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615B1 -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615B1
KR101405615B1 KR1020070086062A KR20070086062A KR101405615B1 KR 101405615 B1 KR101405615 B1 KR 101405615B1 KR 1020070086062 A KR1020070086062 A KR 1020070086062A KR 20070086062 A KR20070086062 A KR 20070086062A KR 101405615 B1 KR101405615 B1 KR 10140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henylbenzamide
prepared
formulation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501A (ko
Inventor
이소미
김용진
주경미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8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6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된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5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는 유효성분인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이 모두 수소화(protonation) 되어 있어 반응성이 떨어져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벤즈아미드(benzamide), pH,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레즈베라-A(resvera-A, 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

Description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stable benzamide compounds obtained by controlling pH of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benzamide compounds}
본 발명은 안정화된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5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의 여러가지 유효성분들은 피부주름 개선, 미백, 항산화, 자외선차단 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그 안정성의 문제로 인하여 온도, 수분, 공기 등 외부자극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효능이 저하되며 실질적 응용에 제한이 있게 된다. 이에 최근 상기 유효 성분들을 안정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로는, 레즈베라-A(resvera-A, 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 유도체(N-phenylbenzamide derivatives) 또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 등이 있다. 이 중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및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는 콜라겐 생성 효과,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 발현억제 효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테아제의 발현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N-페닐벤즈아미드 및 그 유도체는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하기 화학식 1의 레즈베라-A는 트랜스 레즈베라트롤(trans-Resveratrol)의 유사체(mimic) 화합물로서, 혈소판 응고 저해, 지질 단백질의 산화예방, 지방산의 감소 등을 통한 심장병 예방과 암 예방의 효과, 주름 개선, 미백, 항 산화, 항 노화, 항 염증, 항 자극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112007062096352-pat00001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벤조익애씨드(benzoic acid)와 아민을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한 것으로, 벤조익애씨드 및 아민에 치환된 그룹에 따라 다양한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어, 화장료 조성물 중 벤즈아미드 화합물의 불안정화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레즈베라-A, N-페닐벤즈아미드 또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등의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pH에 따라 구조가 변화한다는 것을 HPLC와 LC MS/MS의 피크 패턴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해 벤즈아미드 구조가 변화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최적의 pH 조건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의 pH를 상기 최적의 pH 조건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성 및 효능이 유지되는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벤즈아미드 화합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는 pH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은 조성물 내에서 치환기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은 레즈베라-A(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 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N-phenylbenzamide derivatives) 및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H 범위는 pH 3~5 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H 범위는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pH 5의 인산완충용액으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로션, 에멀젼 또는 크림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5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벤즈아미드 화합물은 레즈베라-A(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N-phenylbenzamide derivatives) 및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pH 5의 인산완충용액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H 범위는 pH 3~5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최적의 pH 범위(pH 3.5 ~ 5)를 설정함으로써, 조성물 내 레즈베라-A 및 N-페닐벤즈아미드 또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등의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구조 변화 없이 안정화된 상태로 함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조성의 화장료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향후 유사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응용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레즈베라-A, N-페닐벤즈아미드 또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등의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pH에 따라 구조가 변화한다는 것을 HPLC와 LC MS/MS의 피크 패턴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즉, 벤즈아미드 화합물은 그 pKa 값이 7 ~ 14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pKa 보다 ±2 범위에 속하는 pH(pH 5 ~ 14) 에서는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이 탈수소화(deprotonation)가 일어나, 다른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증가되어 벤즈아미드가 분해 또는 새로운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중성 환경 등에서는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없고, 벤즈아미드 화합물의 탈수소화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pH 5 이하, 특별히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pH를 3.5 ~ 5로 조치한 경우에만 벤즈아미드 화합물이 모두 안정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하, 하기 구체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레즈베라-A의 안정도 분석>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벤즈아미드 화합물 중 대표적인 벤즈아미드 화합물로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레즈베라-A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HPLC를 이용하여 레즈베라-A 원료 및 이를 0.3 %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안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레즈베라-A 원료의 안정도 비교 실험
HPLC 의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도 1은 레즈베라-A의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레즈베라-A의 피크 머무름 시간(10.700 분), 피크 테일링 및 피크 모양(높이/너비)이 정량분석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동상 물/아세토나이트릴=80/20
추출용매 메탄올
컬럼 C18(4.6 X 250mm)
컬럼온도 25℃
검출기 UV(280nm)
샘플온도 25℃
유량 1.0ml/min
주입량 20ul
레즈베라-A 원료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레즈베라-A를 4가지 다른 조건(빛, 온도, 산화, pH조건)하에 4주 동안 보관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함량변화는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된 함량/초기함량) x 100}으로 계산하였다. 레즈베라-A 원료는 메탄올에 레즈베라-A를 첨가하여 제조한 1% 레즈베라-A 검액을 사용하였고, pH 조건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과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제조한 pH 2~10 범위의 검액으로 조절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 레즈베라-A는 pH 조건에 따라서 안정도가 크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pH 5 이상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 내 pH에 따른 레즈베라-A의 안정도 비교 실험
상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레즈베라-A를 0.3% 함유한 에멀젼 내에서의 레즈베라-A의 pH 조건에 따른 안정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에멀젼내 pH를 2~9 범위로 조절한 후 4주 동안 보관하면서 경시변화를 측정하였다. 에멀젼 내 pH 조절은 락틱 산과 수산화칼륨을 당량비로 제형에 서서히 적하시켜 조절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레즈베라-A 원료의 안정도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pH 5 이하에서는 경시변화 없이 안정하나 pH 5 이상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이에, pH 5 이상에서의 레즈베라-A의 구조 변화 메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LC MS/MS를 이용하였다.
