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153B1 - 분말 정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정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153B1
KR101282153B1 KR1020110011878A KR20110011878A KR101282153B1 KR 101282153 B1 KR101282153 B1 KR 101282153B1 KR 1020110011878 A KR1020110011878 A KR 1020110011878A KR 20110011878 A KR20110011878 A KR 20110011878A KR 101282153 B1 KR101282153 B1 KR 10128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ase
hole
fixed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840A (ko
Inventor
고왕식
Original Assignee
고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왕식 filed Critical 고왕식
Priority to KR102011001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4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inducing feed of the materials by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물을 조성하기 위해 분말을 일정량 공급하거나, 분말 약제를 일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되,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 정량 공급장치{A supplying device a fixed quantity of powder}
본 발명은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약제를 일정량 공급하거나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기 위해 일정량의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품(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재료(분말)를 필요한 양만큼 퍼서 공급하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분말을 공급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이 균일하지 못해 상품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정확한 량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부적절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분말을 공급하는 작업을 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말을 공급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종래의 분말 공급장치는 분말이 저장호퍼 등으로부터 공급되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공급되고, 이 회전판으로 공급된 분말은 회전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으로 투입되고, 이 구멍으로 투입된 분말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정량의 분말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 공급장치는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분말을 공급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이는 분말의 일정량을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이를 제어하는데 용이하지 않는 등 관리상의 주의가 필요하다.
즉, 저장호퍼로부터 회전판의 상부로 공급된 상태에서 이 회전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분말이 투입됨과 동시에 하부로 배출될 때 최초 회전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투입된 분말의 양과 회전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양이 적게 배출되는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회전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하여 분말이 공급될 때 맥동현상에 의해 정량의 분말이 정량이 공급되지 않고 서로 다른 용량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하여 공급되게 되어 작업불량이 발생하여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판에 다수개의 투입공이 형성되고, 이 투입공은 이웃하는 투입공과 일측이 겹쳐지게 비스듬히 형성되어 분말이 투입공으로 투입되어 하부로 배출될 때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회전판의 상부 중앙에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이 원활하게 투입공으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판에 형성된 투입공의 상부에 위치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투입공으로는 분말이 공급되고 투입공의 상부에 잔류하는 분말을 차단하여 투입공에 분말이 투입된 상태로 차단부재의 하부로 진입하고, 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투입공에 투입된 분말이 베이스의 흡입공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가 형성된 위치와 동일축 상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의 측부에 흡입공과 연결되는 감압공을 형성함으로써, 회전판의 투입공으로 투입된 분말을 베이스에 형성된 흡입공으로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흡입할 때 흡입공과 연결된 감압공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되어 투입공에 투입된 분말이 원활하게 흡입공으로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진동부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해 회전판의 상부로 공급된 분말이 회전판의 투입공으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되,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 상부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흡입공과 연결되는 감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 하부에 끼워지는 부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용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투입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투입공은 이웃하는 투입공과 일측이 겹쳐지게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관통하여 회전부의 회전판에 결합 고정되는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축의 끝단부를 커버하고 볼트로 고정되되, 회전부의 회전판 상부에 위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와 모터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모터가 수용되되, 상부가 베이스의 하부에 고정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는 베이스의 측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볼트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상부에 고정되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용기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중앙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설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진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회전판에 다수개의 투입공이 형성되고, 이 투입공은 이웃하는 투입공과 일측이 겹쳐지게 비스듬히 형성되어 분말이 투입공으로 투입되어 하부로 배출될 때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판의 상부 중앙에는 깔대기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이 원활하게 투입공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판에 형성된 투입공의 상부에 위치되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투입공으로는 분말이 공급되고 투입공의 상부에 잔류하는 분말은 차단되어 투입공에 분말이 투입된 상태로 차단부재의 하부로 진입하고, 차단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투입공에 투입된 분말이 베이스의 흡입공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가 형성된 위치와 동일축 상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의 측부에 흡입공과 연결되는 감압공을 형성함으로써, 회전판의 투입공으로 투입된 분말을 베이스에 형성된 흡입공으로 별도의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흡입할 때 흡입공과 연결된 감압공으로 공기가 흡입되게 되어 투입공에 투입된 분말이 원활하게 흡입공으로 흡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진동부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해 회전판의 상부로 공급된 분말이 회전판의 투입공으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부를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진동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말이 용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투입공으로 분말이 투입되어 흡입공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C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진동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100)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중앙부에 상, 하부가 단턱지게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단턱(114)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단턱(114)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흡입공(116)이 형성되고, 측부 외주면에는 흡입공(116)과 연결되는 감압공(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된 흡입공(116)의 하단부에는 별도의 흡입수단인 흡입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이 수용되는 용기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2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10)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부에 안착홈(214)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차단부재(216)가 형성된 몸체(2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212)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214)에 안착 고정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부재(2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부(210)로 공급되는 분말이 안착되어 분배 공급하는 회전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몸체(212)의 내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몸체(212)의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재(216)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가장자리부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투입공(314)이 형성된 회전판(3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12)에 형성된 투입공(314)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공(314)과 이웃하는 투입공(314)의 일측이 서로 겹치게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판(312)의 상부에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3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316)는 회전판(312)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투입공(314)과 겹치지 않게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부(310)의 회전판(312)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410)는 베이스(110)의 하부에 위치되게 모터(412)가 구비되되, 이 모터(412)의 모터축(414)은 베이스(110)의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베이스(110)에 설치된 회전판(312)에 결속된다.
