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302B1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302B1
KR102389302B1 KR1020170159941A KR20170159941A KR102389302B1 KR 102389302 B1 KR102389302 B1 KR 102389302B1 KR 1020170159941 A KR1020170159941 A KR 1020170159941A KR 20170159941 A KR20170159941 A KR 20170159941A KR 102389302 B1 KR102389302 B1 KR 10238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battery
voltage
load
distribu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98A (ko
Inventor
원성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7015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02B1/ko
Priority to JP2020528924A priority patent/JP6977167B2/ja
Priority to EP18884397.3A priority patent/EP3719950A4/en
Priority to PCT/KR2018/013995 priority patent/WO2019107807A1/ko
Priority to US16/765,759 priority patent/US11205911B2/en
Priority to CN201880076825.8A priority patent/CN111406352B/zh
Publication of KR2019006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 및 계통에 연계된 DC(Direct Current) 배전망의 전력을 관리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과 DC 배전망 사이에 연결되어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1 컨버터, DC 배전망에 연결된 제2 컨버터, 제2 컨버터에 연결되고, 제2 컨버터에 의해 전압이 제어되는 부하, DC 배전망에 연결된 배터리 및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3 컨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AN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은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시간대 및 계절별 변동이 큰 전기부하를 평준화시켜 전반적인 부하율을 향상시킬 경우,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전력설비 증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 등을 절감할 수 있어서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 비상 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 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 압축 공기 저장, 플라이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고,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80)에서 방전된 전력이 DC-DC 컨버터(150)를 통해 부하(23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부하(230)에 정상 부하보다 1.5배의 과부하가 걸린 경우, 배터리(180)의 방전 동작시, DC-DC 컨버터(150)에도 1.5배의 과부하가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터리(180)에서 방전되는 전력이 DC-DC 컨버터(150) 및 DC-AC 컨버터(200)를 통해 2번 변환되어 부하(230)로 전달되고, 배터리(180)로 충전되는 전력 역시 AC-DC 컨버터(100) 및 DC-DC 컨버터(150)를 통해 2번 변환되어 전달되는바, 전력 변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15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을 부하(230)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 및 계통에 연계된 DC(Direct Current) 배전망의 전력을 관리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과 DC 배전망 사이에 연결되어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1 컨버터, DC 배전망에 연결된 제2 컨버터, 제2 컨버터에 연결되고, 제2 컨버터에 의해 전압이 제어되는 부하, DC 배전망에 연결된 배터리 및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3 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컨버터에 의해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부하로 직접 전달된다.
상기 배터리와 계통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4 컨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4 컨버터는 각각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전압을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시킨다.
상기 제3 컨버터에 의해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부하로 직접 전달되고, 제4 컨버터에 의해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계통으로 전달된다.
상기 부하에 연결된 보조 계통 및 제4 컨버터를 계통과 제1 컨버터 사이의 제1 노드 또는 보조 계통과 부하 사이의 제2 노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환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환 스위치의 일단은 제4 컨버터에 연결되고, 절환 스위치의 타단은 제1 및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4 컨버터가 제1 노드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제4 컨버터는 절환 스위치의 절환 동작에 의해 제2 노드에 연결되고, 배터리는 제4 컨버터에 의해 방전되며,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제2 노드를 거쳐 부하로 전달된다.
상기 제1 컨버터는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DC 전압 제어 모드로 구동되고, 제2 컨버터는 부하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CVCF(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모드로 구동되고, 제3 및 제4 컨버터는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제1 컨버터는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AC(Alternating Current)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배전망에 제공하거나 DC 배전망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제공하고, 제2 컨버터는 DC 배전망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제공하고, 제3 컨버터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제공하고, 제4 컨버터는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제공하거나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방전시 컨버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용 컨버터(즉, DC-DC 컨버터)의 미설치를 통해 비용 절감 및 전력 변환 효율 개선이 가능하다. 나아가, 배터리에 연결된 일부 컨버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나머지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와 부하를 연결하는 전력 공급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계통(10) 및 계통(10)에 연계된 DC 배전망(20; 즉, DC 계통)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제1 컨버터(100), 배터리(180), 제2 컨버터(200), 부하(230), 제3 컨버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10)과 DC 배전망(20) 뿐만 아니라 분산 전원 시스템(미도시)과 비상 발전기(미도시)도 더 포함할 수 있고, 부하(230) 외에 추가 부하(예를 들어, DC 부하 또는 AC 부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계통(10)은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부하(230)는 예를 들어, 가정, 대형 건물, 공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 전원 시스템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화석 연료, 원자력 연료,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풍력, 조력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발전기는 예를 들어, 디젤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고, 계통(10)과 제1 컨버터(1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계통(10) 정전 등과 같이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부하(2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이 제1 컨버터(100), 배터리(180), 제2 컨버터(200), 부하(230), 제3 컨버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컨버터(100)는 계통(10)과 DC 배전망(20) 사이에 연결되어 DC 배전망(20)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컨버터(100)는 계통(10)으로부터 제공받은 AC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배전망(20)에 제공하거나 DC 배전망(20)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버터(100)는 AC-DC 컨버터일 수 있다.
