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413B1 -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 Google Patents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413B1
KR101280413B1 KR1020120106573A KR20120106573A KR101280413B1 KR 101280413 B1 KR101280413 B1 KR 101280413B1 KR 1020120106573 A KR1020120106573 A KR 1020120106573A KR 20120106573 A KR20120106573 A KR 20120106573A KR 101280413 B1 KR101280413 B1 KR 10128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s
cut
paint
roa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선주토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주토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주토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를 절삭하여 오목홈을 만들고 이 오목홈에 차선을 형성하는 차선 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장 장치는,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채워 넣는 도장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Vehicle for painting traffic lane having cutting load module}
본 발명은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절삭하여 오목홈을 만들고 이 오목홈에 차선을 형성하는 차선 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에 차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료를 도색한 후에 그 상면에 글라스비드를 융착식으로 도포하거나, 글라스비드가 혼입된 도료를 도색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이러한 방식은 도로의 표면에 도료가 도포되는 양각구조이므로 자동차 바퀴와의 마찰 등에 의하여 쉽게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양각구조 차선 도장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33932는 도로의 표면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부에 도료와 글라스비드를 채워 넣어 도색하여 자동차 바퀴와의 마찰에 의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는 음각구조 차선 도장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음각구조 차선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로에 오목한 홈을 형성해야 하는데, 도로의 일부 구간만을 파쇄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균일하게 파쇄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오목홈을 도로에 형성하는 공정을 매우 간략화할 수 있는, 도로 절삭용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음각구조 차선 도장 방식보다도 도료의 정착력이 향상되어 차선의 수명을 더욱 늘릴 수 있는, 도로 절삭용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절삭용 모듈의 수명이 향상되어 정비효율 및 운용성이 향상된, 도로 절삭용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은,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는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상기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를 갖는 도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커터의 두께는 상기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최우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의 우측면과 최좌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의 좌측면 사이의 거리는 120mm 이상 150mm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외주면에 교대로 형성된 메인 블레이드와 보조 블레이드을 갖고, 상기 메인 블레이드와 상기 보조 블레이드 사이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홈의 쐐기홈면과 메인 블레이드의 표면의 사이각(θ1)과 상기 쐐기홈의 쐐기홈면과 보조 블레이드의 표면의 사이각(θ2)은 둔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선 도장 차량은, 상기 커팅 모듈과 상기 도장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료의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오목홈 사이에 정착 입자를 살포하는 정착입자 살포기를 갖는 정착입자 살포 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볼 헤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오목홈을 도로에 형성하는 공정을 매우 간략화할 수 있다.
둘째, 종래의 음각구조 차선 도장 방식보다도 도료의 정착력이 향상되어 차선의 수명을 더욱 늘릴 수 있는, 도로 절삭용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도로 절삭용 모듈의 수명이 향상되어 정비효율 및 운용성이 향상된, 도로 절삭용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의 후면도이다.
도 4는 커팅 모듈에 구비된 전방 커터와 후방 커터의 사시도로서 도로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방 커터와 후방 커터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방 커터(또는 후방 커터)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이하, '차선 도장 차량'이라 함)은,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한 커팅 모듈(100)과, 커팅 모듈(100)에 의하여 커팅된 도로 표면 조각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모듈(200)과, 오목홈에 주입될 도료의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오목홈에 정착 입자를 살포할 수 있는 정착입자 살포 모듈(300)과,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채워 넣기 위한 도장 모듈(400)과, 도료에 반사 입자를 살포하는 반사입자 살포 모듈(500)을 구비한다.
상기 각 모듈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이 도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는 바퀴(30)가 설치된다.
커팅 모듈(100)은 도로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기 위하여, 디스크 형상의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과 디스크 형상의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방 커터(110)의 전방에 위치한 센서(20)는 본 발명에 설치된 각 모듈들(100, 200, 300, 400, 500)이 예정 동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 커터들(110)과 후방 커터들(120)의 상세한 배치 및 형상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흡입 모듈(200)은, 커팅 모듈(100)에 의하여 커팅된 도로 표면 조각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후방 커터(120)의 후방 지면에 근접하여 배치된 흡입기(210)와, 흡입기(210)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흡입물 저장 탱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입 모듈(200)은 커팅 모듈(100)에 의하여 발생된 이물질이 비산하거나 도로 위에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흡입물 저장 탱크(220)에는 수거된 흡입물을 배출하기 위한 도어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흡입물 저장 탱크(220)는 차선 도장 차량으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흡입물 저장 탱크(220)를 탈거하여 수거된 흡입물을 비운 후에 다시 차선 도장 차량에 설치하게 된다.
