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70B1 -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470B1
KR101281470B1 KR1020120158436A KR20120158436A KR101281470B1 KR 101281470 B1 KR101281470 B1 KR 101281470B1 KR 1020120158436 A KR1020120158436 A KR 1020120158436A KR 20120158436 A KR20120158436 A KR 20120158436A KR 101281470 B1 KR101281470 B1 KR 10128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athlete
castor oil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문
Original Assignee
전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문 filed Critical 전상문
Priority to KR102012015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70B1/ko
Priority to PCT/KR2013/010516 priority patent/WO20141045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는 고온고압의 압착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피마자에 비해 항진균 활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우수한 항진균 효과를 통해 발과 손에 발생하는 무좀, 사타구니 주변의 완선, 손톱 또는 발톱에 생기는 조갑백선(손발톱무좀), 머리에 생기는 두부백선, 몸통에 생기는 체부백선 등의 각종 다양한 무좀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s for skin external comprising castor oil extracted hexane, undecylenic acid, 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and water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inea pedis}
본 발명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좀(tinea pedis)은 가장 흔히 관찰되는 진균 감염 증상의 하나로서, 곰팡이가 피부의 각질을 녹여 영양분으로 삼아 기생, 번식하는 피부질환이다. 이들의 원인균은 피부에 친화력을 갖는 진균류 중에서 주로 트리코피톤 루브럼(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Microsporum cani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이며, 이들이 피부의 각질에 침투하여 가려움, 발적, 염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들 진균류의 감염증이 악화되는 정도는 감염 부위의 환경, 개인적인 면역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현대사회는 신발이나 양말들을 장시간 착용하는 생활을 주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진균류의 감염 후, 신발, 양말 등에 의해 피부가 외부와 폐쇄된 채로 장시간 유지되면 감염 부위의 열과 습기로 인해 진균류들의 증식이 향상되고, 무좀이 발생하게 된다.
무좀은 곰팡이가 좋아하는 각질이 풍부하고 습하며 따뜻한 곳(발가락, 발바닥, 발톱, 손톱, 옆구리, 사타구니 주변, 살이 겹쳐지는 곳)의 신체 대부분의 부위에서 발병된다. 일반적으로 발에 생기는 것만을 무좀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발과 손은 물론이고 사타구니 주변의 완선, 손톱 또는 발톱에 생기는 조갑백선(손발톱무좀), 머리에 생기는 두부백선, 몸통에 생기는 체부백선 등을 포함한다. 통계상 전체 인구의 10% 이상이 무좀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20~40대에 가장 많이 발병한다. 드물게는 소아에게도 발병한다.
무좀은 발생 형태에 따라서, 지간형, 소수포형과 각화형으로 구분한다. 지간경 타입은 발가락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 부위가 외부와 공기가 잘 통하지 않고 습기가 높기 때문에 무좀균의 서식이 쉽기 때문이다. 지간형 무좀이 발생되면, 가려움증이 심하고, 피부가 희게 짓무르고 갈라져서 불쾌한 냄새가 많이 나고, 때로는 양쪽 발가락과 발바닥으로 퍼지기도 한다. 소수포형 타입의 무좀에서는 크기가 다양한 물집이 생기게 되고, 가려움증으로 인해 긁게 되면 살이 벗겨져서 딱지가 자주 생성되고, 여름에 땀이 많을 때 많이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각화형 타입의 무좀은 발바닥 전체에 걸쳐 각질이 두꺼워지며 굵으면 가루가 떨어지는 증상을 말하는데, 만성적인 난치성 무좀으로 발전되기가 쉽다.
한편, 무좀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균이 발등이나 발톱 등 신체 다른 부위로 침투하게 되어 손발톱 무좀 등으로 발전하는데,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5%, 전체 무좀환자의 20~30%가 손발톱 무좀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발톱 무좀은 발톱이나 손톱에 곰팡이 균이 감염되어 손발톱에 두터운 각화와 색깔변화를 일으키고 진행되면 손발톱이 부스러져 변형을 일으키는 증상을 말하는데, 특히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와 수영장이나 헬스장 찜질방등의 이용이 늘면서 무좀 진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되어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외에, 주로 발생하는 체부백선 중의 하나 중 사타구니 완선이 있는데, 주로 고온 다습한 피부 환경, 비만, 밀착된 옷과 피부와의 마찰이 주원인으로 작용해 무좀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면서 발생되며 발 무좀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내의를 갈아입으면서 발의 무좀균이 내의에 묻어서 올라오면서 주로 발생하며, 대부분 남자에게 발생하며 음낭, 엉덩이, 대퇴부까지 번지기도 한다. 주로 습한 여름에 상태가 악화되고 건조한 겨울에는 검은 착색만 남기고 주증상은 대부분 사라진다. 거의 양쪽 사타구니에서 발생하는데 시작은 고환이 닿는 부위에서 먼저 시작해서 양쪽 사타구니에 번지면서 나타나며, 사타구니의 침범 없이 고환이나 음경 치골부위에서 붉은 각질이 시작하기도 한다. 여자보다 남자에서 사타구니 완선이 월등히 잘 생기는 이유는 남자가 여자보다 밀폐된 옷을 더 많이 입고, 고환이 있어 사타구니가 더 밀폐되고 남자의 경우 발 무좀의 빈도가 더 높기 때문이다.
