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948B1 -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948B1
KR101283948B1 KR1020110047852A KR20110047852A KR101283948B1 KR 101283948 B1 KR101283948 B1 KR 101283948B1 KR 1020110047852 A KR1020110047852 A KR 1020110047852A KR 20110047852 A KR20110047852 A KR 20110047852A KR 101283948 B1 KR101283948 B1 KR 10128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
unit
core
fiber
fro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537A (ko
Inventor
허유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9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02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ring ty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4Rollers or roller bearing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는: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드래프트 유닛(Draft Unit); 상기 드래프트 유닛을 지나는 섬유 플리스(Fiber Fleece)에 헛꼬임(False Twist)을 부여하도록,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구간 내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는 헛꼬임 유닛(False Twisting Unit);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섬유 원료, 특히 스테이플 섬유의 조합에 의한 복층 구조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강화된 복합형 섬유재료 또는 섬유 복합재료를 방적산업, 제직산업, 니트산업, 의류산업 기타 인테이어 산업뿐만 아니라 의료용, 공업용, 건설용, 정보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이용할 수 있어서 링 코어사의 실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Ring Spinning for Manufacturing Ring Core Spun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ing Core Spun Yarn}
본 발명은 링 정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플 섬유로 된 코어과 스테이플 섬유로 된 표면층(쉬스, Sheath)을 갖는 링 코어사와 적어도 2층의 스테이플 섬유 단면층을 갖는 복층 단면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링 정방기는 링과 트래블러를 이용하여 실을 연속적으로 정방하는 방적기계이다. 통상의 링 정방기에 있어서 드래프트 구간에는 로빙사(조사)에 적절한 드래프트가 가해지며, 드래프트 장치의 프론트 롤러를 지난 구간에서는 실에 강도를 부여하는 꼬임이 가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의 꼬임을 위해 섬유 다발에 가해지는 꼬임 회전은 상기 트래블러에 의해 발생되어서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데, 상기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 즉 닙 라인(1, Nip Line)에서 실의 꼬임 개시지점(2)에 이르는 부분에는 꼬임이 없는 삼각형(3) 영역의 섬유 다발이 형성되며, 이를 정방 3각형(Spinning Triangle)이라 칭한다.
상기 링 정방기에 의해 제조되는 종래의 링 코어사는 스테이플(Staple) 섬유와 필리멘트를 이용하여 필라멘트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코어와 표면이 모두 스테이플 섬유인 구조, 즉 스테이플 섬유를 이용한 스테이플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의 링 코어사는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기 스테이플(Staple) 섬유와 필리멘트를 이용한 링 코어사는, 링 정방기에 일련의 필라멘트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드래프트의 프론트 롤러를 통과하기 직전에 섬유 플리스의 중심부에 필라멘트를 공급함으로써 제조되며, 스테이플 섬유가 필라멘트를 감싸는 구조, 즉 상술한 필라멘트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링 코어사의 사용 중에 필라멘트 코어와 스테이플 표면 사이에 미끄럼이 쉽게 나타나고, 링 코어사 표면에서 잔털이 탈락되는 현상이 심하여, 링 코어사의 표면 스테이플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므로 필라멘트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의 링 코어사는 실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한편,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와 표면용 스테이플 섬유를 드래프트 장치에 공급해서 스테이플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의 링 코어사를 제조하는 경우, 코어/표면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코어사의 사용 중에 표면에서 잔털이 탈락되는 현상을 억제하며, 동시에 표면 스테이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코어에 놓여져 있어야 할 스테이플이 코어사 표면에 돌출하여 표면 스테이플의 효과를 크게 저하시키고, 링 코어사의 표면 결함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스테이플 코어/스테이플 표면 구조의 링 코어사는 아직까지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 정방기에 의한 방적, 즉 링 정방에서는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1; Nip Line)을 지난 섬유 다발이 꼬임 유닛에 의해 꼬임을 받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방 3각형(3)이 생성되는데, 파지점(1)에서 중앙에 놓인 중앙부 섬유가 바깥 부분, 즉 표면으로 점차 밀려나가거나, 반대로 상기 파지점에서 상기 중앙부 섬유의 바깥에 위치하는 표면 섬유(표면부 섬유)는 중앙으로 이동하는 섬유이주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중앙부/표면부 섬유를 서로 분리하여 드래프트 장치에 공급하더라도, 드래프트 과정을 거쳐 꼬임을 받을 때 중앙부 섬유와 표면부 섬유의 교차 위치 변화가 나타나게 되어 중앙부 섬유가 표면에 노출되어 표면 결함 및 잔털의 탈락현상이 생기며, 이로 인해 링 코어사가 추구하는 기능적, 역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찰 코어사, 로우터 코어사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코어사들도 제조 원리상 링 코어사에 비하여 강도가 현저히 낮거나 합사 구조를 가져서 실용성이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링사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코어사가 가지는 기능 보완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링 정방법을 이용하여 스테이플 섬유로 된 복층 구조의 코어사를 제조할 수 있는 링 정방기, 예를 들면 코어 섬유/표면 섬유, 혹은 코어 섬유/중간층 섬유/표면 섬유에 동시에 꼬임을 부여함으로써 2층 혹은 3층 이상의 구조 등과 같이 복층 구조를 갖는 링 복합사(링 코어사)를 제조하는 장치(링 정방기)와 기술(링 정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층의 스테이플 섬유 단면층을 갖는 복층 단면사,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와 쉬스가 각각 스테이플 섬유로 구성되는 링 코어사 및/또는 코어 외부의 쉬스가 적어도 2층의 스테이플 섬유층으로 구성되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상기 링 코어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섬유 원료를 이용하여 2종 이상의 섬유층을 복합화할 수 있는 방적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는: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드래프트 유닛(Draft Unit); 상기 드래프트 유닛을 지나는 섬유 플리스(Fiber Fleece)에 헛꼬임(False Twist)을 부여하도록,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구간 내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는 헛꼬임 유닛(False Twisting Unit);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꼬임 유닛에 의해 방적되는 링 코어사는 권취부에 권취된다.