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585B1 - 쇄미 선별기 - Google Patents
쇄미 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8585B1 KR101278585B1 KR1020110041390A KR20110041390A KR101278585B1 KR 101278585 B1 KR101278585 B1 KR 101278585B1 KR 1020110041390 A KR1020110041390 A KR 1020110041390A KR 20110041390 A KR20110041390 A KR 20110041390A KR 101278585 B1 KR101278585 B1 KR 101278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rice
- net
- support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미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편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회전운동 시 요동하는 하우징; 및 요동하는 상기 하우징으로 투입된 백미로부터 이물질 및 쇄미를 걸러내는 복수의 채망들을 각각 지지하고,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편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회전운동 시 요동하는 하우징; 및 요동하는 상기 하우징으로 투입된 백미로부터 이물질 및 쇄미를 걸러내는 복수의 채망들을 각각 지지하고,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미로부터 쇄미(미강, 소쇄, 대쇄) 및 이물질을 분리/제거하는 쇄미 선별기 중 하나인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쌀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곡으로서 우리나라 국민의 식단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쌀 경쟁력은 농촌 노동력 절감, WTO 체제로의 진입 등으로 인해 계속하여 낮아지고 있었다. 이에 정부는 농어촌구조개선사업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수확된 벼의 일괄처리시설인 미곡종합처리장(RPC : Rice Processing Complex)이 1991년부터 적극적으로 보급되었다.
미곡종합처리장에는 기본적인 설비 이외에 현미 조질기, 연미기, 쇄미 선별기, 색체 선별기 등과 같은 백미 상품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설비들이 도입되고 있다. 이 중, 쇄미 선별기는 정백(현미에서 겨를 분리하여 백미를 만드는 것)이 완료된 백미로부터 쇄미(미강, 소쇄, 대쇄) 및 이물질을 분리/제거함으로써 백미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기계이다. 쇄미는 취사 시 전분질을 용출하여 밥의 맛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쇄미가 분리/제거되면 백미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쇄미 선별기에는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와 원통형 홈 쇄미 선별기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의 작동 원리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백이 완료된 백미는 최상부 투입구(10)로 투입되어 상부 이물질 채망(12a)으로 낙하한다. 낙하한 백미 중 완전미와 쇄미는 상부 이물질 채망(12a)을 통과하여 상부 완전미 채망(16a)으로 직접 낙하하고, 미강 덩어리와 같은 이물질과 상부 이물질 채망(12a)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완전미 및 쇄미는 상부 이물질 채망(12a)을 지지하는 프레임(12b)의 홀(12c)을 통과하여 하부 이물질 채망(14a)으로 낙하한다. 하부 이물질 채망(14a)으로 낙하한 백미 중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구(14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완전미와 쇄미는 하부 이물질 채망(14a)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완전미 채망(16a)으로 낙하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이물질 채망(12a, 14a)은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갖는다.
상부 완전미 채망(16a)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상부 완전미 채망(16a)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22a)으로 직접 낙하하고, 완전미와 상부 완전미 채망(16a)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쇄미는 상부 완전미 채망(16a)을 지지하는 프레임(16b)의 홀(16c)을 통과하여 중부 완전미 채망(18a)으로 낙하한다. 중부 완전미 채망(18a)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중부 완전미 채망(18a)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22a)으로 직접 낙하하고, 완전미와 중부 완전미 채망(18a)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쇄미는 중부 완전미 채망(18a)을 지지하는 프레임(18b)의 홀(18c)을 통과하여 하부 완전미 채망(20a)으로 낙하한다. 하부 완전미 채망(20a)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하부 완전미 채망(20a)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22a)으로 낙하하고, 완전미는 하부 완전미 채망(20a)을 지지하는 프레임(20b)의 완전미 배출구(20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 중부 및 하부 완전미 채망(16a, 18a, 20a)은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갖는다.