한편, 무좀은 발냄새와도 관련이 있다. 의학적으로 발냄새는 발바닥에 생기는 일종의 취한증(bromidrosis)으로서, 발바닥은 애크린 한선(eccrine gland)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다른 피부조직보다 땀이 많이 분비되는데, 이 때 발바닥에서 분비된 땀에 의해서 피부의 케라틴 조직이 뒤틀려지면서 세균과 진균류가 서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냄새가 발생한다. 이런 취한증은 발바닥에 가장 많이 발생하나 때로는 신체의 다른 부위인 간찰부 즉 살이 접히는 부위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발냄새는 주로 젊은 남자와 중년의 성인에게 많이 생기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인종 간의 차이나 성별의 차이는 없다. 발냄새는 계절과 상관없이 발생하는데, 발바닥의 땀이 체온이 올라가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긴장감에 의해 유발되기 때문이다. 또한, 발냄새가 날 것이라는 불안이 환자들로 하여금 더 긴장하게 만들어 발냄새를 악화시키고 사회활동의 위축으로까지 이어지는 스트레스성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무좀은 제대로 뿌리 뽑지 않으면 계속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 평생을 함께 살아야 하는 '반려 질병'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무좀은 보통 장마가 시작될 무렵에 갑자기 더 가려워진다. 무좀균이 가장 번식하기 쉬운 환경은 37℃의 온도, 적당한 습기, 영양분 등인데, 여름철은 이같은 조건들을 모두 갖추고 있어 여름이면 무좀균이 왕성하게 번식하고 기승을 부리게 된다. 그러나 무좀균은 겨울철에도 피부에 달라붙어 있으며, 다만 활동이 약화될 뿐 습하고 따뜻한 환경에서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하던 균이 겨울에는 잘 번식할 수 없어 피부 속에 숨어지낸다.
Harrison, P.V. 등(Clin. Exp. Dermatol. 17, 467, 1992)에 의하면 무좀은 어린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에게서 잘 나타나며, 선진국 성인 인구의 10~15%가 무좀을 갖고 있거나 감염 경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무좀이라고 하면 예전에는 중년 남성에게 많은 병이었지만 근래에는 여성, 특히, 여고생 등의 젊은 여성에게도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는 남녀노소 모두 사회활동이 활발해져 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져 무좀이 번성할 환경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무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좀 원인균을 죽이거나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주로 사용되는 치료제는 바르는 항진균제를 들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면서도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바르는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완치가 어렵고, 적어도 수주 이상 도포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는 먹는 항진균제가 있는데, 상기 치료제들의 효과는 바르는 약에 비하여 좋은 편이나 간독성, 신독성 등의 부작용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투여에 주의하여야 한다. 무좀 치료시, 각질 연화제를 함께 사용하여 무좀균이 살고 있는 각질을 탈락시키거나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하여 스테로이드 제제를 겸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항진균제와 살리실산 등이 처방된 외용액제, 연고, 스프레이 등이 이미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기도 하다.
시판중인 무좀약의 주요성분은 테르비나핀과 클로트리마졸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테르비나핀은 살균효과가 뛰어나 단시간에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클로트리마졸은 살균보다는 균의 증식을 막아 서서히 치료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클로트리마졸을 이용시 치료 기간이 길기는 하지만, 훼손된 피부를 복원시키는 데는 테르비나핀을 사용하는 제품에 비해 강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약물들은 크림타입이나 연고타입으로 주로 제조되며, 하지만 각질이 심하게 일어나면서 굳은 살처럼 딱딱해지는 증상에 사용하기에 좋다. 그러나, 진물이 나는 증상의 무좀이나, 무좀과 함께 피부병이나 습진 등이 발생하면서 일어난 2차 감염, 또는, 손발톱 무좀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약물로는 잘 낫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광범위 피부질환 치료제의 성분은 무좀균을 죽이는 성분 외에도 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부신 피질 호르몬제가 들어있어 논란이 있기도 하였다.
