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443B1 -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443B1
KR101278443B1 KR1020110028044A KR20110028044A KR101278443B1 KR 101278443 B1 KR101278443 B1 KR 101278443B1 KR 1020110028044 A KR1020110028044 A KR 1020110028044A KR 20110028044 A KR20110028044 A KR 20110028044A KR 101278443 B1 KR101278443 B1 KR 10127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powder coating
coating composition
thermosetting urethane
crystallin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86A (ko
Inventor
왕현웅
이진석
백병갑
이지연
이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1002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4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평활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주 수지로 포함하고, 굴곡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하여 저온 평활성, 굴곡성 및 충격성이 매우 우수하여 외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THERMOSETTING URETHANE POWD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CRYSTALLINE POLYESTER RESIN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CURE ABILITY}
본 발명은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저온에서의 평활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주 수지로 포함하고, 굴곡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하여 저온 평활성, 굴곡성 및 충격성이 우수한 외부용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장용 분체 도료는 카르복실 관능기로 치환된 폴리에스터 수지와 TGIC(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 경화제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TGIC계 폴리에스터 도료와 카르복실 관능기로 치환된 폴리에스터 수지와 HAA(하이드록실 알킬 아마이드) 경화제 등이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TGIC-free계 폴리에스터 분체 도료, 카르복실 관능기로 치환된 폴리에스터 수지와 에폭시 수지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하이브리드계 분체 도료, 수산기로 치환된 폴리에스터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사용한 우레탄 분체 도료, 에폭시 관능기로 치환된 아크릴 수지와 산 경화제의 반응을 통한 아크릴 분체 도료 등이 있다. TGIC 및 TGIC-free계 폴리에스터 분체 도료는 우수한 내후성 때문에 실외용에 주로 적용되고, 하이브리드계는 경제성이 뛰어나므로 냉장고, 세탁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아크릴 분체 도료는 투명성, 내후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및 고급 시장에 적용되며, 현재 그 시장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고가의 가격이 가장 큰 단점이다. 우레탄 분체 도료는 탄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나 타 경화 타입의 도료 대비 고가라는 점과 비교적 높은 경화 온도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시장 형성은 아직 미약한 상황이다.
우레탄 분체 도료의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고자 할 경우에 고 분자량의 고상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분체 도료용 고상 폴리에스터 수지는 점도가 높아 안료 분산성이 불량한 관계로 도막의 평활성이 불량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 분자량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적용하면, 외관의 향상은 기대할 수 있으나 굴곡성, 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제(주 수지)와 경화제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동시에 사용되면, 분말화된 분체 도료의 특성상 저 분자량의 수지가 적용될 경우 도료 입자들끼리 응집되는 현상이 심해져 저장성이 불량한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기존의 분체 도료로는 우수한 외관 및 50 ㎛ 이하의 박막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분체도료에 적용 시 저장성 및 기계적 물성이 양호하고 도료의 흐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안료와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외관 및 평활성이 뛰어나 박막에서도 은폐가 가능하며, 결정성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와의 점도차로 인한 비상용성으로 인해 소광제 없이도 광택 조절이 가능한 결정성 폴리에스터 분체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형이 우수한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30∼60 중량%; 및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5∼30 중량%;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5∼30 중량%; (C) 경화 촉진제 0.1∼2 중량%; (D) 표면 조정제 0.1∼3 중량%; 및 (E) 안료 20∼40 중량%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A)를 주 수지로서 포함하되,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및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직접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시판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구성하는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은 분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0∼60 중량%로 사용되어야 하고, 35∼5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의 유연성은 증가하지만 도료의 용융점도가 상승하여 우수한 평활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가가 5∼80 mg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 mgKOH/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가가 80 mgKOH/g 초과일 경우에는 분체 도료의 점도가 낮아서 외관은 우수하지만, 굴곡성 및 충격성, 도료의 저장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수산가가 5 mgKOH/g 미만일 경우에는 도료의 저장성은 좋아지지만, 소지와의 부착성 및 기계적인 물성, 내오염성 등이 저하되고, 외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구성하는 또 다른 성분으로서,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분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30 중량%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7∼25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질 수지에 의한 외관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료 분산 시 저점도로 인한 말림 현상 및 도료 분쇄 시 부드러운 성질로 인해 조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료 도장 시 저점도의 도료 특성으로 