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395B1 -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395B1
KR101281395B1 KR1020060130947A KR20060130947A KR101281395B1 KR 101281395 B1 KR101281395 B1 KR 101281395B1 KR 1020060130947 A KR1020060130947 A KR 1020060130947A KR 20060130947 A KR20060130947 A KR 20060130947A KR 101281395 B1 KR101281395 B1 KR 10128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urrent
voltage
puls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639A (ko
Inventor
찰스 엘. 빈
레이몬드 디. 진
Original Assignee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6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PFM-형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펄스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조절되지 않은 전압을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 전환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는 조절된 출력 전압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떨어지는 경우 제 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고, 이로써 조절된 출력 전압을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유지한다. 펄스 제어 회로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를 검출하고 응답으로 제 1 트랜지스터를 완전히 온 상태로 하는 소정 지속기간을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전압은 조절된 출력 전압을 최대 목표 전압 레벨로 리프레쉬하는 인덕터 전류의 증가로 전환된다. 펄스 신호가 종료되는 경우, 조절된 출력 전압은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떨어지기 시작하고, 사이클은 반복된다.

Description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 레귤레이터{PULSE FREQUENCY MODULATED VOLTAGE REGULATOR WITH LINEAR REGULATOR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화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도 1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의 동작 동안 생성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시간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01 : 입력 노드
103 : 출력 노드 105 : 그라운드 노드
107 : 피드백 노드 110 : 전압 제어 회로
111, 121 : 트랜지스터 112 : 노드
113 : 인덕터 117 : 쇼트키 다이오드
119 : 커패시터 120 :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
123 : LDO 제어 회로 130 : PFM 제어 회로
132 : 전류 감지 회로 137 : 펄스 생성기
140 : 피드백 회로
본 발명은 전압 레귤레이터 및, 상세하게는 펄스-주파수-변조(PFM : pulse-frequency-modulated) 스위칭형 전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선형 레귤레이터는 배터리 전압과 같이 조절되지 않은(unregulated) 전압을 바람직한 값의 조절된(regulated) DC 출력 전압으로 전환하는 잘 알려진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이다.
LDO(low dropout: 낮은 드롭아웃) 레귤레이터로도 지칭되는 선형 레귤레이터는 제어 회로, 및 조절되지 않은 전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선형 스위치(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출력 단자에서 조절된 DC 출력 전압을 피드백 신호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선형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하여, 스위치의 컨덕턴스(conductance)가 바람직한 DC 출력 전압 레벨을 생성하도록 조절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조절되지 않은 전압과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스위치(트랜지스터) 및 인덕터, 필터 커패시터, 및 오실레이터-기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오실레이터-기반 제어 회로는 시변 제어 신호를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하고, 이에 의해 스위치가 온되어 조절되지 않은 전압을 짧은 펄스로 인덕터로 전달한다. 이들 펄스는 인덕터가 그 자계에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하며, 이것은 조절되지 않은 DC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필터 커패시터는 펄스 사이에서 조절된 DC 출력 전압을 평활하여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조절된 DC 출력 전압은 오실레이터-기반 제어 회로로 피드백되며, 제어회로는 피드백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오실레이터 출력을 제어하여, 스위치 듀티 사이클이 바람직하게 조절된 DC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오실레이터 제어의 형태에 의해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레귤레이터 또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레귤레이터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PWM 레귤레이터는 고정된 주파수 및 가변 펄스 폭을 갖는 펄스 열(train)을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PFM 레귤레이터는 고정된 펄스 폭 및 가변 펄스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제어 회로를 사용한다. 어느 쪽이든, 트랜지스터의 듀티 사이클은 조절된 출력 전압이 원하는 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피드백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또한 조절되지 않은 전압을 상향 전환하는지(부스트(boost) 또는 스텝-업(step-up) 구성), 조절되지 않은 전압을 하향 전환하는지(버크(buck) 또는 스텝-다운(step-down) 구성), 또는 조절되지 않은 전압을 반전하는지(버크-부스트 또는 반전 구성) 여부에 의해 분류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선형 레귤레이터보다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되나, 일반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훨씬 더 시끄럽다. 선형 레귤레이터는 선형 스위치가 항상 부분적으로 온되어 있기 때문에(통전 상태) 매우 매끄러운 출력 전압을 제공하나, 선형 스위치에 걸리는 큰 전압 차 때문에 전력을 낭비한다. 반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 트랜지스터는 완전히 온되거나 또는 완전히 오프되는 것 중의 하나이다.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완전 온 상태, 즉 포화 상태 또는 포화 상태 근처에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는 높은 효율의 스위치이고, 스위치를 통한 소비 전력은 최소가 된다. 그러나, 부하가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 증가된 전류 요구에 즉시 맞추는 선형 전압 레귤레이터와 달리, 스위칭형의 레귤레이터는 인덕터를 통한 전류가 시간에 따라 즉시 변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연을 겪을 수 있다. 