또한 제1 컨버터(100)는 계통(10)이 정상 운전시, DC 배전망(20)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DC 전압 제어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계통(10)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즉, 계통(10)이 정전되거나 분리된 경우), 제1 컨버터(100)는 게이트 신호를 턴오프(turn-off)하여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제2 컨버터(200)는 DC 배전망(20)에 연결되고, 부하(230)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컨버터(200)는 DC 배전망(20)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버터(200)는 부하(230)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CVCF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컨버터(200)는 DC-AC 컨버터일 수 있고, 부하(230)는 AC 부하일 수 있다.
제3 컨버터(250)는 배터리(180)와 부하(230)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180)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컨버터(250)는 배터리(180)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컨버터(250)는 배터리(180)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컨버터(250)는 DC-AC 컨버터일 수 있다.
배터리(180)는 DC 배전망(20)에 연결되고, 제3 컨버터(250)에 의해 방전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80)는 계통(10)에서 제1 컨버터(100)를 거쳐 DC 배전망(20)으로 전달된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은 복수의 베어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80)는 제3 컨버터(250)에 의해 방전이 제어될 수 있고, 후술하는 상위 제어기로부터 방전 지령을 제공받아 방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하(230)는 제2 컨버터(200)에 연결되고, 제2 컨버터(200)에 의해 전압(즉,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부하(230)는 예를 들어, AC 부하일 수 있다.
물론, 부하(230)는 DC 부하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 컨버터(200)와 제3 컨버터(250)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하(230)가 AC 부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에는 통신부(미도시)와 상위 제어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는 제1 컨버터(100)로부터 계통(10) 정보(예를 들어, 계통 사고 발생 여부 등), 제2 컨버터(200)로부터 부하(230)의 소모 전력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제1 내지 제3 컨버터(100, 200, 25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상황에 따라, 상위 제어기(미도시) 및 제1 내지 제3 컨버터(100, 200, 250)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고속 통신 기반(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컨버터(100, 200, 250) 및 상위 제어기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통신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별도의 통신부 없이 제1 내지 제3 컨버터(100, 200, 250)와 상위 제어기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위 제어기는 예를 들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일 수 있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의 모든 시퀀스 동작을 관제하며 각각의 상황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 지령을 내려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배터리(180)의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에서, 배터리(180)는 DC 배전망(20)으로부터 직접 전압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통(10)에서 제1 컨버터(100)로 공급된 AC 전압은 제1 컨버터(100)에 의해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DC 배전망(20)으로 전달되고, DC 배전망(20)으로 전달된 전압은 별도의 컨버터를 거치지 않고 직접 배터리(18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달리, 배터리용 컨버터(즉, DC-DC 컨버터로 DC 배전망(20)과 배터리(180) 사이에 구비되는 컨버터)를 포함하지 않는바, DC 배전망(20)에서 배터리(180)로 전달되는 전력의 변환 효율 개선 및 배터리용 컨버터 미설치로 인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한편, 배터리(180)의 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 경로는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즉, 배터리(180)에서 방전된 전압은 DC 배전망(20) 및 제2 컨버터(200)를 통해 부하(230)로 전달될 수 있고, 제3 컨버터(250)를 통해 부하(23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하(230)에 평상시 전력 필요량 이상의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즉, 과부하 상태)에도, 배터리(180)의 방전 경로가 한편으로 편중되지 않는바, 각각의 컨버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버터(200) 및 제3 컨버터(25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나머지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180)의 전력을 부하(2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2 및 제3 컨버터(200, 2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전력을 무순단 상태로 부하(230)에 공급할 수도 있는바, 부하(230)에 대한 전력 공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은 전술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과 일부 구성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2)은 제1 컨버터(100), 배터리(180), 제2 컨버터(200), 부하(230), 제3 컨버터(250), 제4 컨버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2)은 전술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보다 제4 컨버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컨버터(270)는 배터리(180)와 계통(10)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18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컨버터(270)는 계통(10)으로부터 제공받은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180)에 제공하거나 배터리(180)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컨버터(270)는 AC-DC 컨버터일 수 있다.