정착입자 살포 모듈(300)은 커팅 모듈(100)과 도장 모듈(400) 사이에 위치하며, 더욱 엄밀하게는 커팅 모듈(100) 후방에 위치한 흡입 모듈(200)과 도장 모듈(40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정착입자란 도료의 오목홈에 대한 정착력을 높이기 위한 입자로서, 예컨대, 폐타이어 분쇄물 등이 정착입자로 사용될 수 있다. 정착입자 저장 탱크(320)에 저장된 정착입자는, 지면 근방에 위치한 정착입자 살포기(310)에 의하여 오목홈에 살포되며, 살포되는 정착입자의 양은 차선 도장 차량의 이동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차선 도장 차량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면 정착입자의 살포량을 줄이고, 차선 도장 차량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정착입자의 살포량을 늘릴 수 있다.
도장 모듈(400)은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 탱크(420)와, 도료 저장 탱크(420)로부터 이송된 도료를 가열하는 도료 가열부(430)와, 가열된 도료를 오목홈에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410)를 구비한다. 도료는 도료 저장 탱크(420) 내에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며, 도장을 위한 도료는 도료 가열부(430)로 이송되어 약 200℃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융된다.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융된 도료는 도료 분사기(410)에 의하여 도로(2)의 오목홈 내부로 분사된다.
반사입자 살포 모듈(500)은 글래스비드 등을 비롯한 반사입자를 내부에 저장하는 반사입자 저장 탱크(520)와, 반사입자 저장 탱크(520) 내의 반사입자를 오목홈 내부에 주입된 도료에 분사하는 반사입자 살포기(510)를 구비한다. 도장 모듈에 의하여 오목홈 내부에 주입된 도료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굳어지지는 않으며 완전히 냉각되기 전까지 다소 점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오목홈 내부의 도료에 반사입자를 살포하면, 반사입자가 도료의 표면에 점착되거나 반사입자의 하부가 도료에 잠긴 상태에서 도료가 굳어진다. 따라서, 반사입자가 도료로부터 쉽게 박리되거나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도료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추가로 참조하여, 전방 커터들(110)과 후방 커터들(120)의 배치 및 형상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은 절삭 대상인 도로(2)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된다. 도로(2)에 실제로 형성되는 차선의 폭은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략 150mm의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120mm 보다는 넓은 폭으로는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방 커터(110)의 폭(d1)과 전방 커터들(110) 사이의 간격을 결정할 때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도 5를 기준으로 최우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110)의 우측면과 최좌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110)의 좌측면 사이의 거리는 120mm 이상 150mm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선의 표준 폭인 150mm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의 전방 커터(110)의 폭(d1)이 30mm이고, 전방 커터들(110) 사이의 간격이 30mm로 형성되면 전방 커터(110)의 우측면과 최좌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110)의 좌측면 사이의 거리는 차선의 표준 폭인 150mm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이 도로(2)의 표면을 커팅하면서 지나가면 도로(2)의 표면은 150mm의 폭으로 커팅된다. 다만,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은 차선의 폭 전체를 커팅하지는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삭되지 않은 나머지 도로 표면(4)을 남긴다.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은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2)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나머지 도로 표면(4)을 절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즉,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은 오목홈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이 상기 나머지 도로 표면(4)을 모두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으려면, 각각의 후방 커터들(120)의 폭(d2)은 적어도 전방 커터들(1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 간격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치상으로 예를 들면, 전방 커터들(110) 사이의 간격은 30mm이고, 나머지 도로 표면(4)의 폭도 각각 30mm가 된다. 따라서, 각각의 후방 커터들(120)의 폭(d2)은 30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인은 나머지 도로 표면(4)이 다소 비뚤어지더라도 각각의 후방 커터들(120)의 폭(d2)이 약 35mm인 경우에는 나머지 도로 표면(4)을 모두 커팅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전방 커터들(110)의 폭(d1)이 30mm이고 각각의 후방 커터들(120)의 폭(d2)이 35mm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2) 표면의 오목홈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커터들(110)과 후방 커터들(120)이 서로 겹쳐지게 위치한다.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전방 커터(110)와 후방 커터(120)의 구조를 일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커터(110, 120)는 디스크 형상이며 그 외주면에 메인 블레이드(112, 122)와 그보다 다소 작은 사이즈의 보조 블레이드(114, 124)가 교대로 형성되고, 메인 블레이드(112, 122)와 보조 블레이드(114, 124) 사이에는 쐐기홈(116, 1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쐐기홈(116, 126)이 갖는 쐐기홈면(112b, 114b, 122b, 124b)과 메인 블레이드(112, 122) 표면의 사이각(θ1)은 둔각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쐐기홈(116, 126)이 갖는 쐐기홈면(112b, 114b, 122b, 124b)과 보조 블레이드(114, 124) 표면의 사이각(θ2)은 둔각이다.