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와 상기 프론트 롤러의 직전 단계 롤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한다.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와 상기 프론트 롤러의 직전 단계 롤러 사이의 구간에 배치되는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가하는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는; 상기 꼬임 유닛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 방향으로 전파되는 실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저항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하류에 구비된 꼬임 유닛에 의해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 방향으로 전파되면, 실의 꼬임 회전에 의하여 정방 3각형이 형성되는데,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실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여 정방 3각형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섬유이주현상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꼬임 유닛과 상기 프론트 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를 향하여 전파되는 상기 꼬임 회전을 복수 단계로, 즉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 구비되는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제1마찰부재,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재와 상기 꼬임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찰부재와 상기 제2마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자재의 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표면에는 각각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는 이동 가능하며;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의 이동을 위한 위치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링 정방기는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로서: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드래프트 유닛(Draft Unit);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유닛; 그리고 상기 꼬임 유닛에 의해 발생되어서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상기 섬유다발에 단계적으로 가함으로써, 정방 삼각형의 길이를 늘이고 상기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섬유다발에 단계적 꼬임을 부여하는 꼬임 저항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와 상기 쉬스용 섬유를 드래프트 유닛에 공급하는 (a)단계; 프론트 롤러의 상류에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의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여 상기 섬유 플리스(Fleece)를 집속시키는 (b)단계; 그리고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와 상기 쉬스용 섬유에 꼬임 회전을 가하여 얀(Yarn)을 형성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은; 피복용 섬유소재와 상기 헛꼬임 유닛을 통과한 섬유 플리스가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 상기 섬유 플리스와 상기 피복용 섬유소재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꼬임 회전에 저항력을 가하는 (d)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 및 이를 이용한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섬유 원료, 특히 스테이플 섬유의 조합에 의한 복층 단면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강화된 복합형 섬유재료 또는 섬유 복합재료를 방적산업, 제직산업, 니트산업, 의류산업 기타 인테리어 산업뿐만 아니라 의료용, 공업용, 건설용, 정보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이용할 수 있어서 링 코어사의 실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 및 이를 이용한 링 코어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링 코어사에 의하면, 기존 링 코어사가 가지는 표면 섬유 벗겨짐이나 표면 잔털 탈락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으므로, 직물분야 기타 다른 분야에서 강화 섬유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공정의 단축을 통한 방적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방적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 섬유 원료의 혼합(블랜딩)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되고 방적 공정의 효율 및 방적사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링 정방기의 정방 3각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 정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헛꼬임 유닛에 의하여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이 가해지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꼬임 저항 유닛에 의하여 링 코어사의 꼬임 위치가 개선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꼬임 저항 유닛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에 의해 제조 가능한 3층 구조 링 코어사의 꼬임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링 정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링 정방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는 적어도 2층의 스테이플 섬유층을 갖는 복층 단면 링 코어사, 예를 들면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스테이플 코어와 스테이플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이다.