<실험예 2: pH 에 따른 레즈베라-A의 구조 분석>
1. LC MS/MS
메탄올을 이용하여 1% 레즈베라-A 검액을 제조한 후,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 및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하여 pH 2~11 범위로 검액을 제조하고, 1주 동안 상온에서 보관 후 ESI-모드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도 4 및 5에 나타나 있다.
결과에 의하면, pH가 증가함에 따라 [M-H] 153 피크가 점점 커지고, pH 5 이하에서는 [M-H] 153 피크는 검출되지 않았다. [M-H] 153 피크는 3,5-다이하이드록시 벤즈아미드(3,5-dihydroxy benzamide)로서, 이 화합물은 레즈베라-A에서 분해가 진행되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놀(phenol)이 떨어져나가면서 생성된다. 즉 pH 5 이하에서는 레즈베라-A가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레즈베라-A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레즈베라-A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a) 및 5(실시예 1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레즈베라-A 0.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1: pH 7의 레즈베라-A 함유 로션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레즈베라-A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레즈베라-A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a(pH 3.6)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b(pH 4.9)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pH 6.8) 100 95 93 89 8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레즈베라-A 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레즈베라-A 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레즈베라-A 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2: 레즈베라-A 함유 스킨 제조>
스킨류와 같은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레즈베라-A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2a) 및 5(실시예 2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레즈베라-A 0.3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2: pH 7의 레즈베라-A 함유 스킨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레즈베라-A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레즈베라-A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2a(pH 3.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b(pH 5.1) 100 100 100 99 99
비교예 2(pH 7.2) 100 95 91 85 81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레즈베라-A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레즈베라-A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레즈베라-A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3: 레즈베라-A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레즈베라-A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3a) 및 5(실시예 3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레즈베라-A 0.3
정제수 to 100
<비교예 3: pH 7의 레즈베라-A 함유 크림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레즈베라-A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레즈베라-A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3a(pH 3.5)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b(pH 4.8)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3(pH 6.8) 100 96 93 91 87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레즈베라-A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레즈베라-A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레즈베라-A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4: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4a) 및 5(실시예 4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N-페닐벤즈아미드 0.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4: pH 7의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4: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4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N-페닐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4a(pH 3.8)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4b(pH 4.9)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4(pH 6.7) 100 95 91 87 83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N-페닐벤즈아미드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5: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5a) 및 5(실시예 5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N-페닐벤즈아미드 0.3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5: pH 7의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5: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5와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N-페닐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5a(pH 3.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5b(pH 5.2)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5(pH 7.1) 100 95 91 86 81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N-페닐벤즈아미드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6: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6a) 및 5(실시예 6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N-페닐벤즈아미드 0.3
정제수 to 100
<비교예 6: pH 7의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6: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6과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N-페닐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6a(pH 3.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6b(pH 5.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6(pH 7.0) 100 95 90 86 81
상기 표 13에서 알 수 있듯이, N-페닐벤즈아미드이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7: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7a) 및 5(실시예 7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7: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7: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7과 비교예 7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7a(pH 3.8)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7b(pH 4.9)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7(pH 6.7) 100 95 91 87 83
상기 표 15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8: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6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8a) 및 5(실시예 8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8: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8: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8과 비교예 8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7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8a(pH 3.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8b(pH 5.2)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8(pH 7.1) 100 95 91 86 81
상기 표 17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9: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9a) 및 5(실시예 9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정제수 to 100
<비교예 9: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9: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9와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9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9a(pH 3.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9b(pH 5.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9(pH 7.0) 100 95 90 86 81
상기 표 19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0: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0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0a) 및 5(실시예 10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0.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10: pH 7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0: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0과 비교예 10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1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0a(pH 3.8)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0b(pH 4.9)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0(pH 6.7) 100 95 91 87 83
상기 표 21에서 알 수 있듯이,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1: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2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1a) 및 5(실시예 11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0.3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11: pH 7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1: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1과 비교예 11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3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1a(pH 3.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1b(pH 5.2)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1(pH 7.1) 100 95 91 86 81
