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861B1 -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861B1
KR101280861B1 KR1020120056405A KR20120056405A KR101280861B1 KR 101280861 B1 KR101280861 B1 KR 101280861B1 KR 1020120056405 A KR1020120056405 A KR 1020120056405A KR 20120056405 A KR20120056405 A KR 20120056405A KR 101280861 B1 KR101280861 B1 KR 10128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tank
support rod
along
brush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형
유극상
정태종
설동명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왕복 이동하며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과 접촉하여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쇄파기; 및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과 상기 쇄파기를 양 단에 연결하여 상기 지지봉이 수평 이동함에 따라 상기 쇄파기를 수직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breake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owing tank}
본 발명은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인수조는 큰 규모의 직사각형 수조의 평행한 두 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예인전차가 설치된 수조로 각종 해양 환경과 선박 운항 상태를 모사하여 실험을 하는데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예인전차에 선박 모형을 매달아 일정한 속도로 예인하여 선박의 항주 조건을 모사하거나 한 쪽 끝에 파도를 만들어내는 조파기를 설치하여 해양의 파도를 모사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예인수조에서 행해지는 거의 모든 실험은 필연적으로 수면의 교란을 일으키게 되고 수면이 안정된 뒤에 다시 실험을 수행하여야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예인수조에서는 수면파의 에너지를 빨리 감쇄시켜 실험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실험이 끝난 뒤에는 쇄파기를 사용하여 수면파를 깨뜨린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44945호에 소개된 예인수조 시험용 파고 계측장치는 파고의 변위에 따라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제공하는 프로우브 및 도체선을 센서로 이용하여 마이콤에서 간단히 파고량으로 환산할 수 있도록 하여 예인수조의 파고 측정 특성시의 직선성 및 응답성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예인수조의 파고는 계측할 수 있으나, 실험 후 발생되는 수면의 교란은 신속하게 감쇄시키지 못하여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예인수조의 수면을 신속하게 안정시켜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왕복 이동하며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과 접촉하여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쇄파기; 및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과 상기 쇄파기를 양 단에 연결하여 상기 지지봉이 수평 이동함에 따라 상기 쇄파기를 수직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도르래 상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부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하는 유압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피스톤을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신장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미는 경우, 상기 쇄파기는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압축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당기는 경우, 상기 쇄파기는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지지봉이 안착되는 제 1홈; 및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제 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홈은 상기 제 1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쇄파기는 원통형 브러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은 유압 피스톤의 신장으로 지지봉을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밀어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브러쉬 하강 단계; 및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과 접촉시켜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수면파 감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 하강 단계는, 유압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유압 실린더 외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지지봉 전방 이동 공정; 및 상기 지지봉과 도르래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 길이는 감소시키고, 상기 도르래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 길이는 증가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브러쉬 하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은 상기 수면파 감쇄 단계 이후, 상기 유압 피스톤의 압축으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브러쉬 상승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 상승 단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지지봉 후방 이동 공정; 및 상기 지지봉과 도르래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 길이는 증가시키고, 상기 도르래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 길이는 감소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브러쉬 상승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예인수조의 수면을 신속하게 안정시켜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예인수조 내에서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더 많은 실험을 할 수 있어 예인수조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지지봉과 원통형 브러쉬의 연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도르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지지봉의 수평 이동으로 원통형 브러쉬가 수직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중 브러쉬 하강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중 브러쉬 상승 단계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대(100), 도르래(200), 지지봉(300), 쇄파기(400) 및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100)는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200)는 상기 지지대(100)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도르래(200)는 하나의 지지대(100)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르래(200)는 상기 지지대(100)와 동일하게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도르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르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홈(210) 및 상기 제 