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185B1 -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185B1
KR101277185B1 KR1020110140923A KR20110140923A KR101277185B1 KR 101277185 B1 KR101277185 B1 KR 101277185B1 KR 1020110140923 A KR1020110140923 A KR 1020110140923A KR 20110140923 A KR20110140923 A KR 20110140923A KR 101277185 B1 KR101277185 B1 KR 10127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device
energy storage
microgrid system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목임수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독립된 분산전원을 중심으로 한 국소적인 전력공급시스템 중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전원과, 분산전원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와,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된 보호 스위치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와, DC전력부하(load) 및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과 DC전력부하 전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이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양방향 전력변환기로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서의 충전과 방전 모드에서 전력 변환에 따른 손실이 없게 되어 에너지 이용 효율이 제고된다.

Description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DC microgrid system and AC/DC hybrid microgrid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독립된 분산전원을 중심으로 한 국소적인 전력공급시스템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이를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결합시킨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기존의 광역적 전력시스템으로부터 독립된 분산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을 중심으로 한 국소적인 전력공급시스템을 의미한다.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전원과 부하를 결합하는 전력망이 AC로 되어 있는 AC 마이크로그리드와, DC로 되어 있는 DC 마이크로그리드로 구분할 수 있다. AC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의 배전망을 그대로 활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교류계통의 단점인 동기화, 안정도, 무효전력소모의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92365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은 전력부하(16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산전원과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분산전원으로는 출력의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한 보일러(boiler, 101), 열병합 발전기(CHP, 102), 연료전지(fuel cell, 103)와, 마이크로터빈(micro turbine, 104)과 그 전력변환장치(131), 태양광 발전(photovolatic, 112)과 그 전력변환장치(142), 풍력발전(wind turbine, 111)과 그 전력변환장치(141)를 구비한다.
에너지 저장장치(121)는 충전 및 방전 기능을 모두 갖는 전력변환장치(151)로서 양방향 AC/DC 전력변환기가 필요하다. 참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미국특허 제7,983,799호에 개시되어 있다.
분산전원 중 태양광 발전(112)의 경우 낮에만 전력을 생산하므로, 생산된 전력의 일부를 저장장치(121)로 충전했다가 필요한 전력을 방전시켜 전력부하(161)에 공급한다. 이때, 태양광 발전(112)으로부터 전력부하(161)로 전력이 사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낮에는 태양광 발전(112)의 전력변환장치(142)를 거쳐 전력부하(161)로 연결되고, 밤에는 태양광 발전(112)의 전력변환장치(142) --> 저장장치(121)의 전력변환장치(151)(충전 모드) --> 저장장치(121)에 저장 --> 저장장치(121)의 전력변환장치(151)(방전 모드) --> 전력부하(161)의 경로로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전력변환장치(142, 151)에서의 AC/DC 변환 및 DC/AC 변환 과정 각각에서 4~10%의 전력 손실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전력 변환 과정을 여러 번 거치면 손실은 더욱 더 커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최근에는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의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AC 마이크로그리드와 DC 마이크로그리드를 복합한 하이브리드 마이크로그리드가 연구 중에 있다.
도 2는 AC/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C 마이크로그리드(210)와 DC 마이크로그리드(220) 사이에 양방향 전력변환장치(230)를 구비한다. AC 마이크로그리드(210)는 앞서 도 1과 같은 AC/AC 또는 DC/AC 변환의 전력변환장치(212, 214, 216)들이 사용된다. DC 마이크로그리드(220)의 전력변환장치(222, 224, 226)는 DC/DC 변환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AC/AC 또는 DC/AC 변환 구조를 갖는 AC 마이크로그리드(210)보다 전력 변환 과정에서의 손실이 낮다. 따라서 DC 마이크로그리드(220)는 AC 마이크로그리드(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이용 효율을 갖게 된다.
그러나 AC 마이크로그리드(210)와 DC 마이크로그리드(220) 모두 분산전원 각각에 컨버터(converter) 또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의 전력변환장치를 장착함에 따라 각각의 전력변환장치를 거칠 때마다 발생되는 전력손실의 문제는 잔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각각의 분산전원에 장착된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 저장장치는 마이크로그리드 전압을 기준으로 출력 전압 및 전력을 제어하는 구조로서, 분산전원의 출력 전력의 합과 부하 전력의 차에 의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즉, 분산전원의 출력 전력의 합이 부하전력보다 클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는 충전 모드가 되고, 그 반대인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는 방전 모드가 된다.