상기 링 정방기는 드래프트 유닛(100, Draft Unit))과 꼬임 유닛(200, Twister)을 포함하며, 헛꼬임 유닛(300)과 꼬임 저항 유닛(4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헛꼬임 유닛(300)과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은 섬유 플리스(Fiber Fleece)를 연신시키기 위하여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꼬임 유닛(200)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에서 빠져나오는 실에 꼬임 회전을 부여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링(210)과 트래블러(220)를 포함하는데, 상기 꼬임 유닛(200)의 기능 및 구조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헛꼬임 유닛(300)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에 의한 드래프트 구간 내에서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False Twist)을 가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에서 빠져나오는 섬유다발에 가해지는 꼬임 회전에 저항하는 구성이다.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에서 빠져나오는 섬유 다발이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해 꼬임 회전을 받게 되면 상기 꼬임 회전이 상기 섬유 다발을 통해 상기 드래프트 유닛으로 전파되는데,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이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으로 전파되는 꼬임 회전에 저항함으로써 정방 3각형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방 3각형의 바깥측 섬유와 중앙부 섬유에 가해지는 장력차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단계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복수 단계의 롤러들 중 최상류의 롤러(111, 121)는 백 롤러(Back Roller)라 칭해지고, 최하류의 롤러(112)는 프론트 롤러(Front Roller)라 칭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으로 공급되기 위해 보빈(도시되지 않음)에 감긴 섬유소재는 상기 백 롤러(111, 121)로 공급되고 드래프트 과정을 거쳐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은 제1드래프트(110)와 제2드래프트(1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드래프트(110)는 제1섬유소재(F1), 예를 들면 링 코어사에서 코어를 형성하는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를 드래프트하고, 상기 제2드래프트(120)는 제2섬유소재(F2), 예를 들면 상기 링 코어사에서 쉬스(Sheath)를 형성하는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를 드래프트하도록 운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운영방법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은 상술한 제1드래프트(110)와 제2드래프트(120) 이외에 추가적인 드래프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섬유소재(F1)와 상기 제2섬유소재(F2)는 최하류의 롤러, 즉 상기 프론트 롤러(112)에서 합류된 후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해 꼬이게 된다.
상기 제1드래프트(110)는 백 롤러(111)와 미들 롤러(113, 114; Middle 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드래프트(120)는 별도의 백 롤러(121)와 미들 롤러(123, 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드래프트(110)의 백 롤러(111)와 미들 롤러(113, 114)를 각각 제1백 롤러와 제1미들 롤러라 칭하고, 제2드래프트(120)의 백 롤러(121)와 미들 롤러(123, 124)를 각각 제2백 롤러와 제2미들 롤러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미들 롤러(113, 114)와 제2미들 롤러(123, 124)는 각각 후방 미들롤러(113, 123)와 전방 미들 롤러(114, 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백 롤러(111)와 제1미들 롤러(113) 사이의 구간 및 제2백 롤러(121)와 제2미들 롤러(123) 사이의 구간은 제1드래프트 구간으로서 브레이크 드래프트(Break Draft) 구간이 되고, 상기 제1미들 롤러(113, 114)의 내부 구간과 제2미들 롤러(123, 124)의 내부 구간, 즉 후방 미들 롤러(113, 123)와 전방 미들 롤러(114, 124) 사이의 구간은 각각 제2드래프트 구간으로서 메인 드래프트(Main Draft)구간을 이룬다.