1홈(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홈(220)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 1홈(210)은 상기 지지봉(300)이 안착되고, 상기 제 2홈(220)은 상기 와이어(5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00)은 상기 도르래(2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봉(300)은 상기 도르래(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제 1홈(210)에 안착되어 상기 도르래(200) 상에서 수평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쇄파기(400)는 상기 지지봉(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300)의 수평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데, 상기 쇄파기(400)가 하강하여 상기 예인수조(800)의 수면과 접촉함으로써 수면파를 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쇄파기(400)는 원통형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와이어(500)가 연결되는 중심봉(410) 및 상기 중심봉(4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브러쉬(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브러쉬(420)는 상기 예인수조(800)의 수면과의 접촉면을 극대화하여 수면파의 운동에너지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수면파를 신속하게 감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지지봉과 원통형 브러쉬의 연결도이다.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00)과 와이어(500)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지지봉(300)과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양 단에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도르래(200) 상에서 수평 방향의 일 단은 상기 지지봉(300)에 연결되고 수직 방향의 타 단은 상기 중심봉(41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300)이 수평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수직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00)는 상기 도르래(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제 2홈(220)에 안착되어 상기 도르래(200)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에 포함된 지지봉의 수평 이동으로 원통형 브러쉬가 수직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00)이 수평 방향, 구체적으로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봉(300)과 도르래(500)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50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짧아지는 길이 만큼 수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지봉(300)이 수평 방향, 구체적으로 도 4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평 방향 와이어(50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길어지는 길이 만큼 수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브러쉬의 예인높이를 임의 조정함으로써 수면파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수면파를 감쇄시키거나 수면파와 비접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와이어(50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중심봉(410)과 상기 중심봉(410)에 연결된 와이어(500)는 그 연결 면적이 미소하여 상기 원통형 브러쉬가 수면에 접촉하는 경우 그 접촉면이 감소되지 않으므로 수면파의 쇄파 효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인수조(800)의 수면파를 감쇄시키기 위해 원통형 브러쉬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상기 와이어(500)에 의해서만 상승하거나 하강하므로 그 형상의 제한이 없이 다양한 형상의 브러쉬를 장착하여 수면파를 감쇄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도르래(200)는 외주연에 이중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3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홈(21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5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홈(22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지지봉(300)과 와이어(500)가 서로 간섭받지 않으며 이동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부(600) 및 유압 펌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부(600)는 상기 지지봉(30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도르래(200) 상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유압 실린더부(600)는 유압 실린더(610) 및 상기 유압 실린더(610)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하며 상기 지지봉(300)에 연결되는 유압 피스톤(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펌프(700)는 상기 유압 실린더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피스톤(620)을 상기 유압 실린더(610)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펌프(700)에 의해 상기 유압 피스톤(620)이 신장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610) 외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미는 경우,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유압 피스톤(620)이 압축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610)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당기는 경우,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 하강 단계(S10) 및 수면파 감쇄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 하강 단계(S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피스톤(620)의 신장으로 지지봉(300)을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밀어 파쇄기(400), 즉,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중 브러쉬 하강 단계의 블록도이다.
상기 브러쉬 하강 단계(S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 전방 이동 공정(S11) 및 브러쉬 하강 공정(S1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 전방 이동 공정(S11)은 유압 펌프(700)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620)이 유압 실린더(610) 외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브러쉬 하강 공정(S12)은 상기 지지봉(300)과 도르래(200)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500) 길이는 감소시키고, 상기 도르래(300)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500) 길이는 증가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수면파 감쇄 단계(S20)는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800)의 수면과 접촉시켜 상기 예인수조(800)의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면파 감쇄 단계(S20) 이후, 브러쉬 상승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상승 단계(S30)는 상기 유압 피스톤(620)의 압축으로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중 브러쉬 상승 단계의 블록도이다.
