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284B1 -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284B1
KR102166284B1 KR1020200061468A KR20200061468A KR102166284B1 KR 102166284 B1 KR102166284 B1 KR 102166284B1 KR 1020200061468 A KR1020200061468 A KR 1020200061468A KR 20200061468 A KR20200061468 A KR 20200061468A KR 102166284 B1 KR102166284 B1 KR 10216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composition
weight
cosmetic
ascorb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석
Original Assignee
윤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석 filed Critical 윤명석
Priority to KR102020006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의 함량을 극대화하면서도 낮은 pH에서도 결정 석출이 일어나지 않고, 산화속도를 낮춰 온도, 보관 기간에 관계없이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짐에 따라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미백 효과, 피부주름, 염증, 알레르기 등의 기타 증상을 개선하여 피부에 유익한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A vitamin composition for cosmetic material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inhibited crystallization of vitami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타민을 함유한 화장료에서 산화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온에서 고함량의 비타민의 결정 석출 문제를 해결하고 비타민의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특히 비타민 C(Ascorbic Acid)은 미백 및 주름 방지를 위해 화장품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매우 효과적인 화장품 원료 중 하나이다.
비타민 C는 피부에 매우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산소, 열, pH, 금속 이온, 빛과 같은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매우 불안정한 성분이다. 산화가 진행되면 갈변 현상과 효능이 저하되며 산화에 의해 분해된 비타민 C는 피부 부작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비타민 C의 산화안정성을 위해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용액상의 비타민 C를 완벽하게 안정화시키는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고 다만 제품의 유통기간 및 사용기간 중 비타민 C의 산화를 최소화 하는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비타민 C는 pH가 2.0에서 2.3으로 pH가 매우 낮아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따가움, 간지러움, 피부 붉어짐 등의 피부 부작용이 증가하며 결정 석출의 문제가 발생한다.
PH를 높이면 이러한 부작용은 없어지고 산화안정성은 급격히 떨어지며 비타민 C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결정 석출 문제가 감소하며, pH를 낮추면 산화안정성은 크게 증가하지만 피부 부작용과 결정 석출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비타민 C는 용매에 따라 제한된 용해도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33 중량%의 용해도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프로판디올이 17 중량%, 에탄올 2 중량%, 글리세린 1 중량% 등의 순이다.
문제는 비타민 C의 경우 수용성이 강하기 때문에 피부 특성 상 피부침투가 어려우므로 비타민 C의 농도를 높여야 피부 침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음에도 제형의 안정성과 높은 용해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물에서 비타민 C의 용해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고농도 비타민 C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 대부분 비타민 C의 용매제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물과 비타민 C가 접촉하면 비타민 C의 산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로 글루타치온(Glutathione), 소듐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소듐메타바이설파어트(Sodium metabisulfite)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그 효과가 미흡하여 궁극적 해결 수단이 되지 못한다.