흐름성이 높아 경화 중 도료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가가 5∼80 mg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 mgKOH/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가가 80 mgKOH/g 초과일 경우에는 굴곡성 및 충격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수산가가 5 mgKOH/g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인 물성, 내오염성 등이 저하되고, 고당량으로 인한 미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열량시차분석(DSC)에 의해 측정한 연화점(Tg)이 -50∼20℃, 녹는점(Tm)이 70∼150℃, 발열(ΔH)이 5∼30J/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열량시차분석(DSC)에 의해 수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 비결정성 수지의 연화점(Tg)에서 녹기 시작하여 천천히 녹는 성질을 갖는 대신, 연화점(Tg) 및 급격한 녹는점(Tm)과 수지의 결정화가 발생되는 발열(ΔH)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정성 수지의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연화점(Tg)이 -5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화점(Tg)이 -50℃ 미만일 경우에는 상온에서 고상을 유지하기 힘들며,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 형성 후 상온에서 물리적인 변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녹는점(Tm)은 7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녹는점(Tm)이 70℃ 미만일 경우에는 상온에서 고상을 유지하기 힘들며, 150℃ 초과할 경우에는 도료 분산 시 분산력이 저하되어 도막의 외관 및 기계적 물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발열(ΔH)은 5∼30J/g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J/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열(ΔH)이 5J/g 미만일 경우 결정화가 부족하여 외관이 저하되며, 30J/g 초과일 경우 결정화 에너지가 높아 실제 도료 제조 및 도막 경화 시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실제 결정화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B)는 주 수지와 반응을 통해 도막의 경화밀도를 형성하며,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200∼350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로서, 엡실론 카프로락탐으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블로킹된 타입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200∼350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화된 도막의 적절한 경화 밀도 형성이 불가하여 내수성이 저하되거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시판되는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B-1530(엡실론 카프로락탐 블로킹 이소시아네이트, 에보닉사), B-1540(우렛디온, 에보닉사), 24-2450(엡실론 카프로락탐 블로킹 이소시아네이트, 카길사)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 중 5∼30중량%로 사용되어야 하고, 10∼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5 중량% 미만 사용하였을 경우, 우레탄 결합에서 기대되는 도막의 유연성을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와 수분이 반응하여 도막 변색 및 심각한 블리스터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화 촉진제(C)는 수지와 경화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이 없이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부틸틴딜로레이트 또는 디부틸틴딜로레이트가 실리카에 함침되어 있는 형태 또는 틴옥토에이트,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옥사이드, 틴 2-에틸헥사노에이트와 같은 틴(Tin) 계열 및 몰리브덴, 바나듐과 같은 비스무트(Bismuth) 계열의 금속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된 경화 촉진제는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 중 0.1∼2중량%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적절한 겔화 시간을 얻을 수 없어, 저온에서의 반응 속도와 가교 정도가 요구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성 및 도막 물성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표면 조정제(D)는 도막의 핀홀(pinhole) 방지 역할을 하고,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이 없이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타디엔아세테이트, 아크릴계 표면조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된 표면 조정제는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 중 0.1∼3 중량%로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료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E)는 색상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안료 또는 분체도료의 물성과 강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 안료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안료로서는 이산화티탄(백색 안료), 황산바륨,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규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안료로서는 울트라마린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카본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백색 안료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시판하는 물질로서 R-902 및 R-960(듀폰사), CR-80 및 CR-90(이시하라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전체 분체 도료 조성물 중 20∼40 중량%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수지의 함량이 많아져 내열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곡성이 불량해지고, 분산시 과량의 안료로 인하여 분산이 불량해지므로 도막이 기대되는 성능을 발현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분체도료 조성물에는 통상적인 분체도료 조성물용 첨가제(기타 첨가제)들이 0∼2 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도막의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해 통상적으로 분체도료 제조시 사용하는 흐름 개선제와 도막내 기포 방지를 위한 기포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흐름 개선제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및 아마이드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 방지제로서는 벤조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단계 과정으로,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경화 촉진제, 표면 조정제, 안료 및 기타 첨가제 등의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2,000∼5,000 rpm으로 약 100∼600초 동안 건식 예비 혼합함으로써 용융 혼합 시에 균일한 물성을 유지하도록 건식 혼합하는 사전 혼합 과정을 수행한다.