나아가, 상기 모터축(414)의 상부를 커버하되, 하부가 회전판(312)의 상부에 지지되는 커버부재(416)가 구비되고, 이 커버부재(416)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모터축(414)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12)에 결합되되, 관통공(112)의 단턱지게 형성된 상부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모터축(414)이 관통되는 부시(4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터(412)가 수용되되, 베이스(110)의 하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와 모터(412)의 사이에 설치되되, 절곡 형성되어 베이스(110)의 관통공(112)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가스켓(42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용기부(210)로 공급되는 분말이 원활하게 회전판(312)의 투입공(314)으로 이동 및 투입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510)는 베이스(110)의 측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베이스(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5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5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중앙부가 개방된 개방공(516)이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어 고정부재(512)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돌출구(518)가 형성된 상판(514)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512)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512) 측부에 설치부재(520)가 결합 고정되고, 이 설치부재(520)에 설치되는 진동모터(5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514)의 하부에는 용기부재(218)의 내측 상단에 위치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링부재(52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말이 용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투입공으로 분말이 투입되어 흡입공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100)는 먼저, 호퍼(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분말이 공급되고, 호퍼(10)로부터 공급된 분말은 가이드부재(316)의 상부로 공급되어 용기부(210)의 용기부재(218)의 내측으로 공급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316)의 상부로 공급된 분말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316)의 가이드에 의해 회전판(312)의 상부로 가이드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412)의 작동에 의해 회전판(312)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판(312)의 상부에 안착된 분말은 회전판(312)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투입공(314)으로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12)의 상부에 안착된 분말은 진동모터(522)의 진동에 의해 회전판(312)의 상부에 안착된 분말이 원활하게 투입공(314)으로 투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판(312)의 투입공(314)으로 분말이 투입되면 회전하는 회전판(312)은 회전하므로 몸체(212)의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재(216)에 의해 투입공(314)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말을 제거시켜 투입공(314)에는 정량의 분말만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판(312)의 투입공(314)으로 분말이 투입된 상태에서 투입공(314)과 베이스(110)에 형성된 흡입공(116)이 일치하게 되면 흡입공(116)의 하부에 별도의 흡입수단(미도시)에 의해 분말은 흡입되어 베이스(110)의 흡입공(116)을 통하여 베이스(110)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은 회전판(312)의 회전에 의해 투입공(314)의 상부에 위치한 분말은 차단부재(216)에 의해 제거되게 되고, 회전판(312)이 회전하여 차단부재(216)의 하부에 위치한 투입공(314)과 베이스(110)에 형성된 흡입공(116)이 동축이 되면 흡입공(116)의 하부에 설치된 흡입수단에 의해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이 흡입되어 흡입공(116)의 하부로 배출되게 되어 항상 동일한 양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의 흡입공(116) 하부에 설치된 흡입수단에 의해 회전판(312)의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을 흡입시 베이스(110)의 측부에는 흡입공(116)과 연결된 감압공(118)이 형성되어 흡입공(116)에 진공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이 원활하게 흡입공(116)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흡입공(116) 상부에 위치하는 투입공(314)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흡입공(116)에 투입공(314)이 연속적으로 접근하게 되어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을 흡입하여 하부로 배출시킬 때 항상 일정한 양의 분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110)의 흡입공(116) 상부에 회전판(312)이 회전하면서 투입공(314)이 흡입공(116)의 상부로 진입시 최초 진입하는 투입공(314)의 분말을 흡입공(116)으로 흡입됨과 동시에 그 다음에 진입하는 투입공(314)의 분말을 흡입공(116)으로 동시에 흡입되게 되어 투입공(314)에 투입된 분말과 흡입공(116)으로 배출되는 분말의 양이 항상 일정하게 배출되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인 맥동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판(312)이 회전하면서 회전판(312)에 형성된 투입공(314)으로 분말이 투입됨과 동시에 베이스(110)의 흡입공(116)으로 분말을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정량 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분말 정량 공급장치 110 : 베이스
112 : 관통공 114 : 단턱
116 : 흡입공 118 : 감압공
210 : 용기부 212 : 몸체
214 : 안착홈 216 : 차단부재
218 : 용기부재 310 : 회전부
312 : 회전판 314 : 투입공
316 : 가이드부재 410 : 동력전달부
412 : 모터 414 : 모터축
416 : 커버부재 418 : 부시
420 : 케이스 422 : 가스켓
510 : 진동부 512 : 고정부재
514 : 상판 516 : 개방공
518 : 돌출구 520 : 설치부재
522 : 진동모터 524 : 링부재

Claims (13)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부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 상부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흡입공과 연결되는 감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 하부에 끼워지는 부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차단부재가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용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투입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투입공은 이웃하는 투입공과 일측이 겹쳐지게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관통하여 회전부의 회전판에 결합 고정되는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의 끝단부를 커버하고 볼트로 고정되되, 회전부의 회전판 상부에 위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모터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수용되되, 상부가 베이스의 하부에 고정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베이스의 측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볼트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상부에 고정되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용기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중앙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설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 고정되는 진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링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정량 공급장치.