추가로, 스위칭 레귤레이터 주위의 제어 시스템은 인덕터에 적절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는데 선형 시스템보다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선형 전압 레귤레이터의 원활하고, 빠르게 응답하는 출력 전압과 스위칭형의 전압 레귤레이터의 높은 효율을 결합한 전압 레귤레이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끈하고, 빠르게 응답하는 출력 전압과 높은 효율을 제공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조절된 출력 전압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떨어지는 경우에만 동작되는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 및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의 동작을 검출하고, 조절된 출력 전압이 최소 목표 전압에 도달하는 시간마다 소정 최대 목표 전압 레벨로 조절된 출력 전압을 리프레쉬하는 펄스 제어 회로를 이용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조절된 출력 전압이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 도달할 때만 출력 전류를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 내에 흐르게 함으로써, 및 조절된 출력 전압이 펄스 제어 회로에 의해 상승될 때마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가 자연적으로 그 출력 전류를 제거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일반적인 선형 레귤레이터의 빠른 전이 특성과 스위칭형 전압 레귤레이터의 고효율 특성을 성공적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과 조절된 출력 전압 사이의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된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펄스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인덕터와 평행으로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는 연속적으로 온(on)인 선형 제어 전압을 생성하나, 조절된 출력 전압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까지 떨어질 때마다 제 2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동작하는 선형 제어 회로를 또한 포함한다. 선형 제어 전압은 펄스 제어 회로가 제 1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킬 때까지 조절된 출력 전압을 소정 최소 목표 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전류를 제공하도록 제 2 트랜지스터를 제어한다. 추가로, 펄스 제어 회로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검출된 전류에 응답하여 제 1 트랜지스터로 펄스 신호를 전송한다. 펄스 신호는 소정 지속기간(시간 간격) 동안 제 1 트랜지스터를 완전히 온 상태로 하고, 이로써 조절된 출력 전압을 상승시키는 인덕터 전류의 급격한 상승(ramp)을 유발시킨다. 전압의 증가량은 입력과 출력 전압 사이의 차이(VIN-VOUT), 인덕턴스, 제 1 스위치가 온 상태인 시간, 및 인덕터 전류의 량에 비례한다. 소정 지속기간의 끝에서, 펄스 신호는 소멸되어 제 1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커패시터에 저장된 출력 전압은 인가된 부하에 응답하여 떨어지기 시작한다. 출력 전압이 다시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떨어지는 경우, 사이클은 반복된다. 이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의 효율은 부하 전류가 제 2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일반적인 선형 레귤레이터에 비해 대폭 증가하며, 따라서 선형 레귤레이터와 연관된 높은 손실을 회피하고, 심지어 "순수한(pure)"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와 연관된 효율에 근접한다. 즉,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가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해 부하 전류를 전도하는 유일한 시간은 제 2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의 검출 및 펄스 신호의 발생과 트랜지스터의 후속 활성화 사이의 지연기간 동안이고, 특히 인가된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를 유입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동작시간을 만든다. 추가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선형 전압 회로가 제 2 트랜지스터를 흐르는 전류의 검출 및 펄스 신호의 발생과 제 1 트랜지스터의 후속 활성화 사이의 지연 기간 동안 필요한 부하 전류를 제공하기 때문에 "순수한(pure)" 스위칭형 전압 레귤레이터와 연관된 노이즈 문제를 회피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측면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첨부된 도면에 대해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결되는(coupled)", "연결되는(connected)", "스위칭되는(switched)"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용어 "연결되는(connected)"은 예컨대, 일반적인 집적 회로 제조 기술에 따라 형성된 금속 라인을 통해, 2개의 회로 구성요소 사이의 직접 연결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반면, 용어 "연결된(coupled)"은 2개의 회로 구성요소 사이의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중의 어느 하나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2개의 연결된(coupled) 구성요소는 금속 라인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개재하는(intervening) 회로 구성요소(예컨대, 커패시터, 저항기, 인덕터, 또는 트랜지스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스위칭된(switched)"은 큰 게이트-소스 전압(Vgs)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고, 낮은 값 저항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입력 노드(101)에서 수신되는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VIN)을 출력 노드(103)에 제공되는 조절된 출력 전압(VOUT)으로 전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는 일반적으로 전압 제어 회로(110),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 및 PFM 제어 회로(130)(펄스 제어회로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는 인가된 부하(저항(RLOAD)으로 표시)로부터 또는 피드백 회로(140)(피드백 저항(R1 및 R2)으로 표시)로부터 분리된 독립된 구성요소(즉, 반도체 "칩" 상에 형성된)이다. 이러한 독립된 실시예에서 그라운드 노드(105) 및 선택적 피드백 노드(107)와 함께, 입력 노드(101) 및 출력 노드(103)는 칩을 수용하는 패키지 구조상에 제공된 장치 핀 또는 다른 단자 구조체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는 부하 및 피드백 회로와 함께 단일 칩 상에 제조되는 더 큰 장치(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 노드(10) 및 출력 노드(103)가 더 큰 회로의 내부 노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집적회로 장치의 이들 더 넓은 분류 중의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것을 의도한다.