2단계 과정으로, 상기 1단계 과정을 거쳐 예비 분산된 원료를 분산기(예: PLK46, 부스사)를 이용하여 70∼150℃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 분산을 진행한다. 용융 혼합된 원료를 냉각롤과 쿨링벨트를 통과시켜 크기 50∼100 ㎜, 두께 1∼5 ㎜의 칩으로 제조한다.
3단계 과정으로, 상기 2단계를 거쳐 용융 분산된 칩을 결정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결정화 온도 및 시간은 실제 결정성 수지의 특성을 확인한 후 조건 설정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결정화 온도는 연화점(Tg)과 녹는점(Tm)의 중간 정도 온도가 적당하며, 이는 적정 온도를 찾기 위한 열량시차분석(DSC)을 통해 발생되는 발열(ΔH)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간 역시 최적의 발열(ΔH)을 보이는 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이는 결정화 중 열량시차분석(DSC)을 시간대별, 온도별 진행하여 최종 양산 조건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 단계에서는 결정성 수지의 특성이 그대로 존재하여야 하고, 따라서 연화점(Tg)이 -50∼20℃, 녹는점(Tm)이 70∼150℃, 발열(ΔH)이 5∼30J/g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화점(Tg)이 -30∼0℃, 녹는점(Tm)이 100∼130℃, 발열(ΔH)이 5∼15J/g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정화 구간을 거치지 않는 경우 도료는 결정화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해 실제 도장 후 경화 시 결정성은 성질을 구현할 수 없으며, 비결정질 도료와 차이가 없게 된다.
4단계 과정으로, 상기 3단계 과정을 거쳐 결정화 완료된 칩을 분쇄기(예: 햄머밀, 에이씨엠밀, 터버밀 등)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일정한 분말 입도(평균 입자 크기 40∼60 ㎛)를 갖는 분체도료를 제조하는 분쇄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경화성 결정성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단, 결정성 수지의 특성(Tg, Tm, ΔH) 및 함량에 따른 도료의 부드러운 성질로 인해 분쇄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질소 냉각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설비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분말의 입자크기는 분체도료의 작업성과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는데, 적정 분말 입자인 평균 입자크기가 15∼50 ㎛이고, 250 ㎛ 이상의 입자가 0.3중량% 이내로 존재하도록 입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비결정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용을 통해 외관이 미려해지며, 반응속도의 증가를 통해 기존 경화조건보다 낮은 온도에서 경화하여도 외관 및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장점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은 옥외용 중방식 제품 및 건축자재, 차량 부품 용도로 사용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도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합비율(중량%)로 각 성분을 배합하여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Crys-OH-11 10 20 - -
Crys-OH-12 - - 20 -
CNF001983 50 40 40 60
B-15304 13 13 13 13
BT-715 0.5 0.5 0.5 0.5
PV-56 1.0 1.0 1.0 1.0
PE15447 0.5 0.5 0.5 0.5
CR-808 25 25 25 25
총계 100.0 100.0 100.0 100.0
1) KCC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수산가 40mgKOH/g
2) KCC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수산가 50mgKOH/g
3) KCC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수산가 50mgKOH/g
4) Vestagon B-1530: 이소시아네이트 반응형 경화제(휼스 사)
5) BT-71: 경화 촉진제, 틴계 경화 촉매(에스트론 사)
6) PV-5: 표면 조정제(워리 사)
7) PE-1544: 흐름성 개선제, 폴리에틸렌계 왁스(랑코 사)
8) CR-80: 백색안료(이시하라 사)
실험예 : 물성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체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물성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레벨링: 육안판정/도막의 평활도를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2) 광택: 비.와이.케이 글로스미터/60도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3) 내충격성: 충격테스트기(듀폰 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4) 부착성: 1 ㎜ 간격의 칼집 100개를 도막에 그어 부착 여부를 측정하였다.