또한 물 대신 다가 알코올(polyol)을 용매제로 사용하면 산화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다가 알코올 중 용해도가 가장 높은 프로판디올이 가장 많이 사용되나, 문헌상 프로판디올에서 비타민 C의 용해도가 17중량%으로 그 이상의 비타민 C가 배합되면 결정 석출이 일어나므로, 이론상 비타민 C를 17중량% 이상을 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피부에 비타민 C를 적용하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을 최대화하면서도, 결정 석출이 일어나지 않고,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나,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8275호 (2019년 08월 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5260호 (2019년 10월 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타민의 함량을 극대화하면서도 낮은 pH에서도 결정 석출이 일어나지 않고,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및 비타민 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비타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안정제;
에탄올;
폴리올;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에틸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아미노프로필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및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15 내지 30 중량%, 안정제 0.1 내지 1 중량%, 폴리올 1 내지 5 중량%, 에탄올 1 내지 3 중량%, 아스코르빈산 유도체 1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에 유상층 조성물 및 수상층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상층 조성물은 양친매성 지질, 중성지방 및 유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상층 조성물은 물, 폴리올, 염기성 아미노산, 분산제 및 카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의 함량을 극대화하면서도 낮은 pH에서도 결정 석출이 일어나지 않고, 산화속도를 낮춰 온도, 보관 기간에 관계없이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짐에 따라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미백 효과, 피부주름, 염증, 알레르기 등의 기타 증상을 개선하여 피부에 유익한 생리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8의 시편(A), 실시예 7의 시편(B), 실시예 6의 시편(C)을 4℃에서 2주간 보관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3(A, 프로판디올) 및 비교예 1(B, 물)의 시편을 45℃에서 4주간 보관하였을 때의 시편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시편을 45℃에서 1주(A), 3주(B), 4주(C)간 보관하였을 때의 시편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장료'란, 피부의 개선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기 위하여 도찰(塗擦), 살포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써, 예컨대 화장수, 유액, 크림, 클렌징, 팩, 오일 리퀴드, 마사지료, 세정제, 탈취제, 핸드크림, 립 크림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백분(白粉), 리퀴드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연지, 아이섀도,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eyebrow),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제한제, 자외선 차단 유액이나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화장료의 형상으로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펜슬상 등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크게 제1제제와 제2제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비타민 B, 비타민 C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비타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 트로메타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안정제, 에탄올, 폴리올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1제제(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와, 유상층 조성물 및 수상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제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제는 상기 비타민을 용해하여 액상화한 제제로, 비타민에 안정제, 에탄올, 폴리올 및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은 항산화 물질로 특히 피부의 노화 원인으로 작용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의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타민 B, 비타민 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는 비타민 B 복합체를 뜻하는 것으로, 여러 수용성 비타민의 복합체를 의미하고, 주로 세포의 물질 대사를 돕는 조효소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물질 대사의 조효소 역할을 하는 물질이 단 하나의 형태로 존재한다 추정되어 비타민 B로 명명되었으나, 여러 복합적인 물질들이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것이 밝혀져 이를 묶어 비타민 B(복합체)로 명명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B는 B1(티아민), B2(리보플라빈), B3(니아신), B5(판토텐산), B6(피리독신), B7(바이오틴), B9(폴린산), B12(코발라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B4(콜린), B8(이노시톨 등), B10(파라아미노벤조산), B11(엽산), B13(오로트산), B16(디메틸글리신), Bf(카르니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으로도 불리며, 세포 내의 항산화 비타민 중 가장 강력하고 광범위한 항산화제로 수정체와 혈장에서 중요한 항산화 작용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를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로, 활성산소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을 합성하는 효소는 2가 상태의 철분과 결합하고 있어야 활성형 효소로 작용하며, 철분이 산화되어 3가 상태로 변하면 활성이 없어진다. 상기 비타민 C는 3가 상태의 철분을 2가로 환원시켜 효소의 성분이 SH기를 환원상태로 유지시켜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콜라겐 합성을 도와주는 조효소 구실을 한다.
또한, 멜라닌 침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생화학적으로 피부에 영향을 주는 피부 표면에서의 항산화 효과, 진피 내에서 콜라겐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 상피와 진피 사이에서 멜라민 색소의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 등을 가진다.
