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074B1 -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74B1
KR101279074B1 KR1020100116691A KR20100116691A KR101279074B1 KR 101279074 B1 KR101279074 B1 KR 101279074B1 KR 1020100116691 A KR1020100116691 A KR 1020100116691A KR 20100116691 A KR20100116691 A KR 20100116691A KR 101279074 B1 KR101279074 B1 KR 10127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eat insulating
line
hea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151A (ko
Inventor
문덕수
Original Assignee
문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덕수 filed Critical 문덕수
Priority to KR102010011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 손실을 크게 줄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 시공이 간편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전류가 흐르는 공기조화기의 전력선을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 냉매관이나 회수 냉매관이 위치되는 냉매관로가 한 쌍의 단열재의 발포 성형시에 그 단열재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되고, 역시 발포 성형시에 단열재에 형성된 장홈이 한 쌍의 단열재가 열접합됨에 따라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력선과 제어선이 위치되는 전기선로를 형성하므로, 단열재의 단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절삭 공정과 같은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며, 절삭에 따른 재료의 손실이 없어 재료 손실의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접합된 한 쌍의 단열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접합되는 외피재가 구비됨으로써, 공급 냉매관, 회수 냉매관, 전력선 및 제어선을 각각 냉매관로 및 전기선로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그 시공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Piping material for the air conditio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 손실을 크게 줄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 시공이 간편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전류가 흐르는 공기조화기의 전력선을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 또는 에어컨으로도 불리는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실내기, 실외기 및 이 실내기와 실외기를 잇는 공급 냉매관 및 회수 냉매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실내기에서 더운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음으로써 증발하여 기체 상태가 된 냉매는 회수 냉매관을 따라 실외기로 이동하여 실외기의 압축기와 응축기에 의해 냉각 압축되어 다시 액체 상태가 된 후 공급 냉매관을 따라 실내기로 공급되는 과정이 연속적,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건물 외벽 또는 옥상 등의 실외에 설치되므로 공급 냉매관 및 회수 냉매관(이하, 총칭은 '냉매관'이라 한다)이 꽤 길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렇게 긴 냉매관을 냉매가 통과할 때에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매관 시공시에 단열 기능이 있는 배관재로써 이 냉매관을 감싸는 단열 시공을 함께 진행한다.
한편, 실외기의 경우 압축기, 응축기, 팬 등의 가동을 위해 전력을 공급받고 제어신호를 수신해야 하는데, 이렇게 실외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및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선도 냉매관 시공시에 냉매관과 나란하게 함께 시공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는 공급 냉매관, 회수 냉매관과 함께 전력선, 제어선도 함께 배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10)를 냉매관(SP, WP),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이 설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10)는 단열 기능을 갖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외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냉매관(SP)과 회수 냉매관(WP)이 설치되는 한 쌍의 냉매관로(11) 및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이 설치되는 전기선로(12)가 형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10)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원기둥 형상의 단열재(20)를 우선 압출 발포 성형한 후, 이 단열재(20)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냉매관로(11) 및 전기선로(12)를 형성한다.
따라서 단열재(20)에 있어서, 절삭공구의 통과를 위해 냉매관로(11) 및 전기선로(12)가 그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단열재(20)의 중심부에서 떨어진 외주부에 위치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20)의 단열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단열 효과가 다소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냉매관로(11) 및 전기선로(12)가 긴 원기둥 현상의 단열재(20)를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므로, 압출 발포 성형 작업 이후에 별도의 후가공으로써 한 쌍의 냉매관로(11) 및 전기선로(12) 각각에 대한 세 번의 절삭 가공을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그 제조에 많은 공수가 필요하고, 재료의 손실이 많아 제조 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냉매관로(11) 및 전기선로(12)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고 낮아진 단열 효과를 보완하기 위해, 시공시에 단열재(20)의 냉매관로(11)와 전기선로(12)에 냉매관(SP, WP),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을 각각 삽입 설치한 후, 별도의 외피재(30)로 단열재(20)의 외주면을 감싼 후 테이프 등과 같은 고정부재(40)로 단열재(20)를 고정하는 작업을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10)는 시공에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시공 작업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시공시에 설치된 외피재(30)는 고정부재(40)가 훼손되면 쉽게 벗겨질 수 있어 내구성이 약한 만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비교적 쉽게 훼손되고, 냉매관(SP, WP),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이 외피재(30)에 인접되게 위치되므로 이러한 외피재(30)의 훼손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이 냉매관(SP, WP), 전력선(EC) 및 제어선(CC)에 전달 또는 유입될 수 있어 배관재(10)의 유지 보수를 위한 공수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10)의 내구성의 문제는 만곡된 부분일수록 배관재(10)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기 쉽고, 외피재(30)와의 결속력이 약하므로, 더 부각되게 된다.