이때 충전 모드와 방전 모드의 전환시,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를 거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C 마이크로그리드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전력변환에 따른 전력 손실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에 장착된 전력변환장치를 보호 스위치로 대체하고, 분산전원의 전력과 부하전력을 대비하고 그에 따라 분산전원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모드를 제어하는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완전 충전 또는 완전 방전 상태에 따라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AC 마이크로그리드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전원; 상기 분산전원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된 보호 스위치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보호 스위치에 연결된 DC전력부하(load); 및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과 상기 DC전력부하 전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이 상기 DC전력부하 전력보다 크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상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이 상기 DC전력부하 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하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연결된 양방향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된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전원,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분산전원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을 각각 교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된 AC전력부하(load)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이 상기 DC전력부하 전력보다 크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상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이 상기 DC전력부하 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하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되고, 방전이 완료되면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의하면,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과 부하전력을 대비하여 각 분산전원에 장착된 전력변화장치의 최대 출력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충전과 방전 과정 중 전력 변환에 따른 손실이 없어 에너지 이용 효율이 제고된다.
또한, 본 발명의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종래의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결합함으로써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완전 충전 및 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전체 각각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하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포함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포함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은 분산전원으로서 태양광 발전(325)과 연료전지(321)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산전원에는 DC/DC 전력 변환을 위해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로 이루어진 전력변환장치(326, 322)가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장치(323)와 전력변환장치(322, 326) 사이에는 보호 스위치(324)가 배치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323)는 보호 스위치(324)를 거쳐 전력변환장치(322, 326)와 연결되며, 각각의 전력변환장치(326, 322)와 보호 스위치(324)는 DC전력부하(327)와 연결된다.
그리고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은 분산전원으로서 태양광 발전(313)과 풍력 발전(315)을 포함하고, 각각의 분산전원에는 DC/AC와 AC/AC 전력 변환을 위해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로 이루어진 전력변환장치(314, 316)가 연결된다. 에너지 저장장치(323)는 전력변환을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로 이루어진 전력변환장치(312)가 연결되며, 각각의 전력변환장치(312, 314, 316)는 AC전력부하(317)와 연결된다.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과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은 AC/DC 또는 DC/AC 전력 변환을 위한 양방향 전력변환장치(3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00) 중 먼저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의 작동을 위한 제어부(미도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분산전원인 태양광 발전(325)과 연료전지(321)에서 발전되는 전체 전력량이 DC전력부하(327)에서 소모되는 전력량보다 큰 경우, 각각의 분산전원(325, 321)에 장착된 전력변환장치(326, 322)의 출력 전압을 샹향 조정하여 에너지 저장장치(323)에 전력이 충전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의 설정값에 따라 충전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는, 분산전원(325, 321)에서 발전되는 전체 전력량이 DC전력부하(327)에서 소모되는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전력변환장치(326, 322) 출력 전압을 하향 조정하여 에너지 저장장치(323)로부터 전력이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분산전원에서의 발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에너지 저장장치(323)의 충전 전력이 DC전력부하(327)를 감당한다.
위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323)에서의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보호 스위치(324)는, 과충전이나 과방전으로부터 에너지 저장장치(32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보통 상태에서 보호 스위치(324)는 닫혀 있으며, 비상시에 에너지 저장장치(32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따라서 보호 스위치(324)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 200)과는 달리 전력 변환에 따른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을 포함한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00)의 작동을 위한 제어부(미도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은 도 1, 2에 도시된 종래의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 또는 210)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의 제어부는, 에너지 저장장치(323)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분산전원(321, 325)에서의 발전 전력량이 DC전력부하(327) 전력량보다 큰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323)에 충전된 전력이 보호 스위치(324)를 거친 후, 양방향 전력변환장치(330)를 통하여 AC 전력으로 변환되어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공급된 AC 전력은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의 전력 상태에 따라 AC전력부하(317)로 공급되거나 또는 AC/DC 전력변환장치(312)를 거쳐 에너지 저장장치(311)에 저장된다.
반대로 제어부는, 에너지 저장장치(323)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분산전원(321, 325)에서의 발전 전력량이 DC전력부하(327)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330)를 통하여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10)으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한다. 공급받은 DC 전력은 우선적으로 DC전력부하(327)로 공급된다.
