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889B1 -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 Google Patents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889B1
KR101280889B1 KR1020110139915A KR20110139915A KR101280889B1 KR 101280889 B1 KR101280889 B1 KR 101280889B1 KR 1020110139915 A KR1020110139915 A KR 1020110139915A KR 20110139915 A KR20110139915 A KR 20110139915A KR 101280889 B1 KR101280889 B1 KR 10128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connection
connector
cylinder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63B23/58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with tackle engaging or release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63B23/60Additional connections between boat and dav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구명정 연결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은, 구명정에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제1연결부 및 선박에 구비되는 구명정 대빗의 상기 구명정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됨에 따라 전부와 후부가 상기 제1연결부에 걸리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구명정을 지지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Life Boat Connecting Unit and Life Boat Dav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명정을 구명정 대빗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부 사이에서 제2연결부가 회전됨으로써 구명정을 구명정 대빗에 연결시킬 수 있는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비상 시 승무원 또는 승객의 탈출을 위해 구명정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명정은 비사용 시에는 선박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명정 대빗(Davit)에 고정되며, 이후 비상 시 구난자가 탑승한 후 안전핀 또는 안전라인 등을 해제하고 서스펜션 체인(Suspension Chain)을 하강시켜 해수면에 띄우게 된다.
도 1 및 도2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구명정 및 구명정 대빗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 1은 구명정 대빗에 구명정이 연결된 모습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이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B)은 서스펜션 체인(20)에 의해 구명정 대빗(30)에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구명정 대빗(30)은 이후 작동 시 구명정(B)을 해수면에 띄우게 된다. 이때, 서스펜션 체인(20)과 구명정(B)의 연결 부분에는, 서스펜션 체인(20)과 구명정(B)을 서로 탈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10)가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연결구(10)의 자세한 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B) 측에 구비된 연결구(10)의 몸체(12)에는 서스펜션 체인(20)의 끝부분에 구비된 연결고리(22)에 연결할 수 있도록 후크(1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크(14)는 연결구(10)의 몸체(12) 내외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연결고리(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리 형태의 연결구(10)는 그 구조 상 마모가 쉽게 발생하며, 수상에서 선박의 운동에 따른 부가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조선소에서 구명정(B)을 설치하고 시험하는 과정에서도 연결구(10)가 파손되어 구명정(B)이 낙하함에 따라 인명 피해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항해 중에도 선원들의 훈련을 위해 정기적으로 구명정(B) 탑승 훈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구(10)의 상태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명정과 구명정 대빗 사이의 연결유닛이 외력에 의해 쉽게 마모, 파손되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간편한 연결 방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명정에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제1연결부 및 선박에 구비되는 구명정 대빗의 상기 구명정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됨에 따라 전부와 후부가 상기 제1연결부에 걸리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구명정을 지지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의 좌우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며, 전후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의 전부 및 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하게 돌출된 조작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회전 시 상기 조작레버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전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후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단부에는 제1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 중 상기 제1고정구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명정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결유닛의 어느 특정 부분에만 구명정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아니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상면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분산되므로 안정적으로 구명정을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연결유닛의 마모, 파손이 최소화되어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유닛의 파손에 따른 인명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유닛은 제2연결부의 회전만으로 간단히 구명정을 지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신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명정 및 구명정 대빗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구명정 및 구명정 대빗의 모습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구명정과 구명정 대빗의 연결 부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구명정 및 구명정 대빗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한 쌍의 제1연결부 사이에 제2연결부가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제2연결부가 회전되어 전부와 후부가 수용공간의 상면에 걸리도록 수용공간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한 쌍의 제1연결부 사이에 제2연결부가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제2연결부가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 의해 회전되어 전부와 후부가 수용공간의 상면에 걸리도록 수용공간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구명정(B)과 구명정 대빗(130)이 서로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정(B)과 구명정 대빗(130)은 서로 제1연결부(110) 및 제2연결부(1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11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연결구(10)의 몸체(12)와 같이 구명정(B)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의 연결고리(22)가 구명정 대빗(130)에 구비된 서스펜션 체인(20) 끝부분에 형성된 것과 같이, 제2연결부(122)는 구명정 대빗(130) 측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승하강부재(120)에 연결된다.
