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634B1 - 압연롤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롤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634B1
KR101279634B1 KR1020120116558A KR20120116558A KR101279634B1 KR 101279634 B1 KR101279634 B1 KR 101279634B1 KR 1020120116558 A KR1020120116558 A KR 1020120116558A KR 20120116558 A KR20120116558 A KR 20120116558A KR 101279634 B1 KR101279634 B1 KR 10127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
unit
main body
reciproc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걸
Original Assignee
한만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걸 filed Critical 한만걸
Priority to KR102012011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10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롤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압연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30) 표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유닛(100); 상기 분사유닛(100)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인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200);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을 부양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유닛(300); 및 상기 회전유닛(300)이 회전가능하도록 부양하면서 상기 회전유닛(300)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왕복운동유닛(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롤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ROLLING ROLL}
본 발명은 압연롤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압연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에서 성형 되어 배출되는 냉간 또는 열간 압연강판은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칼라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도장공정이나 도금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도금공정 기타의 여러 가지 후처리공정을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압연강판이랑 일반적으로 스틸강판인 스테인리스, 강철, 등 기타 압연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금속판재를 지칭한다.
이러한 압연강판은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먼지나 오일 기타의 이물질이 묻게 되므로 후처리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이물질을 세척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압연강판의 세척장치는 단순하게 압연강판을 세척조의 세척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이물질이 완전하게 세척되지 못하여 후처리공정의 하자의 원인이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최종제품의 품질저하를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압연강판뿐만 아니라 압연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에도 먼지나 오일 그리고, 압연강판의 압연 과정에서 발생 되는 스케일이 발생 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압연롤도 압연강판과 마찬가지로 압연롤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작업을 통해 압연롤의 스케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압연롤 세척은 압연롤의 인접된 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압연롤 전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이 부분적으로는 제거되지만 압연롤 외면에 스케일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470051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 표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롤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압연롤을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수직, 수평 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압연롤을 세척하여, 압연롤의 전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롤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압연롤을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경사각을 갖으며 압연롤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압연롤의 스케일 제거를 최적화할 수 있는 압연롤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30) 표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유닛(100); 상기 분사유닛(100)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인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200);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을 부양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유닛(300); 및 상기 회전유닛(300)이 회전가능하도록 부양하면서 상기 회전유닛(300)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왕복운동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유닛(100)은,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0)과,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10)에 세척수(10)를 공급하는 공급호스(120)와, 상기 공급호스(12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척수(10)를 공급받는 세척수조(130)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20)가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케이블베어(230)와, 상기 실린더(220)와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거치 되면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유동에 의한 상기 실린더(220)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몸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이 부양 거치 되는 회전몸체(310)와, 상기 회전몸체(310)가 부양 거치 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메인몸체(320)와, 상기 회전몸체(310)와 상기 메인몸체(3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30)과, 상기 회전축(33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30)에서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의 형성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판 형태를 갖으며 돌출형성되는 각도조절판(340)과,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 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면 양 말단에 각각 별도로 닿거나 이격 되면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포함한다.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왕복몸체(410)와,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왕복몸체(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420)과,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레일(420)과 나란하게 상기 메인몸체(320)에 연결형성되는 볼스크류(430)와, 상기 볼스크류(4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볼스크류(430)와 벨트(442)로 연결되는 모터(440)와, 상기 왕복몸체(410)에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왕복케이블베어(450)와,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엘엠가이드(4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강판을 압연하면서 압연롤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압연롤 전면을 세척하면서도 작업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다음 공정을 단시간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최소화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압연롤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경사각을 주어 압연롤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제품 품질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평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압연롤 세척장치 [특히, 거리조절유닛, 회전유닛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평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기 위해 압연롤(30)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압연롤(30)은, 상호 상하로 마주보며 강판의 상면과 하면에 직접 밀착되어 강판을 가압하는 메인롤(32)과, 각각의 상기 메인롤(32)에 밀착된 채로 회전하면서 메인롤(32)의 회전을 보조하는 백업롤(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롤(30)을 통해 압연 되는 강판은 고압의 가압과 온도변화 및 주변 환경으로 인해, 압연 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표면에 스케일(50)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50) 또는 오염물은 강판과 밀착되는 압연롤(30)에도 발생 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는,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30) 표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유닛(1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분사유닛(100)은 상기 압연롤(30)의 외면에 근접하게 접근하여 고압으로 상기 세척수(10)를 분사하게 되는데,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 거리조절유닛(200)이다.
