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80B1 -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80B1
KR101277680B1 KR1020120150761A KR20120150761A KR101277680B1 KR 101277680 B1 KR101277680 B1 KR 101277680B1 KR 1020120150761 A KR1020120150761 A KR 1020120150761A KR 20120150761 A KR20120150761 A KR 20120150761A KR 101277680 B1 KR101277680 B1 KR 10127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afety door
plate
closing devic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주영
Original Assignee
권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주영 filed Critical 권주영
Priority to KR102012015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승강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승강도어와 관련하여 신축건물의 각 층별에 설치된 안전문을 통해 인부의 각층 출입이나 건축부자재를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안전문을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외측에서 승강하는 승강기의 건축구조물측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금속성 또는 자석플레이트와; 건축구조물 측의 안전문의 상부를 가로질러 도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문 개폐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문 개폐장치는 측면에서 보아
Figure 112012106532666-pat00003
자형 앵글로 된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상에서 상기 잠금바를 자중에 의해 잠그거나 이동하여 해제하는 잠금추와, 도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속이 빈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서 상·하운동 할 수 있는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상기 잠금추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그리고 상기 이동봉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자석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An equipment of safe do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승강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승강도어와 관련하여 신축건물의 각 층별에 설치된 안전문을 통해 인부의 각층 출입이나 건축부자재를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안전문을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승강기는 건물의 신축이나 증축 또는 개보수시 주로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명 호이스트 라고 불리운다.
상기 산업용 승강기는 건축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각 층을 오갈 때 사용하기도 하고 건축자재들과 필요물품들을 필요한 층으로 수송하고 지면으로 이동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산업용 승강기는 건축구조물 외측에 병렬로 의지시킨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기의 승강경로의 각층 슬래브 단부에는 승강경로와 일치되는 위치에서 승강기의 출입문과 대응하게 안전문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안전문은 승강기의 정차 후 승강기의 문을 열면 안전장치가 해제되어승강기 문이 열림으로서 건축부자재나 작업자들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명 호이스트 T-바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는 안전문 개폐 시스템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다.
먼저 도 1은 상기 산업용 승강기에 대응하여 건축구조물의 각층마다 설치되는 안전문의 개폐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안전문 개폐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문(20)은 각층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되는 도어 프레임(10)의 내측에 좌우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며, 도어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잠금 장치(30)가 설치된다.
잠금 장치(30)는, 평상시에는 안전문(20)이 개방되지 못하게 하고, 승강기(E)가 도착한 경우에만 잠금을 해제함으로서 좌우안전문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ㄱ"자형의 앵글로 구성되어 좌우 문(20)의 상부를 가로 질러 도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 바(31)와, 승강기(E)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승강기의 접촉 플레이트(40)에 그 단부가 걸려 회전하는 감지 봉(32)인 T-바와, T-바의 단부에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수평균형에 의해 잠금 바(31)의 직상부에 수직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잠금 바(31)가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승강기(E)가 도착하여 접촉플레이트(40)로 T-BAR(32)를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바(31)로부터 이격되어 잠금 바(31)의 회전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33)로 구성된다.
한편, 승강기(E)가 도착해 있지 않은 층의 안전문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추락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크므로, 각층의 승강기의 도착 여부와 더불어 안전문의 개방 상태에 대한 신호를 중앙 통제실로 전송하여 총괄적으로 감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한 도어 개폐 감지부로, 종래에는, 잠금 바(31)의 일측에 원호형 감지 도그를 일체로 설치하고, 도어 프레임(10)에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서, 잠금 바(31)의 회전에 따른 감지 도그의 위치를 리미트 스위치의 회전 상태로부터 감지하여 도어 개폐상태를 판단하였다.