대쇄 채망(22a)으로 낙하한 쇄미 중 소쇄와 미강은 소쇄 채망(24a)으로 낙하하고, 대쇄는 대쇄 채망(22a)을 지지하는 프레임(22b)의 홀(22c)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소쇄 채망(24a)으로 낙하한 쇄미 중 미강은 소쇄 채망(24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소쇄는 소쇄 채망(24a)을 지지하는 프레임(24b)의 홀(24c)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 상에 상기 프레임들(12b, 14b, 16b, 18b, 20b, 22b, 24b)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대(30)에는 대쇄 배출구(32), 소쇄 배출구(34) 및 미강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30)는 편심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프레임들(12b, 14b, 16b, 18b, 20b, 22b, 24b)을 요동시킨다.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가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되면 각각의 채망(12a, 14a, 16a, 18a, 20a, 22a, 24a) 및 쇄미 배출구(32, 34, 36)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쌓이게 된다. 따라서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의 채망(12a, 14a, 16a, 18a, 20a, 22a, 24a) 및 쇄미 배출구(32, 34, 36)는 정기적으로 청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의 경우, 너트(44)가 풀리고 프레임 누름대(42)가 해체된 후 프레임들(12b, 14b, 16b, 18b, 20b, 22b, 24b) 각각이 분리되어야 비로소 채망(12a, 14a, 16a, 18a, 20a, 22a, 24a) 및 쇄미 배출구(32, 34, 36)가 청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쇄미 선별기에 의하면 채망(12a, 14a, 16a, 18a, 20a, 22a, 24a) 및 쇄미 배출구(32, 34, 36)의 청소에 번거로움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채망 및 쇄미 배출구의 청소를 종래에 비해 용이케 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적은 시간 및 노력만으로 가능케 하는 쇄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회전운동 시 요동하는 하우징; 및 요동하는 상기 하우징으로 투입된 백미로부터 이물질 및 쇄미를 걸러내는 복수의 채망들을 각각 지지하고,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미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쇄미 선별기는 인출 방지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출 방지대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요동 시 상기 채망 프레임들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 방지대는 상기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 모두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 방지대는 손잡이를 구비한 볼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집진 후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후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채망들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시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망 프레임들이 하우징에 서랍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채망들을 하우징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채망들을 청소하는 작업 또한 용이하며, 모든 채망들의 분리 없이 원하는 채망들만의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시창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백미 흐름의 관찰을 통해 작업이 원할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망들의 관찰을 통해 청소되어야 할 채망들 및 채망들이 청소되어야 할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집진 후드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 후드는 흡입기와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 모든 채망들에서 곡온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집진 효율 또한 높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쇄미 선별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로터리 시프터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쇄미 선별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쇄미 선별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쇄미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쇄미 선별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0)와, 하우징(130)과, 복수의 채망 프레임과, 한 쌍의 인출 방지대(162, 164)를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상하단에 스프링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봉(1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대(110)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118)와 결합되며, 풀리(118)의 회전 시 편심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하우징(130)을 요동시킨다. 또한 지지대(110)에는 미강, 소쇄 및 대쇄를 각각 배출하기 위한 미강 배출 호퍼(112), 소쇄 배출 호퍼(114) 및 대쇄 배출 호퍼(116)가 형성되어 있다. 