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 재질로 형성된 도로 표면은 단단하기 때문에 저속 회전하는 분쇄 공구로는 도로(2) 표면을 분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커터는 고속 회전하면서 도로(2) 표면을 커팅하게 되며, 당연히 블레이드(112, 122, 114, 124) 표면에는 높은 하중이 걸리게 되고, 특히, 블레이드(112, 122, 114, 124) 의 모서리 부분은 블레이드(112, 122, 114, 124)의 다른 부분보다 부서지기 쉽다. 따라서, 상기 사이각(θ12)이 예각을 이루도록 블레이드(112, 122, 114, 124)를 설계한다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도로(2) 표면을 일시에 커팅하게 되어 블레이드(112, 122, 114, 124)에 지나치게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어, 급속도로 블레이드(112, 122, 114, 124)가 무뎌지거나 블레이드(112, 122, 114, 124)가 자주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사이각(θ12)을 둔각으로 설계하여 도료 표면을 일시에 커팅하기에 적절한 양만큼 커팅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112, 122, 114, 124)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 블레이드(112, 122)의 모서리 부분은 도로 표면을 커팅하고 메인 블레이드(112, 122)의 표면은 커팅된 도로(2) 표면의 직전방에 위치한 도로 표면을 충격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블레이드(114, 124)의 모서리 부분은 메인 블레이드(112, 122)의 표면에 의하여 충격되어 약화된 도로 표면을 커팅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커터에 따르면 도로 표면의 충격과 도로 표면의 커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특히 블레이드(112, 122, 114, 124)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커터의 수명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팅 모듈(100)의 정비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차선 도장 차량의 운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나머지 도로 표면(4)은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에 의하여 커팅되기 전이라도 이미 도로 표면의 일부가 절삭되는 과정 중에 강한 충격에 노출되어 약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후방 커터들(120)은 전방 커터들(110)에 비하여 나머지 도로 표면(4)을 더욱 쉽게 커팅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110)에 의한 도로 일부 구간 커팅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120)에 의한 나머지 도로 표면(4)의 커팅에 의하여 오목홈을 도로(2)에 형성하는 공정을 매우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도장 차량에 구비된 정착입자 살포 모듈(300)에 의하여 도로의 오목홈에는 도료뿐만 아니라 정착입자가 혼입되기 때문에 도료의 정착력이 높아져 차선의 수명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도로 10 : 프레임
20 : 센서 30 : 바퀴
100 : 커팅 모듈 110 : 전방 커터
112, 122 : 메인 블레이드
112a, 114a, 122a, 124a : 블레이드 표면
112b, 114b, 122b, 124b : 쐐기홈면
114, 124 : 보조 블레이드 116, 126 : 쐐기홈
120 : 후방 커터 200 : 흡입 모듈
210 : 흡입기 220 : 흡입물 저장 탱크
300 : 정착입자 살포 모듈 310 : 정착입자 살포기
320 : 정착입자 저장 탱크 400 : 도장 모듈
410 : 도료 분사기 420 : 도료 저장 탱크
430 : 도료 가열부 500 : 반사입자 살포 모듈
510 : 반사입자 살포기 520 : 반사입자 저장 탱크

Claims (5)

  1. 삭제
  2.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는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상기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를 갖는 도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후방 커터의 두께는 상기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장 차량.
  3.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는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상기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를 갖는 도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최우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의 우측면과 최좌측에 배치된 전방 커터의 좌측면 사이의 거리는 120mm 이상 15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장 차량.
  4.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는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상기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를 갖는 도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외주면에 교대로 형성된 메인 블레이드와 보조 블레이드을 갖고, 상기 메인 블레이드와 상기 보조 블레이드 사이는 쐐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홈의 쐐기홈면과 메인 블레이드의 표면의 사이각(θ1)과 상기 쐐기홈의 쐐기홈면과 보조 블레이드의 표면의 사이각(θ2)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장 차량.
  5. 도로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는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과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을 갖는 커팅 모듈; 및
    상기 오목홈의 내부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료를 채워 넣는 도료 분사기를 갖는 도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의 일부만을 절삭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후방 커터들은 디스크 형상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절삭 대상인 도로 표면 중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에 의하여 절삭되지 않은 도로 표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전방 커터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커팅 모듈과 상기 도장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료의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오목홈 사이에 정착 입자를 살포하는 정착입자 살포기를 갖는 정착입자 살포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장 차량.
