해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발열부 및 상기 가열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써모커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PID 제어 방식으로 상기 가열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는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써모커플이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편 지그는, 시편의 상단을 관통하는 백금 와이어와, 상기 백금 와이어에 거치된 시편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상기 백금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알루미나 튜브 또는 세라믹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테스트 챔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예열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 제너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는, 상기 테스트 챔버 하단부에 개재되는 세라믹 관과, 상기 세라믹 관의 하단부에 개재되고, 그 중심축에 상기 예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공급로가 형성되는 세라믹 블럭과, 상기 세라믹 관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볼 구조체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큰 직경의 볼 구조체부터 작은 직경의 볼 구조체 순으로 상기 세라믹 관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 구조체는 알루미나(alumina) 또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200℃ 내지 250℃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예열기와, 상기 제1예열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예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550℃ 내지 600℃로 예열하는 제2예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여기서, 상기 제1예열기 및 상기 제2예열기는 PID 제어 방식으로 수증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제1예열기와 상기 제2예열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예열기에서 상기 제2예열기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고온 습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정량 펌프와 상기 예열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정량 펌프와 상기 예열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섹션은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정량 펌프에 의한 시험수의 서징(surging)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테스트 섹션 사이에 마련되는 어큐뮬레이터;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테스트 섹션과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쿨링 자켓;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테스트 섹션과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에 포함된 잔존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교환기;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가스 교환기와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 교환기에 의하여 제거된 잔존 가스의 압력을 보상하는 부스터 펌프;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제1가압 탱크 및 상기 제2가압 탱크에 저장된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 탱크 및 상기 제1가압 탱크에 연결되어 아르곤 및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제2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펌프에서 상기 테스트 섹션으로 공급되는 시험수 중 일부를 상기 제2가압 탱크로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가압 탱크로 공급되는 시험수에 소정의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습도 및 온도,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DO), 전기 전도도(conductivity) 및 pH 등의 산화 분위기를 제어 가능하게 설계하여 장시간동안 균일한 산화 분위기에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시편의 부식 특성을 수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설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 내부에 거치된 시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 및 스팀 제너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를 이용한 고온 산화 시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설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산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대상 시편인 강(steel)의 부식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설비로서, 제1가압 탱크(12), 제2가압 탱크(14), 메인 펌프(20), 테스트 섹션(30), 어큐뮬레이터(40), 쿨링 자켓(50), 가스 교환기(60), 부스터 펌프(70), 가스 공급부(80) 및 화합물 공급부(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가압 탱크(12)에는 정수 시스템(10)으로부터 시험수가 유입되고, 또한 시험수에 혼합되어 시험수의 화학적 성질인 용존 산소량(DO), 전기 전도도(conductivity) 및 pH 등을 발현시키는 화학물 등이 유입된다.
상기 제2가압 탱크(14)는 상기 제1가압 탱크(12)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유입된 시험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메인 펌프(20)는 상기 제2가압 탱크(14)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부터 유입되는 시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핑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테스트 섹션(30)은 상기 메인 펌프(20)에 연결되며, 시험 대상이 되는 시편이 산화되도록 상기 메인 펌프(20)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로부터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켜 시험을 진행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테스트 섹션(30)은 정량 펌프(100), 예열부(200), 테스트 어셈블리(300), 고온 습도계(400), 유량계(500) 및 체크 밸브(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량 펌프(100)는 상기 메인 펌프(20)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를 정량 제어로 토출하여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에 제공하는 펌프로서, 사용자는 상기 정량 펌프(100)에 의하여 시험 습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산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예열부(200)는 상기 정량 펌프(100)에 연결되며, 상기 정량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에 공급한다. 즉, 시험수가 곧바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시험수의 온도 조절이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데,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의 전단에 예열부(200)를 마련함으로써 수증기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시험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예열부(20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예열기(210)와 제2예열기(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예열기(210)는 상기 정량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대략 200℃ 내지 250℃의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예열기(220)는 상기 제1예열기(210)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1예열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대략 550℃ 내지 600℃로 예열하여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로 예열된 수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예열기(210) 및 상기 제2예열기(220)는 온도 안정성을 위하여 PID 제어 방식으로 수증기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증기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오버 히트(over heat)를 방지함과 아울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제1예열기(210) 및 상기 제2예열기(220)는 분당 5℃ 내지 10℃로 수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단계별(3단계 이상)로 승온시키도록 제어됨으로써 오버슛(overshoot)에 따른 산화를 최소화하며, 시험 중 수증기의 온도 변화는 -2℃ 내지 +2℃로 유지된다.