전압 제어 회로(110)는 일반적으로, PFM 제어 회로(130)와 연결되어 동작하여 PFM-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즉, 입력 노드(101)와 인덕터(113) 사이에서 소정 지속기간(duration)을 갖는 주기적 전류를 생성하는) (제 1) 트랜지스터(예컨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11), 인덕터(113), 쇼트키 다이오드(117)(또는 스위치) 및 커패시터(119)를 포함한다. 스위치(111) 및 인덕터(113)는 입력 노드(101)와 출력 노드(103) 사이의 노드(112)를 경유하여 직렬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단자는 PFM 제어 회로(130)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생성된 펄스 신호(VPFM)를 수신하도록 연결된다(coupled). 스위치(111)의 크기와 펄스 신호(VPFM)의 레벨은, 펄스 신호(VPFM)가 게이트 (제어) 단자에 인가될 때마다 트랜지스터(111)가 스위칭 되고, 이로써 트랜지스터(111)가 펄스 신호(VPFM)가 나타내는 시간(지속기간) 동안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VIN)을 노드(112)로 연결시키도록(couple) 설정된다. 그러므로, 인덕터(113)에서 전압 차이(VIN-VOUT)가 나타나고, 인덕터 전류의 급격한 증가(ramp increase)를 초래하여 출력 핀(103) 상의 전압에서 관련된 증가를 생성한다. 출력 노드(103)와 그라운드 노드(105)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119)는 펄스 신호(VPFM)가 나타나는 동안 인덕터(113)에 의해 제공된 전하를 저장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는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서 출력 노드(103)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선형 레귤레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나, 선형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 입력 노드(101)와 출력 노드(103) 사이의 출력 전류(ILDO)만을 전도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는 입력 노드(101)와 출력 노드(103) 사이에(즉, 트랜지스터(111) 및 인덕터(113)에 의해 형성된 전류 경로와 평행인)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단자를 갖는 출력 (제 2) 트랜지스터(121), 및 선형 기준 전압(VREF)와 피드백 신호(VFB)를 비교하고, 선형 기준(VLDO) 전압과 피드백 신호(VFB)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선형 제어 신호(VLDO)를 생성하는 선형(LDO) 제어 회로(123)를 포함한다. 선형 기준 전압(VREF) 및 피드백 신호(VFB)는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생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만 트랜지스터(121)가 전류(ILDO)를 전도하도록, 트랜지스터(121)는 제조되고, 선형 제어 신호(VLDO), 선형 기준 전압 신호(VREF) 및 피드백 신호(VFB)가 생성된다. 즉,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보다 높은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는 비전도 상태(non-conductive state)로 트랜지스터(121)를 제어한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인 동안,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는 제어한다(즉, 전압 레벨에서 생성되어 트랜지스터(121)를 통해 입력 노드(101)와 출력 노드(103) 사이에서 전류(ILDO)가 흐르도록 트랜지스터(121)를 온 상태로 하는 전압 레벨의 선형 제어 신호(VLDO)가 생성된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20)가 활성화되는 경우(제어 동작 중) 트랜지스터(121)에 의해 출력 노드(103)에 흐르는 전류(ILDO)의 양은 부하 전류와 인덕터(113)의 나머지 전류 사이의 차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PFM 제어 회로(130)는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 내 전류 전도를 검출하고(즉, 0이 아닌(non-zero) 전류(ILDO)가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를 흐르는 경우), 및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가 동작하는 동안 펄스 신호(VPFM)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PFM 제어 회로(130)는, 실제로 전류(ILDO)(즉, 트랜지스터(121)를 통한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ILDO)와 소정 최소 기준 전류(IREF)를 비교하고, 및 전류(ILDO)가 소정 최소 전류(IREF)를 초과하는 경우 펄스 제어 신호(VPC)를 생성하는 전류 감지 회로(13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최소 기준 전류(IREF)는 실질적으로 제로 암페어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즉, 임의의 검출된 전류는 펄스 제어 신호(VPC)의 생성을 유발한다). 펄스 제어 신호(VPC)는, 펄스 제어 신호(VPC)에 응답하여 소정 지속기간 동안 펄스 신호(VPFM)를 나타내는 펄스 생성기(137)(예컨대, 원-샷(one-shot) 회로)에 공급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펄스 신호(VPFM)은 트랜지스터(11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고, 내부 노드(112)에서의 전압을 본래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VIN)까지 증가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111)를 완전히 온시키는 소정 고정된 지속 기간을 갖는다.
