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303B1 -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303B1
KR101283303B1 KR1020070009713A KR20070009713A KR101283303B1 KR 101283303 B1 KR101283303 B1 KR 101283303B1 KR 1020070009713 A KR1020070009713 A KR 1020070009713A KR 20070009713 A KR20070009713 A KR 20070009713A KR 101283303 B1 KR101283303 B1 KR 10128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keto
ketoglutaric
ketogluta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633A (ko
Inventor
이소미
김용진
주경미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0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3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6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α-케토 산이 조성물 내에서 케토 구조(keto form)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는 유효성분인 α-케토 산이 케토 구조에서 디올 구조(diol form)로 구조 전환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α-케토 산(α-keto acid), α-케토글루타릭산(α-ketoglutaric acid), 옥살로아세틱산(oxaloacetic acid), pH, 케토 구조(keto form), 디올 구조(diol form)

Description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stable α-keto acids obtained by controlling pH of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α-keto acids}
도 1은 α-케토글루타릭산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안정도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화장료 조성물 내 pH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pH 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의 구조 분석을 위한 1H NMR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pH 6 이하에서 α-케토글루타릭산의 케토 구조와 디올 구조의 탄소 분석을 위한 13C NMR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헤테로-코지 NMR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LC MS/MS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α-케토글루타릭산 구조 변화의 메커니즘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구조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6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α-케토 산이 조성물 내에서 케토 구조(keto form)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의 여러가지 유효성분들은 피부주름 개선, 미백, 항산화, 자외선차단 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그 안정성의 문제로 인하여 온도, 수분, 공기 등 외부자극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효능이 저하되며 실질적 응용에 제한이 있게 된다. 이에 최근 상기 유효 성분들을 안정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주름개선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콜라겐의 생성과 분해는 신체의 생리학적 상태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된다. 콜라겐 생합성의 특징은 많은 효소에 의한 촉매반응으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구조형성에 필수적인 특정 아미노산, 즉 프롤린(proline)이 생합성 과정 중에 적절하게 공급되어야한다는 점, 콜라겐이 합성된 후 제대로 된 형태를 유지해야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콜라겐 주요성분인 프롤린을 공급하는 효소(프롤리아제, proliase)의 활성 증가 및 콜라겐 구조형성에 관여하는 프롤린-4-히드록실라제(proline-4-hydroxylase, "P4H")의 양적변화가 중요하다.
한편, α-케토 산 중 α-케토글루타릭산은 체내 에너지대사 회로인 TCA 회로의 중간대사물질로서 에너지 대사의 필수적인 물질임과 동시에, 세포내 프롤린 공급에 관여하고, 콜라겐의 구조 형성에 관여하는 P4H의조효소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 기능을 갖는 α-케토글루타릭산을 사용하고 있다.
α-케토글루타릭산은 생체 내의 구성성분이므로 상대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라 생각되었으나 이것 역시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 중 α-케토 산의 불안정화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α-케토글루타릭산, 옥살로아세틱산, 피루빅산 및 α-케토부티릭산 등의 α-케토 산이 pH에 따라 구조가 변화한다는 것을 HPLC, NMR 및 LC MS/MS의 피크 패턴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해 케토 구조가 다른 디올 구조로 구조 전환되지 않는 최적의 pH 조건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의 pH를 상기 최적의 pH조건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성 및 효능이 유지되는 α-케토 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α-케토 산(α-keto acid)을 유효성 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는 pH 6 이상이고, α-케토 산이 안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α-케토 산은 조성물 내에서 케토 구조(keto form)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H 범위는 pH 6~9 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H 범위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pH 7의 인산완충용액 또는 테트라에틸아민(TEA)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α-케토 산은 α-케토글루타릭산(α-ketoglutaric acid), 옥살로아세틱산(oxaloacetic acid), α-케토부티릭산(α-ketobutyric acid) 및 피루빅산(pyruv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고,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로션, 에멀젼 또는 크림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α-케토 산(α-keto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6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α-케토 산은 α-케토글루타릭산(α-ketoglutaric acid), 옥살로아세틱산(oxaloacetic acid), α-케토부티릭산(α-ketobutyric acid) 및 피루빅산(pyruv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pH 7의 인산완충용액 또는 테트라에틸아민(TEA)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H 범위는 pH 6~9 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하기 구체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 분석>
우선, HPLC를 이용하여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 및 이를 0.1 %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안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의 안정도 비교 실험
HPLC 의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도 1은 α-케토글루타릭산의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α-케토글루타릭산의 피크 머무름 시간(4,298 분), 피크 테일링 및 피크 모양(높이/너비)이 정량분석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동상
추출용매
20mM NaH2PO4(pH 8)
컬럼 C18(4.6 X 250mm)
컬럼온도 25℃
검출기 UV(220nm)
샘플온도 25℃
유량 0.6ml/min
주입량 20ul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α-케토글루타릭산을 4가지 다른 조건(빛, 온도, 산화, pH조건)하에 4주 동안 보관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함량변화는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된 함량/초기함량) X 100}로 계산하였다.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는 0.1 M 포스페이트 버퍼에 α-케토글루타릭산(sigma)을 첨가하여 제조한 1% α-케토글루타릭산 검액을 사용하였고, pH 조건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과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제조한 pH 2~10 범위의 검액으로 조절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 α-케토글루타릭산은 빛, 온도 및 산화 조건에서는 안정하여 시간이 지나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에 반하여 pH 조건에 따라서는 불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pH 6 이하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 내 pH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 비교 실험
α-케토글루타릭산을 0.1% 함유한 에멀젼 내 α-케토글루타릭산의 pH 조건에 따른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에멀젼내 pH를 2~10 범위로 조절한 후 4주 동안 보관하면서 경시변화를 측정하였다. 에멀젼 내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제형에 서서히 적하시켜 조절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α-케토글루타릭산 원료의 안정도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pH 6 이상에서는 경시변화 없이 안정하나 pH 6 이하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이에, pH 6 이하에서의 α-케토글루타릭산의 구조 변화 메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NMR 및 LC MS/MS를 이용하였다.