상기 표 23에서 알 수 있듯이,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2: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2a) 및 5(실시예 12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0.3
정제수 to 100
<비교예 12: pH 7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2: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5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2a(pH 3.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2b(pH 5.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2(pH 7.0) 100 95 90 86 81
상기 표 25에서 알 수 있듯이,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3: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3a) 및 5(실시예 13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
세틸알코올 2
라놀린 알코올 2
액상파라핀 7
사이클로메치콘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르 2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글리세린 3
프로필렌글리콜 5
트리에틸아민 1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정제수 to 100
<비교예 13: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로션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3: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로션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7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3a(pH 3.8)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3b(pH 4.9)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3(pH 6.7) 100 95 91 87 83
상기 표 27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가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4: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가용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8의 조성으로 투명 겔 형태의 스킨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4a) 및 5(실시예 14b)로 조절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 12rpm에서 측정한 결과 약 4,000cps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4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에탄올 10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14: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스킨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조성으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4: pH에 따른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스킨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9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4a(pH 3.3)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4b(pH 5.2)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4(pH 7.1) 100 95 91 86 81
상기 표 29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5: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0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α-히드록시 산, AHA)을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3.5(실시예 15a) 및 5(실시예 15b)로 조절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즈왁스 2
스테아릴알코올 5
스테아린산 8
스쿠알란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
방부제 및 항산화제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8
트리에틸아민 1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0.3
정제수 to 100
<비교예 15: pH 7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pH를 대략 7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5: pH에 따른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5와 비교예 15에 따라 제조된 크림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1에 나타나 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직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5a(pH 3.4)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5b(pH 5.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15(pH 7.0) 100 95 90 86 81
상기 표 31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제형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는 반면, pH 5 이상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 농도 유지율이 매우 낮아졌다.
<실시예 16: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레즈베라-A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레즈베라-A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실시예 16a), 살리실 산(실시예 16b), 글라이콜릭 산(실시예 16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5로 조절하였다. pH 5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16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6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6: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레즈베라-A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레즈베라-A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레즈베라-A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2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6a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6b 100 100 100 100 99
실시예 16c 100 100 100 99 99
실시예 16d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32에서 알 수 있듯이, 레즈베라-A는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5 이하에서는 레즈베라-A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레즈베라-A를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실시예 17a), 살리실 산(실시예 17b), 글라이콜릭 산(실시예 17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5로 조절하였다. pH 5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17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12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7: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N-페닐벤즈아미드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N-페닐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3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7a 100 100 100 99 99
실시예 17b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7c 100 100 100 100 99
실시예 17d 100 100 100 100 99
상기 표 33에서 알 수 있듯이, N-페닐벤즈아미드는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5 이하에서는 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N-페닐벤즈아미드를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1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실시예 18a), 살리실 산(실시예 18b), 글라이콜릭 산(실시예 18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5로 조절하였다. pH 5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18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18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8: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18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4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8a 100 100 100 100 99
실시예 18b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8c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8d 100 100 100 99 99
상기 표 34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는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를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2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실시예 19a), 살리실 산(실시예 19b), 글라이콜릭 산(실시예 19c)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5로 조절하였다. pH 5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19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24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9: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19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5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19a 100 100 100 100 99
실시예 19b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9c 100 100 100 100 99
실시예 19d 100 100 100 99 99
상기 표 35에서 알 수 있듯이,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는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5 이하에서는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를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 제조>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pH 조절제를 사용한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함유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30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유상과 수상을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은 락틱 산(실시예 20a), 살리실 산(실시예 20b), 글라이콜릭 산(실시예 20)을 각각 당량비로 서서히 적하시켜 pH를 대략 5로 조절하였다. pH 5의 인산완충용액(실시예 20d)으로 pH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30의 조성에서 정제수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0: pH 조절제 종류에 따른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안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20에 따라 제조된 여러 가지 크림 내의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시료를 40℃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6에 나타내었다.