또한 제4 컨버터(270)는 전술한 통신부 또는 상위 제어기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배터리(180)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배터리(180)의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에서는, 배터리(180)의 충전에 따른 전력 흐름 경로가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즉, 배터리(180)는 DC 배전망(20)으로부터 직접 전압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도 있고, 제4 컨버터(270)를 통해 전압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도 있다.
이 때, 제4 컨버터(270)에 의한 충전 경로를 배터리(180)의 기본 충전 경로로 설정하고, DC 배전망(20)에 의한 충전 경로를 배터리(180)의 보조 충전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180)에 추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 DC 배전망(20)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제4 컨버터(270)를 통해서만 배터리(180)가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에서는, 배터리(180)의 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 경로가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80)에서 방전된 전압은 DC 배전망(20) 및 제2 컨버터(200)를 통해 부하(230)로 전달될 수 있고, 제3 컨버터(250)를 통해 부하(23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하(230)에 평상시 전력 필요량 이상의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즉, 과부하 상태)에도, 배터리(180)의 방전 경로가 한편으로 편중되지 않는바, 각각의 컨버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버터(200) 및 제3 컨버터(25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나머지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180)의 전력을 부하(2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계통(10)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제4 컨버터(270)를 통해 배터리(180)를 방전시킴으로써 방전된 전압을 계통(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제4 컨버터(270)에 의해 배터리(180)에서 방전된 전압은 제4 컨버터(270), 제1 컨버터(100), 제2 컨버터(200)를 순차적으로 거쳐 부하(23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2 및 제3 컨버터(200, 2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전력을 무순단 상태로 부하(230)에 공급할 수도 있는바, 부하(230)에 대한 전력 공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은 전술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2)과 일부 구성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3)은 제1 컨버터(100), 배터리(180), 제2 컨버터(200), 부하(230), 제3 컨버터(250), 제4 컨버터(270), 보조 계통(30), 절환 스위치(29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3)은 전술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2)보다 보조 계통(30)과 절환 스위치(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에너지 저장 시스템(3)은 보조 계통(3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이 보조 계통(30)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계통(30)은 부하(23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계통(30)은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부하(2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계통(30)은 전술한 계통(10)과 같이, 상시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비상시(예를 들어,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계통(30)이 비상시에만 구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절환 스위치(290)는 제4 컨버터(270)를 계통(10)과 제1 컨버터(100) 사이의 제1 노드(N1) 또는 보조 계통(30)과 부하(230) 사이의 제2 노드(N2)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환 스위치(290)의 일단은 제4 컨버터(270)에 연결되고, 절환 스위치(290)의 타단은 제1 및 제2 노드(N1, N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절환 스위치(290)는 계통(10)이 정상 구동되는 경우,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보조 계통(30)과 절환 스위치(290)는 전술한 통신부 또는 상위 제어기와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계통(10)이 정상 구동될 때의 배터리(180)의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3)과 전술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2)은, 계통(10)이 정상 구동될 때의 배터리(180)의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이 동일할 수 있다.
이는, 계통(10)이 정상 구동되는 경우, 절환 스위치(290)에 의해 계통(10)과 제4 컨버터(270)가 연결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도 8을 참조하여,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배터리(180)의 충방전에 따른 전력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제4 컨버터(270)가 제1 노드(N1)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통(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절환 스위치(290)의 절환 동작에 의해 제4 컨버터(270)는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C 배전망(20)에도 문제가 발생하여, 배터리(180)의 방전 전력이 DC 배전망(20)을 통해 부하(230)로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배터리(180)의 방전 전력은 제4 컨버터(270) 및 제3 컨버터(250)를 통해 무순단 상태로 부하(230)로 전달될 수 있는바, 부하(230)에 대한 전력 공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부하(230)에 평상시 전력 필요량 이상의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즉, 과부하 상태)에도, 배터리(180)의 방전 경로를 제3 컨버터(250) 및 제4 컨버터(270)가 분담함으로써, 각각의 컨버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컨버터(예를 들어, 제3 컨버터(250), 제4 컨버터(270))를 통해 배터리(180)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방전시 컨버터에 인가되는 과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용 컨버터(즉, DC-DC 컨버터)의 미설치를 통해 비용 절감 및 전력 변환 효율 개선이 가능하다. 나아가, 배터리(180)에 연결된 일부 컨버터가 고장난 경우에도, 나머지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180)와 부하(230)를 연결하는 전력 공급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제1 컨버터 180: 배터리
200: 제2 컨버터 230: 부하
250: 제3 컨버터 270: 제4 컨버터
290: 절환 스위치

Claims (10)

  1. 계통 및 상기 계통에 연계된 DC(Direct Current) 배전망의 전력을 관리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통과 상기 DC 배전망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1 컨버터;
    상기 DC 배전망에 연결된 제2 컨버터;
    상기 제2 컨버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컨버터에 의해 전압이 제어되는 부하;