상기 제1드래프트(110)에 있어서, 상기 제1백 롤러(111)의 후방 미들 롤러(113)와 상기 전방 미들 롤러(114)의 회전 속도비는 1 : 1.2 : 3으로 설정되나, 회전 속도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적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제2드래프트(120)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미들 롤러(113, 114)와 제2미들 롤러(123, 124)에는 각각 에이프런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백 롤러(111)는 백 탑 롤러(111a)와 백 하부 실린더(111b, Back Bottom Cylinder)로 구성되고, 상기 제1미들 롤러의 후방 미들 롤러(113)는 후방 미들 탑롤러(113a)와 하부 실린더(113b)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미들 롤러(114)는 전방 미들 탑롤러(114a)와 하부 실린더(114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백 롤러(121)는 백 탑롤러(121a)와 백 하부 실린더(121b)로 구성되고, 상기 제2미들 롤러의 후방 미들 롤러(123)는 후방미들 탑롤러(123a)와 하부 실린더(123b)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미들 롤러(124)는 전방미들 탑 롤러(124a)와 하부 실린더(124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롤러(112)는 프론트 탑 롤러(112a)와 프론트 하부 실린더(112b)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헛꼬임 유닛(300)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드래프트 구간 내에서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 즉 가짜꼬임을 가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헛꼬임 유닛(300)은 상기 프론트 롤러(112)의 직전 단계 롤러(114)와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의 구간에서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헛꼬임 유닛(300)은 상기 제1미들 롤러의 전방 미들 롤러(114)와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의 구간에서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며, 상기 섬유 플리스에 부여된 헛꼬임은 상기 프론트 롤러(112)의 파지점을 지나기 전에 풀리게 되나, 이 과정에서 섬유 플리스의 집속도가 향상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헛꼬임 유닛(300)은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310)는 벨트에 의해 상기 구동기(32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나, 상기 회전부재(310)의 전동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 전동방식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제1미들 롤러의 전방 미들 롤러(114)와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의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섬유 플리스, 즉 제1섬유소재(F1)의 섬유 플리스에 가짜 꼬임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론트 롤러(112)에 의한 제1파지점(10, First Nip Line)과 상기 제1미들 롤러의 전방 미들 롤러(114)에 의한 파지점(20, Second Nip Line) 사이에서 헛꼬임이 부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재(310)가 상기 제1미들 롤러의 전방 미들 롤러(114)와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를 지나는 섬유 플리스의 중간부를 잡고 꼬임을 주면, 상기 섬유 플리스가 상기 회전부재(31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받게 되고, 이러한 꼬임은 영구적 꼬임이 아닌 일시적 꼬임으로서 이를 섬유분야에서는 헛꼬임 또는 가짜 꼬임이라 칭하며, 상기 가짜 고임은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지나면서 풀리게 되나 이 과정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의 집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헛꼬임이 부여되는 섬유소재는 링 코어사의 단면에서 상대적으로 내부층, 예를 들면 코어를 구성하며, 상기 코어를 피복하는 피복층, 즉 쉬스를 형성하는 섬유소재(쉬스용 섬유소재)는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지날 때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섬유소재(코어용 섬유소재)의 바깥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용 섬유소재(F1, 제1섬유소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드래프트(110)를 지나면서 헛꼬임을 받은 후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통과하고, 상기 쉬스용 섬유소재(F2, 제2섬유소재)는 상기 제2드래프트(120)를 지나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통과하며 이때 상기 코어용 섬유소재의 바깥에 배열된다.