한편, 내부식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예열기(210) 이전의 관로 즉, 상기 정량 펌프(100)와 상기 제1예열기(210) 사이의 관로는 STS316L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예열기(220) 이후의 관로 즉, 상기 제2예열기(220)와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 사이의 관로는 Alloy600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는 상기 예열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예열부(20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받아 시편에 대한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산화 시험 수행 후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를 통과한 수증기는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다시 공급된다. 이러한 테스트 어셈블리(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온 습도계(400)는 상기 제1예열기(210)에서 상기 제2예열기(220)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예열기(210)와 상기 제2예열기(220) 사이에 마련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정량 펌프(100)에 의하여 시험 습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산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고온 습도계(400)를 관측하여 수증기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온 습도계(400)는 최대 250℃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다.
상기 유량계(500)는 상기 정량 펌프(100)와 상기 예열부(200) 사이에 마련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유량계(500)를 통하여 상기 정량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량 펌프(100)에 의하여 시험 습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산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600)는 상기 정량 펌프(100)와 상기 예열부(2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정량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즉, 상기 정량 펌프(100)의 전단에는 예열부(200)가 배치되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증기의 포화 증기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압(back pressure)이 상기 정량 펌프(100)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정량 펌프(100)는 일정한 압력으로 시험수를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스트 섹션(30)은 시편의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상기 메인 펌프(20)와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연결되는데, 다양한 시험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성하여 산화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메인 펌프(20)와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병렬 연결되는 테스트 섹션(30)이 상기 메인 펌프(20)와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세 개 마련되는데, 더 다양한 시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는 네 개 이상의 테스트 섹션(30)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기 테스트 섹션(30)의 갯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실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 내부에 거치된 시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의 테스트 챔버 및 스팀 제너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는 시편에 대한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열기(310), 테스트 챔버(320), 거치대(324), 시편 지그(330) 및 스팀 제너레이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기(310)는 상기 예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온도 조절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기(310)의 내부는 구획 리브(312)에 의해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발열부(314) 및 제1써모커플(316)이 마련된다. 상기 제1써모커플(316)은 상기 가열기(3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시험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기(310)는 최대 1300℃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예열부(200)와 마찬가지로 온도 안정성을 위하여 PID 제어 방식으로 수증기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증기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즉, 상기 가열기(310)는 분당 5℃ 내지 10℃로 수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단계별(3단계 이상)로 승온시키도록 제어됨으로써 오버슛(overshoot)에 따른 산화를 최소화하며, 시험 중 수증기의 온도 변화는 -2℃ 내지 +2℃로 유지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챔버(320)는 상기 가열기(310) 내부에서 쿼츠(quartz)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내부에 산화 대상인 시편이 마련되는데, 고온 산화성 분위기를 고려하여 상기 테스트 챔버(320)는 쿼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내부는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써모커플(322)이 마련된다. 즉, 상기 거치대(324)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세라믹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데, 상기 제2써모커플(322)은 상기 거치대(324)의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개재되어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324)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내부에 네 개 마련되며, 상기 제2써모커플(322)은 네 개의 거치대(324) 중 세 개의 거치대(324)에 개재되나, 상기 거치대(324) 및 상기 제2써모커플(322)은 고온 산화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갯수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324) 및 상기 제2써모커플(322)의 갯수 및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2써모커플(322)은 상기 제1써모커플(316)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시험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시험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수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바로 공급된다.