KR1020120106573A 2012-09-25 2012-09-25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KR10128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73A KR101280413B1 (ko) 2012-09-25 2012-09-25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73A KR101280413B1 (ko) 2012-09-25 2012-09-25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413B1 true KR101280413B1 (ko) 2013-07-01

Family

ID=4899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73A KR101280413B1 (ko) 2012-09-25 2012-09-25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4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39B1 (ko) * 2013-08-28 2015-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포 장치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082804A (ko) * 2017-01-11 2018-07-19 최규영 차선도색장치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KR20210055966A (ko) * 2019-11-08 2021-05-18 김 경 곤 노면 그루빙 시공장비
CN113047144A (zh) * 2021-04-19 2021-06-29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用于水泥混凝土铺面板的全厚式整体快速切割装备
KR20220055662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KR102586534B1 (ko) * 2022-12-08 2023-10-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선 발광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99Y1 (ko) *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JP2006152789A (ja) 2004-11-08 2006-06-15 Tosei Kensetsu Kk 路面表示形成法、路面切削用のドラム組立体及び路面切削装置
JP2007284900A (ja) 2006-04-13 2007-11-01 Seiken Diamond Kogyo Kk ライン溝切削走行機
KR101109685B1 (ko) * 2011-03-11 2012-02-14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99Y1 (ko) *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JP2006152789A (ja) 2004-11-08 2006-06-15 Tosei Kensetsu Kk 路面表示形成法、路面切削用のドラム組立体及び路面切削装置
JP2007284900A (ja) 2006-04-13 2007-11-01 Seiken Diamond Kogyo Kk ライン溝切削走行機
KR101109685B1 (ko) * 2011-03-11 2012-02-14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39B1 (ko) * 2013-08-28 2015-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포 장치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80082804A (ko) * 2017-01-11 2018-07-19 최규영 차선도색장치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KR101944101B1 (ko) * 2017-01-11 2019-04-17 최규영 차선도색장치를 이용한 차선도색공법
KR20210055966A (ko) * 2019-11-08 2021-05-18 김 경 곤 노면 그루빙 시공장비
KR102312114B1 (ko) * 2019-11-08 2021-10-19 경 곤 김 노면 그루빙 시공장비
KR20220055662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KR102526153B1 (ko) * 2020-10-27 2023-04-27 호원산업개발주식회사 도로면의 그루빙 시공장비
CN113047144A (zh) * 2021-04-19 2021-06-29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用于水泥混凝土铺面板的全厚式整体快速切割装备
CN113047144B (zh) * 2021-04-19 2022-06-1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用于水泥混凝土铺面板的全厚式整体快速切割装备
KR102586534B1 (ko) * 2022-12-08 2023-10-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선 발광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413B1 (ko) 도로 절삭 모듈을 구비한 차선 도장 차량
JPH0360962B2 (ko)
KR20080114635A (ko) 유리 절단 휠
JP3579401B2 (ja) 路面溝条形成法
JP6462355B2 (ja) 注意喚起溝形成用アタッチメント、注意喚起溝形成装置、保護板材、注意喚起溝舗装の施工方法及びくさび形の注意喚起溝
JP2004204652A (ja) 除雪用車両
CN105178143A (zh) 一种沥青摊铺过程中路缘石保护装置及其保护方法
US3664068A (en) Rotary grinding wheel
CN208415128U (zh) 一种道路标线
CN219032881U (zh) 一种沥青路面裂缝施工装置
CN113832820B (zh) 一种地面标线修补装置及修补方法
JP3775794B2 (ja) ブレード組立体及びグルービング装置
JP4018128B1 (ja) 舗装路面溝切削装置
US7832321B1 (en) Cutting blade for producing a tapazoidal groove in pavement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US6217254B1 (en) Marking on roads with a fixed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concrete or the like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road markings
KR102181269B1 (ko) 노면 그루빙 시공방법
US6439803B1 (en) Snowplowable pavement marker
EP0101084A2 (en) A prefabricated, light reflecting, strip or tape-form road marking material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and component parts thereof
CN204194536U (zh) 一种切边模废料切除装置
JP2620306B2 (ja) 路面切削機
CN217352293U (zh) 一种道路桥梁用除冰装置
KR102395139B1 (ko) 이중 구조 차선 및 그의 시공 방법
EP0925408B1 (fr) Bordure de chaussee reflechissante
JPH0681311A (ja) 舗装道路における路面標示部の形成方法
CN219195699U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减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