즉,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유닛(100)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인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유닛(100)이 강판의 이동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압연롤(30)과 상기 분사유닛(100)과의 상호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회전유닛(300)에 부양된 채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이 부양지지 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0)은, 왕복운동유닛(400)에 부양된다.
즉,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회전유닛(300)이 회전가능하도록 부양하면서 상기 회전유닛(300)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표면을 전면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유닛(100)은,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0)과,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10)에 세척수(10)를 공급하는 공급호스(120)와, 상기 공급호스(12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척수(10)를 공급받는 세척수조(13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유닛(100)은, 다수 개가 상하 또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110)도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조(130)는, 상기 압연롤(30)을 세척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받는 상기 세척수(10)를 상기 공급호스(120)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1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호스(120)는,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세척수(10)를 제공하되,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 상기 회전유닛(300) 및 왕복운동유닛(400)의 움직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22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220)는,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에 다가서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10)가 상기 압연롤(30)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실린더(2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20)가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케이블베어(230)와, 상기 실린더(220)와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거치 되면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유동에 의한 상기 실린더(220)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몸체(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는, 상기 안내몸체(240) 상에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실린더(220)가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220)에 연결되는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는, 상기 실린더(220)가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실린더(220)에서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추가 적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압연롤(30)의 거리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이 부양 거치 되는 회전몸체(310)와, 상기 회전몸체(310)가 부양 거치 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메인몸체(3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회전몸체(310)와 상기 메인몸체(3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30)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회전축(33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30)에서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의 형성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판 형태를 갖으며 돌출형성되는 각도조절판(34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 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면 양 말단에 각각 별도로 닿거나 이격 되면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몸체(310)는, 상기 회전축(330)을 통해 상기 메인몸체(320)에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30)과 연동 되면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회전몸체(310)에 연결된 채로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330) 부위에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이 일체로 돌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320)에는, 상기 메인몸체(320)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각도조절판(340)을 가압할 수 있는 상기 각도조절볼트(3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33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몸체(310)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330)의 타단에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볼트(350)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이 좌우로 경사각을 갖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310)가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몸체(31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몸체(310)에 부양되는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왕복몸체(410)와,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왕복몸체(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4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레일(420)과 나란하게 상기 메인몸체(320)에 연결형성되는 볼스크류(430)와, 상기 볼스크류(4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볼스크류(430)와 벨트(442)로 연결되는 모터(44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왕복몸체(410)에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왕복케이블베어(45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엘엠가이드(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430)는, 상기 모터(44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왕복몸체(410)의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왕복케이블베어(450)는, 상기 메인몸체(3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에서 왕복운동 하는 것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420)은, 상기 볼스크류(430)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몸체(410) 상에서 왕복운동 하는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엘엠가이드(460)는,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흔들리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기 왕복몸체(410)의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유닛(100)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인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유닛(100)이 강판의 이동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압연롤(30)과 상기 분사유닛(100)과의 상호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11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10)를 통해 상기 압연롤(30)에 발생 되는 상기 스케일(5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사노즐(110)과 압연롤(30) 간의 분사 거리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2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실린더(2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20)가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케이블베어(230)와, 상기 실린더(220)와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거치 