상기 브러쉬 상승 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 후방 이동 공정(S31) 및 브러쉬 상승 공정(S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 후방 이동 공정(S31)은 상기 유압 펌프(700)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620)이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610)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300)을 상기 예인수조(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브러쉬 상승 공정(S32)은 상기 지지봉(300)과 도르래(200)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500) 길이는 증가시키고, 상기 도르래(200)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500) 길이는 감소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8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공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수조의 수면을 신속하게 안정시켜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예인수조의 유휴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예인수조 내에서 더 많은 실험을 할 수 있어 예인수조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지지대 200:도르래
210:제 1홈 220:제 2홈
300:지지봉 400:쇄파기
410:중심봉 420:브러쉬
500:와이어 600:유압 실린더부
610:유압 실린더 620:유압 피스톤
700:유압 펌프 800:예인수조
S10:브러쉬 하강 단계
S11:지지봉 전방 이동 공정
S12:브러쉬 하강 공정
S20:수면파 감쇄 단계
S30:브러쉬 상승 단계
S31:지지봉 후방 이동 공정
S32:브러쉬 상승 공정

Claims (12)

  1.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왕복 이동하며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과 접촉하여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쇄파기; 및
    상기 도르래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과 상기 쇄파기를 양 단에 연결하여 상기 지지봉이 수평 이동함에 따라 상기 쇄파기를 수직 이동시키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도르래 상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부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하는 유압 피스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피스톤을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신장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미는 경우,
    상기 쇄파기는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압축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당기는 경우,
    상기 쇄파기는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는,
    상기 지지봉이 안착되는 제 1홈; 및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제 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홈은 상기 제 1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파기는 원통형 브러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브러쉬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중심봉; 및
    상기 중심봉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브러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9. 유압 피스톤의 신장으로 지지봉을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밀어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브러쉬 하강 단계; 및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과 접촉시켜 상기 예인수조의 수면파를 감쇄시키는 수면파 감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하강 단계는,
    유압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유압 실린더 외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지지봉 전방 이동 공정; 및
    상기 지지봉과 도르래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 길이는 감소시키고, 상기 도르래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 길이는 증가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하강시키는 브러쉬 하강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파 감쇄 단계 이후,
    상기 유압 피스톤의 압축으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브러쉬 상승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상승 단계는,
    상기 유압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유압 피스톤이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봉을 상기 예인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지지봉 후방 이동 공정; 및
    상기 지지봉과 도르래 사이의 수평 방향 와이어 길이는 증가시키고, 상기 도르래와 원통형 브러쉬 사이의 수직 방향 와이어 길이는 감소시키면서 상기 원통형 브러쉬를 상기 예인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 상승시키는 브러쉬 상승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수조용 쇄파 방법.
KR1020120056405A 2012-05-25 2012-05-25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KR10128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05A KR101280861B1 (ko) 2012-05-25 2012-05-25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05A KR101280861B1 (ko) 2012-05-25 2012-05-25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861B1 true KR101280861B1 (ko) 2013-07-02

Family

ID=4899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05A KR101280861B1 (ko) 2012-05-25 2012-05-25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98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삽입탈착형 소파장치
KR20160006999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승강형 소파장치
CN110203327A (zh) * 2019-05-31 2019-09-06 大连理工大学 一种码头兼靠船舶系泊物理模型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092B1 (ko) 1998-12-05 2002-02-19 박병권 수평형타공판을이용한소파장치
JP2004076328A (ja) 2002-08-13 2004-03-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底格納式消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092B1 (ko) 1998-12-05 2002-02-19 박병권 수평형타공판을이용한소파장치
JP2004076328A (ja) 2002-08-13 2004-03-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底格納式消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98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삽입탈착형 소파장치
KR20160006999A (ko) 2014-07-10 2016-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승강형 소파장치
CN110203327A (zh) * 2019-05-31 2019-09-06 大连理工大学 一种码头兼靠船舶系泊物理模型试验方法
CN110203327B (zh) * 2019-05-31 2021-03-19 大连理工大学 一种码头兼靠船舶系泊物理模型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861B1 (ko) 예인수조용 쇄파 장치 및 방법
CN103846999B (zh) 混合加压式振动成型机和成型方法
CN209825106U (zh) 一种升降式米粉松丝装置
CN204079376U (zh) 升降平台
CN203434295U (zh) 一种多散流臂的辐射状接地极
CN204718798U (zh) 一种地弹簧弹簧寿命模拟快速检测装置
CN206348421U (zh) 一种电缆连接器检验试验台
CN202015527U (zh) 排水液位控制装置
CN114098127A (zh) 一种米粉浸水搓散装置
CN204008346U (zh) 细钢丝绳折弯耐久性测试装置
CN204230172U (zh) 一种绝缘拉杆压装工装
CN203516038U (zh) 抽油泵平衡减载器
CN203545373U (zh) 电梯悬挂绳异常伸长检测装置
CN203024995U (zh) 液压抽油机试验台
CN205092506U (zh) 一种u型座的专用安装杆
CN211679441U (zh) 一种液压弯管机夹紧装置
CN206420909U (zh) 一种电容器耐压测试平台自动升降接线装置
CN203870074U (zh) 绝缘子单次激励装置
CN201662455U (zh) 抽油机测示功图装置
CN203606222U (zh) 抽油机负荷皮带试验台
CN104084909A (zh) 敲泵体空阀线夹具
CN211374347U (zh) 一种水利工程监理用混凝土强度测量装置
CN109781352B (zh) 一种发动机壳体的检漏装置
CN204330270U (zh) 一种座椅耐疲劳冲击测试装置
CN203926556U (zh) 挠性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