한편, 무좀은 대개의 경우 치료 후에 겉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도 재발되어 꾸준히 치료하지 않으면 완치가 어렵기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안전성 및 무좀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타입의 무좀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피마자유(castor oil, 麻子油)는 피마자(Ricinus communis)의 종자를 압착하여 얻는 지방유로, 아주까리 기름이라고도 한다. 피마자유에는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리놀레산(linolenic acid),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hydroxystearic acid), 트리리놀레인(trilinolein), 디리시놀레인(diricinolein), 모노리시놀레인(monoricinolein),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른 지방유와 달리 알코올에 녹는 성질이 있다. 피마자유는 주로 하제(下劑)로서 복용하기도 하고 살진균제로도 이용되기도 한다. 화상치료 효과가 있으며, 탁월한 해열효과를 갖는다. 또한, 중이염에서 염증으로 인한 고름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늑막염, 복막염, 복수, 신장염, 각기병 등에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실온에서는 굳지 않아, 윤활유, 전기절연용, 인조피혁, 타이프라이터 잉크 등으로 사용된다. 피마자유는 종자 속에 약 45% 함유되어 있다. 피마자의 종자에는 독성이 있지만, 압착하여 얻은 기름에는 없으며, 독성은 짜고 남은 찌꺼기에 남는다. 피마자유는 담황색으로 약간 점성이 있고, 간유(肝油)처럼 특이한 냄새가 강한데, 대부분 다른 지방유와 달리 알코올에 녹는다. 피마자유를 하제로 이용할 시에는 1회당 10~20㎖를 복용하며, 피마자유를 마셨다고 해서 복통을 일으키는 일은 거의 없다. 피마자유는 냄새·맛·뒷맛이 모두 나쁘고 복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오렌지유·박하유 등을 각 0.5% 가하여 가향(加香) 피마자유로서 사용한다. 또한 의약품 외에도 윤활유·로드유 제조용, 포마드·전기절연용·인조피혁·타이프라이터잉크·브레이크 오일의 제조, 카본지(紙)·구두약 등의 원료나 특수한 도료(塗料)의 원료유로도 사용된다.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은 피마자유의 활성 화합물로서, 항균, 소취, 살진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무좀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피마자 기름과 운데실렌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트리코피톤 루브럼(Trichophyton rubrum , KCTC 6345),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Microsporum canis, KCTC 6348),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등에 관한 항진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0742호 및 미국등록특허 제7186416호에는 운데실렌산이 무좀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500577호, 미국등록특허 제7186416호에는 피마자유가 무좀 치료용 양말의 치료약제 구성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운데실렌산과 피마자유를 모두 포함하거나,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피마자유가 포함된 무좀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해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0742호 (항진균성 펩티도미메틱, 2006.02.02) 한국등록특허 제530940호 (흡습,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바인더 페이스트 및 상기바인더 페이스트가 도포된 무좀 억제기능을 갖는 양말, 2005.11.18) 한국등록특허 제500577호 (흡습,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바인더 페이스트 및 상기 바인더 페이스트가 도포된 무좀 억제기능을 갖는 은 이온 참숯 양말, 2005.07.01) 한국등록특허 제500583호 (흡습,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바인더 페이스트 및 상기 바인더 페이스트가 도포된 무좀 억제기능을 갖는 은 이온 황토 양말, 2005.07.01) 미국등록특허 제7186416호 (Foam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 disorder, 2007.03.06) 한국공개특허 제1989-0000647호 (무좀 방지용 비누의 제조방법, 1989.03.16)
Harrison, P.V. et al., Non-specific alteration of skin reactivity., Clin. Exp. Dermatol. 17, 467, 1992.
본 발명의 목적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0.5~2 중량%, 운데실렌산 7~11 중량%, 프로필알코올 30~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5~35 중량% 및 물 15~3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을 이용하여 pH가 6.0~6.5로 조절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좀은 트리코피톤 루브럼(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Microsporum canis)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진균류로부터 유도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단계) 피마자(Ricinus communis의 씨앗) 분쇄물을 노르말 헥산과 혼합하여 15~27℃에서 교반하는 단계;
(2단계) 상기 교반물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남은 추출액을 중탕을 이용한 감압농축법으로 노르말 헥산을 분리한 후 남은 피마자유를 수거하는 단계; 및,