각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은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 상이에 도어 프레임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 조절봉, 31a는 잠금 바의 힌지축, 12는 힌지 브라켓, 34a는 감지봉 설치용 브라켓, 34b는 회전 지지봉, 35a, 35b는 감지 봉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는 부시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문은, 행당 층에 도착하는 승강기가 안전문에 설치되어 있는 T-바(32)와 직접 접촉하여 이를 회전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잠금 해제 작동을 수행하며, 승강기가 해당 층을 통과한 후에는 걸림 부재(33)가 감지 봉(32)의 수평균형으로 걸림 부재(33)가 원 위치됨으로서 잠금상태로 환원되는 것으로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감지 봉이 휘어지거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또는 접촉 플레이트(40)가 휘어진 경우, 승강기가 해당층에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지 봉이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 경우 잠금 및 해체 작동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았으며,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안전문을 개방하는 경우, 안전문의 상단면이 잠금 방의 하부면과 접촉한 상태로, 잠금 바를 밀어 올리며 작동되기 때문에, 안전문 작동이 뻑뻑하고 원활하게 개폐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현재 많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T-바(32)와 승강기(E)에 붙어 있는 철재 스틸판인 접촉플레이트(40)가 만나야만 안전문이 개방되는 형태이나, 플레이트(40)와 T-바(32)가 승강기(E)와 건축물간의 시공오차로 인한 유격 등으로 인해 안부딛히는 경우가 현장에서는 종종 발생하여 필요한 층의 안전문(20)의 개폐가 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T-바(32)와 접촉플레이트(40)가 제대로 만난다 하더라도 각 층의 안전문(20) 상부의 걸림부재(33)가 45° 이상 기울어진 후에야 안전문(20)이 열리는 형태라 안전문(20)이 잘 안열리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T-바(32)와 접촉플레이트(40)가 만날때는 T-바(32)의 좌·우 날개쪽에 접촉플레이트(40)가 부딛혀야하나, 중앙부위를 만나게 되면 접촉플레이트(40)가 휘어지는 상황이 발생되어 승강기(E)가 운행 중 충격으로 인해 안전상 문제가 되고 또한, 한번 휘어진 접촉플레이트(40)는 점진적으로 그 휘어짐이 심해져 T-바(32)와의 상호 부딪히는 기능이 없어지게 되어 안전문(20)이 열리지 않는 층이 늘어나게 되고, 이렇게 되는 경우 작업자들은 T-바(32)를 임의로 손을 통해 강제 개폐하려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추락 등의 안전상 심각한 위험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은 상기 접촉플레이트(40), 안전문 개폐장치(30) 등을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설치하는데 따라서 상호 부딪히는 라인을 정밀하게 하지 못하고, 건축물이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건축물 자체의 수직·수평 등의 오차로 인해 각 층에서 부딪히는 라인을 정확히 잡았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건축물 자체의 경사짐등의 건축시공오차로 인해 상호 부착물이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생산되는 T-바(32)의 날개길이가 일률적이지 못해서 정확히 맞추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원인들로부터 야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 10-0693884호에서는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특허는 잠금 브라켓을 설치하고, 잠금걸쇠, 잠금고리 등을 설치하여야 하며, 승강기 유무감지수단 및 제어부의 구비 등 많은 구성요소가 필요하여 비경제적으로 판단되고 현재 건축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등 그 실시가 불명확한 발명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국 공개특허 제 2008-0271958호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록 장치를 공개하고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는 이 중 슬라이드 구조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구비되어, 한쌍의 엘리베이터 도어간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건설현장의 안전문 개폐장치와는 그 목적이나 이에 따른 구성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009540호에서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특허는 링크기구, 구동부재, 종동부재, 전동기구 및 연결기구 등 많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해야 하는데 따른 비용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건축현장에서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발명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등록특허 제 10-1037867호에서도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모터; 회전축, 스터드볼트, 너트, 아암, 샤프트,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기구 등을 구성요소로 구비해야 하므로, 상기 특허와 같이 건축현장에서 실시하기에는 비경제적이고 설치 및 해체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발명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등록특허 제 10-1193018호에서는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는 안전문이 미닫이도어형으로 본 발명의 개폐안전문과는 그 대상이 상이하며 추구하는 목적이나 이에 따른 구성이 상이한 발명으로 판단된다.
그 외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 10-596183호, 10-548958호 및 10-191909호와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7-186278호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과 그에 따른 구성면에서 서로 상이한 발명들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승강기 몸체와 건축구조물의 각층에 설치되는 안전문의 개폐장치가 서로 닿지 않더라도 안전문이 효과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경제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의 외측에서 승강하는 승강기의 건축구조물측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건축구조물 측의 안전문의 상부를 가로질러 도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문 개폐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문 개폐장치는 측면에서 보아
Figure 112013025299713-pat00001
자형 앵글로 된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상에서 상기 잠금바를 자중에 의해 잠그거나 이동하여 해제하는 잠금추와, 도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속이 빈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서 상·하운동 할 수 있는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상기 잠금추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그리고 상기 이동봉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자성을 띠게 선택되는 제2자석플레이트 또는 제2금속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이동봉과 연결구는 일체형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봉은 내부가 빈 원형이거나 각형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봉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여기에 지지·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추의 외측에는 고정부재가 도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잠금추를 안정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안전문 개폐장치는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는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평행이 되도록 제2자석플레이트 또는 제2금속성 플레이트가 향하는 방향으로 고정봉을 고정플레이트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봉에는 스톱퍼를 장착시켜 이동봉이 일정 위치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장치에 의해 안전문이 개폐되지 않는 것으로 인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걸림부재인 추를 45° 이상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승강기가 해당 위치에 멈추게 되면 승강기 일측에 설치된 금속성 또는 자석플레이트가 그 자성으로 개폐장치 끝단에 설치된 자석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구의 끝단에 설치된 잠금추가 이동봉을 따라 사선으로 상승하게 되어 잠금바는 회전하면서 안전문이 열리게 되므로 고장이나 기능미작동 등에 의한 안전문의 개폐정지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건축물의 시공오차가 있더라도 안전문 개폐기능에 문제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아주 용이하게 안전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안전문 개폐장치의 잠김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 안전문 개폐장치의 해제상태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안전문 