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663B1 - 가공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663B1
KR101278663B1 KR1020120136225A KR20120136225A KR101278663B1 KR 101278663 B1 KR101278663 B1 KR 101278663B1 KR 1020120136225 A KR1020120136225 A KR 1020120136225A KR 20120136225 A KR20120136225 A KR 20120136225A KR 101278663 B1 KR101278663 B1 KR 101278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fastening
rotating plate
workpie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자
Original Assignee
신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8676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86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자 filed Critical 신광자
Priority to KR102012013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663B1/ko
Priority to PCT/KR2013/002179 priority patent/WO2014084454A1/ko
Priority to CN201380000398.2A priority patent/CN10395809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3Retention by pivotal elements, e.g. catches,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위치고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가공대상물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 간의 정확한 동심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불량을 방지하고 가공대상물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위치설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물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orkpiece}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등의 가공 대상물의 홀 가공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안정적인 위치고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과정에서 가공대상물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공지점과 가공공구 간의 위치변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모터케이스는 다이캐스팅을 통해 성형된 후 축공이나 베어링 홈 등의 홀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우선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설정한 후 지그 등을 통해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이트 등의 가공공구를 접촉시켜 면취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기존 지그를 이용한 고정방식은 여러 개의 지그가 가공대상물을 중심으로 사방에 위치한 상ㅌ에서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무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경우 각 지그에 의한 가압력이 가공대상물의 테두리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작용 되기 때문에 가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테두리 부분이 일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초래되기 쉽다.
더구나 가공대상물의 재질이 알루미늄일 경우 이러한 변형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모터케이스 등처럼 좌우 테두리의 형상이 대칭 구조가 아닐 경우 각 지그에 의한 가압력에 편차가 발생 될 수밖에 없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가공대상물의 일그러짐 현상 등에 의해, 결국 가공대상물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가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위치가 변화되 동심각이 틀려지는 현상이 발생 된다.
더불어 이렇게 가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 가공대상물의 가공면의 각도가 기울어지는 현상도 함께 초래될 수도 있다.
이는 결국 가공불량의 주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가공공구와 가공홀 간의 동심선 일치를 위해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여러 번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수반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186350000호(2000.04.08)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가공대상물의 위치고정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위치고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가공대상물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 간의 정확한 동심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면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가공불량을 방지하고 가공대상물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마주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가공공구 출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테두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거치프레임, 상기 본체의 전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판의 중심점을 향해 직선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가압부재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측면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판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마주하고 있고 테두리 부근이 상기 거치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가공대상물은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판을 관통한 상태로 직선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고정판 및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각 거치프레임 사이에는 가공물 인출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은 상기 고정판 및 회전판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테두리가 상기 각 거치프레임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과 결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체결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상기 각 체결봉과 체결봉 사이 구간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봉은 상기 인출입공간과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판 중 상기 회전판을 향하는 면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상기 각 체결봉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체결홈에 삽입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공대상물이 상호 마주하는 고정판과 본체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부재가 가공대상물을 밀어 고정판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
기존과 달리 가공대상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과정에서의 가공대상물의 훼손 현상이 최소화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재의 가압방향이 가공공구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작용됨으로 가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위치변화 현상이 최소화 되어, 결국 가공공구와 가압지점 간 동심선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가공불량 현상도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공대상물이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의 테두리 지점이 각 거치프레임에 접촉되므로, 가공대상물을 고정판 및 회전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적정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어 가공대상물의 위치설정과정이 간소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가공대상물이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일부구간이 각 체결봉 사이에 끼워짐에 따라 보다 확실한 위치설정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이때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거치프레임의 일측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각 체결봉이 가공대상물의 해당 지점과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되기 때문에, 고정판과 회전판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가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가공대상물을 고정판 및 회전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각 체결봉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체결홈에도 끼워져 체결됨으로 가공대상물의 더욱 안정적인 위치고정이 가능한 장점도 갖게 된다.
더불어 가공대상물의 가압방향이 전후 직선방향이고 위 처럼 체결홈 및 체결홈에 의해 적정위치가 설정됨으로, 가공대상물의 가공면이 항시 고정판과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공면의 기울어짐에 의한 가공불량 현상도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위치설정부와 가공대상물 간의 분해사시도
도3은 가공대상물이 위치설정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2 상태의 정단면 개략도
도5는 도3 상태의 전단면 개략도
도6은 가공대상물이 위치설정부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 개략도
도7은 가압부재가 전진하여 가공대상물을 가압한 상태의 측단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가공물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회전구동부(200), 가압부(300) 및 위치설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가공물 고정장치의 케이싱 역할 및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공종류에 따라 선반장치나 밀링 장치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본체(100)의 구조를 특정화 시키지 않고 단순 개략도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회전구동부(200)가 설치된다.