(3단계) 상기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0.5~2 중량%, 운데실렌산 7~11 중량%, 프로필알코올 30~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5~35 중량% 및 물 15~35 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단계에서 혼합물의 교반 시,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을 이용하여 pH를 6.0~6.5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피마자 분쇄물을 노르말 헥산으로 추출하여 피마자 분쇄물 중량의 25~45 중량%에 해당되는 피마자유를 수득할 수 있다.
피마자 분쇄물에 노르말 헥산은 피마자 중량대비 2~20배(w/v)가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3단계의 혼합물은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전체 조성물이 맑고 투명한 상태의 용액 상태로 골고루 혼합된다.
이 때, 트리에탄올아민은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의 혼합을 위한 중화제로서 사용되며, 이 외에도, 조성물 내에서 계면활성제와 세정제 및 방충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눈 주위처럼 자극이 약한 곳에 도포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좀과 같은 피부 진균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액상 타입의 피부 도포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스프레이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패치제 등으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정제, 소독제 등의 첨가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제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생리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의 1.0~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무좀 증상의 중한 정도 및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는 고온고압의 압착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피마자에 비해 항진균 활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우수한 항진균 효과를 통해 발과 손에 발생하는 무좀, 사타구니 주변의 완선, 손톱 또는 발톱에 생기는 조갑백선(손발톱무좀), 머리에 생기는 두부백선, 몸통에 생기는 체부백선 등의 각종 다양한 무좀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1의 조성물의 항진균 효과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여지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1의 조성물의 항진균 효과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여지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기 위해, 또한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피마자(Ricinus communis의 씨앗) 1kg을 1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노르말 헥산 10ℓ과 혼합하고 25℃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씨앗 고형분을 제거하고 남은 추출액을 중탕법을 이용한 감압농축을 하여 노르말 헥산을 분리하였으며(분리된 기체상태의 노르말 헥산은 응축시켜 회수함), 노르말 헥산이 모두 분리된 피마자유 307g을 별도로 수거하였다.
이 후, 상기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으로 상기 혼합액의 pH를 6.0~6.5로 조절하여 본 발명의 무좀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109749748-pat00001
< 비교예 1. 비교대상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각 조성물의 구성성분은 하기 표 2에 개시된 중량을 참고하여 제조하였다(운데실렌산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1-1은 pH 조절을 하지 않음).
Figure 112012109749748-pat00002
< 실험예 1. 항진균 효과 확인>
한국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으로부터 트리코피톤 루브럼(Trichophyton rubrum , KCTC 6345),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Microsporum canis, KCTC 6348),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4종을 분양받으며 이들의 생육저해활성은 여지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먼저 40g의 덱스트로스(dextrose) 및 10g의 펩톤(peptone)을 혼합하여 총 1ℓ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가열 및 멸균하여 SDB(Saboraud dextrose broth) 배지를 준비하였고, 동일한 조성에 15g의 아가(agar)를 추가하여(40g 덱스트로스, 10g 펩톤, 아가 15g, 물 혼합하여 총 1ℓ) SDA(Saboraud dextrose agar)를 준비하였다. 이 후, 분양받은 균주를 상기 SDB 배지에 접종하여 28℃에서 7일간 호기배양하였고(단, 칸디다 알비칸스는 1일 배양), 각 배양액 1㎖과 연우무(soft agar, 0.7%) 2㎖을 골고루 혼합하여 SDA 배지에 도말하였다. SDA 배지에 접종한 후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10, 20 및 50㎕씩 처리한 여지(paper disc)를 각 균이 접종된 배지에 올려놓고 28℃에서 14일간 호기배양하였다(단, 칸디다 알비칸스는 1일 배양). 항진균 활성은 여지 주위에 형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크기를 보고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각 조성물로 인해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10㎜ 이상으로 나타난 경우를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건