물론, 상기 헛꼬임 유닛(300), 특히 상기 회전부재(310)가 상기 제2드래프트의 구간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드래프트(120)를 지나는 섬유소재가 헛꼬임을 부여받아서 코어용 섬유소재로 적용되고, 상기 제1드래프트(110)를 지나는 섬유소재가 상기 제2드래프트(120)를 지나는 섬유소재의 바깥에 배열되는 형태로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통과한 후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한 꼬임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는 상술한 헛꼬임 유닛(300)에 의해 코어용 섬유소재(F1, 제1섬유소재), 즉 코어용 섬유 플리스가 섬유 다발의 축선을 중심으로 밀집되어 집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섬유소재(F1)와 상기 제2섬유소재(F2)가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나온 후에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해 꼬여서 방적사를 형성할 때, 상기 제1섬유소재, 즉 코어용 섬유 플리스가 방적사의 외곽으로 분산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양질의 스테이플 코어 방적사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코어용 섬유 플리스(F1)에 헛꼬임을 가하는 위치에서 이탈 가능한 것이 좋다. 상기 회전부재(310)는 회전 암(33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암(33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헛꼬임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섬유의 집속이 필요없는 일반적인 링 방적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헛꼬임 유닛(300)을 사용하지 않고 방적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 특히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과 상기 꼬임 유닛(200) 사이의 구간에서 섬유 다발을 통해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전파되는 꼬임 회전에 저항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꼬임 유닛(200)과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에서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은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 나와서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해 꼬임을 받는 섬유 다발(F1, F2)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섬유다발이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의 표면에 마찰되면서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전파되는 꼬임 회전을 저감시킨다.
종래의 일반적인 링 정방기에서 상기 프론트 롤러(112)의 파지점을 지난 섬유 다발은 상기 꼬임 유닛(200)에 의해 꼬임을 받으면서 정방 3각형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바깥에 위치한 섬유(바깥측 섬유)는 중앙으로 이동하고 중앙에 위치한 섬유(중앙부 섬유)는 바깥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소위 '섬유이주현상')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을 이용하여 바깥측 섬유의 장력을 이완시켜 이러한 섬유이주현상을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이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력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정방 3각형의 길이(프론트 롤러와 파지점과 꼬임 개시지점 사이의 거리)를 증가되어 상기 프론트 롤러를 빠져나오는 바깥측 섬유(제2섬유소재, F2)와 중앙부 섬유(제1섬유소재, F1)의 장력차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이 상기 꼬임 유닛(200)과 프론트 롤러(112)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410, 420), 즉 하나 또는 복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꼬임 회전이 단계적으로 감소되어서 상기 섬유다발에 단계적 꼬임이 부여되도록 복수의 마찰부재들(410, 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는 상기 프론트 롤러(112)의 하류에 구비되는 마찰부재들, 다시 말해서 프론트 롤러(112)보다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각각 마찰을 가하는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마찰부재(420)는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꼬임 유닛(200) 사이의 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1차적인 마찰 저항을 가한다. 물론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 이외에 추가적인 마찰부재가 하나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2단의 마찰구조를 갖는 꼬임 저항 유닛(400)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나오는 섬유 다발의 꼬임 회전은 상기 제2마찰부재(420)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제1마찰부재(410)에 의해 추가적(2차적)으로 감소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상기 프론트 롤러(112) 사이의 구간(30)은 정방 3각형의 구간에 포함되고,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 사이의 구간(40)에서 낮은 꼬임 횟수로 꼬임을 받은 후 상기 제2마찰부재(420)를 지난 구간(50)에서 추가적인 꼬임을 받아 방적사가 완성되는데, 상기 바깥측 섬유(F2)와 중앙부 섬유(F1)를 이용하여 코어사를 방적할 때 상기 바깥측 섬유(F2)와 중앙부 섬유(F1)가 단계적인 꼬임을 받게 되면, 중앙부 섬유(F1)에 대한 바깥측 섬유(F2)의 피복도가 향상되어 중앙부 섬유(코어)의 표면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은 마찰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하여 상기 마찰부재들(410, 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꼬임 저항 유닛(400)이 위치 조절기(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상기 제2마찰부재(420)는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 조절기(430)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 조절기(43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상기 제2마찰부재(42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위치 조절기(430)는 위치조절 레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위치 조절기(430)에는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장착을 위한 제1지지체(431)와 제2지지체(4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체(431)와 상기 제2지지체(432)에는 각각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위치 변경을 위한 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는 회전 가능한 구조, 예를 들면 롤러, 즉 회전체로 구성되나,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 중 어느 하나만이 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가 모두 회전체가 아닌 고정 마찰체 구조, 예를 들면 회전이 구속된 봉과 같은 원통형 부재일 수도 있다. 