회전구동부(200)는 후술하는 위치설정부(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위치설정부(400)에 설치된 가공대상물(1)의 회전유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회전모터(210) 및 회전축(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모터(210)는 회전구동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AC 또는 DC모터가 사용되며 본체(100)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20)은 회전모터(210)와 후술하는 위치설정부(400)를 연결하여 회전모터(210)의 회전력을 위치설정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판 형태이고 후측 단부가 본체(100)의 전측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모터(210)와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220)은 전측이 본체(100)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설치된 회전구동부(200)에는 가압부(300)가 연결된다
가압부(300)는 가공대상물(1)의 위치설정에 필요한 가압력을 발휘하는 부분으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다시 가압구동부재(310)와 가압부재(32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가압구동부재(310)는 직선 가압에 필요한 실제 가압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공압 또는 유압방식의 실린더 형태이고 본체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가압부재(320)는 가압부(300)의 가압력을 출력하여 후술하는 위치설정부 내에 위치한 가공대상물을 실제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후단부가 가압부(300)의 실린더로드(3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200)의 회전축(220)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100)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가압부(3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는 위치설정부(400)가 더 설치된다.
위치설정부(400)는 가공대상물(1)의 위치설정 및 가압부(300)에 의한 가압과정에서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회전판(410)과 고정판(420), 거치프레임(430) 및 체결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회전판(410)은 회전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위치설정부(400) 전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판 형태이고 회전구동부(200)의 회전축(220) 전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볼트(412)에 의해 회전축(220)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판(410)은 회전축(220)의 회전시 동시에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판(420)은 가공대상물(1)이 가압부재(320)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1)의 지지체 역할과 동시에 가공공구(2)의 인출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중앙에 가공공구 인출입구(422)가 형성된 원형 링 형태이고 회전판(410)의 전측에 위치된다.
이때 고정판(420)은 후면이 회전판(410)의 전면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마주한 상태로 위치되어,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사이에는 가공대상물(1)이 수용될 수용공간(4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고정판(420)은 가공공구 인출입구(422)의 중심점이 가압부재(320)와 전후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정판(420)은 거치프레임(430)을 통해 회전판(410)과 연결되는데,
거치프레임(430)은 위 언급처럼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간의 연결기능과 동시에 가공대상물(1)의 설치 과정에서 위치설정에 필요한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각 막대 형태이고 회전판(410)과 고정판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거치프레임(430)의 후단부는 회전판(410)의 전면 테두리 부근에 일체로 연결되고 전단부는 고정판(420)의 후면 테두리 부근에 볼트 형태의 체결핀(432)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결국 고정판(420)은 거치프레임(430)을 매개체로 하여 회전판(410)과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회전판(410)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거치프레임(430)은 고정판(4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친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일측 중 상하 거치프레임(430) 사이에는 가공대상물(1)의 인출입이 이루어지는 가공물 인출입공간(434)이 형성된다.
이때 양 거치프레임(430)의 상하 간격은 설치하고자 가공대상물(1)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거치프레임(430)과 함께 위치설정부(400)를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인 체결부(440)는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사이에 수용된 가공대상물(1)의 보다 정확한 위치설정 및 위치고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체결봉(442) 및 체결홈(4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체결봉(442)은 거치프레임(430)과 더불어 가공대상물의 위치설정에 필요한 기준점 역할과 가공대상물의 보조적인 위치고정 역할, 회전과정에서 위치설정부에 작용되는 원심력의 편차를 최소화 시키는 역할 및 가공대상물과 가공공구 간의 동심선 유지 기능 및 가공면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사이 중 양 거치프레임(430) 사이 가공물 인출입공간(434)과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봉(442)은 단순 봉 형태이고 양 거치프레임(430)과 대칭되는 지점에는 각각 한쌍의 체결봉(442)이 수평을 이루면서 위치되며 각 체결봉(442)의 후단부는 회전판(410)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고정판(420)의 후측면에 연결된다.