제형 초기농도 유지율(%)
제조 직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시예 20a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0b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0c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0d 100 100 100 100 99
상기 표 36에서 알 수 있듯이,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는 제형에 사용된 pH조절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pH 5 이하에서는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의 초기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를 함유한 제형에는 pH 조절제로서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레즈베라-A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레즈베라-A 원료의 안정도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pH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내 레즈베라-A의 안정도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pH 에 따른 레즈베라-A의 구조 분석을 위한 LC MS/MS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pH 에 따른 레즈베라-A의 구조 분석을 위한 LC MS/MS 결과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레즈베라-A 구조 변화의 메커니즘을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12)

  1.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레즈베라-A(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및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는 pH 3~5 이고 조성물 내에서 상기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은 조성물 내에서 치환기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범위는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pH 5의 인산완충용액으로 조절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로션, 에멀젼 또는 크림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벤즈아미드 화합물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레즈베라-A(3,5-Dihydroxy-N-(4-hydroxyphenyl)benzamide), N-페닐벤즈아미드(N-Phenylbenzamide), t-부틸벤즈아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hydroxybenzamide), 2-하이드록시-N-페닐벤즈아미드(2-hydroxy-N-phenylbenzamide) 및 t-부틸벤즈아미도 메틸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t-butylbenzamido methylhydroxybenz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벤즈아미드(benzamid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상기 조성물의 pH 범위를 pH 3~5로 조절하고 조성물 내에서 상기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락틱 산, 살리실 산, 글라이콜릭 산 또는 pH 5의 인산완충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벤즈아미드 화합물 안정화 방법.
  12. 삭제
KR1020070086062A 2007-08-27 2007-08-27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KR10140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62A KR101405615B1 (ko) 2007-08-27 2007-08-27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62A KR101405615B1 (ko) 2007-08-27 2007-08-27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01A KR20090021501A (ko) 2009-03-04
KR101405615B1 true KR101405615B1 (ko) 2014-06-12

Family

ID=4069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62A KR101405615B1 (ko) 2007-08-27 2007-08-27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6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110049B2 (en) 2017-06-23 2021-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71B1 (ko) * 2011-09-30 2013-08-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신나모일살리실아미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15A (ko) * 1999-08-16 2002-03-15 에바-마리아 시마-메이어, 얼설라 멜져, 마거, 하르트만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KR20060004964A (ko) * 2003-04-30 2006-01-16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용액 의약조성물
KR100680584B1 (ko) * 2005-08-19 2007-02-08 (주)아모레퍼시픽 히드록시벤즈아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15A (ko) * 1999-08-16 2002-03-15 에바-마리아 시마-메이어, 얼설라 멜져, 마거, 하르트만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KR20060004964A (ko) * 2003-04-30 2006-01-16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용액 의약조성물
KR100680584B1 (ko) * 2005-08-19 2007-02-08 (주)아모레퍼시픽 히드록시벤즈아미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0049B2 (en) 2017-06-23 2021-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1911498B2 (en) 2020-06-01 2024-0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01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615B1 (ko)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벤즈아미드 화합물을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벤즈아미드 화합물안정화 방법
KR20200051997A (ko)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123B1 (ko) 혼합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409291A1 (en) Transdermally absorbable composition having controlled release of water-soluble active ingredient
KR20070070309A (ko) 카테친 및 이의 유도체의 안정화된 의학 및 화장 조성물
KR102322443B1 (ko) 코직산을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89523A (ja) 化粧品及び医薬品調合物中のビタミンa及び/又はビタミンa−誘導体の安定化法
KR102175466B1 (ko) 아이오논(ionone) 유도체 화합물
KR101725101B1 (ko)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8349B1 (ko) 화장료
KR20150062272A (ko) 코직산을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205A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35284A (ja) レチノイド類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020061167A (ko) 레티놀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04962A (ja) 皮膚外用剤
KR100320088B1 (ko) 안정화시킨레티놀함유피부보호화장료
KR20160121693A (ko)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0148B1 (ko) 알파-리포산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
JP2000026270A (ja) レチノイド類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416281B1 (ko) 산화안정성이 있는 신규한 유화조성물
JP2001151664A (ja) レチノイド類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873884B1 (ko) 에스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83303B1 (ko) 조성물 내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α­케토 산(α­keto acid)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α­케토 산 안정화 방법
JP2001278775A (ja) 皮膚外用剤
KR102017053B1 (ko) 신규 α-토코페롤 유도체 화합물, 및 그의 화장료적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