paper disc에
도포된 용량(㎕)
저지환의 크기 (㎜)
트리코피톤
루브럼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 칸디다
알비칸스

실시예 1-1
10 ++++ ++ ++ ++
20 +++++ +++ +++ ++
50 ++++++ +++++ ++++ ++++

실시예 1-2
10 +++ ++ ++ ++++
20 ++++ ++ ++++ +++++
50 +++++ ++++ ++++ +++++

실시예 1-3
10 +++ ++ ++ +++
20 ++++ +++ ++ ++++
50 +++++ +++ ++++ +++++

실시예 1-4
10 +++ +++ ++ +++
20 +++ ++++ ++ +++
50 ++++ ++++ ++++ ++++

실시예 1-5
10 ++ ++ +++ ++
20 ++++ +++ ++++ +++
50 ++++ ++++ ++++ +++++

비교예 1-1
10 + + + +
20 + + + +
50 ++ + + +

비교예 1-2
10 + + + +
20 + + + +
50 + + + +

비교예 1-3
10 + + + +
20 + + + +
50 + ++ + ++

비교예 1-4
10 + + + +
20 ++ + + +
50 +++ ++ ++ +

비교예 1-5
10 + + + +
20 + ++ + +
50 ++ ++ +++ ++
10㎜ 이하 : +, 10~14㎜ : ++, 15~19㎜ : +++
20~24 : ++++, 25~30 : +++++, 30㎜ 이상 : ++++++
표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들은 모두 트리코피톤 루브럼,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저지환 크기가 10㎜ 이상으로써, 항진균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의 조성물은 각 진균에 대한 저지환 크기가 이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 항진균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무좀 치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 군별로 7명의 무좀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발에 바르게 한 후, 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게 하였으며, 하루에 1회식 각 조성물을 재도포하였다. 처음 도포한 날로부터 3일 후, 각 환자들의 무좀 치료 효과를 치료 전의 결과와 비교한 표 4의 ‘무좀 증상 지수’를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무좀 환자들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양방병원에서 무좀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었으며, 남녀노소를 모두 포함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였고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무좀 증상 지수
1점: 발냄새, 각질생성, 가려움증이 심함, 치료 전과 변화 없음
2점: 치료 전에 비해 발냄새, 각질생성, 가려움증이 20% 정도 줄어듦
3점: 치료 전에 비해 발냄새, 각질생성, 가려움증이 50% 정도 줄어듦
4점: 치료 전에 비해 발냄새, 각질생성, 가려움증이 80% 정도 줄어듦
5점: 치료 전에 비해 발냄새, 각질생성, 가려움증이 완전히 사라짐
조건 무좀 증상 지수 평균값
실시예 1-1 4.7
실시예 1-2 4.6
실시예 1-3 4.5
실시예 1-4 4.3
실시예 1-5 4.1
비교예 1-1 1.7
비교예 1-2 1.3
비교예 1-3 2.2
비교예 1-4 2.5
비교예 1-5 2.6
비교예 1-6 3.2
비교예 1-7 3.3
대조군(비도포군) 1.0
상기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무좀 치료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운데실렌산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1-1의 조성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가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1-2의 조성물의 치료효과는 매우 낮았으며,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대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압착 피마자유를 사용한 조성물의 치료효과도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데실렌산이나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가 모두 포함된다 할지라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함량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그 효과가 역시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6 및 비교예 1-7은 각각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알코올이 없는 조성물인데, 이 성분들이 포함되지 않아도 항진균효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1처럼 이 2가지 조성물이 모두 포함되어야만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진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이는 프로필렌글리콜이나 프로필알코올이 피부도포효과를 증진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예상되었다.