이렇게 각 한쌍의 체결봉이 가공물 인출입공간(434)과 대칭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가공물이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설정부(400) 전체가 회전될 때, 원심력이 가공대상물과 거치프레임간 접촉지점 쪽을 향해 치우쳐 작용 되지 않고 양측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위치설정부의 정확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체결봉(442) 중 위쪽에 위치한 한쌍의 체결봉은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해당 체결봉과 체결봉 사이에는 끼움간극(4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쪽에 위치한 한쌍의 체결봉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해당 체결봉과 체결봉 사이에도 동일한 끼움간극(442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체결봉 간의 끼움간극(442a)은 가공대상물이 모터하우징일 경우 모터하우징의 양 모서리(1a)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이러한 끼움간극(442a)의 폭을 비롯해 체결봉의 형성개수는 가공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봉(442)과 함께 체결부(440)를 구성하는 체결홈(444)은 가공대상물(1)과 고정판(420)의 직접적인 체결을 통해 일체화시킴으로써 가공대상물(1)과 회전판(410)이 함께 정확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봉과 더불어 가공대상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 회전과정에서 위치설정부에 작용되는 원심력의 편차를 최소화 시키는 역할, 가공대상물과 가공공구 간의 동심선 유지 기능 및 가공면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고정판(420)의 후측면 중 각 쌍의 체결봉(442) 간의 끼움간극(442a)과 마주하는 지점에 일정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444)은 일단부가 개방된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도 ]과 같이 내측면이 가공대상물(1) 중 체결홈(444)에 끼워질 지점의 각도에 맞게 경사진 경사면(444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가공대상물이 모터하우징일 경우 양 모서리(1a) 단부가 각 체결홈(444)에 슬라이딩 형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단부가 체결홈의 경사면 전체에 밀착된 상태가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즉 체결부(440)는 모터하우징의 양 모서리(1a)가 각 체결홈(444)에 슬라이딩 형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양 모서리(1a) 부근이 각 체결봉(442) 간 끼움간극(442a)에 끼워진 상태가 됨으로, 체결봉(442)과 체결홈(444)을 통해 다중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가공대상물이 모터하우징일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가공대상물(1)을 양 거치프레임(430) 사이의 가공물 인출입공간(434)을 통해 고정판(420)과 회전판(410) 사이의 수용공간(401)으로 밀어넣는다.
이 과정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공대상물(1) 중 탭이 형성된 양 모서리(1a) 단부가 각 체결홈(444)에 슬라이딩 형태로 끼워진 후 체결홈(4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양 모서리(1a) 부근이 체결봉(442) 사이의 끼움간극(442a)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공대상물(1)의 양 모서리는 체결홈(444)과 끼움간극(442a)에 동시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모터하우징의 일측 양단에 돌출된 받침프레임(1b)은 각 거치프레임(43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수용공간(401)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모터하우징 중앙의 베어링 홀 중심점이 고정판(420)의 가공공구 인출입구(422) 중심점과 동일선상 상태가 된다.
즉 이처럼 가공대상물(1)을 수용공간(401)으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양 모서리(1a)가 체결홈(444) 및 끼움간극(442a)에 끼워짐과 동시에 받침프레임(1b)이 거치프레임(430) 걸려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가공대상물이 적정지점에 위치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공대상물(1)의 위치설정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가공대상물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해 가공대상물의 위치를 여러 번 조절해야 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처럼 가압부(300)를 작동시키면 가압부재(320)가 전측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인출되어 전단부가 가공대상물(1)의 후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1)은 전후측면이 가압부재(320) 및 고정판(420)에 의해 물려진 상태가 된다.
이때 가압부재(320)에 의한 가압력은 기존과 달리 뒤에서 앞쪽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가압력이 가공대상물 전체로 분산되어 가공대상물의 일그러짐 현상이 최소화 된다.