이때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320)을 구성하는 에너지 저장장치(323)는 전력 변환 없이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므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에너지 저장장치(121)에 장착된 전력변환장치(151)는 충전 또는 방전 과정에서 각각 3~13%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손실 발생이 없고, 따라서전체 에너지 이용효율을 6~25% 정도 높일 수 있으므로, 동일한 부하 전력량을 기준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설계할 때, 종래에 비하여 설비 투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00 : AC 및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310 :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320 :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330 : 양방향 전력변환장치
311, 323 : 에너지 저장장치
313, 325 : 태양광 발전
315 : 풍력 발전
321 : 연료전지
317 : AC전력부하
327 : DC전력부하
312, 314, 316, 322, 326 : 전력변환장치
324 : 보호 스위치

Claims (5)

  1.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산전원;
    상기 분산전원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전력변환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통상의 상태에서 닫혀 있고 비상시 개방됨으로써 과충전이나 과방전으로부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스위치;
    상기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보호 스위치에 연결된 DC전력부하(load);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과 상기 DC전력부하 전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된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DC 전력부하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 공급하는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상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먼저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완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된 전력을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하향 조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완전 방전된 상태에서 상기 분산 전원의 발전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작으면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하여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2. 삭제
  3. 적어도 하나의 분산 전원과, 상기 분산전원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제1 전력변환장치와,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1 에너지 저장장치와,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와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통상의 상태에서 닫혀 있고 비상시에 개방됨으로써 과충전이나 과방전으로부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스위치와,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보호 스위치에 연결된 DC전력부하(load) 및 상기 분산전원의 전체 전력과 상기 DC전력부하 전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과 방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연결된 양방향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와 연결된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전원, 제2 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분산전원 및 상기 제2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력을 각각 교류로 변환하는 제2 전력변환장치 및 상기 제2 전력변환장치에 연결된 AC전력부하(load)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된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AC 전력부하 또는 상기 제2 에너지 저장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된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DC 전력부하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상향 조절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가 먼저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가 완충된 상태에서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크면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된 전력을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분산전원의 발전 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전압을 하향 조절하여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상기 제1 에너지 저장장치가 완전 방전된 상태에서 상기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분산전원의 발전전력량이 상기 DC전력부하의 전력량보다 작으면 상기 양방향 전력변환장치를 통하여 상기 A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으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40923A 2011-12-23 2011-12-23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10127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923A KR101277185B1 (ko) 2011-12-23 2011-12-23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923A KR101277185B1 (ko) 2011-12-23 2011-12-23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185B1 true KR101277185B1 (ko) 2013-06-24

Family

ID=4886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923A KR101277185B1 (ko) 2011-12-23 2011-12-23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185B1 (ko)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91A (ko) * 2015-06-01 2016-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374533A (zh) * 2016-10-28 2017-02-01 西安特锐德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能源网络系统
US9620960B2 (en) 2014-01-13 2017-04-11 Abb Schweiz Ag Control of a stabilizing energy storage in a microgrid
CN106647278A (zh) * 2017-01-09 2017-05-10 中南大学 一种直流微电网分布式控制系统
CN106788140A (zh) * 2017-01-20 2017-05-31 合肥聚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共直流母线光伏储能系统
CN104795981B (zh) * 2015-04-24 2017-06-16 山东大学 直流并网运行的混合微网双向变换器电流纹波有源抑制方法
CN106972542A (zh) * 2015-04-13 2017-07-21 张琴 一种可并网运行的风光储一体微电网及其监控方法
CN108155638A (zh) * 2016-12-05 2018-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直流微电网的控制设备及控制方法、直流微电网系统
KR20180091819A (ko) * 2016-01-06 2018-08-16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한 드룹 제어식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발전기의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017574A1 (ko) * 2017-07-20 2019-01-2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및 운영 연구를 위한 유연한 테스트 플랫폼