Claims (6)

  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0.5~2 중량%, 운데실렌산 7~11 중량%, 프로필알코올 30~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5~35 중량% 및 물 15~3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을 이용하여 pH가 6.0~6.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좀은 트리코피톤 루브럼(Trichophyton rubrum),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마이크로스포럼 카니스(Microsporum canis)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진균류로부터 유도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1단계) 피마자 분쇄물을 노르말 헥산과 혼합하여 15~27℃에서 교반하는 단계;
    (2단계) 상기 교반물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남은 추출액을 중탕을 이용한 감압농축법으로 노르말 헥산을 분리한 후 남은 피마자유를 수거하는 단계; 및,
    (3단계) 상기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0.5~2 중량%, 운데실렌산 7~11 중량%, 프로필알코올 30~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5~35 중량% 및 물 15~35 중량%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혼합물의 교반 시,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을 이용하여 pH를 6.0~6.5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0158436A 2012-12-31 2012-12-3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8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436A KR101281470B1 (ko) 2012-12-31 2012-12-3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CT/KR2013/010516 WO2014104577A1 (ko) 2012-12-31 2013-11-19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436A KR101281470B1 (ko) 2012-12-31 2012-12-3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470B1 true KR101281470B1 (ko) 2013-07-03

Family

ID=4899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436A KR101281470B1 (ko) 2012-12-31 2012-12-31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1470B1 (ko)
WO (1) WO201410457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7905A (zh) * 2015-07-22 2015-10-28 唐玲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外用洗剂及其制备方法
CN104997918A (zh) * 2015-07-17 2015-10-28 柳培健 一种治疗脚癣的中药组合物
KR101575603B1 (ko) 2014-07-15 2015-12-14 이은지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N105343716A (zh) * 2015-11-28 2016-02-24 史克勇 足癣治疗药物
US20210069141A1 (en) * 2014-01-24 2021-03-11 Kyoto University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rare fatty ac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8007A (zh) * 2015-07-21 2015-10-28 卢秀花 一种治疗生殖器念珠菌的中药熏洗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324A (ko) * 1998-03-31 2001-05-25 차알스 제이. 메츠 손발톱 및 피부 질환의 국소 치료용 산성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045A (ko) * 2003-04-16 2004-10-22 바이오존 주식회사 분무형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BRPI1006826A2 (pt) * 2009-01-08 2017-08-15 Allergan Inc Composições para melhorar o crescimento de unh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324A (ko) * 1998-03-31 2001-05-25 차알스 제이. 메츠 손발톱 및 피부 질환의 국소 치료용 산성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태경화공, 자료실, 정보마당, 2008년 4월 22일. *
태경화공, 자료실, 정보마당, 2008년 4월 22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9141A1 (en) * 2014-01-24 2021-03-11 Kyoto University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rare fatty acid
KR101575603B1 (ko) 2014-07-15 2015-12-14 이은지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N104997918A (zh) * 2015-07-17 2015-10-28 柳培健 一种治疗脚癣的中药组合物
CN104997905A (zh) * 2015-07-22 2015-10-28 唐玲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外用洗剂及其制备方法
CN105343716A (zh) * 2015-11-28 2016-02-24 史克勇 足癣治疗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577A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70B1 (ko) 피마자를 헥산으로 추출한 피마자유, 운데실렌산, 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물을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976636B2 (ja) 止痒性組成物及び創傷治癒促進組成物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EA018425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дезинфицирующий или консервирующий экстракт пажитника сенного (trigonella foenum-graecum),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а
JP2008517052A (ja) 花菅とたらの木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6073354B2 (ja) 防腐力に優れた皮膚外用剤組成物
Devi et al. Wild medicinal plants in the hill of Manipur, India: a traditional therapeutic potential
KR100682979B1 (ko)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WO1993023061A1 (en) Therapeutic uses of pungent botanical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CN107496792A (zh) 一种消炎抗菌治疗灰指甲的凝胶剂及其制备方法
KR102059513B1 (ko) 애엽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3432049B (zh) 一种具有除臭作用的组合物
JPS62126128A (ja) 抗菌剤
KR102411576B1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Firdaus et al. Dermatophytosis (Qooba) a misnomer infection and its management in modern and unani perspective-A comparative review
CN109758562B (zh) 莪术复合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CN104473799B (zh) 一种三七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947756A (zh) 七味解毒活血药物组合配方及其制备工艺和用途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6590233B1 (ja) 皮膚疾患治療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3717B1 (ko) 땀 악취증 증상 개선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06038399A (zh) 一种消炎防皲裂除臭的脚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