다만 섬유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측면에서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는 회전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표면에는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가이드홈(411, 42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411, 421)은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표면에 "V"자 혹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섬유 다발의 이송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동시에 섬유 다발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피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가 롤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홈(411, 421)이 상기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를 제조하는 방법, 즉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은,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가 링 코어사의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가 링 코어사의 쉬스를 형성하는 복층 단면 구조의 링 코어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란 제한된 길이를 갖는 섬유를 통칭하며, 상기 링 코어사의 제조를 위하여 먼저 상기 제1섬유부재(F1,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와 제2섬유부재(F2,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를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에 공급한다.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는 상기 헛꼬임 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제1드래프트(110)로 공급되고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는 제2드래프트(1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의 구간 내에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가 연신과정을 거치면서 이송될 때, 상기 드래프트 유닛(100) 구간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롤러(112)와 제1드래프트의 전방 미들 롤러(114)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가하여 밀집성, 즉 집속성을 부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헛꼬임이 부여된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는 상기 제2드래프트(120)를 통과한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와 함께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가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의 바깥측이 배열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나오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112)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나오는 섬유다발, 즉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는 꼬임을 받아 방적되는데,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가 섬유 다발의 중앙부에 집속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가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가 피복층, 즉 쉬스를 형성하며, 스테이플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코어와 쉬스간의 결합력이 우수한 링 코어사가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의 성질에 따라 링 코어사에 기능성이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의 전기적, 열적, 역학적 특성에 따라 특정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에 의해 표면 특성이 결정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롤러(112)를 빠져나오는 섬유 다발에 방적을 위한 꼬임이 가해지면, 상기 섬유 다발을 통해 꼬임 회전이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전파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전파되는 꼬임 회전에 저항력을 가함으로써 섬유 다발의 장력차이를 이완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론트 롤러(112)로 전파되는 꼬임 회전에 저항력이 가해지면,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가 정방 3각형을 형성할 때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의 장력편차를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섬유이주현상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꼬임 회전에 대한 저항은 마찰 저항으로서 상기 섬유 다발(F1, F2)의 표면에 꼬임 회전에 대한 반력으로 마찰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및 링 정방기에 의하면,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가 꼬임을 받을 때 서로 섞이는 확률이 최소화되므로, 링 코어사의 코어에는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의 특성이 적용되고 쉬스에는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의 특성이 적용되도록 섬유 다발의 꼬임을 유도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와 쉬스간에는 스테이플(Staple, 단섬유)의 결합에 의해 층간 결합력이 향상되어, 표면 섬유의 벗겨짐이나 잔털의 탈락현상이 구제될 수 있으며, 슬라이버 혹은 로빙을 이용하여 직접 링 코어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내부층, 특히 코어를 형성하는 섬유 플리스의 헛꼬임을 주는 단계와 꼬임 회전의 전파에 저항을 가하는 꼬임 저항단계가 모두 링 코어사의 제조에 적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양자 모두 적용될 경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를 보다 정확하게 코어로 유도하고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를 보다 정확하게 쉬스로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에 의해 제조 가능한 3층 구조 링 코어사의 꼬임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중심부인 코어에 코어용 섬유소재(F10)가 공급되고 쉬스가 복수의 층, 특히 각각 스테이플 섬유로 구성되는 2개의 층을 갖는 구조의 링 코어사의 꼬임 과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어용 섬유소재 예를 들면 필라멘트 섬유(F10)가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10)을 통과하고, 내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1)가 상기 코어용 섬유소재의 바깥측에 배치된 상태로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10)을 통과하며, 외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2)가 상기 내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1)의 바깥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10)을 통과한다.
상기 내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1)는 상기 필라멘트 섬유(F10)보다 일정 간격 넓은 폭으로 집속되도록 헛꼬임을 부여받을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론트 롤러의 파지점(10)을 빠져나오는 섬유 다발, 즉 필라멘트 섬유(F10)와 내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1) 및 외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2)는 전술한 꼬임 유닛에 의해 꼬임을 받아서 링 코어사가 제조된다.