상기 비타민으로 비타민 C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를 통한 비타민 C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조성물 내에 최대한 많은 비타민 C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의 함량을 1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1제제는 비타민의 함량을 15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0 중량% 첨가할 수 있다. 비타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비타민 첨가에 따른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비타민의 과다 첨가로 인해 조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비타민의 석출의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에 자극이나 알레르기,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정제는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의 이온화 시 발생하는 수소이온을 중화시켜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것으로, 조성물의 pH를 낮추면서도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의 결정 석출 및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정제로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안정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화칼륨은 상기 비타민과 용매 또는 후술할 아스코르빈산 유도체와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하여 안정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전체 제1제제 조성물 100 중량% 중 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가 상기 범위 미만 첨가되는 경우 제1제제 제조과정에서 비타민의 석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정제가 상기 범위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비타민의 산화안정성이 하락하여 조성물의 산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후술할 폴리올과 함께 용매로 사용하는 것으로, 폴리올과 혼합 시 비타민의 용해도를 높이고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본 발명에서 그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제1제제 100 중량% 중 1 내지 3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비타민의 용해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pH 상승으로 인해 조성물의 안정성이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상기 조성물에서 비타민의 산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미백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 예를 들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에틸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아미노프로필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및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본 발명에서 그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제1제제 100 중량% 중 1 내지 5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비타민의 산화억제와 미백효과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pH 하락으로 피부에 적용 시 발진이나, 자극감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비타민 C를 용해하기 위한 용매로서, 조성물 내에서 비타민 또는 그 유도체가 안정화되기 전에 분해될 수 있는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예를 들면, 프로판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부톡시디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폴리올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판디올(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판디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타민, 특히 비타민 C에 대한 용해도가 17 중량%로 매우 높으며, 제2제제와 혼합되어 사용 시 낮은 pH에서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면서도 높은 pH에서 조성물의 산화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제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다양한 첨가제를 더 혼합하여도 좋다. 이들의 예를 들면, 아데노신, 레티놀, 니아신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제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고체 상태의 비타민과 안정제,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를 에탄올과 폴리올의 혼합용매에 혼합한 후,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30분간 중탕할 수 있다. 이때 중탕 과정에서 더욱 균일한 혼합을 위해 10 내지 1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탕이 끝난 혼합물은 상온(20℃)이 될 때까지 냉각하여 제1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제제는 피부에 적용 시 자극감이나 발진과 같은 부작용이 없도록 조성물의 pH를 일정 이상으로 높임과 동시에 조성물의 제형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상층 조성물과 수상층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층 조성물은 물과 같은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성분과, 이를 용해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양친매성 지질, 중성지방 및 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구조에 있어서 대부분 지질-유사 (소수성) 분자이지만, 한쪽 말단에서 극성, 하전, 또는 극성과 하전의 조합 (친수성) 부분을 갖는 분자를 지칭한다. 이때 친수성 부분은 헤드기로서 지칭되고, 지질 부분은 테일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주위의 온도에 따라 결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피부와 유사한 형태의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형성하며,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콜레스테릭 액정상은 네마틱 액정의 방향자(director)가 나선 축을 따라 꼬이면서 층을 이루어 배열되는 것으로, 층별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기존의 양친매성 지질이 갖는 보습 효과는 유지되면서 동시에 빛의 복굴절에 의한 편광 무늬를 가지므로,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어 화장품의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예로는 피부 각질의 주성분인 인지질, 글리코리피드 및 스핑고리피드 이외에도 피부 유사막을 갖는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균일하고 안정하게 형성하며 액정 형성 이외에도 친수성 활성 물질을 액정 내에 함유하여 안정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친매성 지질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나 소르비탄 지방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같은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바틸알코올, 피탄트리올,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쓰-5, 콜레쓰-10, 콜레쓰-20, 콜레쓰-30, 데옥시피탄트리일팔미트아마이드엠이에이,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비스-에톡시디글리콜석시네이트,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코코일알라닌, 팔미토일프롤린, 갈라토실세라마이드, 수소첨가레시틴,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디이소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 PEG(폴리에틸렌글리콜)-40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산화안정성과 피부 부작용 억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하락하여 산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탁도 및 점도가 상승하여 바름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성지방은 표피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조성물에 적용 시 상처난 피부의 표면을 복구하고, 수분을 공급하는 보습제 역할을 하며, 유상층 조성물의 용매로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중성지방의 예를 