KR20190045951A (ko) * 2017-10-24 2019-05-07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마이크로그리드내의 부하 간 효율적인 전력 송배전을 위한 직류배전 자율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48623A (ko) 2017-10-31 2019-05-09 금호이앤지 (주) 태양광 기반의 자율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20190131477A (ko) * 2017-01-05 2019-11-26 페로암프 엘렉트로닉 에이비 국부적 전력 네트워크 배열
CN110601248A (zh) * 2019-09-11 2019-12-20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环状交直流混合微电网系统的多模式协调控制方法
KR20200007047A (ko) * 2017-05-24 2020-01-2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리던던트 dc 전압 네트워크
KR20200066472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류기반 dc 마이크로그리드 해석방법
KR20200072747A (ko)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력 공급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20200079755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이엘티 부하환경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20149494A1 (ko) *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직류 마이크로 그리드 내의 수용가 상호간 직류 자율배전 제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115373A (ko) * 2019-03-29 2020-10-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 제어 시스템
KR102234560B1 (ko) 2019-12-20 2021-03-31 (주)아이비티 저압직류(lvdc) 배전망을 이용한 분산형 부하와 밀집형 부하 연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2838608A (zh) * 2021-03-16 2021-05-25 阳光三星(合肥)储能电源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
WO2021112311A1 (ko) * 2019-12-05 2021-06-10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마이크로 그리드 내의 셀 간의 직류전원을 효율적으로 통합 제어하기 위한 자율배전 제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3036804A (zh) * 2021-03-22 2021-06-25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交直流微电网控制方法及装置
CN113794247A (zh) * 2021-09-06 2021-12-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自动需求响应调节的电力储能控制
KR20230090897A (ko) * 2021-12-15 2023-06-22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다회로 전력 변환 장치를 이용한 다중 마이크로 그리드 시스템
KR20230111877A (ko) * 2022-01-19 2023-07-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위한 분산 협조 부하 분담 제어 장치
KR102668411B1 (ko) 2022-04-25 2024-05-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c 버스 전압의 자율복원 능력을 갖는 dcmg의 비중앙 드룹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426A (ja) * 2002-12-25 2004-07-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直流連系による家庭用分散型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115766A (ko) * 2010-04-16 2011-10-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급전방식을 이용한 고효율 직류급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426A (ja) * 2002-12-25 2004-07-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直流連系による家庭用分散型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115766A (ko) * 2010-04-16 2011-10-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급전방식을 이용한 고효율 직류급전시스템

Cited B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0960B2 (en) 2014-01-13 2017-04-11 Abb Schweiz Ag Control of a stabilizing energy storage in a microgrid
CN106972542B (zh) * 2015-04-13 2019-11-01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可并网运行的风光储一体微电网的监控方法
CN106972542A (zh) * 2015-04-13 2017-07-21 张琴 一种可并网运行的风光储一体微电网及其监控方法
CN104795981B (zh) * 2015-04-24 2017-06-16 山东大学 直流并网运行的混合微网双向变换器电流纹波有源抑制方法
KR101709856B1 (ko) * 2015-06-01 2017-02-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1591A (ko) * 2015-06-01 2016-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67310B1 (ko) 2016-01-06 2023-08-16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한 드룹 제어식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발전기의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91819A (ko) * 2016-01-06 2018-08-16 엔페이즈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한 드룹 제어식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발전기의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374533A (zh) * 2016-10-28 2017-02-01 西安特锐德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能源网络系统
CN106374533B (zh) * 2016-10-28 2024-04-30 西安特来电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能源网络系统
CN108155638A (zh) * 2016-12-05 2018-06-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直流微电网的控制设备及控制方法、直流微电网系统
CN108155638B (zh) * 2016-12-05 2023-1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直流微电网的控制设备及控制方法、直流微电网系统
KR20190131477A (ko) * 2017-01-05 2019-11-26 페로암프 엘렉트로닉 에이비 국부적 전력 네트워크 배열
KR102403026B1 (ko) * 2017-01-05 2022-05-26 페로암프 엘렉트로닉 에이비 국부적 전력 네트워크 배열
CN106647278B (zh) * 2017-01-09 2019-10-22 中南大学 一种直流微电网分布式控制系统
CN106647278A (zh) * 2017-01-09 2017-05-10 中南大学 一种直流微电网分布式控制系统
CN106788140A (zh) * 2017-01-20 2017-05-31 合肥聚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共直流母线光伏储能系统
US11095123B2 (en) 2017-05-24 2021-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dundant DC voltage network
KR20200007047A (ko) * 2017-05-24 2020-01-2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리던던트 dc 전압 네트워크
KR102389765B1 (ko) * 2017-05-24 2022-04-22 지멘스 에너지 글로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리던던트 dc 전압 네트워크
KR101976093B1 (ko) 2017-07-20 2019-05-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및 운영 연구를 위한 유연한 테스트 플랫폼