상기 시편 지그(330)는 시편(S)의 상단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백금 와이어(332) 및 상기 백금 와이에 거치된 시편(S)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상기 백금 와이어(332)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알루미나 튜브 또는 세라믹 튜브(334)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에는 네 개의 거치대(324)가 마련되는데, 상기 백금 와이어(332)는 상기 거치대(324)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백금 와이어(332)에 시편(S)이 관통 고정된다. 그리고, 시편(S)들 사이에 각각 상기 알루미나 튜브 또는 세라믹 튜브(334)가 개재됨으로써 시험 대상이 되는 시편(S)들 사이의 고착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340)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예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세라믹 관(342), 세라믹 블럭(344) 및 복수개의 볼 구조체(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라믹 관(342)은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하단부에 개재되고, 상기 세라믹 블럭(344)은 상기 세라믹 관(342)의 하단부에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블럭(344)의 중심축에는 공급로(345)가 형성되어 상기 예열부(2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관(342)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볼 구조체(346)가 마련된다. 즉, 상기 예열부(200)는 시험수를 수증기로 변환하여 상기 테스트 챔버(320) 측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수증기를 시편에 직접 분사하는 경우에는 시편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볼 구조체(346)는 메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테스트 챔버(320)로 공급되는 고압의 수증기는 상기 볼 구조체(346)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유속으로 변환되어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중심부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시험 온도 설정 후 상기 볼 구조체(346)에서 비열을 흡수함으로써 수증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볼 구조체(346)는 수증기의 유속이 안정화되는 것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는데, 큰 직경의 볼 구조체(346)부터 작은 직경의 볼 구조체(346) 순으로 상기 세라믹 관(342)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라믹 관(342)의 하단부에 적층되는 볼 구조체(346)의 직경은 10mm이고, 상기 세라믹 관(342)의 중단부에 적층되는 볼 구조체(346)의 직경은 6mm이며, 상기 세라믹 관(342)의 상단부에 적층되는 볼 구조체(346)의 직경은 4mm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볼 구조체(346)의 직경 및 적층 구조는 시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볼 구조체(346)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의 고온 산화 분위기를 고려하여 알루미나(alumina) 또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챔버(3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쿨링 자켓(360)이 마련되는데, 이는 테스트 챔버(320)의 내부를 외부와 단절시켜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40)는 상기 정량 펌프(100)에 의한 시험수의 서징(surging)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펌프(20)와 상기 테스트 섹션(30) 사이에 마련된다. 즉, 상기 메인 펌프(20)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정량 펌프(100)로 공급되는 시험수의 압력 또는 유량 등은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상기 정량 펌프(100)에서 서징 현상이 발생되는데, 상기 어큐뮬레이터(40)는 이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정량 펌프(100)는 상기 메인 펌프(20)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를 정량 제어로 토출하여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쿨링 자켓(50)은 상기 테스트 섹션(30)과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를 통과한 수증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시험수가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가스 교환기(60)는 상기 테스트 섹션(30)과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300)를 통과한 수증기에 포함된 잔존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순환되는 시험수의 화학적 성질이 변하지 않게 한다.
상기 부스터 펌프(70)는 상기 가스 교환기(60)와 상기 제1가압 탱크(1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스 교환기(60)에 의하여 제거된 잔존 가스의 압력을 보상한다. 즉, 상기 가스 교환기(60)가 시험 중 발생한 잔존 가스를 시험수 중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압력도 같이 제거되는데 이렇게 되면 시험수가 순환할 수 있는 압력이 충분하지 않아 공동 현상(cavitation)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부스터 펌프(70)는 제거된 잔존 가스의 압력을 보상함으로써 시험 수행을 완료한 시험수를 원활하게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 공급부(80) 상기 제1가압 탱크(12) 및 상기 제2가압 탱크(14)에 저장된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 탱크(12) 및 상기 제1가압 탱크(12)에 연결되어 아르곤(Ar) 및 질소(N2) 가스를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환경에 있어서 시험수의 욘존 산소량은 10ppb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므로, 산소의 확산을 차단시켜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아르곤 및 질소 가스를 가스 공급부(80)를 통하여 상기 제1가압 탱크(12) 및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아르곤 및 질소 가스는 상기 제1가압 탱크(12)에서 퍼징(fuzzing)하여 시험수의 화학적 성질 즉, 용존 산소량을 유지하고, 상기 제2가압 탱크(14)에서 다시 퍼징(fuzzing)하여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을 안정화시켜 상기 메인 펌프(20)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 공급부(80)에는 기체 유량 제어 장치(Mass Flow Controller, MFC)가 마련되어 아르곤 및 질소 가스를 사용자가 설정한 양만큼 일정하게 상기 제1가압 탱크(12) 및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공급부(90)는 상기 메인 펌프(20)와 상기 제2가압 탱크(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펌프(20)에서 상기 테스트 섹션(30)으로 공급되는 시험수 중 일부를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 공급되는 시험수에 소정의 화합물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환경에 있어서 전기 전도율은 100μS/m 이하, 용존 산소량은 10ppb 이하 및 pH는 0.0~14.0pH 인 조건 등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시험 수행 중에 시험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화합물 공급부(90)에서 제공되는 화합물에 의하여 이러한 시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압 탱크(14)와 상기 메인 펌프(20) 사이에는 필터(92)가 마련되는데, 상기 필터(92)는 상기 제2가압 탱크(14)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 중에 혼합된 슬러지를 여과함으로써 시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온 산화 시험 설비를 이용한 고온 산화 시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고온 산화 시험 설비를 이용한 고온 산화 시험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고온 산화 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는 시편을 장착하고 시험수인 증류수는 준비하는 등의 실험 준비 단계를 수행하며, 실험 준비가 완료되는 제1가압 탱크(12) 및 제2가압 탱크(14)에 시험수와 화학물을 공급하여 전기 전도도, 용존 산소량 및 pH 등의 시험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시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시 가스 등을 상기 제1가압 탱크(12) 및 상기 제2가압 탱크(14)에서 퍼징(fuzzing)함으로써 시험 조건을 충족시킨다.