특히, 전기선로(12)에 설치되는 전류나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의 경우, 이렇게 훼손된 부분을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었을 경우에 합선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문제가 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재의 중심부에 냉매관로를 형성할 수 있고, 발포 성형 이후 절삭 가공과 같은 후가공은 필요하지 않으며, 시공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작업이 없이 냉매관과 전력선을 간단하게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용이하게 설치를 완료할 수 있고, 만곡된 부분에 설치되거나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충격 및 이물질 등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훼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류 또는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력선 및 제어선은 이중, 삼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 제조방법은, 소정의 형상의 압출공이 형성된 발포금형의 내부에 원뿔 형상을 갖는 성형핀을 상기 압출공의 중심부에 그 끝단이 위치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압출공으로 용융수지를 압출 발포 성형하여, 상기 성형핀의 끝단에 의해 냉매관로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이 구비된 단열재를 한 쌍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 한 쌍을 상기 장홈이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게 열접합하여 단열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판형의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그 일면이 상기 단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그 외주면에 열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단열재 한 쌍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는, 전력선과 제어선이 내부에 위치되는 전기선관을 상기 장홈에 삽입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장홈의 내주면과 상기 전기선관의 외주면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열체의 외주면에 열접합되어 서로 접촉 또는 근접되는 상기 외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접착수지로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외피재의 타면을 열압착하여 그 타면에 바둑판 형태로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급 냉매관이나 회수 냉매관이 위치되는 냉매관로가 한 쌍의 단열재의 발포 성형시에 각각 형성되고, 역시 발포 성형시에 단열재에 형성된 장홈이 한 쌍의 단열재가 열접합됨에 따라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력선과 제어선이 위치되는 전기선로를 형성하므로, 절삭 가공과 같은 추가적인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고, 단열재 절삭에 따른 재료의 손실이 없어 재료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재료의 손실은 절감되고 제조에 필요한 공수는 감소함에 따라, 배관재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냉매관로를 단열재의 중심부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가 그 중심부에 위치되는 냉매관에 대해 효과적으로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단열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열접합된 한 쌍의 단열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접합되는 외피재가 구비됨으로써, 공급 냉매관, 회수 냉매관, 전력선 및 제어선을 각각 냉매관로 및 전기선로에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그 시공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외피재의 외주면에는 그 내주면보다 밀도가 높고 바둑판 형태로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보호층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배관재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배관재가 만곡된 부분에 설치되거나 다른 간섭 물체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만곡이나 가압에 의해 그 표면에 심한 주름이 형성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높은 내구성을 가짐에 따라, 배관재의 유지 보수를 위한 공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판형의 외피재가 열접합된 단열재의 외주면을 감싸 열접합됨에 따라 접촉 또는 근접되는 외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접착수지로 실링 접착함으로써, 그 일단과 타단 사이로 이물질 또는 열이 유입되거나, 물리적으로 취약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전기선로에는 한 쌍의 단열재 열접합시에 삽입 배치되어 열접합되는 전기선관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 전력선과 제어선이 설치됨으로써 전류나 제어신호가 통과하는 전력선과 제어선을 외부의 충격과 이물질 등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를 냉매관, 전력선 및 제어선이 설치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를 냉매관, 전력선 및 제어선이 설치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가 만곡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발포금형 및 그 내부에 위치된 성형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발포금형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A-A에 대한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발포금형과 성형핀에 의해 압출 발포 성형된 단열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은, 실내기, 실외기 및 이 실내기와 실외기를 잇는 공급 냉매관 및 회수 냉매관(이하, 총칭은 '냉매관'이라 한다)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배관 시공시에 냉매관 및 실외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전력선과 제어선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냉매관에 대한 단열을 구현하고, 전력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배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는, 한 쌍의 단열재(100), 외피재(200) 및 전기선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단열재(100)는 발포금형의 압출공으로 용융수지를 압출 발포 성형함으로써 각각 제조되고, 접합부(120)가 서로 열접합되어 일체의 단열체(100')를 이루도록 접합면(12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단열재(100)는 발포금형에 형성된 압출공을 통해 압출 발포 성형되는데, 이때 끝단이 압출공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발포금형에 설치된 성형핀에 의해 중심부에 냉매관로(110)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반원 또는 반타원으로 구비되는 압출공의 형상으로 인해 그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접합부(120)가 형성되며, 압출공에 형성된 압출돌기에 의해 접합부(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발포금형의 압출공으로 용융수지를 압출 발포 성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단열재(100)를 제조하는 과정은 후술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단열재(100)의 냉매관로(110)는 공기조화기의 공급 냉매관(SP) 또는 회수 냉매관(WP)이 위치되는 곳으로써, 압출 발포 성형시 단열재(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므로 냉매관(SP, WP)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외부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열재(100)의 단열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열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20)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열접합되어 일체의 단열체(100')를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한 쌍의 단열재(100)가 서로 열접합될 때에 각각의 단열재(100)에 형성된 장홈(121)이 서로 대응 연통되면서 단열체(100')에 있어서는 하나의 폐쇄된 관 형상의 전기선로(130)를 형성한다.