도 2a ~ 도 2d는 전압 레귤레이터(100)의 동작 동안 생성되는 예시적인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도면이다. 도 2a는 가정적으로 인가된 부하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103)에서 생성되는 예시적인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을 나타낸다. 도 2b,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도 2a의 예시적인 조절된 출력 전압과 함께 생성되는 트랜지스터(121)를 통한 전류(ILDO), 펄스 제어 신호(VPC), 및 펄스 신호(VPFM)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시간(t0)과 시간(t6)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대적으로 가볍게 인가된 부하에 응답하여 전압 레귤레이터(100)의 동작을 나타내고, 시간(t7)과 시간(t12)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대적으로 무겁게 인가된 부하에 응답하여 전압 레귤레이터(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a의 좌측을 참조하면, 출력 노드(103)에서 생성되고 커패시터(119)(도 1)에 의해 저장된 전하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인가된 부하에 의해 시간(t0)와 시간(t1) 사이에서 점차로 소모되고, 따라서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VT-MIN)을 향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VT-MIN)에 도달하는 경우(예컨대, 도 2a의 시간 t1에서), 피드백 신호(VFB)는 선형 기준 전압 신호(VREF) 이하로 떨어져, LDO 제어 회로(123)가 트랜지스터(121)(도 2b에 도시됨)를 통해 전류(ILDO)를 전도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최소 노이즈가 발생하는 최소 목표 전압(VT-MIN)에서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의 저하가 중단된다. 일반적인 선형 레귤레이터에서 이용되는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선형 제어 신호(VLDO)가 트랜지스터(121)를 통하는 전류(ILDO)가 인가된 부하에 의해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압 레벨에서 생성되고, 이로써 출력 노드(103)가 최소 목표 전압(VT-MIN)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류(ILDO)는 소정 최소 전류(IREF) 이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도 2b의 시간(t1) 직후), 전류 감지 회로(132)는 펄스 제어 신호(VPC)를 나타낸다(도 2c의 시간(t1) 직후). 간단한 스위칭 지연(도 2d의 지연) 이후에, 펄스 제어 신호(VPC)의 나타남에 응답하여, 펄스 생성기(137)는 트랜지스터(111)를 온시키는 펄스 신호(VPFM)(도 2d에서 시간(t2))를 나타낸다. 도 2d의 지연 기간의 길이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임의로 선택됨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으로의 트랜지스터(111)의 결과적인 이동은 인덕터(113)에 의한 인덕터 전류의 증가로 전환되고 출력 노드(103)를 끌어올려(pullup),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을 상기 최소 목표 전압(VT-MIN) 이상으로 증가시킨다(도 2a의 시간(t2)). 출력 전압의 최소 목표 전압(VT-MIN) 이상으로의 증가는, 선형 제어 하에서 전류(ILDO)를 소정 최소 전류(IREF) 이하로 떨어지게 하는(도 2b의 시간(t2) 직후) LDO 제어 회로(123)에 의해 검출된다. 펄스 제어 신호(VPC)의 발현은 비교기가 최소 임계치를 초과하는 순간(도 2c의 시간(t2) 직후)에 에지-트리거된다. 도 2d를 다시 참조하면, 펄스 신호(VPFM)는 소정 지속기간(D) 동안 발현 상태로 있으며,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을 최소 목표 전압 레벨(VT-MAX)로 유지한다. 시간(t3)에서, 펄스신호(VPFM)는 사라지고,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은 다시 그 최고 레벨로부터 기울어지기 시작한다.
일반적인 PFM-형태 스위칭 레귤레이터와 유사하게, 고정된-지속기간 필스 신호(VPFM)가 생성되는 주파수는 인가된 부하에 의해 결정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가볍게 인가된 부하는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시간(도 2a의 시간(t4))에서 최소 목표 전압(VT-MIN)으로 떨어지게 하고, 그래서 전류(ILDO)가 트랜지스터(121)를 통해 다시 흐르게 하며(도 2b의 시간(t4)), 펄스 제어 신호(VPC)를 다시 나타내며(도 2c의 시간(t4) 직후), 이것은 다음에 펄스 제어 신호(VPC)를 다시 나타낸다(도 2d의 시간(t5)).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부하에 응답하여, 펄스 신호(VPFM)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f1)에서 나타난다(도 2d에 도시됨). 반대로, 도 2a ~ 도 2d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하는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이 (예컨대, 도 2b의 시간(t7)과 시간(t8) 사이 및 시간(t10)과 시간(t11)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소 목표 전압(VT-MIN)으로 떨어지게 하고, 이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트랜지스터(121)를 흐르는 전류(ILDO)(도 2b) 및 펄스 제어 신호(VPC)(도 2c)를 생성하며, 이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f2)(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생 시간(t9) 및 시간(t12) 사이에서 측정됨)에서 펄스 신호(VPFM)가 나타나게 한다. 또한, 조절된 출력 전압(VOUT)을 더 빠른 속도로 하강시키는 것에 더해서, 무겁게 인가된 부하는 트랜지스터(121)(도 2b)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ILDO)를 유입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는 일반적인 선형 전압 레귤레이터 방법을 이용하여 부하 요구에 맞추기 위해 전류(ILDO)를 조절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의 효율은 부하 전류가 선형 레귤레이터(120)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양의 시간 때문에 선형 레귤레이터보다 크게 증가되고, 따라서 선형 레귤레이터와 연관된 높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심지어 "순수한(pure)" 스위칭 전압 레귤레이터와 관련된 효율에 접근한다. 즉,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120)가 트랜지스터(121)를 흐르는 부하 전류를 전도하는 시간은 오직 전류(ILDO)의 검출 및 펄스 신호(VPFM)의 나타남과 트랜지스터(111)의 다음 활성화 사이의 지연기간 동안이며, 이것은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부하가 가벼운 경우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동작시간을 만든다.