상기 프론트 롤러(112)의 하류, 즉 프론트 롤러와 꼬임 유닛 사이에는 상술한 꼬임 저항 유닛의 제1마찰부재(410)와 제2마찰부재(420)가 구비되어 섬유이주현상, 특히 내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1) 및 외부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2)의 섞임이나 이동을 최소화한다.
물론, 상기 코어용 섬유소재로서 필라멘트 섬유가 아닌 스테이플 섬유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에 헛꼬임이 부여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 정방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링 정방기는 드래프트 유닛과 헛꼬임 유닛과 꼬임 저항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헛꼬임 유닛과 꼬임 저항 유닛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양자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드래프트 유닛은 복수 단계의 롤러들(131, 132, 133, 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 롤러(131)와 미들 롤러(133, 134)와 프론트 롤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롤러(133, 134)는 메인 드래프트 구간을 이루는 후방 미들 롤러(133)와 전방 미들 롤러(134)를 포함한다.
상기 백 롤러(131)는 백 탑롤러(131a)와 백 하부 실린더(131b)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미들 롤러(133)는 후방미들 탑롤러(133a)와 하부 실린더(133b)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미들 롤러(134)는 전방미들 탑 롤러(134a)와 하부 실린더(134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롤러(132)는 프론트 탑 롤러(132a)와 프론트 하부 실린더(132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섬유소재(코어용 스테이플 섬유, F1)와 제2섬유소재(쉬스용 스테이플 섬유, F2)가 동일 드래프트 구간을 거치게 되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의 바깥에 상기 쉬스용 스테이플 섬유(F2)가 배치된다.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드래프트 구간 내에서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에 헛꼬임이 부여되도록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F1)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드래프트 구간 내부, 특히 프론트 롤러(132)와 그 직전 단계의 롤러(134, 전방 미들 롤러) 사이의 구간에 배치되는 회전부재(310a)를 포함하며, 상기 헛꼬임 유닛으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그 기능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며, 그 구조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 특히 제1마찰부재(410a)와 제2마찰부재(4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꼬임 저항 유닛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플 코어/스테이플 쉬스의 2층 단면구조와 스테이플 코어/스테이플 내부 쉬스/스테이플 외부 쉬스의 3층 단면구조와 필라멘트 코어/스테이플 내부 쉬스/스테이플 외부 쉬스의 3층 단면 구조 등과 같이 스테이플 섬유가 적어도 2개 층으로 적용된 링 코어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드래프트 유닛 110: 제1드래프트
111, 121, 131: 백 롤러 112, 132: 프론트 롤러
200: 꼬임 유닛 300: 헛꼬임 유닛
310: 회전부재 320: 구동기
400: 꼬임 저항 유닛 410: 제1마찰부재
420: 제2마찰부재 430: 위치 조절기

Claims (15)

  1.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로서: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드래프트 유닛(Draft Unit);
    상기 드래프트 유닛을 지나는 섬유 플리스(Fiber Fleece)에 헛꼬임(False Twist)을 부여하도록,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구간 내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는 헛꼬임 유닛(False Twisting Unit); 그리고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와 상기 프론트 롤러의 직전 단계 롤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는 링 정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헛꼬임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와 상기 프론트 롤러의 직전 단계 롤러 사이의 구간에 배치되는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가하는 위치에서 이탈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링 정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유닛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 실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저항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꼬임 유닛과 상기 프론트 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를 향하여 전파되는 상기 꼬임 회전을 복수 단계로 감소시키는 링 정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 구비되는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제1마찰부재, 그리고
    상기 제1마찰부재와 상기 꼬임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와 상기 제2마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자재의 롤러로 구성되는 링 정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의 표면에는 각각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링 정방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는 이동 가능하며; 상기 꼬임 저항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의 이동을 위한 위치 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12.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로서:
    복수 단계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드래프트 유닛(Draft Unit);
    상기 드래프트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꼬임 유닛; 그리고
    상기 꼬임 유닛에 의해 발생되어서 상기 드래프트 유닛의 최하류 롤러인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 구비되어, 상기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상기 섬유다발에 단계적으로 가함으로써, 정방 삼각형의 길이를 늘이고 상기 섬유다발의 꼬임 회전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섬유다발에 단계적 꼬임을 부여하는 꼬임 저항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 정방기.