되면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유동에 의한 상기 실린더(220)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몸체(24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는, 상기 안내몸체(24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220)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는, 상기 안내몸체(240) 내에서 유동 되면서 상기 실린더(220)를 상기 압연롤(30)에 가깝거나 멀게 위치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실린더로드(210)에 고정형성되는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압연롤(30)의 상호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10)이 1차 적으로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 후, 상기 실린더(220)에서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유동 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210)에 연결 구비되는 상기 분사노즐(110)이 2차 적으로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작동되어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압연롤(30) 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220)에서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추가 적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압연롤(30)간의 거리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110)이 세척수(10)를 상기 압연롤(30)에 분사하여, 상기 압연롤(30)에 발생 되는 상기 스케일(50)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면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와 상기 실린더(220) 및 실린더로드(210)의 동작순서는 바뀌거나 동시에 시행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220)는,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에 다가서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10)가 상기 압연롤(30)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몸체(240)는,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면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몸체(240)의 형태와 크기는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6a 및 6b를 살펴보면, 상기 분사유닛(100)은,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이 부양 거치 되는 회전몸체(310)와, 상기 회전몸체(310)가 부양 거치 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메인몸체(3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회전몸체(310)와 상기 메인몸체(3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30)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회전축(33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30)에서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의 형성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판 형태를 갖으며 돌출형성되는 각도조절판(34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 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면 양 말단에 각각 별도로 닿거나 이격 되면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11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회전몸체(310)에 부양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110)은, 상기 회전몸체(310)에 부양된 채로, 상기 실린더(220)와 실린더로드(210)를 통해 직선운동 하고, 상기 회전몸체(310)는,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됨에 따라 연동 되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회전몸체(310)에 연결된 채로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은,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330)에 구비되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을 상기 메인몸체(320)에 구비되는 상기 각도조절볼트(350)가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볼트(350)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양측 테두리 내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각각 별도로 상기 각도조절판(34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보트(350)가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선단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판(340)은 수평상태에서 경사각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판(340)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몸체(310)도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350)는, 상기 메인몸체(320)의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이 배치된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각도조절판(340)을 가압하거나 또는 이격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도조절볼트(350)는,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양측 상면을 별도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게 된다.
즉, 두 개의 각도조절볼트(350, 350')이 상호 별도로 수직운동 하면서, 각각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면을 가압 또는 이격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는, 상기 메인몸체(320)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나사홈을 갖는 볼트승하강편(355)에서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회전몸체(310)가 일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면서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일 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각도조절판(340)은 일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몸체(310) 또한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몸체(310)가 타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 중 다른 하나가 하강하면서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타 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각도조절판(340)은 타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상기 회전축(33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몸체(310) 또한 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몸체(31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할 분사 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여 상기 각도조절판(340)을 가압한 채로, 고정되면 상기 회전몸체(310)는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분사노즐(110)도 상기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유지한 채로 상기 압연롤(30)에 상기 세척수(10)를 분사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도조절볼트(350, 350')는 상기 회전축(330)이 양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회전축(330)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몸체(310) 및 상기 분사노즐(110)이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회전유닛(300)은, 왕복운동유닛(400)에 부양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메인몸체(320)는,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에 의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의 전면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10)를 분사하게 된다.
즉,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회전유닛(300)이 회전가능하도록 부양하면서 상기 회전유닛(300)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왕복몸체(410)와,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왕복몸체(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420)을 갖는다.