상기 승하강부재(120)란 구명정(B)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명정 대빗(130)에 구비되며, 제1실시예의 경우 승하강부재(120)는 와이어(120)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는 승하강부재(120)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중 선택된 예시로서, 제1실시예와 달리 승하강부재(120)는 스트링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서스펜션 체인(20)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에 있어서, 도 4의 A 부분에 도시된 제1연결부(110) 및 제2연결부(122)의 자세한 모습이 도시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10)는 구명정 측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구명정에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부(11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 있어 좌, 우라 함은 한 쌍의 제1연결부(110)가 서로 이격된 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가까운 쪽에 위치된 제1연결부(110b)는 이하 우측 제1연결부(110b)라 칭하며, 먼 쪽에 위치된 제1연결부(110a)는 이하 좌측 제1연결부(110a)라 칭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좌측 제1연결부(110a) 및 우측 제1연결부(110b) 사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은 전, 후 방향이 될 것이다.
한 쌍의 제1연결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특히 수용공간(S)의 일측면은 개방된다. 제1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10)는 전체적으로 각 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마주보는 면은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연결부(110)는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마주보는 면 외에도 하면이 더 개방된 상태이나, 제1연결부(110)는 하부가 구명정에 고정되므로, 개방된 하면은 구명정에 의해 차폐된다. 즉, 각 제1연결부(110)는 구명정에 고정 시 서로 마주보는 면만이 개방된다.
그리고,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2연결부(122)의 규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는 이후 제2연결부(122)에 대한 설명 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또한, 제1실시에에서는 제1연결부(110)의 각 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이는 제한된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의 형상 역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2연결부(122)는 구명정 대빗 측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상면이 승하강부재(120)에 연결된다. 상기 승하강부재(120)란 구명정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명정 대빗에 구비되며, 와이어, 스트링, 체인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승하강부재(120)는 와이어(120)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제2연결부(122)의 좌우 길이는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후 길이는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연결부(122)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것이다.
이상으로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2)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2)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살펴보면,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 사이에 제2연결부(122)가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22)의 좌우 길이는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이와 같이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 사이에 무리 없이 끼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살펴보면, 제2연결부(122)가 약 90도 정도 회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연결부(122)의 전부 및 후부는 각각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의 수용공간(S)에 삽입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22)의 전후 길이는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이 제2연결부(122)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승하강부재(120)로 제2연결부(122)를 상승시킨다고 하더라도 제2연결부(122)의 상면은 제1연결부(110)의 수용공간(S) 상면에 걸리게 되므로,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2)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은 제2연결부(122)를 좌측 제1연결부(110a)와 우측 제1연결부(110b) 사이에 위치시킨 뒤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구명정과 구명정 대빗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후크 형태의 연결구에 비해 어느 특정 부분에만 구명정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아니며, 제1연결부(110) 및 제2연결부(122) 상면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분산되므로 안정적으로 구명정을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연결유닛의 마모, 파손이 최소화되어 수명이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제2연결부(122)의 높이는 수용공간(S)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연결부(122)가 수용공간(S) 내에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제2연결부(122)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서는, 제2연결부(122)의 후부에 돌출된 조작레버(124)가 구비된다. 즉, 조작레버(124)를 잡아 조작하여 제2연결부(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122)가 제1연결부(110) 내부의 수용공간(S)에 삽입될 경우에도 조작레버(124)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조작레버(124)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연결부(110)의 측벽에는 조작레버(124)가 이동할 수 있는 슬릿 형태의 이동경로(112)가 형성된다.
즉, 제1연결부(110)의 바깥쪽에서 조작레버(124)를 잡고 제1연결부(110)의 이동경로(112)를 따라 제2연결부(122)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조작레버(124)가 제2연결부(122)의 후부에만 형성되고, 이동경로(112) 역시 우측 제1연결부(110b)에만 형성된다. 하지만, 이는 제한된 것이 아니며, 조작레버(124)는 제2연결부(122)의 전부 및 후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조작레버(124)의 이동경로(112)가 제2연결부(122)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좌측 제1연결부(110a)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명정 연결유닛이 도시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부(210), 제2연결부(222), 승하강부재(220)는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조작레버(124) 대신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가 구비되는 것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는 제1연결부(210)의 수용공간(S)에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제2연결부(222)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실린더(250a)는 제2연결부(222)의 전부를 밀어 회전시키며, 제2실린더(250b)는 제2연결부(222)의 후부를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즉, 효율적으로 제2연결부(222)를 회전시키기 위해 한 쌍의 제1연결부(2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실린더(250a)가 하나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제2실린더(250b)가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한된 것이 아니며, 어느 한 측의 수용공간(S)에만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는 유압 또는 공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명정이 큰 하중을 갖는 경우에도 제2연결부(22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가 제2연결부(222)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의 길이가 증가되어 제2연결부(222)를 밀어 회전시킨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와 제2연결부(222) 간의 연결을 위해,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의 