5) 유연성: 에릭센 테스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굴곡성: 가드너 굴곡성 테스터기(비.와이.케이 사), 3/16' 바를 사용하여 시편을 구부리고 크랙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외관
레벨링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양호
광택 95 94 50 94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1kg/50cm 1kg/50cm 1kg/50cm 500g/30cm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유연성 7㎜ 7㎜ 7㎜ 4㎜
굴곡성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발생
* 적용된 시편: 소지/ 0.7T 냉간 압연강판, 인산아연피막처리
* 경화온도: 160℃×10분 경화 (소지 온도 기준)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은,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와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혼용하여 적용할 경우 외관이 우수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온 경화로 인한 기계적 물성 저하에 대해서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180∼200℃ 이상의 조건에서 경화시켜야 하는 반/무광 소광형 도료를 경화 반응시키면 저점도가 되는 결정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160℃ 이하 저온 경화 시에도 소광 효과를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A)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30∼60 중량%; 및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 5∼30 중량%;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5∼30 중량%;
    (C) 경화 촉진제 0.1∼2 중량%;
    (D) 표면 조정제 0.1∼3 중량%; 및
    (E) 안료 20∼40 중량%
    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가진 비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수산가는 5∼8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수산가가 5∼8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가진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는 열량시차분석(DSC)에 의해 측정한 연화점(Tg)이 -50∼20℃, 녹는점(Tm)이 70∼150℃, 발열(ΔH)이 5∼3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이 200∼350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50 마이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KR1020110028044A 2011-03-29 2011-03-29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KR10127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44A KR101278443B1 (ko) 2011-03-29 2011-03-29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44A KR101278443B1 (ko) 2011-03-29 2011-03-29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86A KR20120110286A (ko) 2012-10-10
KR101278443B1 true KR101278443B1 (ko) 2013-07-01

Family

ID=4728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044A KR101278443B1 (ko) 2011-03-29 2011-03-29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6525A (zh) * 2013-12-31 2014-04-30 重庆七彩虹化工有限公司 热固性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7513339B (zh) * 2017-08-11 2019-11-15 帝兴树脂(昆山)有限公司 一种多异氰酸酯固化的高流平粉末涂料用半结晶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
CN108708181A (zh) * 2018-07-18 2018-10-26 华伦皮塑(苏州)有限公司 一种高度仿真皮复合沙发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63A (ja) 1999-12-17 2001-06-26 Dainippon Ink & Chem Inc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2249710A (ja) 2000-12-19 2002-09-06 Dainippon Ink & Chem Inc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粉体塗料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63A (ja) 1999-12-17 2001-06-26 Dainippon Ink & Chem Inc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2249710A (ja) 2000-12-19 2002-09-06 Dainippon Ink & Chem Inc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粉体塗料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8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7719B1 (en) Hybrid polyester fluorocarbon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CN101903480B (zh) 可热固化的聚酯粉末涂料组合物
JP2013534961A (ja) 脂肪族ポリウレア被覆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EP3219768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 powder coating, and coated article
US10016787B2 (e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ed film
CN102666740B (zh) 混杂聚酯氟碳粉末涂料组合物及其生产方法
CN114316752B (zh) 具有稳定珠光质感的粉末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涂层
US9353254B1 (en) Powder coating flow aid
KR101278443B1 (ko) 결정성 폴리에스터 수지를 함유하는 저온 경화성이 우수한 열경화형 우레탄 분체 도료 조성물
US20020032275A1 (en) Hot melt coating composition
EP2045301B1 (en) Composition for fluoresin powder coating material
EP1326934B1 (en) Hot melt paint composition
US20210380818A1 (en) Pro gel cap style multifunctional composition
EP3874001B1 (en) Low bake powder coating resins
EP1424376A1 (de) Polyester-Pulverlacke für Beschichtungen mit mattem Erscheinungsbild
CN114736604B (zh) 一种高固体分dtm聚氨酯涂料及其制备方法
CA3121574A1 (en) Fusion bonded epoxy amine rebar powder coatings
CN109563231B (zh) 热固性组合物、涂漆方法及制备涂漆制品的方法
JP2012041464A (ja)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粉体塗料、及び塗装物に関する。
CN113308184A (zh) 一种不锈钢用抗折弯耐候性粉末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35616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dione resins
JP2004083898A (ja) 金属テープを被覆するためのポリウレタン−粉末塗料の使用、被覆法および被覆された金属テープ
CN110305569A (zh) 一种基于苯基丁二酸酐的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
US2010015240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hdione resins
KR10052617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코일코팅용 무광 분체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