이 전기선로(130)에는 전기선관(300)이 삽입 배치되며, 배관 시공시에 전기선관(30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EC)과 제어신호의 송ㆍ수신을 위한 제어선(CC)이 설치된다.
상기 외피재(200)는 단열체(100')의 외주면을 감싸 물리적인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단열체(100')를 보호하고, 단열체(100')의 단열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피재(200)는, 단열 기능을 가지며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판형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며, 열접합된 한 쌍의 단열재(100), 즉 단열체(100')를 감싸도록 그 일면이 단열체(100')의 외주면에 열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재(200)의 타면에는 바둑판 형태의 다수의 돌기를 가진 롤러 형태의 열압착 금형으로 열압착함으로써, 판형 발포수지보다 밀도가 높고 표면에는 바둑판 형태의 다수의 그루브(211)가 형성된 보호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210)은 배관재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호층(210)의 표면에 바둑판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21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재가 만곡된 부분에 설치되거나 다른 간섭 물체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그 만곡이나 가압에 의해 배관재의 표면에 심한 주름이 형성되어 배관재의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다수의 그루브(211)의 사이 부분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만곡이나 가압에 따른 배관재 표면의 일시적 변형을 도움으로써, 배관재의 표면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다수의 그루브(211)는 바둑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배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배관재가 변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간섭 물체에 의해 가압되어 배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관재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배관재의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그루브(211)가 형성된 보호층(210)은 외피재(2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상기 다수의 그루브(211)는 외피재(200)의 표면에 매우 촘촘하게 형성되는 관계로 개략적인 선상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는 도 5에 함께 표시된 확대도와 같이 외피재(200)의 표면에 밀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기선관(300)은 전기선로(130)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연성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관으로 구비되며, 배관 시공시 그 내부에 전력선(EC)과 제어선(CC)이 설치됨으로써, 이 전력선(EC)과 제어선(CC)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선관(300)은 배관재가 만곡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다수의 요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선관(300)은 한 쌍의 단열재(100)가 서로 열접합되어 단열체(100')를 형성할 때에 한 쌍의 단열재(100)에 각각 형성된 장홈(121)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선관(300)은, 한 쌍의 단열재(100)의 접합부(120)가 서로 열접합되는 것과 유사하게, 그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선로(130)를 이루는 장홈(121)의 내주면과 열접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선관(300)은 한 쌍의 단열재(100)와 함께 일체로 단열체(100')를 이루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내구성이나 시공 용이성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선(EC)과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제어선(CC)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기선관(300)이 전기선로(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전기선관(300)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용융수지(MR)를 압출 발포 성형하여 단열재(100)를 제조하기 위해, 단열재(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발포금형(400)에 형성된 압출공(410)의 중심부에 원뿔 모양의 성형핀(500)의 끝단을 위치시킨다(s100).
도 8 및 도 9는 압출공(410)이 형성되고 성형핀(500)이 설치된 발포금형(400)을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A-A에 대한 단면도로써 성형핀(500)이 발포금형(40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잘 보여준다.