시험 조건이 충족되면 정량 펌프(100)를 통하여 시험수를 예열부(200)로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정량 펌프(100)의 제어를 통하여 시험 온도, 습도 및 압력 등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예열부(200)로 공급된 시험수는 예비 가열되어 테스트 챔버(320)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시험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시험수는 상기 테스트 챔버(32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제1가압 탱크(12)로 바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스트 챔버(320)를 거쳐 산화 시험을 완료한 수증기는 쿨링 자켓(50)을 통하여 냉각되고, 가스 교환기(60)를 통하여 시험수 중 잔존하는 압력을 제거하며, 이렇게 제거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부스터 펌프(70)를 거쳐 다시 제1가압 탱크(12)로 순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제1가압 탱크 14: 제2가압 탱크
20: 메인 펌프 30: 테스트 섹션
40: 어큐뮬레이터 50: 쿨링 자켓
60: 가스 교환기 70: 부스터 펌프
80: 가스 공급부 90: 화합물 공급부
100: 정량 펌프 200: 예열부
300: 테스트 어셈블리 310: 가열기
320: 테스트 챔버 330: 시편 지그
340: 스팀 제너레이터 400: 고온 습도계
500: 유량계 600: 체크 밸브

Claims (21)

  1. 시험수가 유입되는 제1가압 탱크;
    상기 제1가압 탱크에 연결되는 제2가압 탱크;
    상기 제2가압 탱크에 연결되어 시험수를 순환시키는 메인 펌프;
    상기 메인 펌프에 연결되고, 시편이 산화되도록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메인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수를 정량 제어로 토출하는 정량 펌프와,
    상기 정량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예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공급받아 시편에 대한 산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테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는 상기 제1가압 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예열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상기 가열기 내부에 쿼츠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 산화 대상인 시편이 마련되는 테스트 챔버와,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세라믹 재질의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챔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와,
    시편을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시편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의 내부는 구획 리브에 의해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발열부 및 상기 가열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써모커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ID 제어 방식으로 상기 가열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는 그 높이 방향으로 세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배치된 시편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써모커플이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지그는,
    시편의 상단을 관통하는 백금 와이어와,
    상기 백금 와이어에 거치된 시편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상기 백금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알루미나 튜브 또는 세라믹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테스트 챔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예열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상기 테스트 챔버의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 제너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 제너레이터는,
    상기 테스트 챔버 하단부에 개재되는 세라믹 관과,
    상기 세라믹 관의 하단부에 개재되고, 그 중심축에 상기 예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공급로가 형성되는 세라믹 블럭과,
    상기 세라믹 관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 구조체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큰 직경의 볼 구조체부터 작은 직경의 볼 구조체 순으로 상기 세라믹 관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 구조체는 알루미나(alumina) 또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를 예열하여 200℃ 내지 250℃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예열기와,
    상기 제1예열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예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550℃ 내지 600℃로 예열하는 제2예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열기 및 상기 제2예열기는 PID 제어 방식으로 수증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제1예열기와 상기 제2예열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예열기에서 상기 제2예열기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고온 습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정량 펌프와 상기 예열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은,
    상기 정량 펌프와 상기 예열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정량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시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은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펌프에 의한 시험수의 서징(surging)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테스트 섹션 사이에 마련되는 어큐뮬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과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쿨링 자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섹션과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테스트 어셈블리를 통과한 수증기에 포함된 잔존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교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교환기와 상기 제1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 교환기에 의하여 제거된 잔존 가스의 압력을 보상하는 부스터 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탱크 및 상기 제2가압 탱크에 저장된 시험수의 용존 산소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가압 탱크 및 상기 제1가압 탱크에 연결되어 아르곤 및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펌프와 상기 제2가압 탱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 펌프에서 상기 테스트 섹션으로 공급되는 시험수 중 일부를 상기 제2가압 탱크로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가압 탱크로 공급되는 시험수에 소정의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산화 시험 설비.