  13. 코어(Core)용 스테이플 섬유와 쉬스(Sheath)용 섬유를 이용하여 코어와 쉬스를 갖는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와 상기 쉬스용 섬유를 드래프트 유닛에 공급하는 (a)단계;
    프론트 롤러의 상류에서, 상기 코어용 스테이플 섬유의 섬유 플리스에 헛꼬임을 부여하여 상기 섬유 플리스(Fleece)를 집속시키는 (b)단계; 그리고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섬유 플리스와 상기 쉬스용 섬유에 꼬임 회전을 가하여 얀(Yarn)을 형성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프론트 롤러로 전파되는 상기 섬유 플리스와 상기 쉬스용 섬유의 꼬임 회전에 저항하도록, 상기 프론트 롤러의 하류에서 상기 꼬임 회전에 저항력을 가하는 (d)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꼬임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가하는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KR1020110047852A 2011-05-20 2011-05-20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KR10128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52A KR101283948B1 (ko) 2011-05-20 2011-05-20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852A KR101283948B1 (ko) 2011-05-20 2011-05-20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37A KR20120129537A (ko) 2012-11-28
KR101283948B1 true KR101283948B1 (ko) 2013-07-09

Family

ID=4751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852A KR101283948B1 (ko) 2011-05-20 2011-05-20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5698B (zh) * 2014-07-14 2017-02-22 西安工程大学 一种环锭复合纺纱装置及纺纱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924A (en) 1987-06-10 1989-09-19 Hans Stahlecker Two-component yarn
JP2003147654A (ja) 2001-11-12 2003-05-21 Asahi Kasei Corp 複合紡績糸
WO2010015185A1 (en) 2008-08-04 2010-02-11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alom false twisting on ring yarn
US7841161B2 (en) * 2007-07-02 2010-11-3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industrially producing yarn at a lower twist multiplier for textile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924A (en) 1987-06-10 1989-09-19 Hans Stahlecker Two-component yarn
JP2003147654A (ja) 2001-11-12 2003-05-21 Asahi Kasei Corp 複合紡績糸
US7841161B2 (en) * 2007-07-02 2010-11-3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of industrially producing yarn at a lower twist multiplier for textile products
WO2010015185A1 (en) 2008-08-04 2010-02-11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alom false twisting on ring ya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537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7017B2 (ja) 弾性ヤーン用のフィラメント状コア、弾性複合ヤーン、織物布地、ならびに前記弾性ヤーン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3670283B2 (ja) 糸の精紡
US20080299855A1 (en) Core yarn and woven and knitted fabric
JP7425815B2 (ja) 糸の製造方法
JPS5927410B2 (ja) 多層構造嵩高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4298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yarn
KR101283948B1 (ko) 링 코어사 제조가 가능한 링 정방기 및 링 코어사의 제조방법
JP4916818B2 (ja) 複重層糸の製造方法
JP6403956B2 (ja) 複合紡績糸
JP4916781B2 (ja) 複重層糸の製造方法
PL106086B1 (pl) Sposob wytwarzania przedzy rdzeniowej
JP2006225827A (ja) コアヤーンおよび織編物
JP2009242975A (ja) 長短結束複合糸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JP2007063681A (ja) 精紡交撚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61179A (ja) 芯鞘2層構造紡績糸
JP2008308793A (ja) 複合紡績糸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KR100343791B1 (ko) 다층구조 방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Rengasamy Fundamental principles of ring spinning of yarns
JP3606431B2 (ja) 複合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2541711B2 (ja) 紡績装置及び紡績糸の製造方法
JPH0214034A (ja) 複合糸
CN117265713A (zh) 一种改变纱线结构的纺纱方法
JP2006016700A (ja) 伸縮性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11695B2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1162914A (ja) 複合糸及び複合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