상기 압출공(410)은 타원 또는 반타원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은 단열재(100)의 평평한 접합부(120) 형성을 위한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며, 단열재(100)의 장홈(121) 형성을 위한 반원 또는 반타원의 평면 형상을 갖는 압출돌기(411)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핀(500)은 발포금형(400)의 내부에서 압출공(410)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포금형(400) 내부를 통과하는 용융수지(MR)가 성형핀(500)의 경사진 외주부를 따라 압출공(410)으로 균일하게 압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압출공(410)의 중심부를 용융수지(MR)가 채우며 압출되지 않도록 하여 압출 발포 성형되는 단열재(100)의 중심부에 냉매관로(1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용융수지(MR)는 발포제가 포함된 액체 상태의 다양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음,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발포금형(400)과 성형핀(500)으로써 용융수지(MR)를 압출 발포 성형하여 한 쌍의 단열재(100)를 제조한다(s200). 즉, 용융수지(MR)가 후방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포금형(400)의 내부에서 성형핀(500)의 경사진 외주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압출공(410)으로 압출되어, 중심부에 냉매관로(11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접합부(120)가 형성되며 그 접합부(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121)이 형성된 단열재(100)로 압출 발포 성형된다.
도 11는 이렇게 압출 발포 성형으로 제조된 단열재(10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상기 단열재(1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원형 단면을 갖는 냉매관로(1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평평하게 접합부(120)가 형성되며, 이 접합부(120)에는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장홈(121)이 형성된다.
이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열재(100)를 각각의 접합부(120)와 장홈(121)이 각각 마주보게 대응 배치된 상태로 장홈(121) 사이에 전기선관(130)을 삽입 배치한다(s300).
그 다음,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열재(100)의 접합부(120) 및 전기선관(130)의 외주면과 장홈(121)의 내주면을 각각 열접합함으로써, 한 쌍의 단열재(100) 및 전기선관(130)이 일체를 이루는 단열체(100')를 형성한다(s400).
한편, 이러한 단열체(100')의 제조 작업과는 별도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의 다수의 돌기(610)를 가진 롤러 형태의 열압착 금형(600)으로 판형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재(200)의 표면을 열압착함으로써, 판형 발포수지보다 밀도가 높고 바닥판 형태의 다수의 그루브(211)가 표면에 형성된 보호층(210)을 형성한다(s500).
다음,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외피재(200)를 보호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단열체(1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단열체(100')를 감싸도록 외피재(200)를 단열체(100')에 열접합한다(s600). 이로써, 외피재(200)도 단열체(100')와 일체를 이루어 하나의 배관재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체(100')를 감싸 서로 접촉 또는 인접된 외피재(200)의 양끝단 사이를 접착수지(AR)로 실링한다(s600). 이에 따라, 외피재(200)의 양끝단 사이로 열이나 이물질이 유출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외피재(200)의 벌어진 양끝단부터 외피재(200)가 박리되는 등의 훼손이 일어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공기조화기용 배관재는, 한 쌍의 냉매관로(110)에 각각 공기조화기의 공급 냉매관(SP)과 회수 냉매관(WP)을 삽입하고, 전기선관(300)의 내부에 공기조화기의 전력선(EC)과 제어선(CC)을 배치하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냉매관(SP, WP)이 위치되는 냉매관로(110)가 한 쌍의 단열재(100)의 발포 성형시에 그 단열재(100)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되고, 역시 발포 성형시에 단열재(100)에 형성된 장홈(121)이 한 쌍의 단열재(100)가 열접합됨에 따라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력선(EC)과 제어선(CC)이 위치되는 전기선로(130)를 형성하므로, 단열재(100)의 단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절삭 가공과 같은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용이하며, 절삭에 따른 재료의 손실이 없어 재료 손실의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접합된 한 쌍의 단열재(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열접합되는 외피재(200)가 구비됨으로써, 냉매관(SP, WP), 전력선(EC) 및 제어선(CC)을 각각 냉매관로(110) 및 전기선로(13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그 시공이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열재 100' : 단열체
110 : 냉매관로 120 : 접합부
121 : 장홈 122 : 접합면
130 : 전기선로 200 : 외피재
210 : 보호층 211 : 그루브
300 : 전기선관 310 : 요홈
400 : 발포금형 410 : 압출공
411 : 압출돌기 500 : 성형핀
600 : 열압착 금형 610 : 돌기
SP : 공급 냉매관 WP : 회수 냉매관
EC : 전력선 CC : 제어선