미강 배출 호퍼(112), 소쇄 배출 호퍼(114) 및 대쇄 배출 호퍼(116)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30)은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지지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30)의 상면에는 정백이 완료된 백미의 투입을 위해 백미 투입 호퍼(196)가 형성되어 있고, 뒷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미를 배출하기 위한 완전미 배출 호퍼(19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백미에는 미강 덩어리와 같은 이물질과, 완전미와, 쇄미가 포함되어 있고, 쇄미에는 미강과, 소쇄와, 대쇄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채망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서랍처럼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채망 프레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차례로 위치하는 상부 이물질 채망 프레임(132a)과, 하부 이물질 채망 프레임(134a)과, 상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36a)과, 중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38a)과, 하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40a)과, 대쇄 채망 프레임(142a)과, 소쇄 채망 프레임(144a)을 포함한다. 하부 이물질 채망 프레임(134a)에는 이물질 배출을 위해 이물질 배출 호퍼(19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이물질 채망 프레임(132a)은 상부 이물질 채망(132b)을 지지하고, 하부 이물질 채망 프레임(134a)은 하부 이물질 채망(134b)을 지지한다. 상부 및 하부 이물질 채망(132b, 134b)은 동일한 크기의 격자를 갖는다. 상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36a)은 상부 완전미 채망(136b)을 지지하고, 중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38a)은 중부 완전미 채망(138b)을 지지하며, 하부 완전미 채망 프레임(140a)은 하부 완전미 채망(140b)을 지지한다. 상기 완전미 채망들(136b, 138b, 140b)의 격자 크기는 모두 동일하고, 이물질 채망(132b, 134b)의 격자 크기보다는 작다. 대쇄 채망 프레임(142a)은 대쇄 채망(142b)을 지지하고, 대쇄 채망(142b)의 격자 크기는 완전미 채망들(136b, 138b, 140b)의 격자 크기보다 작다. 소쇄 채망 프레임(144a)은 소쇄 채망(144b)을 지지하고, 소쇄 채망(144b)의 격자 크기는 대쇄 채망(142b)의 격자 크기보다 작다.
하우징(130)으로 투입된 백미 중 완전미와 쇄미는 상부 이물질 채망(132b)을 통과하여 상부 완전미 채망(136b)으로 직접 낙하하고, 미강 덩어리와 같은 이물질과 상부 이물질 채망(132b)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완전미 및 쇄미는 하부 이물질 채망(134b)으로 낙하한다. 하부 이물질 채망(134b)으로 낙하한 백미 중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 호퍼(19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완전미와 쇄미는 하부 이물질 채망(134b)을 통과하여 상부 완전미 채망(136b)으로 낙하한다.
상부 완전미 채망(136b)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상부 완전미 채망(136b)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142b)으로 직접 낙하하고, 완전미와 상부 완전미 채망(136b)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쇄미는 중부 완전미 채망(138b)으로 낙하한다. 중부 완전미 채망(138b)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중부 완전미 채망(138b)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142b)으로 직접 낙하하고, 완전미와 중부 완전미 채망(138b)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쇄미는 하부 완전미 채망(140b)으로 낙하한다. 하부 완전미 채망(140b)으로 낙하한 백미 중 쇄미는 하부 완전미 채망(140b)을 통과하여 대쇄 채망(142b)으로 낙하하고, 완전미는 하우징(130)의 뒷면에 형성된 완전미 배출 호퍼(19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대쇄 채망(142b)으로 낙하한 쇄미 중 소쇄와 미강은 소쇄 채망(144b)으로 낙하하고, 대쇄는 지지대(110)의 대쇄 배출 호퍼(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소쇄 채망(144b)으로 낙하한 쇄미 중 미강은 소쇄 채망(144b)을 통과한 후 지지대(110)의 미강 배출 호퍼(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소쇄는 소쇄 채망(24a)을 통과하지 않고 지지대(110)의 소쇄 배출 호퍼(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채망 프레임들이 서랍 형태로 하우징(130)에 결합될 경우, 하우징(130)의 요동 시 채망 프레임들이 하우징(130)으로부터 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쇄미 선별기(100)는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하우징(130)의 요동에 의한 채망 프레임들의 인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인출 방지대(162, 164)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 방지대(162, 164)가 구비되더라도 작업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채망 프레임들이 하우징(1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어야 하는바, 상기 인출 방지대(162, 164)는 하우징(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출 방지대(162, 16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이때 인출 방지대(162, 164)는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 모두의 외면과 접촉한다. 또한 인출 방지대(162, 164)는 자신을 관통하여 하우징(130)에 체결되는 볼트(166)에 의해 하우징(130)에 고정된다. 한편,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도 볼트(166)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볼트(166)에는 손잡이(168)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쇄미 선별기(100)에 따르면 채망 프레임들이 하우징(130)에 서랍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채망들을 하우징(130)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채망들을 청소하는 작업 또한 용이하며, 모든 채망들의 분리 없이 원하는 채망들만의 청소가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130)에는 복수의 시창들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30)의 양 측면에는 이물질 채망(132b, 134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창(172)이 구비되고, 하우징(130)의 뒷면에는 완전미 채망(136b, 138b, 140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창들(174, 176, 178)과, 대쇄 채망(142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창(180)과, 소쇄 채망(144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창(182)이 구비된다.