상기 메인몸체(320)는, 상기 레일(420)을 따라 안내되어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을 따라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40)와, 상기 모터(440)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43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430)는, 상기 모터(440)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몸체(320)의 하부에는, 상기 볼스크류(430)와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430)의 양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편(322)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편(322)은 상기 볼스크류(430)의 양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320)가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4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몸체(320)는 상기 레일(420) 상에서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게 되고, 상기 볼스크류(43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몸체(320)는 상기 레일(420) 상에서 타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게 되어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430)는, 상기 레일(42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모터(440)는, 상기 볼스크류(430)와 벨트(442)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왕복몸체(410)에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왕복케이블베어(45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엘엠가이드(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케이블베어(450)는, 상기 메인몸체(320)가 안정된 상태로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엘엠가이드(460)는,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편(324)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시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가 흔들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편(324)은, 상기 엘엠가이드(460)와 연결된 채로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가 상기 엘엠가이드(460)를 따라 원활하게 왕복운동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엘엠가이드(460) 역시 상기 레일(420)을 상하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특히, 상기 엘엠가이드(460)는, 상기 메인몸체(320)가 상기 왕복몸체(410)의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시 선단과 말단의 이동 한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강판을 압연하면서 압연롤에 발생 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상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연롤 전면을 세척하면서도 작업의 시간을 최소화하여 다음 공정을 단시간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최소화하는 경제적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압연롤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경사각을 주어 압연롤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제품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세척수 30 : 압연롤
32 : 메인롤 34 : 백업롤
50 : 스케일
100 : 분사유닛 110 : 분사노즐
120 : 공급호스 130 : 세척수조
200 : 거리조절유닛 210 : 실린더로드
220 : 실린더 230 : 실린더케이블베어
240 : 안내몸체
300 : 회전유닛 310 : 회전몸체
320 : 메인몸체 322 : 나사편
324 : 연결편
330 : 회전축 340 : 각도조절판
350, 350' : 각도조절볼트
400 : 왕복운동유닛 410 : 왕복몸체
420 : 레일 430 : 볼스크류
440 : 모터 442 : 벨트
450 : 왕복케이블베어 460 : 엘엠가이드

Claims (5)

  1. 냉간 또는 열간 압연의 작업에서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롤(30) 표면에 발생 되는 스케일(5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유닛(100);
    상기 분사유닛(100)을 부양지지하며 연결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의 인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200);
    상기 분사유닛(100)과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을 부양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분사유닛(100)이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 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유닛(300); 및
    상기 회전유닛(300)이 회전가능하도록 부양하면서 상기 회전유닛(300)이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왕복운동유닛(400);을 포함하는 압연롤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100)은,
    상기 압연롤(30)에 세척수(10)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0)과,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10)에 세척수(10)를 공급하는 공급호스(120)와,
    상기 공급호스(12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세척수(10)를 공급받는 세척수조(130)를 포함하는 압연롤 세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은,
    상기 분사노즐(110)이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220)와,
    상기 실린더(2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20)가 상기 압연롤(30)과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케이블베어(230)와,
    상기 실린더(220)와 실린더케이블베어(230)가 거치 되면서 상기 실린더케이블베어(230)의 유동에 의한 상기 실린더(220)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몸체(240)를 포함하는 압연롤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이 부양 거치 되는 회전몸체(310)와,
    상기 회전몸체(310)가 부양 거치 되도록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메인몸체(320)와,
    상기 회전몸체(310)와 상기 메인몸체(3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메인몸체(320)를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10)가 상기 메인몸체(32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330)과,
    상기 회전축(33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330)에서 상기 거리조절유닛(200)의 형성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판 형태를 갖으며 돌출형성되는 각도조절판(340)과,
    상기 메인몸체(320)의 외 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각도조절판(340)의 상면 양 말단에 각각 별도로 닿거나 이격 되면서, 상기 회전축(33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포함하는 압연롤 세척장치.
  5. 제 1항 또는 제4항의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유닛(400)은,
    상기 메인몸체(3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왕복몸체(410)와,
    상기 압연롤(3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왕복몸체(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420)과,
    상기 왕복몸체(410)가 상기 레일(420) 상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레일(420)과 나란하게 상기 왕복몸체(410)에 연결형성되는 볼스크류(430)와,
    상기 볼스크류(43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볼스크류(430)와 벨트(442)로 연결되는 모터(440)와,
    상기 왕복몸체(410)와 상기 레일(420)을 상호 연결하며 형성되어 상기 왕복몸체(410)가 상기 레일(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왕복케이블베어(450)와,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면서 상기 메인몸체(32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엘엠가이드(460)를 포함하는 압연롤 세척장치.