추가로,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는, 선형 전압 회로(120)가 전류(ILDO)의 검출 및 펄스 신호(VPFM)의 나타남과 트랜지스터(111)의 다음 활성화 사이의 지연 기간 동안 필요한 부하 전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순수한(pure)" 스위칭 형태 전압 레귤레이터와 연관된 낮은 전압 노이즈 문제를 피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의 부분들과 유사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의 부분들은 같은 참조 부호로 일치된다(예컨대,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100)의 트랜지스터(121)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에서 PMOS 트랜지스터(221)에 의해 나타난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의 전압 제어부는 쇼트키 다이오드(117)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211) 및 정류기 회로(217)의 사용에 의해 특징된다. PMOS 트랜지스터(211)는 낮은 온-저항(on-resistance) 때문에 바람직한 트랜지스터이다. 정류기 회로(217)는 동기식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즉, 전압 레귤레이터(100)는 비동기식 구성으로 나타난다. 동기식 구성은 PFM 제어 회로(230)에 의해 생성된 선택적인 동기식 동작 제어 신호(VSYNCH)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정류기 회로(217)에 NMOS 트랜지스터(도시 안됨)를 제공함으로써 알려진 기술에 따라 실행된다. 동작 동안, 원-샷 회로 및 PFM 제어 회로(230)의 타임-아웃 기간이 PMOS 트랜지스터(211)를 차단한 후, 쇼트키 다이오드(117)를 순환하는 결과적인 전류 대신에, 알려진 기술에 따라 PFM 제어 회로(230)에 의해 활성화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순환된다.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220)는 또한 PMOS 트랜지스터(221)의 사용에 의해 특징되고, 비교기(22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선형 제어 신호(VLDO)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PFM 제어 회로(230)는 실질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작하는 전류 감지 회로(232) 및 펄스 생성기(237)를 포함한다. 전류 감지 회로(232)는 저항성 센서(233), 전류 비교기(234), 및 (제 3) PMOS 트랜지스터(235)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235)는 입력 노드(201)와 출력 노드(203) 사이의 PMOS 트랜지스터(221)와 평행으로 연결되고, 선형 제어 신호(VLDO)에 의해 제어된다. 선형 제어 신호(VLDO)가 생성되어 PMOS 트랜지스터(221 및 235)를 통해 전류(ILDO)를 생성하는 경우 저항성 센서(233)는 전류 검출 신호(VI-LDO)를 생성한다. 비교기(234)는 전류 검출 신호(VI-LDO)와 소정 기준 신호(VI--REF)를 비교하고, 전류 검출 신호(VI-LDO)가 소정 기준 신호(VI-LDO)가 소정 기준 신호(VI--REF) 보다 큰 경우 펄스 제어 신호(VPC)를 생성한다. 펄스 제어 신호(VPC)는, 펄스 제어 신호(VPC)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소정 지속기간) 동안 펄스 신호(VPFM)을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237)에 제공된 원-샷 회로(238)에 인가된다.