<실험예 2: pH 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의 구조 분석>
1. 1H NMR 분석
α-케토글루타릭산을 D2O에 녹인 후, 듀테리움 클로라이드(deuterium chloride) 및 암모니움-d4 듀테록사이드(ammonium-d4 deuteroxide), 또는 듀테리움 클로라이드(deuterium chloride) 및 소디움 듀테록사이드(sodium deuteroxide)을 이용하여 pH를 2, 4, 6, 8, 10 으로 조절하였다. 각 pH 의 용액을 NMR 튜브에 0.5 mL씩 넣고 메탄올-d4를 1~2 방울 가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NMR 결과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NMR 결과를 보면, pH 6 이상에서는 트리플렛(triplet) 피크 2개가 나타나 케토 구조의 α-케토글루타릭산임을 증명해주고 있으나, pH 6 이하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이 케토 구조 이외에 다른 구조로 인터컨버전(interconversion)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pH 6 이하에서 α-케토글루타릭산의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13C NMR을 이용하였다.
2. 13C NMR
pH 6 이하에서 α-케토글루타릭산의 케토 구조와 디올 구조의 탄소를 분석하여 본 결과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NMR결과에 따르면 pH 2조건에서 검출되던 2번 탄소가 pH가 높아짐에 따라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고(첫번째 줄 그림), 확대한 업필드(upfield)(두번째 줄 그림)와 다운필드(downfield)(세번째 줄 그림)에서는 pH 2와 pH 4에서 검출되던 디올 구조 탄소들(3, 4 번 및 1, 5 번 탄소)이 pH 6 조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pH 6 이하에서는 케토 구조의 α-케토글루타릭산이 디올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3. 헤테로-코지 NMR (Hetero-COSY NMR)
헤테로-코지 NMR를 이용하여 1H NMR 및 13C NMR에서의 피크 확인을 통해 구조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나 있다.
4. LC MS/MS
0.1 M 포스페이트 버퍼를 이용하여 1% α-케토글루타릭산 검액을 제조한 후,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 및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하여 제조한 pH 2~10 범위 검액을 이용하여 pH를 조절하고, 1주 동안 상온에서 보관 후 ES-모드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7에 나타나 있다.
결과에 의하면, α-케토글루타릭산 디올 구조의 [M-H] 163 피크가 pH 2에서 검출되고 pH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작아지더니 pH 6 이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pH 6 이하에서만 디올 구조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분석들을 통하여 확인된 α-케토글루타릭산 구조 변화의 메커니즘은 도 8에 나타나 있다. 즉, pH 6 이하에서는 케토 구조 일부가 디올 구조로 전환되고, pH 6 이상에서는 케토 구조가 안정하게 존재한다.