단부에는 제1고정구(251)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222) 중 상기 제1고정구(25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고정구(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된 제2고정구(2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구(251) 및 상기 제2고정구(223)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실시예에서 제2고정구(223)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며, 제1고정구(251)는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제2연결부(222)를 좌측 제1연결부(210a)와 우측 제1연결부(210b)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고정구(251)를 제2고정구(223)에 끼워 넣음으로써 제2연결부(222)는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구(251)와 제2고정구(223)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제1고정구(251)의 후크는 하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제2연결부(222)를 좌측 제1연결부(210a)와 우측 제1연결부(210b) 사이로 하향시키는 작업만으로 제1고정구(251)와 제2고정구(223)가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연결부(222)를 밀어 회전시킨 이후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의 길이를 감소시킬 경우, 제2연결부(22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222)가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구(251)와 제2고정구(223)가 서로 결합된 지점의 회전 반경은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가 직선 운동만을 수행할 경우 제2연결부(222)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힌지(252)가 더 구비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52)는 좌측 제1연결부(210a)와 우측 제1연결부(210b)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실린더(250a) 및 제2실린더(250b)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고정구(251)와 제2고정구(223)가 서로 결합된 지점의 회전 반경이 변화된다고 하더라도 제2연결부(222)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통해 제2연결부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제2연결부의 회전 방식은 이외에도 승하강부재(120)의 형태에 따라 승하강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연결부(122)를 함께 회전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제1연결부
112: 이동경로
120: 승하강부재
122: 제2연결부
124: 조작레버
S: 수용공간

Claims (7)

  1. 구명정에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제1연결부; 및
    선박에 구비되는 구명정 대빗의 상기 구명정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 사이에서 회전됨에 따라 전부와 후부가 상기 제1연결부에 걸리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구명정을 지지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는 구명정 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의 좌우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며, 전후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구명정 연결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의 전부 및 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하게 돌출된 조작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회전 시 상기 조작레버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가 형성된 구명정 연결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전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공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연결부의 후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된 구명정 연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단부에는 제1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 중 상기 제1고정구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고정구가 형성된 구명정 연결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구명정 연결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구명정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KR1020110139915A 2011-12-22 2011-12-22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KR10128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15A KR101280889B1 (ko) 2011-12-22 2011-12-22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15A KR101280889B1 (ko) 2011-12-22 2011-12-22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889B1 true KR101280889B1 (ko) 2013-07-02

Family

ID=4899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15A KR101280889B1 (ko) 2011-12-22 2011-12-22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155A (zh) * 2020-12-09 2021-02-26 中船绿洲镇江船舶辅机有限公司 一种双平行四边形四连杆机构小艇收放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795U (ko) * 1987-05-27 1988-12-06
JP2010505691A (ja) 2006-10-05 2010-02-25 サバイバル システム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救命ボート吊り下げ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795U (ko) * 1987-05-27 1988-12-06
JP2010505691A (ja) 2006-10-05 2010-02-25 サバイバル システム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救命ボート吊り下げ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155A (zh) * 2020-12-09 2021-02-26 中船绿洲镇江船舶辅机有限公司 一种双平行四边形四连杆机构小艇收放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3730C (en) Mooring chain connector assembly for a floating device
JP6154367B2 (ja) インターロック付フック解放構造および救命艇一斉離脱装置
KR20060089730A (ko) 일체형 체인 스토퍼를 갖는 페어리드
US20120216736A1 (en) Disconnectable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or reconnecting it
KR101356617B1 (ko)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BRPI0503250B1 (pt) pinos de reboque
BR112020007331A2 (pt) sistema de conexão para conectar uma linha de amarração a um corpo, e, método para conectar uma linha de amarração a um corpo.
KR101280889B1 (ko) 구명정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정 대빗
US20160002873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ongate element in a stretch of water, and associated device and installation
US20200130782A1 (en) Mooring apparatus
KR20150031028A (ko) 헬리데크를 이용한 비상탈출시스템
KR20120036938A (ko) 커플링
KR20160039022A (ko) 구명정용 대빗장치
ITTO20091014A1 (it) Sistema per il sollevamento e l'ammaino di una lancia di salvataggio munito di dispositivo anticaduta
KR20150116059A (ko)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US2899924A (en) Anchor boom assembly
NO20140671A1 (no) Frikoblings- og festesystem for livbåter
KR20160003411A (ko)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US10745086B2 (en) Mooring connector assembly
KR20140004211U (ko) 선박용 줄사다리 홀딩장치
KR20120058262A (ko) 병렬 계류장치
EP3181440A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1359524B1 (ko) 캐니스터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2346A (ko) 인양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그의 인양방법
KR101788335B1 (ko) 잠수함 긴급부상설비 설치 장치 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