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969B1 - 핀코어용 연삭지그 - Google Patents

핀코어용 연삭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969B1
KR101278969B1 KR1020130009924A KR20130009924A KR101278969B1 KR 101278969 B1 KR101278969 B1 KR 101278969B1 KR 1020130009924 A KR1020130009924 A KR 1020130009924A KR 20130009924 A KR20130009924 A KR 20130009924A KR 101278969 B1 KR101278969 B1 KR 10127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lock
pin core
co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정밀
Priority to KR102013000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100)는, 육면체 모양의 하부블록(110)과,상기 하부블록(110)의 상면(11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면(121)이 하부블록(110)의 전면(11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블록(120)과,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형성된 탭홀(113)과,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에서 후면(123)으로 관통되고 핀코어(P)가 끼워지는 핀홀(125)과,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탈착블록(130)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131)와, 상기 슬로트(131)를 통해 상기 탭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33)와,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슬로트(131)의 상방에 위치하는 핀홀(135)과, 상기 핀홀(135)에 끼워져서 핀코어(P)를 지지하는 지지핀(137)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측면에서 상기 핀홀(135)로 연결되는 탭홀(도시하지 않음)과,상기 탭홀(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핀(137)을 압박하는 볼트(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핀코어(P)의 선단부(N)를 공차범위 안에 있도록 연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핀코어용 연삭지그{GRINDING JIG FOR PIN CORE}
본 발명은 핀코어용 연삭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핀코어를 신속하고 높은 정밀도로 연삭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핀코어용 연삭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핀코어를 연삭하는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핀코어(P)는 사출금형에서 마지막으로 굳어진 제품을 빼내는 데 사용되는 금형의 부속품으로서, 선단부(N)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핀이다.
상기 핀코어(P)의 선단부(N)를 테이퍼 모양으로 연삭하기 위해서, 숫돌(G)이 회전하도록 장착된 연삭기를 사용하며, 상기 연삭기에 핀코어(P)를 지지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회전장치(1)를 사용한다.
상기 회전장치(1)는 드릴척(3)이 장착되고 핸들(5)을 돌리면 상기 드릴척(3)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장치(1)를 이용한 핀코어(P)의 연삭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장치(1)를 연삭기의 베드(B)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베드(B)는 전자석이 수용된 것이므로 회전장치(1)는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물론, 상기 회전장치(1)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성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숫돌(G)은 핀코어(P)의 선단부(N)를 테이퍼 모양으로 연삭할 수 있도록, 테두리면(S)이 회전장치(1) 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숫돌(G)의 테두리면(S)에 핀코어(P)의 선단부(N)가 닿게 되면 테두리면(S)을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숫돌(G)은 승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1에서처럼, 상기 드릴척(3)에 핀코어(P)를 물린 후, 상기 숫돌(G)을 회전시키면서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핸들(5)을 돌린다. 이때, 상기 숫돌(G)은 핀코어(P)의 선단부(N)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셋팅된 지점까지만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2에서처럼, 핀코어(P)의 선단부(N)는 상기 경사진 숫돌(G)의 테두리면(S)에 의해 테이퍼 모양으로 연삭된다.
이렇게 해서 한 개의 핀코어(P)를 가공했으면, 다시, 상기 숫돌(G)을 상승시킨 후, 회전을 멈춘다. 그리고, 상기 드릴척(3)에서 핀코어(P)를 이탈시키고 미가공된 핀코어(P)를 다시 물린다. 그리고 상기 기재된 내용대로 작업을 반복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작업이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드릴척에 핀코어를 일일이 물린 후, 상승된 숫돌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핸들을 돌리고, 연삭이 끝난 후에는 숫돌을 다시 상승시킨 후,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드릴척에서 핀코어를 교체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공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신속하게 핀코어를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핀코어가 수백 개일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심각할 수밖에 없다.
둘째, 높은 정도로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드릴척에 핀코어를 물릴 때 매번 핀코어가 숫돌쪽으로 전진한 길이가 달라진다. 따라서, 도 2의 (a), (b)에서처럼 선단부의 연삭된 길이 L이 상이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의 경우가 표준이라면 (b)는 (a)보다 짧게 전진하므로 연삭된 길이 L이 (a)보다 짧아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숫돌을 매번 승강을 거듭하므로 매번 절삭 깊이가 차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는, 육면체 모양의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면이 하부블록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의 전면에 형성된 탭홀과, 상기 상부블록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고 핀코어가 끼워지는 핀홀과, 상기 하부블록의 전면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탈착블록과, 상기 탈착블록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와, 상기 슬로트를 통해 상기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탈착블록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슬로트의 상방에 위치하는 핀홀과, 상기 핀홀에 끼워져서 핀코어를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탈착블록의 측면에서 상기 핀홀로 연결되는 탭홀과,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핀을 압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과 상기 탈착블록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는, 핀코어를 상기 상부블록의 핀홀에 넣었다가 빼내면 연삭이 완료되므로 배경기술처럼 핀코어를 드릴척에 이탈시키고 장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고, 상기 지지핀에 의해 핀코어가 지지되므로, 전진하는 양이 일정하다. 