상기 실시예는 비동기식 구성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이오드 회로(217)가 PFM 제어 회로(230)에 의해 제어되는 NMOS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알려진 기술에 따라 동기식 구성이 구현된다. 원-샷 회로 및 PFM 제어 회로(230)의 타임-아웃 기간 후, 쇼트키 다이오드(117)를 통해 순환하는 생성된 전류 대신에, 알려진 기술에 따라 PFM 제어 회로(230)에 의해 작동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순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300)를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와 일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300)의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식별된다.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300)는, 그것이 펄스 폭 변조(PWM) 제어 회로(360) 및 펄스 신호 선택 회로(37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200)와 다르다. PWM 제어 회로(360)는 알려진 기술에 따라 펄스 폭 변조 제어 신호(VPWM)를 생성하고, 펄스 신호 선택 회로(370)는 인가된 부하("인가된 부하 조건")의 전류 수요를 판정하고, 인가된 부하 조건에 응답하여 PWM 제어 신호(VPWM) 및 펄스 신호(VPFM) 중의 하나를 트랜지스터(211)의 게이트 단자로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펄스 신호(VPFM)는 전류 부하가 100mA 이하인 경우 펄스 신호 선택 회로(370)에 의해 트랜지스터(211)로 전송되고, PWM 제어 신호(VPWM)는 전류 부하가 100mA보다 큰 경우 펄스 신호 선택 회로(370)에 의해 트랜지스터(211)로 전송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특징이 모든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에 또한 적용가능한 것은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인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끈하고, 빠르게 응답하는 출력 전압과 높은 효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입력 노드에서 수신되는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을 출력 노드에서 제공되는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 전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단자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로서, 상기 출력 노드에서 제공된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입력 노드로부터 상기 출력 노드로 제 1 전류를 통과시켜, 상기 제 1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최소 목표 전압 레벨로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와,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해 상기 제 1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출된 제 1 전류에 응답하여 소정 지속기간을 갖는 펄스 신호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펄스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는,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단자,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2 단자, 및 게이트 단자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선형 기준 전압과 피드백 신호를 비교하고, 및 상기 선형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신호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선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제어 신호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컨덕턴스(conductance)는 상기 선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제 1 전류는 상기 선형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상기 선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포화된 동작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크기가 조절된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어 회로는,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전류가 소정 최소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펄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감지 회로와,
    상기 펄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레귤레이터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전류 검출 신호와 소정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및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상기 소정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펄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1 단자,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단자, 및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회로와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를 갖는 제 3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1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 회로는 원-샷(one-shot)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전계 효과(field-effect)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제어 회로는 충분한 레벨에서 상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상기 소정 지속기간 동안 상기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와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와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PWM : pulse-width modulate)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PWM 제어 신호 및 상기 펄스 신호 중의 하나를, 인가되는 부하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단자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3. 입력 노드에서 수신되는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을 출력 노드에서 제공되는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 전환하여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을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단자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 2 단자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상기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가 되어, 상기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 사이의 제 1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서 유지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상기 제 1 전류를 전도하도록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선형 제어 수단과,
    상기 선형 제어 수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전류를 전도하게 하여 상기 출력 노드에 제공된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제 2 전류에 의해 상기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위로 승압되는 경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제 2 전류를 전도하도록 제어하는 펄스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한 상기 제 1 전류가 소정 최소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펄스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전류 감지 수단과,
    상기 펄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수단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는 상기 제 1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소정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펄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수단은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1 단자,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2 단자,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는 게이트 단자를 갖는 제 3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 1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8. 제 14 항에 있어서,