들면, (C8-C12)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2-C18)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리글리세라이드, (C10-C20이소알킬애씨드트리글리세라이드, (C10-C18)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린, 트리에틸헥사노일, 트리헵타노인,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팔미틴 및 트리스테아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중성지방은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1 내지 1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보습성을 높이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변화로 인해 가공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유지는 상기 중성지방과 유사하게 피부의 표피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수분의 증발을 막아 보습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지의 예를 들면,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느,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유지 또한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이 원하는 보습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층 조성물은 이외에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사이클로페닐메치콘, 사이클로 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틸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케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플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과 같은 실리콘계 오일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의 첨가량 및 단독/혼합 사용 여부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층 조성물은 조성물의 수용성 성분을 용해함과 동시에 피부에 전달할 수분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물, 폴리올, 염기성 아미노산, 분산제 및 카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제1제제에 포함되는 폴리올과 유사하게 수용성 성분의 용매나 산화방지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들의 예를 들면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히드록시아세토페논, 비사보롤 등과 같은 저분자량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 변화로 인해 비타민의 산화 등과 같이 변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pH 변화로 인해 역시 비타민의 변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상기 제1제제의 pH를 높이는 중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중화제가 pH를 8.0까지 올리는데 많은 양이 필요함에 반해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pH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완충용액으로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에도 우수한 pH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알레르기 및 염증, 위축증, 피부 노화, 진균 및 세균감염 등을 억제하며, 특히 히스타민에 대한 억제작용으로 알레르기, 염증의 치료 및 개선 효과가 높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의 예를 들면, 아르기닌, 리신, 시트룰린, 오르니틴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아르기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르기닌은, 천연적으로 수득되는 경우, 레보기르(levogyre) 형태(L-아르기닌)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아르기닌은 L-아르기닌이다. 또한, 아르기닌은 합성적으로 라세미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L-아르기닌 또는 심지어 D-아르기닌도 사용될 수 있다. 아르기닌은 고유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 중의 하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아르기닌의 염 중에서는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글루타메이트, 피돌레이트 또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언급될 수 있으며, 에스테르 중에서는 이들의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1 내지 0.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의 pH가 지나치게 낮아 피부에 자극이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제형 변화로 인해 안정성이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제는 킬레이팅제 또는 금속이온을 봉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종류 및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제의 예를 들면, 다이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트리소듐 이디티에이(trisodium EDTA),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tetrasodium EDT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의 첨가량은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001 내지 0.1 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보머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중합체로, 특히 수용성 성분의 지속적인 방출을 도와 유효성분, 특히 비타민 C가 일정한 양으로 장시간 피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보머는 Carbopol 971P NF, Carbopol 71G NF, Carbopol 974P NF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카보머는 루브리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인크.(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카보머는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으나, 전체 제2제제 100 중량% 중 0.1 내지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보습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하는 경우 제형의 변화로 조성물의 안정성이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제제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유화조 및 수상 용해조에 각각 유상층 조성물 및 수상층 조성물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유화조에 수상층 조성물을 투입하고 냉각한 후, 용매를 더 투입하고 가열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제와 제2제제의 혼합비를 한정하지 않으나, 조성물의 pH를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혼합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제제는 pH가 2.8이며, 제2제제는 8.0이고, 혼합 시 최종 pH는 3.1인 것이 조성물의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므로 상기 pH에 맞춰 제1제제와 제2제제의 조성비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제약성분, 방부제, 살균제, 착색제, 염료, 안료, 식물 엑기스, pH 완충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자외선산란제, 향료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 등에 따라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의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정 석출 여부)
실시예 1 내지 10을 통해 제조된 시편을 4℃에서 2주간 보관하였을 때 결정(흰색)이 발생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결정이 석출되지 않음
△ : 결정이 미세하게 석출됨
× : 결정이 석출됨
(안정성)
하기 실시예 6 내지 10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실시예별로 25℃, 45℃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 조성물 내의 비타민 C의 역가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YMC J shpere ODS-80 250*4.6㎚ I.D. 4μm의 칼럼을 사용하였고 유동상은 0.3% phosphoric acid와 acetonitrile을 각각 95:5 중량비로 하였고 유동속도는 1㎖/min하여 파장 254㎚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8과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시편을 온도를 달리하여(20℃, 45℃) 각각 1주, 2주, 3주, 4주간 방치하였을 때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은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였다.