하우징(130)에 상기 시창들이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는 백미 흐름의 관찰을 통해 작업이 원할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망들의 관찰을 통해 청소되어야 할 채망들 및 채망들이 청소되어야 할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에는 집진 후드(146)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 후드(14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양 측면 상측 부위에 구비되고, 하우징(146)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집진 후드(146)에는 흡입기(미도시)로부터 연장하는 흡입관(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기가 작동하면 하우징(130)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미강 배출 호퍼(112), 소쇄 배출 호퍼(114), 대쇄 배출 호퍼(116), 이물질 배출 호퍼(192), 백미 투입 호퍼(196) 등을 통해 하우징(130)의 내부로 사각 없이 유입되고 하우징(130) 내부의 더운 공기가 집진 후드(1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가 작동하면 하우징(130) 내부의 먼지 또한 집진 후드(1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쇄미 선별기(100)에 의하면 모든 채망들에서 곡온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집진 효율 또한 높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집진 후드(146)는 하우징(130)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이때 집진 후드(146)는 1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앞서 설명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130)에 모두 7개의 채망들 및 채망 프레임들이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상이한 개수의 채망들 및 채망 프레임들이 하우징(13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쇄미가 대쇄와 소쇄와 미강으로 분리될 필요가 없다면 상기 하우징(130)에는 대쇄 채망(142b) 및 그 프레임(142a)과, 소쇄 채망(144b) 및 그 프레임(144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완전미를 걸러내는 횟수가 2번으로 결정된다면 2개의 완전미 채망 및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쇄미 선별기 110 : 지지대
130 : 하우징 146 : 집진 후드
132a, 134a, 136a, 138a, 140a, 142a, 144a : 채망 프레임
132b, 134b, 136b, 138b, 140b, 142b, 144b : 채망
162, 164 : 인출 방지대 166 : 볼트
172, 174, 176, 178, 180, 182 : 시창
130 : 하우징 146 : 집진 후드
132a, 134a, 136a, 138a, 140a, 142a, 144a : 채망 프레임
132b, 134b, 136b, 138b, 140b, 142b, 144b : 채망
162, 164 : 인출 방지대 166 : 볼트
172, 174, 176, 178, 180, 182 : 시창
Claims (5)
- 편심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회전운동 시 요동하는 하우징;
요동하는 상기 하우징으로 투입된 백미로부터 이물질 및 쇄미를 걸러내는 복수의 채망을 각각 지지하고, 인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채망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요동 시 상기 채망 프레임들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 방지대;로 이루어지는 쇄미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하단에 스프링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봉(1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인출 방지대는 상기 복수의 채망 프레임들 모두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손잡이를 구비한 볼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집진 후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채망 각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채망에 각각 대응하는 시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미 선별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1390A KR101278585B1 (ko) | 2011-05-02 | 2011-05-02 | 쇄미 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1390A KR101278585B1 (ko) | 2011-05-02 | 2011-05-02 | 쇄미 선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3822A KR20120123822A (ko) | 2012-11-12 |