    상기 DC 배전망의 상기 전압을 직접 수신하도록 상기 DC 배전망에 직접 연결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부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은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제공하는 제3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제2 컨버터와 상기 제3 컨버터 중 하나만을 포함하는 경로로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상기 계통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상기 제1 컨버터와 상기 DC 배전망을 포함하는 충전 경로를 통해서 상기 DC 배전망의 전압이 상기 배터리에 직접 전달되어 충전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DC 배전망과 상기 제2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1 방전 경로와 상기 제3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2 방전 경로를 통해서 상기 부하에 전달되어 방전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계통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4 컨버터;
    상기 부하에 연결된 보조 계통; 및
    상기 제4 컨버터를 상기 계통과 상기 제1 컨버터 사이의 제1 노드 또는 상기 보조 계통과 상기 부하 사이의 제2 노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절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컨버터는 각각 상기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버터에 의해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상기 부하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제4 컨버터에 의해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상기 계통으로 전달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4 컨버터에 연결되고,
    상기 절환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컨버터가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상기 제4 컨버터는 상기 절환 스위치의 절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4 컨버터에 의해 방전되며,
    상기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압은 상기 제2 노드를 거쳐 상기 부하로 전달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DC 배전망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DC 전압 제어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제2 컨버터는 상기 부하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CVCF(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컨버터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모드로 구동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AC(Alternating Current)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DC 배전망에 제공하거나 상기 DC 배전망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계통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컨버터는 상기 DC 배전망으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제공하고,
    상기 제3 컨버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제공하고,
    상기 제4 컨버터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은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제공하거나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은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70159941A 2017-11-28 2017-11-28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8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41A KR102389302B1 (ko) 2017-11-28 2017-11-28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20528924A JP6977167B2 (ja) 2017-11-28 2018-11-15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EP18884397.3A EP3719950A4 (en) 2017-11-28 2018-11-15 ENERGY STORAGE SYSTEM
PCT/KR2018/013995 WO2019107807A1 (ko) 2017-11-28 2018-11-15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6/765,759 US11205911B2 (en) 2017-11-28 2018-11-15 Energy storage system
CN201880076825.8A CN111406352B (zh) 2017-11-28 2018-11-15 储能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41A KR102389302B1 (ko) 2017-11-28 2017-11-28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98A KR20190061498A (ko) 2019-06-05
KR102389302B1 true KR102389302B1 (ko) 2022-04-20

Family

ID=6684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41A KR102389302B1 (ko) 2017-11-28 2017-11-28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9541B (zh) * 2024-01-11 2024-05-28 深圳市杰成镍钴新能源科技有限公司 退役动力电池包整包利用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33B1 (ko) * 2011-12-19 2014-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61B1 (ko) * 2009-12-17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0157A (ko) * 2011-03-03 2012-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부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157B1 (ko) * 2015-04-29 2017-07-2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이의 에너지 효율 향상 방법
KR102421893B1 (ko) * 2015-10-27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33B1 (ko) * 2011-12-19 2014-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98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902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1277185B1 (ko) Dc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c 및 dc 복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CN103457514B (zh) 双模太阳能光伏发电系统
JP6549190B2 (ja) 電力補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022527B (zh) 直流微网系统
CN104779634B (zh) 一种微电网储能调度方法
WO2014163074A1 (ja) 電力変換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5811458A (zh) 微电网储能系统及其能量管理方法
JP547538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の電源最適化装置
US11277008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3406827U (zh) 双模太阳能光伏发电装置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8930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99683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38490B1 (ko) 무순단 전원 공급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323938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648804B1 (ko) 복수 개의 배터리 시스템이 분산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11205911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2323937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347617A (zh) 清洁能源补偿的储能电站和具有清洁能源补偿的储能系统
CN112865106A (zh) 一种考虑荷电状态的交直流混合微电网功率调度方法
CN219477604U (zh) 一种供电系统
KR101995255B1 (ko) 마이크로그리드내의 부하 간 효율적인 전력 송배전을 위한 직류배전 자율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94179A (ko) 소규모 발전 시스템에서 소용량 충전기로 상시 부하에 대응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