개페장치의 잠김 및 해제상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안전문 개페장치의 잠김 및 해제상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먼저 도 3a 및 4a를 참조하면, 상·하승강하는 승강기(E)의 건축구조물 안전문(200)쪽 일측에는 제1금속성이나 자석 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의 승강기(E)는 통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며 원하는 층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기(E)가 원하는 층에서 정지하면 해당 층의 안전문(200)을 열고 내부로 인력이 들어가거나 건축자재 등을 안전문(200)을 통해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내부의 물품을 승강기(E)로 이동시켜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기(E)가 해당 위치에 오면 도 3b 및 4b에서와 같이 안전문 개폐장치(3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제1금속성 플레이트나 제1자석플레이트(400)의 자력에 의해 또는 도어플레이트(100)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점선)에 지지·고정되는 고정봉(310)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는 이동봉(320) 끝단에 설치된 제2자석이나 금속성 플레이트(360)가 승강기(E)측의 제1플레이트(400)쪽으로 제2플레이트(360)를 끌어당기에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제1플레이트(400)는 고정이고 제2플레이트는 이동형이기 때문에 양자간의 자력에 의해 이동형쪽이 고정형 쪽으로 끌려가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면 잠금바(350)를 잠근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추(340)가 이동봉(320)에 연결된 연결구(330)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잠금추(340)는 상부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3b 및 도 4b에서와 같이 잠금바(350)는 회전하게 되어 안전문(200)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동봉(320)에는 스톱퍼(321)를 장착시켜 이동거리를 조절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380)가 도어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장치(300)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안전문(200)을 폐쇄할때는, 안전문(200)을 열고 닫으면 잠금바(350)가 회전후 자중으로 원위치 되고, 구동장치(도시되지않음)에 의해 강제 승·하강하는 승강기(E)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승강기(E)의 이동으로 제2플레이트(360)가 제1플레이트(400)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잠금추(340)의 자중으로 이동봉(320)이 하향하게 되므로 잠금바(350)를 잠금상태로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이면서도 고장없이 안전문(200)을 개폐할 수 있게 되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안전문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 도어플레이트
200 : 안전문 300 : 안전문 개폐장치
310: 고정봉 320 : 이동봉
321 : 스톱퍼 330 : 연결구
340 : 잠금추 350 : 잠금바
360 : 제2플레이트 400 : 제1플레이트

Claims (4)

  1. 건축구조물의 외측에서 승강하는 승강기의 건축구조물측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건축구조물 측의 안전문의 상부를 가로질러 도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문 개폐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문 개폐장치는 측면에서 보아
    Figure 112013025299713-pat00002
    자형 앵글로 된 잠금바와, 상기 잠금바상에서 상기 잠금바를 자중에 의해 잠그거나 이동하여 해제하는 잠금추와, 도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속이 빈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서 상·하운동 할 수 있는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상기 잠금추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그리고 상기 이동봉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자성을 띄게 선택되는 제2자석플레이트 또는 제2금속성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과 연결구는 일체형이며, 상기 고정봉은 내부가 빈 원형이거나 각형으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문 개폐장치는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는 제1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제1자석플레이트와 제2자석플레이트 또는 제2금속성 플레이트는 평행이 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에는 스톱퍼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20120150761A 2012-12-21 2012-12-21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127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61A KR101277680B1 (ko) 2012-12-21 2012-12-21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61A KR101277680B1 (ko) 2012-12-21 2012-12-21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680B1 true KR101277680B1 (ko) 2013-06-21

Family

ID=488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61A KR101277680B1 (ko) 2012-12-21 2012-12-21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52B1 (ko) 2013-04-18 2014-08-28 권주영 자석을 이용한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2106464B1 (ko) * 2019-12-24 2020-05-04 주식회사 리코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 개폐장치
KR102217393B1 (ko) 2020-09-25 2021-03-23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가변 안전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47A (ko) * 2004-01-15 2005-07-21 이계원 건축용 안전 문 개폐장치
KR20070033666A (ko)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제이에스렌탈 건설현장용 리프트 출입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47A (ko) * 2004-01-15 2005-07-21 이계원 건축용 안전 문 개폐장치
KR20070033666A (ko)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제이에스렌탈 건설현장용 리프트 출입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452B1 (ko) 2013-04-18 2014-08-28 권주영 자석을 이용한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2106464B1 (ko) * 2019-12-24 2020-05-04 주식회사 리코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 개폐장치
KR102217393B1 (ko) 2020-09-25 2021-03-23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가변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502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57430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6446759B1 (en) Door coupler and latch system for elevator car and landing doors
CN107848763B (zh) 电梯轿厢门联锁装置
US10710843B2 (en)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US6484850B1 (en) Elevator control panel device
WO20060979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277680B1 (ko)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RU2448033C2 (ru) Подъемник с устройством безопасности дверей лифта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KR101193018B1 (ko)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
KR102106464B1 (ko)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 개폐장치
CN101117870A (zh) 电梯轿门锁
CN200940381Y (zh) 电梯轿门锁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9688515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CN111675071A (zh) 转轴式轿门厅门自动连锁开闭系统
KR102184683B1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JP2016145101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KR101435452B1 (ko) 자석을 이용한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문 개폐장치
KR102419931B1 (ko) 산업용 승강기의 도어 개폐장치
CN212315272U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JP637275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側ロック機構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217393B1 (ko) 산업용 승강기의 가변 안전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