0 : 투명 무색
1 : 약한 노랑색
2 : 노랑색
3 : 진한 노랑색
4 : 갈색
5 : 진한 갈색
(관능검사 - 피부자극성)
피시험자로 정상적인 피부를 가지는 20대에서 50대 사이의 여성 20명을 대상을 1일 1회 손등에 도포하는 것을 1주일간 반복하였다. 사용 후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기호 점수 평가기준(증상)
- 0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5 약한 홍반
+ 1.0 명확한 홍반
++ 2.0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0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하기 표 2 및 3의 제형의 원료(중량%)를 상온에서 40 rpm의 속도로 교반, 혼합하여 제1제제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의 결정석출 여부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타민 C 20 20 20 20 20
수산화칼륨 0.1 0.2 0.3 0.4 0.5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3.0 3.0 3.0
에탄올 2.0 2.0 2.0 2.0 2.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에틸아스코르빅산 1.5 1.5 1.5 1.5 1.5
프로판디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 2.3 2.5 2.8 3.0 3.1
결정석출 여부 × ×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
비타민 C 30 30 30 30 30 20
수산화칼륨 0.1 0.2 0.3 0.4 0.5 0.3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3.0 3.0 3.0 3.0
에탄올 2.0 2.0 2.0 2.0 2.0 2.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에틸아스코르빅산 1.5 1.5 1.5 1.5 1.5 1.5
프로판디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물)
pH 2.3 2.5 2.8 3.0 3.1 2.8
결정석출 여부 ×
상기 표 2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결정의 석출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pH가 2.8 이하일 경우 결정이 석출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 내지 10과 같이 비타민 C의 함량이 30 중량%로 증가하였음에도 수산화칼륨의 함량이 증가하는 실시예 3 내지 5, 8 내지 10의 경우 pH가 2.8 이상을 유지하였으며, 결정 또한 석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보관온도
(℃)
보관기간(주)
1 2 3 4
실시예 3 20 0 0 0 0
45 0 0 1 2
비교예 1 20 0 0 1 2
45 0 2 3 4
상기 표 4 및 도 2와 같이 용매로 프로판디올을 사용한 실시예 8에 비해 물을 사용한 비교예 1의 변색이 심하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비타민 C가 물과 접촉 시 산화속도가 급격히 진행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실시예 3의 시편을 장기간 보관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무색에서 노란색으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색상이 변화하는 것은 비타민 C의 산화가 되었다는 것이나, 비교예 1과 비교 시 산화의 정도가 훨씬 덜한 것을 알 수 있어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보관온도
(℃)
비타민 C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25 99 99 99 98 97
45 99 98 97 95 93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시편은 4주 보관조건에서 비타민 C가 97 중량%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pH가 낮을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1)
먼저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비로 제2제제를 제조한 후, 상기 제2제제와 실시예 3의 시편을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크림 형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
(중량 %)
유상층 PEG-40 스테아레이트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3.0
세트아릴 알콜 1.0
디메티콘 0.3
수상층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히드록시아세토페논 0.2
1,2-헥산디올 1.5
아데노신 0.04
비사볼롤 0.5
트리소디움 EDTA 0.01
카보머 0.2
트로메타민 0.4
아르기닌 0.3
to 100
상기 표 6과 같이 제조된 시편의 피부자극 여부를 실험한 결과, 평균 1.3의 자극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능성 화장품에서 보여지는 자극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기존의 화장품에 비해 비타민 C의 함량을 크게 높이면서도 저자극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제제로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에 제2제제로 유상층 조성물 및 수상층 조성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은,
    비타민 C 15 내지 30 중량%;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안정제 0.3 내지 0.7 중량%;
    에탄올 1 내지 3 중량%;
    아스코르빈산 유도체 1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프로판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에틸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아미노프로필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및 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층 조성물은
    아르기닌, 리신, 시트룰린, 오르니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염기성 아미노산, 물, 폴리올, 분산제 및 카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한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층 조성물은 양친매성 지질, 중성지방 및 유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한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61468A 2020-05-22 2020-05-22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68A KR102166284B1 (ko) 2020-05-22 2020-05-22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68A KR102166284B1 (ko) 2020-05-22 2020-05-22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284B1 true KR102166284B1 (ko) 2020-10-15