<실시예 1: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1a) 및 8(실시예 1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α-케토글루타릭산 0.1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1: pH 2의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로션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α-케토글루타릭산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a(pH 6.7)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b(pH 8.7)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pH 2.7) 100 95 92 90 88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α-케토글루타릭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2: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스킨 제조>
스킨류와 같은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2a) 및 8(실시예 2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α-케토글루타릭산 0.1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2: pH 2의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스킨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α-케토글루타릭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2a(pH 6.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b(pH 8.8) 100 100 100 100 99
비교예 2(pH 2.3) 100 97 95 93 9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α-케토글루타릭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3: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α-글루타릭산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3a) 및 8(실시예 3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α-케토글루타릭산 0.1
정제수 to 100
<비교예 3: pH 2의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크림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α-케토글루타릭산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3a(pH 6.6)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b(pH 8.3)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3(pH 2.2) 100 96 93 91 87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α-케토글루타릭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4: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4a) 및 8(실시예 4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옥살로아세틱산 0.1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4: pH 2의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로션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4: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4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옥살로아세틱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옥살로아세틱산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4a(pH 6.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4b(pH 8.1)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4(pH 2.5) 100 94 90 87 85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옥살로아세틱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5: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스킨 제조>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5a) 및 8(실시예 5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옥살로아세틱산 0.1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5: pH 2의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스킨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5: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5와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옥살로아세틱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옥살로아세틱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5a(pH 6.2)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5b(pH 8.8)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5(pH 2.6) 100 96 93 89 86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옥살로아세틱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6: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실시예 6a) 및 8(실시예 6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옥살로아세틱산 0.1
정제수 to 100
<비교예 6: pH 2의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크림 제조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2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6: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6과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옥살로아세틱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옥살로아세틱산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6a(pH 6.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6b(pH 8.1)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6(pH 2.4) 100 96 93 91 87
상기 표 13에서 알 수 있듯이, 옥살로아세틱산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 이상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6 이하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7: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α-케토글루타릭산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실시예 7a), 수산화나트륨(실시예 7b), 테트라에틸아민(실시예 7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으로 조절하였다. pH 7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7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6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7: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α-케토글루타릭산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α-케토글루타릭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α-케토글루타릭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7a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7b 100 100 100 99 99
실시예 7c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7d 100 100 100 100 99
상기 표 14에서 알 수 있듯이, α-케토글루타릭산은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6 이상에서는 α-케토글루타릭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α-케토글루타릭산을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테트라에틸아민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옥살로아세틱산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수산화칼륨(실시예 8a), 수산화나트륨(실시예 8b), 테트라에틸아민(실시예 8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6으로 조절하였다. pH 7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8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12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8: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옥살로아세틱산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옥살로아세틱산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옥살로아세틱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8a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8b 100 100 100 99 99
실시예 8c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8d 100 100 100 100 99
상기 표 15에서 알 수 있듯이, 옥살로아세틱산은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6 이상에서는 옥살로아세틱산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옥살로아세틱산을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테트라에틸아민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최적의 pH 범위(pH 6 이상)를 설정함으로써, 조성물 내 α-케토글루타릭산 및 옥살로아세틱산과 같은 α-케토 산이 구조 전환되지 않고 안정화된 상태로 함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조성의 화장료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향후 유사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응용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α-케토산(α-keto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산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상기 α-케토산의 pH 범위를 pH 6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산 안정화 방법으로,
    상기 α-케토산(α-keto acid)은 α-케토글루타릭산(α-ketoglutaric acid) 또는 옥살로아세틱산(oxaloacetic acid)이고,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pH 7의 인산완충용액 및 테트라에틸아민(TEA)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α-케토산 안정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H 범위는 pH 6~9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KR1020070009713A 2007-01-31 2007-01-31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KR10128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13A KR101283303B1 (ko) 2007-01-31 2007-01-31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13A KR101283303B1 (ko) 2007-01-31 2007-01-31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633A KR20080071633A (ko) 2008-08-05
KR101283303B1 true KR101283303B1 (ko) 2013-07-12

Family

ID=3988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713A KR101283303B1 (ko) 2007-01-31 2007-01-31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3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515A (ko) * 1996-06-10 2000-03-25 피터 기딩스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20000057824A (ko) * 1999-02-05 2000-09-25 조지안느 플로 하나 이상의 친수성 산성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상에분산된 지질 소포로부터 형성된 수중유 종류의 유제로이루어진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KR20010014120A (ko) * 1998-04-27 2001-02-26 카렌 에이. 로우니 피부 노화 치료 조성물 및 방법
US20030077301A1 (en) 1999-12-16 2003-04-24 Maibach Howard I.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ermato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515A (ko) * 1996-06-10 2000-03-25 피터 기딩스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20010014120A (ko) * 1998-04-27 2001-02-26 카렌 에이. 로우니 피부 노화 치료 조성물 및 방법
KR20000057824A (ko) * 1999-02-05 2000-09-25 조지안느 플로 하나 이상의 친수성 산성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상에분산된 지질 소포로부터 형성된 수중유 종류의 유제로이루어진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US20030077301A1 (en) 1999-12-16 2003-04-24 Maibach Howard I.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ermato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633A (ko)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5552C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2005139070A (ja) 皮膚化粧料
JPWO2007040027A1 (ja) リン酸化糖を含有した皮膚外用剤
JP2023105233A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5363800B2 (ja) 育毛剤組成物
KR102301123B1 (ko) 혼합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70167517A1 (en) Stabilized derivatives of ascorbic aicd
KR101405615B1 (ko)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KR102322443B1 (ko) 코직산을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3303B1 (ko)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CA2017493A1 (en) Melanogenesis-inhibiting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KR102166284B1 (ko)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189523A (ja) 化粧品及び医薬品調合物中のビタミンa及び/又はビタミンa−誘導体の安定化法
JP2010150177A (ja) Fgf−7産生促進剤、igf−1産生促進剤及びhgf産生促進剤
KR20150039343A (ko)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205A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476408A1 (e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pantethine phosphate ester
CN110755274A (zh) 护肤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2017088526A (ja) 3−o−アルキルグリセリルアスコルビン酸及びその用途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1010926A (ja) 美白剤
CN113384488A (zh) 一种补水保湿的水粉分离双相面膜的配方及其制备方法
JP2008094799A (ja) 硫酸化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MX2011013085A (es) Monoesteres y diesteres de acidos grasos insaturados en acido ascorbico y sus usos cosmeticos.
EP2858623B1 (en) Active compounds for combating greasy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