따라서, 선단부의 길이를 공차범위 안에 있도록 연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은 매 번 핀코어를 교체할 때마다 승강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높이가 정해진 숫돌에 다수 개의 핀코어를 절삭하므로 일률적인 절입 깊이로 연삭된 핀코어를 얻을 있다. 또한, 상기 숫돌의 높이는 핀코어의 절입 깊이가 공차 범위 안에 있도록 셋팅되면 다수의 핀코어를 모두 공차 범위 안에 있도록 연삭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 핀코어를 연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핀코어의 선단부를 첨예하게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이용하여 핀코어를 연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핀코어용 연삭지그를 이용하여 핀코어를 연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핀코어(P)는 사출금형에서 마지막으로 굳어진 제품을 빼내는 데 사용되는 금형의 부속품으로서, 선단부(N)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핀코어(P)를 배경기술보다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치수에 부합하는 고정도로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육면체 모양의 하부블록(1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블록(110)의 상면(11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면(121)이 하부블록(110)의 전면(11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블록(12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과 상기 하부블록(10)의 상면(115)은 ㄴ형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탭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에서 후면(123)으로 관통되고 핀코어(P)가 끼워지는 핀홀(125)이 구성된다. 상기 탭홀(113)은 동일한 치수의 것으로 다수 개 측방으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핀홀(125)은 핀코어(P)의 다양한 선경(지름)에 적용되도록 다양한 지름으로 형성된 것이 측방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탈착블록(130)이 구성되고,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로트(131)를 통해 상기 탭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33)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슬로트(131)의 상방에 위치하는 핀홀(135)이 구성되고, 상기 핀홀(135)에 끼워져서 핀코어(P)를 지지하는 지지핀(137)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핀(137)은 일례로서 일측 종단(상부블록을 향하는 쪽의 종단)에 지지핀(137)의 선경보다 폭이 확장된 헤드(138)가 돌출되고, 상기 헤드(138)의 종단면(K)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코어(P)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핀코어(P)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상기 지지핀(137)의 일측 종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면 상기 핀코어(P)가 연삭에 의해서 첨예하게 가공되었을 때 지지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핀(137)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탈착블록(130)의 측면에서 상기 핀홀(135)로 연결되는 탭홀(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상기 탭홀(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핀(137)을 압박하는 볼트(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110)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볼트(133)가 통과하는 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140)의 두께와 개수의 가감에 따라, 상기 탈착블록(130)이 상기 하부블록(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137)의 전후 이송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부블록(110)을 연삭기의 베드 상에 안착시킨다. 상기 베드는 전자석이 내부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블록(110)은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블록(130)이 해당하는 핀홀(125)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블록(110)에 장착한다. 즉, 핀코어(P)의 치수에 부합되는 핀홀(125)을 선정하고 상기 핀홀(125)에 대응되도록 탈착블록(13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블록(130)과 상기 하부블록(110) 사이에 상기 링(140)을 개재하므로 상기 선단부(N)와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과의 사이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139)를 풀어서 상기 지지핀(137)의 전진량을 조정한다. 즉, 핀코어(P)가 상기 지지핀(137)에 연결된 헤드(138)의 종단면(K)에 닿았을 때, 핀코어(P)의 선단부(N)가 공차범위 내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서처럼, 핀코어(P)가 상기 헤드(138)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셋팅하여 상기 숫돌(G)에 의해서 헤드(138)가 연삭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핀(137)의 높이는 상기 탈착블록(130)의 슬로트(131)를 통해서 조정이 가능하며 탈착블록(130)의 회전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숫돌(G)이 회전하도록 한 후,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단부(N)의 절입 깊이가 공차 범위 안에 있도록 숫돌(G)의 하강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120)의 핀홀(125)에 핀코어(P)를 삽입해서 숫돌(G)의 테두리면(S)으로 밀착시킨다. 상기 테두리면(S)은 도 5에서처럼 경사진 형상이므로 핀코어(P)의 선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연삭된다. 이때,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은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보다 후진한 상태이므로 숫돌(G)에 의해서 상부블록(120)이 절삭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지지핀(137)의 헤드(138)가 핀코어(P)를 지지한 상태에서 핀코어(P)보다 낮게 높이가 정해지므로 지지핀(137)이 숫돌(G)에 의해 연삭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연삭이 완료되면 상기 핀코어(P)를 빼내고 다른 핀코어(P)를 상기 상부블록(120)의 핀홀(125)에 넣어서 선단부(N)가 연삭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핀코어(P)를 상기 상부블록(120)의 핀홀(125)에 넣었다가 빼내면 연삭이 완료되므로 배경기술처럼 핀코어(P)를 드릴척에 이탈시키고 장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고, 상기 지지핀(137)에 의해 핀코어(P)가 지지되므로, 전진하는 양이 일정하다. 따라서, 선단부(N)의 길이(L)를 공차범위 안에 있도록 연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G)은 매 번 핀코어(P)를 교체할 때마다 승강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높이가 정해진 숫돌(G)에 다수 개의 핀코어(P)를 절삭하므로 일률적인 절입 깊이로 연삭된 핀코어(P)를 얻을 있다. 또한, 상기 숫돌(G)의 높이는 핀코어(P)의 절입 깊이가 공차 범위 안에 있도록 셋팅되면 다수의 핀코어(P)를 모두 공차 범위 안에서 연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핀코어용 연삭지그 110: 하부블록
111: 전면 113: 탭홀
115: 상면 120: 상부블록
121: 전면 125: 핀홀
123: 후면 130: 탈착블록
131: 슬로트 132: 전면
134: 후면 133: 볼트
135: 핀홀 137: 지지핀
138: 헤드 K: 종단면
139: 볼트 140: 링