    펄스폭 변조(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PWM 제어 신호 및 상기 펄스 신호 중의 하나를, 인가되는 부하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단자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와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20. 입력 노드에서 수신되는 조절되지 않은 입력 전압을 출력 노드에서 제공되는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 전환하여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와,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상기 소정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이하가 되어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제 1 전류가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최소 목표 전압 레벨에서 유지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제 1 전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상기 인덕터와 평행으로 배열되는 선형 레귤레이터 수단과,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 수단이 상기 제 1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노드에 제공된 상기 조절된 출력 전압이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인덕터 사이의 제 2 전류에 의해 상기 최소 목표 전압 레벨 위로 승압되는 경우, 소정 지속기간 동안 상기 제 2 전류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KR1020060130947A 2005-12-21 2006-12-20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레귤레이터 KR101281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16,470 2005-12-21
US11/316,470 US7230408B1 (en) 2005-12-21 2005-12-21 Pulse frequency modulated voltage regulator with linear regulato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639A KR20070067639A (ko) 2007-06-28
KR101281395B1 true KR101281395B1 (ko) 2013-07-02

Family

ID=3796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947A KR101281395B1 (ko) 2005-12-21 2006-12-20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0408B1 (ko)
EP (1) EP1801959A3 (ko)
JP (1) JP2007174893A (ko)
KR (1) KR101281395B1 (ko)
CN (1) CN101018018B (ko)
HK (1) HK1106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4458B2 (en) * 2006-03-08 2008-08-19 Faraday Technology Corp. Power gating circuit of a signal processing system
TWI398157B (zh) * 2006-08-11 2013-06-01 Hon Hai Prec Ind Co Ltd 影像邊界掃描系統及方法
US7508179B2 (en) * 2006-11-06 2009-03-24 Micrel, Incorporated Dual input prioritized LDO regulator
US7859236B2 (en) 2007-05-25 2010-12-28 Micrel, Inc. Voltage regulation system
US7436159B1 (en) * 2008-03-31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ound power supply
US8129962B2 (en) * 2008-08-15 2012-03-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clamping
US20100060078A1 (en) * 2008-09-08 2010-03-11 Micrel, Incorporated Dual Input LDO Regulator With Controlled Transition Between Power Supplies
TWI385510B (zh) * 2008-12-31 2013-02-11 Asustek Comp Inc 自動調整驅動器輸入電源之裝置
US8536840B2 (en) * 2009-03-17 2013-09-17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US8618784B2 (en) * 2009-04-10 2013-12-3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gulator control circuits, switching regulators,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switching regulators
US9000745B2 (en) * 2009-04-10 2015-04-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253397B2 (en) * 2009-06-18 2012-08-28 Analog Devices, Inc. Switching converters with efficiently-controlled mode transitions
US8427123B2 (en) * 2009-07-08 2013-04-2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ition between pulse width modulation and pulse-frequency modulation in a switch mode power supply
US8451628B2 (en) 2010-04-01 2013-05-28 Analog Devices, Inc. Switching converter systems with isolating digital feedback loops
US8957651B2 (en) * 2010-12-06 2015-02-1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User-configurable, efficiency-optimizing, power/energy conversio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a seri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8593123B2 (en) 2010-12-27 2013-11-26 Analog Devices, Inc. Switching voltage regulators with hysteretic control for enhanced mode-transition speed and stability
US8890493B2 (en) 2010-12-29 2014-11-18 Tacettin Isik Highly simplified switching regulator which allows very high switching frequencies
US8614567B2 (en) 2011-01-05 2013-12-24 Analog Devices, Inc. Voltage regulator structures and methods with bootstrapped bias capacitor
US8552706B2 (en) 2011-03-29 2013-10-08 Analog Devices, Inc. Stability methods and structures for current-mode DC-DC voltage converters
US8587283B2 (en) 2011-04-20 2013-11-19 Analog Devices, Inc. DC-DC voltage converter system with a high-efficiency pulse-skip operational mode
TWI465011B (zh) * 2011-06-02 2014-12-11 Richtek Technology Corp Pwm電壓調節器的控制電路及方法
US9531270B2 (en) * 2011-07-11 2016-12-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method
US8988054B2 (en) * 2011-12-27 2015-03-24 St-Ericsson Sa Single feedback loop for parallel architecture buck converter—LDO regulator
US9577523B2 (en) * 2012-03-01 2017-02-21 Intel Corporation Dual mode voltage regulator with reconfiguration capability
KR101387300B1 (ko) * 2012-04-23 2014-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위상 마진 보상 수단을 갖는 ldo 및 그를 이용한 위상 마진 보상 방법
TWI548193B (zh) * 2012-05-11 2016-09-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於電子裝置之省電方法以及相關省電電路
US9847718B2 (en) * 2014-08-04 2017-12-19 Ferric,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power converter with high bandwidth
US11197374B2 (en) 2012-09-11 2021-12-07 Ferric Inc. Integrated switched inductor power converter having first and second powertrain phases
US11116081B2 (en) 2012-09-11 2021-09-07 Ferric Inc. Laminated magnetic core inductor with magnetic flux closure path parallel to easy axes of magnetization of magnetic layers
US11064610B2 (en) 2012-09-11 2021-07-13 Ferric Inc. Laminated magnetic core inductor with insulating and interface layers
US10244633B2 (en) * 2012-09-11 2019-03-26 Ferric Inc. Integrated switched inductor power converter
US11058001B2 (en) 2012-09-11 2021-07-06 Ferric Inc. Integrated circuit with laminated magnetic core inductor and magnetic flux closure layer
US10893609B2 (en) 2012-09-11 2021-01-12 Ferric Inc. Integrated circuit with laminated magnetic core inductor including a ferromagnetic alloy
US9071138B2 (en) * 2013-04-12 2015-06-30 Adaptive Digital Power, Inc. Adaptive digital pulse width modulation generator for buck converters
US10320290B2 (en) * 2013-08-09 2019-06-11 Microsemi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with switching and low dropout modes