KR1020120025424A 2012-03-13 2012-03-13 고온 산화 시험 설비 KR10128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24A KR101284062B1 (ko) 2012-03-13 2012-03-13 고온 산화 시험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24A KR101284062B1 (ko) 2012-03-13 2012-03-13 고온 산화 시험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062B1 true KR101284062B1 (ko) 2013-07-10

Family

ID=4899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24A KR101284062B1 (ko) 2012-03-13 2012-03-13 고온 산화 시험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0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41B1 (ko) * 2017-09-28 2018-06-20 주식회사 유현 초고온고압을 이용한 배관자재 시험설비
KR101907428B1 (ko) 2017-05-10 2018-12-06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고온수증기 산화성능 시험장치
KR20210051410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 설비 및 시험 방법
CN112986111A (zh) * 2019-12-13 2021-06-1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催化湿式氧化腐蚀实验装置
CN117053438A (zh) * 2023-07-31 2023-11-14 南方科技大学 一种花洒式液氦蒸发器以及制冷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659A (ko) * 2003-01-15 2004-07-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점 굽힘 황화물 응력 부식 균열 시험 장치
KR20080057360A (ko) * 2006-12-20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식시험 장치
KR20080102710A (ko) * 2007-05-22 2008-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JP2010271233A (ja) 2009-05-22 2010-12-02 Espec Corp 環境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659A (ko) * 2003-01-15 2004-07-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점 굽힘 황화물 응력 부식 균열 시험 장치
KR20080057360A (ko) * 2006-12-20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식시험 장치
KR20080102710A (ko) * 2007-05-22 2008-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응력부식균열 시험장치
JP2010271233A (ja) 2009-05-22 2010-12-02 Espec Corp 環境試験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428B1 (ko) 2017-05-10 2018-12-06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고온수증기 산화성능 시험장치
KR101869441B1 (ko) * 2017-09-28 2018-06-20 주식회사 유현 초고온고압을 이용한 배관자재 시험설비
KR20210051410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 설비 및 시험 방법
KR102291910B1 (ko) 2019-10-30 2021-08-20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 설비 및 시험 방법
CN112986111A (zh) * 2019-12-13 2021-06-1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催化湿式氧化腐蚀实验装置
CN117053438A (zh) * 2023-07-31 2023-11-14 南方科技大学 一种花洒式液氦蒸发器以及制冷机
CN117053438B (zh) * 2023-07-31 2024-04-30 南方科技大学 一种花洒式液氦蒸发器以及制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062B1 (ko) 고온 산화 시험 설비
JP6951321B2 (ja) プロセスガス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82075A (ko) 과산화수소 가스 생성 장치
CN112088422A (zh) 臭氧水的制造方法
JP2018526201A5 (ko)
JP2007152195A (ja) 超臨界流体洗浄装置
Shen et al. Metal-supported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test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US10877009B2 (en) Particle measuring system
Bernhardt Condensation of immiscible mixtures
JP4816420B2 (ja) 塩素分析装置
CN110261556A (zh) 测定水或废水的组成物质或质量参数的测量机构和方法
KR200176691Y1 (ko) 전기화학부식전위 감시를 위한 루프 시험장치
Nishimura et al. The development of a ceramic sensor for the prediction of hydrogen attack
JP5198187B2 (ja) 液処理装置および処理液供給方法
CN116124686A (zh) 一种四氧化二氮环境电化学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H07103879A (ja) 腐食試験方法及びその装置
CN109298094A (zh) 一种高沸点清洁灭火剂在空气氛围下热分解装置及试验方法
CN210356704U (zh) 一种实验室有机废气降解系统
JP2010071919A (ja) ワークの耐食試験方法および耐食試験装置
JP2000298126A (ja) 水質分析計
JP3047219B2 (ja) 熱老化試験装置
Özer et al. Coupled Inductive Annealing‐Electrochemical Setup for Controlled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loy Crystal Surface Electrodes
JP2019174335A (ja) 示差走査熱量計
KR19980040516U (ko) 다단 응축기 내부에서의 증기중 부식 시험장치
RU2482404C1 (ru)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ый термост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