KR1020120116558A 2012-10-19 2012-10-19 압연롤 세척장치 KR10127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558A KR101279634B1 (ko) 2012-10-19 2012-10-19 압연롤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558A KR101279634B1 (ko) 2012-10-19 2012-10-19 압연롤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634B1 true KR101279634B1 (ko) 2013-06-26

Family

ID=4886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558A KR101279634B1 (ko) 2012-10-19 2012-10-19 압연롤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6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124B1 (ko) 2017-03-10 2017-05-11 김환성 공동주택용 계단 논슬립
CN107088581A (zh) * 2017-06-09 2017-08-25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检查清理热轧机组机架上锈蚀物的方法
KR2020005739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CN113134513A (zh) * 2021-05-06 2021-07-20 宝武杰富意特殊钢有限公司 一种改善轧钢槽冷却效果的冷却装置
KR20230108804A (ko) 2022-01-11 2023-07-19 허기복 강판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45Y1 (ko) * 1992-12-30 1995-03-06 박득표 압연롤 베어링 초크 세척장치
KR20040092875A (ko) * 2003-04-29 2004-11-04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설비의 롤 세척장치
KR101089654B1 (ko) 2009-06-30 2011-12-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롤 세척기 및 그것을 이용한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45Y1 (ko) * 1992-12-30 1995-03-06 박득표 압연롤 베어링 초크 세척장치
KR20040092875A (ko) * 2003-04-29 2004-11-04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설비의 롤 세척장치
KR101089654B1 (ko) 2009-06-30 2011-12-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롤 세척기 및 그것을 이용한 세척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124B1 (ko) 2017-03-10 2017-05-11 김환성 공동주택용 계단 논슬립
CN107088581A (zh) * 2017-06-09 2017-08-25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检查清理热轧机组机架上锈蚀物的方法
KR2020005739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KR102177042B1 (ko) * 2018-11-16 2020-11-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CN113134513A (zh) * 2021-05-06 2021-07-20 宝武杰富意特殊钢有限公司 一种改善轧钢槽冷却效果的冷却装置
CN113134513B (zh) * 2021-05-06 2023-12-29 宝武杰富意特殊钢有限公司 一种改善轧钢槽冷却效果的冷却装置
KR20230108804A (ko) 2022-01-11 2023-07-19 허기복 강판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634B1 (ko) 압연롤 세척장치
KR101336639B1 (ko) 제철설비의 롤 베어링 및 롤 쵸크 세척장치
CN212525514U (zh) 一种带有清理装置的钢管调直设备
KR101375444B1 (ko) 냉장고용 섀시의 표면연마장치
CN108927367A (zh) 用于中大型冶金轧辊类零件再制造的高压射流清洗装置
CN108611778B (zh) 一种多喷头式纺织喷涂机械
CN210709395U (zh) 一种磷肥的传送装置
CN109747596B (zh) 一种汽车清洗装置
CN214078482U (zh) 轧辊冷却装置
CN110947676B (zh) 一种矿石机械加工清洗设备
CN211538775U (zh) 一种子午胎成型鼓清洗装置
CN107012712A (zh) 一种造纸机网部毛毯清洗系统
CN107900861A (zh) 一种整合水循环系统的打磨拉丝设备
KR100900677B1 (ko) 세정액 분사높이 및 폭이 가변되는 강판 세정장치
CN111945262A (zh) 亚麻湿纺细纱机的加湿、喷水、喷油及防撞结构
CN210231029U (zh) 一种带钢清洗装置
CN208449687U (zh) 一种动车厢顶喷涂转运设备
CN215628988U (zh) 一种应用于洗浆机的压榨辊清洗的超高压喷淋装置
KR100822963B1 (ko) 강판 표면의 소제장치
CN215657086U (zh) 光整液喷淋装置及轧机
KR200451566Y1 (ko) 스케일 제거 장치
KR100854372B1 (ko) 오일 균등 분사장치
KR101557725B1 (ko) 위치 변동형 고온 소재 냉각 장치
KR101645948B1 (ko) 분사 장치
CN220781485U (zh) 压延辊的清洗装置及压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