또한 더불어 가압방향이 전후 일방향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가공대상물이 체결봉(442) 및 체결홈(444)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 간 동심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가압과정에서 가공대상물의 가공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가공대상물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200)를 작동시키면 회전축(220)에 의해 회전판(410)과 고정판(420)이 동시에 회전되고, 가공대상물(1)도 이와 함께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회전구동부(200)에는 원심력이 작용 되는데, 위 설명처럼 거치프레임(430)과 가공대상물의 받침프레임(1b)이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된 상태이므로 해당 방향으로 원심력이 치우칠 것 같지만 이와 대칭되는 지점에 체결봉(442)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설정부(400)의 양측 무게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설정부(400)의 회전 시 원심력이 받침프레임(1b) 쪽으로 치우쳐 작용되지 않고 양측에 균일하게 작용됨에 따라 적확한 진원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위치설정부(400)와 가공물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공공구(2)를 전진시켜 고정판(420)의 가공공구 인출입구(422)를 통과시킨 뒤 가공공구(2)의 단부를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에 접촉시킴으로써 절삭 등의 가공이 진행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가공대상물(1)의 위치설정 및 위치고정 과정에서 가압부재(320)의 가압방향 개선 및 체결홈과 체결봉에 의한 위치고정구조가 개선됨에 따라 가공대상물(1)의 가공지점과 가공공구(2)가 상호 정확한 동일선상을 유지하면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만을 통해 가공물의 위치설정 및 고정이 가능하다면 체결부는 전체적으로 생략되거나 체결봉과 체결홈 중에서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가공대상물을 회전가능한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시키되 가압방향이 후측에서 전측을 향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공대상물이 고정판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가압과정에서 가공물의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가공대상물의 원치않는 위치변화를 방지하여 가공대상물과의 동심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가공대상물 1a : 모서리
1b : 받침프레임 100 : 본체
200 : 회전구동부 210 : 회전모터
220 : 회전축 300 : 가압부
310 : 가압구동부재 320 : 가압부재
400 : 위치설정부 410 : 회전판
412 : 볼트 420 : 고정판
422 : 가공공구 인출입구 401 : 수용공간
430 : 거치프레임 432 : 체결핀
434 : 가공물 인출입공간
440 : 체결부 442 : 체결봉
442a : 끼움간극 444 : 체결홈
444a : 경사면 2 : 가공공구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전측면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마주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가공공구 출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상기 회전판의 전면 테두리 부근에 일체로 연결되되 가공대상물이 출입할 수 있는 인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및 상기 고정판을 연결하는 거치프레임,
    상기 본체의 전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판의 중심점을 향해 직선이동하며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는 구동부재, 그리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과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가공물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공대상물은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판을 관통한 상태로 직선이동되는
    가공물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한 쌍이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거치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인출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공대상물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테두리가 각각의 상기 거치프레임에 접촉되어 있는
    가공물 고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한 쌍의 상기 체결봉 사이 구간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 되는
    가공물 고정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각 한 쌍의 상기 체결봉이 상기 인출입공간과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가공물 고정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판 중 상기 회전판을 향하는 면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일부가 한 쌍의 상기 체결봉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체결홈에 삽입체결되는
    가공물 고정장치.
KR1020120136225A 2012-11-28 2012-11-28 가공물 고정장치 KR10127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25A KR101278663B1 (ko) 2012-11-28 2012-11-28 가공물 고정장치
PCT/KR2013/002179 WO2014084454A1 (ko) 2012-11-28 2013-03-18 가공물 고정장치
CN201380000398.2A CN103958099B (zh) 2012-11-28 2013-03-18 加工件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25A KR101278663B1 (ko) 2012-11-28 2012-11-28 가공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663B1 true KR101278663B1 (ko) 2013-06-25

Family