MR : 용융수지 AR : 접착수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형상의 압출공이 형성된 발포금형의 내부에 원뿔 형상을 갖는 성형핀을 상기 압출공의 중심부에 그 끝단이 위치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압출공으로 용융수지를 압출 발포 성형하여, 상기 성형핀의 끝단에 의해 냉매관로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이 구비된 단열재를 한 쌍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 한 쌍을 상기 장홈이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게 열접합하여 단열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판형의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그 일면이 상기 단열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그 외주면에 열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한 쌍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는,
    전력선과 제어선이 내부에 위치되는 전기선관을 상기 장홈에 삽입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장홈의 내주면과 상기 전기선관의 외주면을 서로 열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의 외주면에 열접합되어 서로 접촉 또는 근접되는 상기 외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접착수지로 실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타면을 열압착하여 그 타면에 바둑판 형태로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KR1020100116691A 2010-11-23 2010-11-23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KR10127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91A KR101279074B1 (ko) 2010-11-23 2010-11-23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91A KR101279074B1 (ko) 2010-11-23 2010-11-23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51A KR20120055151A (ko) 2012-05-31
KR101279074B1 true KR101279074B1 (ko) 2013-06-26

Family

ID=4627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691A KR101279074B1 (ko) 2010-11-23 2010-11-23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5969A1 (en) * 2021-02-03 2023-10-2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Air conditioner pipeline device, and air conditioner
EP4265970A4 (en) * 2021-02-03 2024-06-0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Zhuhai AIR CONDITIONING DUC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36Y1 (ko) * 2002-08-02 2002-11-13 박용길 에어컨용 배관장치
KR100903261B1 (ko) * 2008-04-24 2009-06-17 성기천 에어컨용 배관재
KR20090072359A (ko) * 2007-12-28 2009-07-02 성기천 에어컨 배관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0957B1 (ko) * 2009-03-03 2009-12-14 (주)엠에스코리아 공조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36Y1 (ko) * 2002-08-02 2002-11-13 박용길 에어컨용 배관장치
KR20090072359A (ko) * 2007-12-28 2009-07-02 성기천 에어컨 배관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03261B1 (ko) * 2008-04-24 2009-06-17 성기천 에어컨용 배관재
KR100930957B1 (ko) * 2009-03-03 2009-12-14 (주)엠에스코리아 공조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5969A1 (en) * 2021-02-03 2023-10-2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Air conditioner pipeline device, and air conditioner
EP4265969A4 (en) * 2021-02-03 2024-05-29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Zhuhai PIP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ING
EP4265970A4 (en) * 2021-02-03 2024-06-0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Zhuhai AIR CONDITIONING DUC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51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846A (en) Flexible plastic foam with a groove- and tongue-like closing system
JPH01206573A (ja) シール材パッド構成品
KR101279074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제조방법
KR100525833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23512B1 (ko) 다중관체
CN207263327U (zh) 线缆中间接头测温装置
KR101442801B1 (ko)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KR100716273B1 (ko) 에어컨 배관용 호스 및 그 제조방법
CN104455939B (zh) 交联聚乙烯保温管跨越三通报警线固定装置及固定方法
JP2009030698A (ja) コーナー配管用断熱カバーおよび冷媒用配管の施工方法
KR20100077597A (ko) 보온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17002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2483144B1 (ko) 냉·난방 배관용 멀티 튜브
KR200421892Y1 (ko) 에어컨 배관용 보온재의 구조
CN211059604U (zh) 密封严密的新型保温材料板
JP2020133753A (ja) 導管用絶縁被覆構造体、導管ユニット及び導管系形成方法
CN103292446B (zh) 一种空调机组的发泡箱及其发泡面板
JP2006200586A (ja) パイプ用断熱保護部材
KR101821337B1 (ko) 복합 배관재 조립방법
JP3037561B2 (ja) 排水パイプ固定装置
CN215445484U (zh) 车用空调的压冷管
KR200294736Y1 (ko) 에어컨용 배관장치
CN103824630A (zh) 线束
KR20120017117A (ko) 가요성을 갖는 현장제작용 이중보온관 엘보우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이중보온관 엘보우
JP3285571B2 (ja) ケーブル用管路口の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