KR101278585B1 true KR101278585B1 (ko) | 2013-07-02 |
Family
ID=4750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1390A KR101278585B1 (ko) | 2011-05-02 | 2011-05-02 | 쇄미 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858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955B1 (ko) * | 2014-01-27 | 2015-11-25 | 장상국 | 수평 및 상하 진동을 하는 체질용 곡물 선별장치 |
KR101883463B1 (ko) | 2017-05-19 | 2018-08-31 | 현대기계공업(주) | 쌀눈 선별용 로터리 시프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61505B (zh) * | 2018-08-24 | 2021-08-17 | 安徽佳谷豆食品有限公司 | 一种年糕生产用糯米清洗筛选装置 |
CN110681579B (zh) * | 2019-11-13 | 2021-04-23 |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 一种花生仁分级筛选装置 |
KR102460097B1 (ko) * | 2022-02-14 | 2022-10-28 | 주식회사 성운테크 | 플라스틱 압출생산공정에 균일한 분포의 플라스틱 입자를 공급하기 위한 진동스크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0770A (ja) * | 2000-05-31 | 2001-12-11 | Yamamoto Co Ltd | 籾摺選別装置の揺動選別板 |
JP2002066356A (ja) * | 2000-08-31 | 2002-03-05 | Yamamoto Co Ltd |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
JP2005040732A (ja) * | 2003-07-24 | 2005-02-17 | Yamamoto Co Ltd | 籾摺装置の揺動選別板固定構造 |
-
2011
- 2011-05-02 KR KR1020110041390A patent/KR1012785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0770A (ja) * | 2000-05-31 | 2001-12-11 | Yamamoto Co Ltd | 籾摺選別装置の揺動選別板 |
JP2002066356A (ja) * | 2000-08-31 | 2002-03-05 | Yamamoto Co Ltd |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
JP2005040732A (ja) * | 2003-07-24 | 2005-02-17 | Yamamoto Co Ltd | 籾摺装置の揺動選別板固定構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955B1 (ko) * | 2014-01-27 | 2015-11-25 | 장상국 | 수평 및 상하 진동을 하는 체질용 곡물 선별장치 |
KR101883463B1 (ko) | 2017-05-19 | 2018-08-31 | 현대기계공업(주) | 쌀눈 선별용 로터리 시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3822A (ko) | 2012-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8585B1 (ko) | 쇄미 선별기 | |
JP6255684B2 (ja) | 粗選別装置 | |
CN210809203U (zh) | 一种大豆清洗机 | |
CN201437095U (zh) | 豆类清选装置 | |
CN110899117A (zh) | 一种农业生产用粮食除杂装置 | |
CN208960365U (zh) | 一种果仁筛选给料系统 | |
KR101363951B1 (ko) | 탈곡장치 | |
CN214289222U (zh) | 一种新型大米分级筛 | |
CN107042203A (zh) | 风送式咖啡豆除石机 | |
CN205110078U (zh) | 谷物筛选装置 | |
CN111921859A (zh) | 一种大米多级除杂筛选装置 | |
CN208321364U (zh) | 葵花籽筛选系统 | |
CN104971875A (zh) | 谷物筛选装置 | |
CN109570037A (zh) | 一种葵花筛选系统及其筛选工艺 | |
CN210546376U (zh) | 稻米风选装置 | |
CN207857326U (zh) | 分筛清选机 | |
CN209109546U (zh) | 一种多滚筒大米长度等级精选机 | |
CN206009186U (zh) | 种子分选箱 | |
JP6019483B2 (ja) | 穀粒分配供給装置 | |
CN206009179U (zh) | 可调式种子筛选机 | |
CN214440935U (zh) | 武夷岩茶除尘式平圆风选一体化装置 | |
CN214676651U (zh) | 一种具备筛网自动清理功能的花椒筛选机 | |
CN217043405U (zh) | 一种丝苗米加工筛分用多级振动筛网 | |
CN210058908U (zh) | 一种茶叶筛选机 | |
CN207857327U (zh) | 筛选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