Family

ID=7288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68A KR102166284B1 (ko) 2020-05-22 2020-05-22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845B1 (ko) * 2021-07-27 2022-07-08 전종택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13551B1 (ko) * 2023-03-23 2023-12-14 주식회사 베스트솔루션 고함량 비타민 c 파우더, 정제 및 그의 용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382A (en) * 1987-01-27 1991-01-08 Avon Products, Inc. Cosmetic preparation incorporating stabilized ascorbic acid
KR20010107512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대 산화안정성이 있는 신규한 유화조성물
KR20040080148A (ko) *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상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비타민 c의 안정화 방법
JP2006063060A (ja) * 2004-07-30 2006-03-09 Showa Denko Kk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マグネシウムナトリウム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7308515A (ja) * 2001-03-23 2007-11-29 Rohto Pharmaceut Co Ltd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JP2011178735A (ja) * 2010-03-03 2011-09-15 Seiwa Kasei Co Ltd グリセリルアスコルビン酸と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008275B1 (ko) 2019-02-14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5260B1 (ko) 2018-04-26 2019-10-22 (주)뷰애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안정화되고 피부 투과율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382A (en) * 1987-01-27 1991-01-08 Avon Products, Inc. Cosmetic preparation incorporating stabilized ascorbic acid
KR20010107512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대 산화안정성이 있는 신규한 유화조성물
JP2007308515A (ja) * 2001-03-23 2007-11-29 Rohto Pharmaceut Co Ltd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KR20040080148A (ko) *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상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비타민 c의 안정화 방법
JP2006063060A (ja) * 2004-07-30 2006-03-09 Showa Denko Kk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マグネシウムナトリウム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1178735A (ja) * 2010-03-03 2011-09-15 Seiwa Kasei Co Ltd グリセリルアスコルビン酸と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035260B1 (ko) 2018-04-26 2019-10-22 (주)뷰애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안정화되고 피부 투과율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
KR102008275B1 (ko) 2019-02-14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845B1 (ko) * 2021-07-27 2022-07-08 전종택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13551B1 (ko) * 2023-03-23 2023-12-14 주식회사 베스트솔루션 고함량 비타민 c 파우더, 정제 및 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471B2 (ja) 機能性粉体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7295809B2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2010536764A (ja) ヒト皮膚を修復するための化粧的方法および化粧用組成物
JP2011126879A (ja) マイルドなリーブオン・スキンケア組成物
KR20010075000A (ko) 시스테인 유도체
KR102626486B1 (ko)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863675B2 (ja) 皮膚外用剤
KR102166284B1 (ko) 화장료용 비타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타민의 석출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543821A1 (en) External preparation
KR102429854B1 (ko)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WO2020227319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table cosmetic compositions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EP2301519A1 (en) Ultraviolet absorbing composition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7815A (ko) 버터류 포함 조성물 안정용 조성물
DE19518845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Phytinsäure
JPH10158148A (ja) 美白化粧料
JP2023553098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23552814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90060378A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138679B2 (ja) 刺激緩和剤
DE19518815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lpha-Hydroxyfettsäuren
JPH11199425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