Claims (2)

  1. 육면체 모양의 하부블록(110)과,
    상기 하부블록(110)의 상면(11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면(121)이 하부블록(110)의 전면(11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블록(120)과,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형성된 탭홀(113)과,
    상기 상부블록(120)의 전면(121)에서 후면(123)으로 관통되고 핀코어(P)가 끼워지는 핀홀(125)과,
    상기 하부블록(110)의 전면(111)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탈착블록(130)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131)와,
    상기 슬로트(131)를 통해 상기 탭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33)와,
    상기 탈착블록(13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슬로트(131)의 상방에 위치하는 핀홀(135)과,
    상기 핀홀(135)에 끼워져서 핀코어(P)를 지지하는 지지핀(137)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측면에서 상기 핀홀(135)로 연결되는 탭홀과,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핀(137)을 압박하는 볼트(1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코어용 연삭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10)과 상기 탈착블록(13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볼트(133)가 통과하는 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코어용 연삭지그.
KR1020130009924A 2013-01-29 2013-01-29 핀코어용 연삭지그 KR10127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24A KR101278969B1 (ko) 2013-01-29 2013-01-29 핀코어용 연삭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24A KR101278969B1 (ko) 2013-01-29 2013-01-29 핀코어용 연삭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969B1 true KR101278969B1 (ko) 2013-07-05

Family

ID=4899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924A KR101278969B1 (ko) 2013-01-29 2013-01-29 핀코어용 연삭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272A (zh) * 2016-10-11 2016-12-21 福州大学 微小尺寸冲头的磨削方法及磨削装置
CN113478389A (zh) * 2021-07-22 2021-10-08 杭州铭赫科技有限公司 一种mim可变截面涡轮增压器叶片端面磨装夹治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662A (en) 1971-08-20 1973-09-25 I Brock Tool holder adaptor
JP2000042804A (ja) 1998-07-24 2000-02-15 Takeshi Higuchi 研磨切削装置
JP3831170B2 (ja) 2000-02-01 2006-10-11 光洋機械工業株式会社 棒状ワークの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662A (en) 1971-08-20 1973-09-25 I Brock Tool holder adaptor
JP2000042804A (ja) 1998-07-24 2000-02-15 Takeshi Higuchi 研磨切削装置
JP3831170B2 (ja) 2000-02-01 2006-10-11 光洋機械工業株式会社 棒状ワークの研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272A (zh) * 2016-10-11 2016-12-21 福州大学 微小尺寸冲头的磨削方法及磨削装置
CN113478389A (zh) * 2021-07-22 2021-10-08 杭州铭赫科技有限公司 一种mim可变截面涡轮增压器叶片端面磨装夹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1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hole, slot and/or depression in a needle proximal to its tip
KR101278969B1 (ko) 핀코어용 연삭지그
KR20160079483A (ko) 수직회전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클램핑지그
CN106992138B (zh) 使用板状治具加工多个长方形的被加工物的加工方法
CN103331656A (zh) 一种钻头研磨机
US2329020A (en) Punching device
JPH0373414B2 (ko)
CN215325760U (zh) 一种带自动输送装置的机械加工机床
US2789641A (en) Multiple parting-off tool
CN103737340A (zh) 带螺纹的夹紧装置
CN109366306B (zh) 一种折弯下模的磨削定位工装和v槽磨削方法
JP6170699B2 (ja) 溝加工方法
CN206185529U (zh) 用于子弹引信体加工的快速装夹工艺装置
CN203936673U (zh) 花纹圈圆度控制工装
US2421926A (en) Jewel carrying too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2059834B (zh) 一种有台阶硬质合金凹模的平面磨削装置
CN212020188U (zh) 一种工磨平头限位组件
CN214559519U (zh) 铣刀研磨机的定位装置
KR101578084B1 (ko) 바이스용 평행 지지블럭
KR100219427B1 (ko) 다이 부시의 나선홈 가공장치
JP4408362B2 (ja) 多連パンチの研削用ジグ及びパンチ金型並びに研削方法
CN102357817A (zh) 蝶阀板的新型加工胎具及其加工工艺
KR20070041651A (ko) 방전기를 이용한 가공장치
TWI676524B (zh) 能任意調整二斜面或三斜面鑽頭靜點大小的鑽頭磨刃機
CN107580532B (zh) 用于加工钥匙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