KR1020110011878A 2011-02-10 2011-02-10 분말 정량 공급장치 KR10128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78A KR101282153B1 (ko) 2011-02-10 2011-02-10 분말 정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78A KR101282153B1 (ko) 2011-02-10 2011-02-10 분말 정량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40A KR20120091840A (ko) 2012-08-20
KR101282153B1 true KR101282153B1 (ko) 2013-07-04

Family

ID=4688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78A KR101282153B1 (ko) 2011-02-10 2011-02-10 분말 정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1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830A (ko) 2014-09-24 2016-04-01 유경민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20170039830A (ko) 2015-10-02 2017-04-12 박보현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2584311B1 (ko) * 2023-04-14 2023-10-05 (주) 조인엔텍 슬러지 처리용 호퍼장치의 정량 반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6146B (zh) * 2014-06-19 2017-02-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石灰抛撒方法及抛撒装置
CN106865270B (zh) * 2017-03-24 2019-08-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分料结构
KR102529956B1 (ko) * 2020-11-02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용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 운동 지속 방법
KR102529955B1 (ko) * 2020-11-02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노출 동물실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750B2 (ja) * 1995-09-25 2001-01-09 日立造船株式会社 粉粒体定量供給装置
JP2002104659A (ja) * 2000-09-29 2002-04-10 Akatake Engineering Kk 粉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750B2 (ja) * 1995-09-25 2001-01-09 日立造船株式会社 粉粒体定量供給装置
JP2002104659A (ja) * 2000-09-29 2002-04-10 Akatake Engineering Kk 粉体供給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830A (ko) 2014-09-24 2016-04-01 유경민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20170039830A (ko) 2015-10-02 2017-04-12 박보현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2584311B1 (ko) * 2023-04-14 2023-10-05 (주) 조인엔텍 슬러지 처리용 호퍼장치의 정량 반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40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153B1 (ko) 분말 정량 공급장치
JP6752152B2 (ja) 流れ及び発泡の幾何学的形状を高めたスラリーミキサーゲート
EP2913286B1 (en) Metering feeder
KR101237302B1 (ko) 원료의 파쇄 및 정선장치
KR20170039830A (ko)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JP5968295B2 (ja) 粉粒体供給装置
KR101394758B1 (ko) 분체 소량 단위 공급 장치
CN111589367A (zh) 自动喷雾消毒灭菌机器人用的药片投放装置
EP2551099B1 (en) Compression moulding machine
CN205708200U (zh) 玻璃混合料振动下料仓
CN104495252B (zh) 一种具有打散物料功能的下料阀
CN209476131U (zh) 一种驱动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KR200307733Y1 (ko) 분말형상의 재료 공급장치
KR101673284B1 (ko)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383778B1 (ko) 반죽기
KR20130125911A (ko) 정제기 피더 어셈블리
RU25333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CN105618277A (zh) 离心机的倾斜式布料装置
JP6275550B2 (ja) 散粉方法及び散粉装置
CN220715677U (zh) 一种化学药品生产用配料装置
CN220282896U (zh) 一种物料分配装置
JPH06171765A (ja) 定量フィーダー
CN210787253U (zh) 一种兽药生产用周向进料式混合料斗
RU2678049C1 (ru) Дозатор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смесей
CN209476130U (zh) 一种搅拌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