KR101919625B1 (ko) * 2013-08-23 2018-11-1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전류제어 모드 dc-dc 컨버터
TWI501064B (zh) * 2014-01-21 2015-09-21 Celestica Technology Consultancy Shanghai Co Ltd 混成供電架構
US9515556B2 (en) * 2014-04-28 2016-12-06 Intersil Americas LLC Current pulse count control in a voltage regulator
US11302469B2 (en) 2014-06-23 2022-04-12 Ferric Inc. Method for fabricating inductors with deposition-induced magnetically-anisotropic cores
US10629357B2 (en) 2014-06-23 2020-04-21 Ferric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agnetic core inductors with biased permeability
US10270337B2 (en) * 2015-05-25 2019-04-23 Apple Inc. Dynamic integration based current limiting for power converters
CN109565239B (zh) * 2016-03-19 2021-08-06 川斯普公司 时域和频域信号调节装置、电路布置及制造该装置的方法
KR102521718B1 (ko) * 2016-11-01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전원 변조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JP6951198B2 (ja) * 2016-12-13 2021-10-20 ローム株式会社 非絶縁型の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
US10230301B2 (en) * 2016-12-13 2019-03-12 Rohm Co. Ltd. Non-isolated DC/DC converter
US10768646B2 (en) * 2017-03-09 2020-09-0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Low dropout regul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474174B2 (en) * 2017-04-04 2019-11-12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supply generator
US9985521B1 (en) * 2017-04-13 2018-05-29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Voltage system
US10218254B1 (en) * 2017-12-13 2019-02-26 Nxp Usa, Inc. Switching power supp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10872640B2 (en) 2018-08-31 2020-12-22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ive voltage dividers coupled to voltage regulators
US11703897B2 (en) * 2020-03-05 2023-07-18 Stmicroelectronics S.R.L. LDO overshoot protection in a cascaded architecture
US11929673B2 (en) 2021-10-29 2024-03-12 Ferric Inc. Two-stage voltage converters for microprocess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132A (en) * 1994-02-25 1996-06-18 Maxim Integrated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witching regulator light load efficiency
US5592072A (en) 1995-01-24 1997-01-07 Dell Usa, L.P. High performance dual section voltage regul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126A (ja) * 1995-05-30 1997-05-27 Linear Technol Corp 適応スイッチ回路、適応出力回路、制御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圧レギュレータを動作させる方法
US5705919A (en) * 1996-09-30 1998-01-0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Low drop-out switching regulator architecture
US6057607A (en) * 1999-07-16 2000-05-02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in multi-output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JP2005086931A (ja) * 2003-09-10 2005-03-31 Renesas Technolog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半導体集積回路
US7071665B2 (en) * 2003-11-25 2006-07-04 Aimtron Technology Corp. Method of reducing a ripple of a heavy loading pulse frequency modulated voltage regulator
US6972548B2 (en) * 2003-11-25 2005-12-06 Aimtron Technology Corp. Pulse frequency modulated voltage regulator capable of prolonging a minimum off-time
WO2005085969A1 (en) * 2004-02-05 2005-09-15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A dc/dc voltage regulator with automatic current sensing selectability for linear and switch mode operation utilizing a single voltage refer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132A (en) * 1994-02-25 1996-06-18 Maxim Integrated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witching regulator light load efficiency
US5592072A (en) 1995-01-24 1997-01-07 Dell Usa, L.P. High performance dual section voltage 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639A (ko) 2007-06-28
US7230408B1 (en) 2007-06-12
JP2007174893A (ja) 2007-07-05
CN101018018B (zh) 2012-05-02
EP1801959A3 (en) 2008-03-12
US20070139025A1 (en) 2007-06-21
HK1106624A1 (en) 2008-03-14
EP1801959A2 (en) 2007-06-27
CN101018018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395B1 (ko)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를 갖는 펄스 주파수 변조 전압레귤레이터
US7812585B2 (en) Advanced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regulators
US7714556B2 (en) Quick response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019497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non-constant frequency switching regulators with a phase locked loop
US5568044A (en) Voltage regulator that operates in either PWM or PFM mode
TWI424673B (zh) 用於同步昇壓轉換器之同步整流器控制系統及方法
US7764057B2 (en) Constant-on-time switching power supply with virtual ripple feedbac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7135841B1 (en) Emulated inductor current automatic correction without knowledge of actual inductor current ramp for emulated peak control mode PWM
US912417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mooth light load operation in a DC/DC converter
US7982447B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having improved transient response
US7932709B1 (en) Stable high efficiency step-up voltage regulator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and ultra low output voltage ripple
US9979301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TW201411995A (zh) 用於電源變換系統的電壓和電流控制的系統和方法
CN108512538B (zh) 功率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TW200838110A (en) Adaptive leading edge blanking circuit of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US10411601B2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entering skip at a fixed output power in a light load condition independent of magnetizing inductance
CN111106747B (zh) 操作降压型的开关模式电源的方法和对应的开关模式电源
US9069366B2 (en) Switching regulator
US8884600B2 (en) Average inductor current control using variable reference voltage
US11784568B2 (en) Low quiescent current buck converter with direct feedback
TWI497252B (zh) 用於積體電路的適應性偏壓及功率轉換器
TWI555319B (zh) 採用適應性閘偏壓技術之單一電感多輸出電源轉換器
CN103259406A (zh) 具有内部调节的导通时间的集成开关
US10243464B2 (en) Power regulator with prevention of inductor current reversal
JP2014112996A (ja) 軽負荷検出回路、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