ID=4886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225A KR101278663B1 (ko) 2012-11-28 2012-11-28 가공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78663B1 (ko)
CN (1) CN103958099B (ko)
WO (1) WO2014084454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89B1 (ko) * 2013-08-07 2014-04-08 신광자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101449366B1 (ko) * 2014-02-20 2014-10-10 신광자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CN104708476A (zh) * 2015-03-31 2015-06-17 柳州凯通机械有限公司 斜弯轴车夹具
KR200480232Y1 (ko) * 2015-12-29 2016-04-27 (주)동양금속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
CN106002421A (zh) * 2016-06-16 2016-10-12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异形零件的车削夹具及其使用方法
KR101905768B1 (ko) 2017-08-16 2018-10-11 유메디칼 주식회사 적출후두 고정장치
KR101907557B1 (ko) * 2016-12-20 2018-10-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 에어 쿨런트 홀 가공지그 및 이를 이용한 홀 가공방법
CN108856770A (zh) * 2018-09-29 2018-11-23 山西华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件单柄连接杆的车床夹具
KR102267165B1 (ko) 2021-03-26 2021-06-21 주식회사 별랑 가공물 고정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80U (ko) * 1975-06-26 1977-01-14
JPS55103103U (ko) * 1979-01-09 1980-07-18
EP2014395A1 (en) 2007-07-11 2009-01-14 Ansaldo Energia S.P.A. A machining method and a blocking tool of an oil retainer seal of an exhaust case of a turbine
KR20100054265A (ko) * 2008-11-14 2010-05-25 이장식 공작기계용 브라켓 전용 콜릿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9312Y (zh) * 1996-02-06 1996-11-06 张学宾 空气压缩夹头
US7766586B2 (en) * 2002-12-12 2010-08-03 Derosa John L Quick change power tool chuck
CN201111452Y (zh) * 2007-10-19 2008-09-10 马进中 改进的卡爪式机床夹具
CN201235474Y (zh) * 2008-08-06 2009-05-13 济南一机床集团有限公司 一种车床浮动液压夹具
CN201552311U (zh) * 2009-11-28 2010-08-18 芜湖长胜机械制造有限公司 三爪卡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80U (ko) * 1975-06-26 1977-01-14
JPS55103103U (ko) * 1979-01-09 1980-07-18
EP2014395A1 (en) 2007-07-11 2009-01-14 Ansaldo Energia S.P.A. A machining method and a blocking tool of an oil retainer seal of an exhaust case of a turbine
KR20100054265A (ko) * 2008-11-14 2010-05-25 이장식 공작기계용 브라켓 전용 콜릿척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89B1 (ko) * 2013-08-07 2014-04-08 신광자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WO2015020269A1 (ko) * 2013-08-07 2015-02-12 Shin Kwang Ja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101449366B1 (ko) * 2014-02-20 2014-10-10 신광자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CN104708476A (zh) * 2015-03-31 2015-06-17 柳州凯通机械有限公司 斜弯轴车夹具
KR200480232Y1 (ko) * 2015-12-29 2016-04-27 (주)동양금속 피가공물 고정용 지그
CN106002421A (zh) * 2016-06-16 2016-10-12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异形零件的车削夹具及其使用方法
KR101907557B1 (ko) * 2016-12-20 2018-10-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 에어 쿨런트 홀 가공지그 및 이를 이용한 홀 가공방법
KR101905768B1 (ko) 2017-08-16 2018-10-11 유메디칼 주식회사 적출후두 고정장치
CN108856770A (zh) * 2018-09-29 2018-11-23 山西华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件单柄连接杆的车床夹具
KR102267165B1 (ko) 2021-03-26 2021-06-21 주식회사 별랑 가공물 고정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8099B (zh) 2016-03-02
WO2014084454A1 (ko) 2014-06-05
CN103958099A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663B1 (ko) 가공물 고정장치
KR101382389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CN111618350A (zh) 镗模及使用该镗模进行镗孔的方法
JP5016122B1 (ja) 測定用治具、ワイヤソー、及びワーク装着方法
CN112453518A (zh) 转向节两个内轴面的精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212495583U (zh) 镗模
CN210524199U (zh) 一种光器件焊接装置
CN110000508B (zh) 汽车减振器外筒上稳定杆支架的焊接工装
CN212020025U (zh) 一种便于装拆的模具定位工装
CN210731198U (zh) 一种刀轮装置及使用该刀轮装置的硅钢片切割机
CN217475442U (zh) 旋转式模芯加工定位治具
CN111360566A (zh) 牙轮钻头用牙掌轴颈装夹定位装置
CN105345347A (zh) 一种均压环焊接夹具
JP6629686B2 (ja) ロータリチャック
CN214161423U (zh) 一种数控立车夹具定位装置
CN210476486U (zh) 一种高精度激光定位模具顶杆专用修模机
CN220575116U (zh) 一种磁力泵内磁转子焊接装置
CN217513421U (zh) 一种便于固定的钢套铣槽夹具
CN205165954U (zh) 一种镗床
CN107717677B (zh) 一种油泵叶片的加工设备
CN220463075U (zh) 发动机缸盖夹具
CN219005104U (zh) 一种桥壳附件通用立式焊接工装
CN210909075U (zh) 可准确夹紧电机机壳的加工中心
KR20190100559A (ko) 환봉 센터가공장치
CN212693199U (zh) 一种安装快捷的镜头解像检查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24

Effective date: 201505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