KR20190009914A (ko) * 2017-07-20 2019-01-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및 운영 연구를 위한 유연한 테스트 플랫폼
WO2019017574A1 (ko) * 2017-07-20 2019-01-2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및 운영 연구를 위한 유연한 테스트 플랫폼
KR101995255B1 (ko) * 2017-10-24 2019-07-03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마이크로그리드내의 부하 간 효율적인 전력 송배전을 위한 직류배전 자율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45951A (ko) * 2017-10-24 2019-05-07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마이크로그리드내의 부하 간 효율적인 전력 송배전을 위한 직류배전 자율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48623A (ko) 2017-10-31 2019-05-09 금호이앤지 (주) 태양광 기반의 자율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215924B1 (ko) * 2018-11-30 2021-0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류기반 dc 마이크로그리드 해석방법
KR20200066472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류기반 dc 마이크로그리드 해석방법
US11456618B2 (en) 2018-12-13 2022-09-27 Posco Micro-grid system wi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200072747A (ko)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포스코 무정전 전력 공급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20200079755A (ko)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이엘티 부하환경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20149494A1 (ko) *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직류 마이크로 그리드 내의 수용가 상호간 직류 자율배전 제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115373A (ko) * 2019-03-29 2020-10-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 제어 시스템
KR102476394B1 (ko) * 2019-03-29 2022-1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ac/dc 마이크로그리드의 분산 제어 시스템
CN110601248B (zh) * 2019-09-11 2023-01-10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环状交直流混合微电网系统的多模式协调控制方法
CN110601248A (zh) * 2019-09-11 2019-12-20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环状交直流混合微电网系统的多模式协调控制方法
WO2021112311A1 (ko) * 2019-12-05 2021-06-10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마이크로 그리드 내의 셀 간의 직류전원을 효율적으로 통합 제어하기 위한 자율배전 제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34560B1 (ko) 2019-12-20 2021-03-31 (주)아이비티 저압직류(lvdc) 배전망을 이용한 분산형 부하와 밀집형 부하 연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672481B1 (ko) 2020-09-11 2024-06-05 한국전력공사 디지털그리드 전력중계 장치의 운영방법
CN112838608A (zh) * 2021-03-16 2021-05-25 阳光三星(合肥)储能电源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
CN112838608B (zh) * 2021-03-16 2024-05-28 阳光储能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
CN113036804B (zh) * 2021-03-22 2024-01-26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交直流微电网控制方法及装置
CN113036804A (zh) * 2021-03-22 2021-06-25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交直流微电网控制方法及装置
CN113794247B (zh) * 2021-09-06 2024-04-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自动需求响应调节的电力储能控制
CN113794247A (zh) * 2021-09-06 2021-12-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枣庄供电公司 自动需求响应调节的电力储能控制
KR102641849B1 (ko) 2021-12-15 2024-02-29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다회로 전력 변환 장치를 이용한 다중 마이크로 그리드 시스템
KR20230090897A (ko) * 2021-12-15 2023-06-22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다회로 전력 변환 장치를 이용한 다중 마이크로 그리드 시스템
KR102616425B1 (ko) 2022-01-19 2023-12-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위한 분산 협조 부하 분담 제어 장치
KR20230111877A (ko) * 2022-01-19 2023-07-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위한 분산 협조 부하 분담 제어 장치
KR102668411B1 (ko) 2022-04-25 2024-05-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c 버스 전압의 자율복원 능력을 갖는 dcmg의 비중앙 드룹 제어 시스템
KR102671595B1 (ko) 2023-08-16 2024-06-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 나노그리드 에너지 인터넷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85B1 (ko)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JP6156919B2 (ja) 蓄電池システム、蓄電池制御装置及び蓄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265639B2 (ja) 共同住宅の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並びに統合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94055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355042B (zh) 一种基于超级电容的电站直流电源装置及其供电方法
KR102048047B1 (ko) 태양광 기반의 자율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US20110291479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05902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20110062392A (ko)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Ippolito et al. A new device for the control and the connection to the grid of combined RES-based generators and electric storage systems
JPH06178461A (ja) 系統連系電源システム
EP2566004B1 (en) Photovoltaic powered system with adaptive power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684215A (zh) 风光储微网系统并网运行的能量管理系统
CN105846419A (zh) 基于直流微电网的光伏、柴油互补供电系统
JP2014230455A (ja) 発電装置
KR101302131B1 (ko) 계통연계형 통합인버터를 가지는 전력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공급방법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1518421U (zh) 微网太阳能光伏供电系统
KR20200086835A (ko) Ups를 이용한 수용가 부하 관리 시스템
Xu et al. Energy management and control strategy for DC micro-grid in data center
WO2013151133A1 (ja) 配電装置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2651815U (zh) 多重备援太阳能供电系统
KR10238930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avallaro et al. Smart photovoltaic UPS system for domestic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