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766B1 - 방폭 스위치 - Google Patents

방폭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66B1
KR101276766B1 KR1020130029275A KR20130029275A KR101276766B1 KR 101276766 B1 KR101276766 B1 KR 101276766B1 KR 1020130029275 A KR1020130029275 A KR 1020130029275A KR 20130029275 A KR20130029275 A KR 20130029275A KR 101276766 B1 KR101276766 B1 KR 10127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nsor
explosion
intermediate cas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에프엠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엠테크 (주) filed Critical 에프엠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3002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9/042Explosion-proof c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정전용량형 센서를 이용하여 관리자로부터 스위칭 입력을 받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폭 스위치는, 컨트롤 회로가 구비된 피씨비에 고정되고, 상부면으로 센서부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센서기판의 상부면에 정전용량센서가 실장되고, 하부면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그 단자가 상기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피씨비에 솔더링되는 센서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센서부의 정전용량센서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서노출공이 형성되고,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된 중간케이스;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체로 되고,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부터 내삽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벽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중간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하방향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방폭 스위치{Explsion-proof switch}
본 발명은 방폭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용량형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폭기능을 갖도록 한 방폭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정유 공장이나 가스 정제 공장 및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공장에는 항시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게 되고, 이러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원 케이블, 스위치, 커넥터 등의 전기적 장치는 스파크가 발생되거나 불안전한 전원 연결이 발생되면 이는 곧 폭발 및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각별히 폭발 및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1283호에서는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가 기술되어 있으며, 도1 및 도2는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보인 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 하부 케이스(10,11)가 내부를 밀폐 및 밀봉시키는 방폭 하우징(housing)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10)의 상면(10-1)에는 온/오프 작동을 위한 푸쉬버튼들(15,16)이 상, 하 작동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1) 내측에는 미도시된 접점들이 단위별로 방폭되어 있으며, 온/오프 동작되는 푸쉬버튼들(15,16)의 상, 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접점들을 단락시키거나 오픈시켜 전원을 인가시키는 선택스위치(Select switch)들(19,20)이 위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 내측에는 선택 스위치(19)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계(2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11)의 일측에는 미도시된 외부의 전원 케이블을 끌어들여 선택 스위치들(19,20)로 각각 연결시키기 위해 케이블 연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0)의 상면(10-1)소정부분에 케이블 연결공(14)을 통해 선택 스위치(19)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치를 측정하는 전류계(21)의 측정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소정의 폭과 넓이로 개구된 개구부(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는 외부의 전원 케이블을 케이블 연결공(14)을 통해 선택스위치들(19,20)로 각각 연결시키고, 푸쉬버튼들(15,16)의 상, 하 작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면서 전류계(21)가 인가된 전원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은 개구부(12)의 투명 패널(17)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에 적용된 푸쉬 버튼들(15,16)은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끼거나 기계적 노후화, 또는 화재 등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올바른 동작을 할 수가 없어서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의 오동작이 발생함으로써 동작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정전용량형 센서를 이용하여 관리자로부터 스위칭 입력을 받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방폭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폭 스위치는,
컨트롤 회로가 구비된 피씨비에 고정되고, 상부면으로 센서부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센서기판의 상부면에 정전용량센서가 실장되고, 하부면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그 단자가 상기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피씨비에 솔더링되는 센서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센서부의 정전용량센서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서노출공이 형성되고,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된 중간케이스;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체로 되고,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부터 내삽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벽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중간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하방향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의 내측에 장착되며, 개구부를 폐쇄하는 투명 패널을 통해 가시적으로만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하게 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이물질이나 기계적 노후화, 화재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스위칭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 방폭 스위치의 외관도.
도4는 도3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이 장착된 구조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방폭 스위치의 외관을 보인 도로서, 하부케이스(210)의 상측으로 중간케이스(230)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케이스(230)에는 상부케이스(2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삽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의 이동이 탄성지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10)에는 정전용량센서를 갖는 센서부가 장착되어 중간케이스(230)와 상부케이스(250)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결합 단면도로서, 하부케이스(210)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211)를 가지며, 몸체(211)의 바닥부 즉 센서기판고정부(212)에는 대향되는 양측에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공(213.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에는 센서부(220)의 단자가 삽입되어 관통되기 위한 단자삽입공(217)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피씨비(270)에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후크(215,2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센서부(220)는 센서기판(221)의 상부면에 정전용량센서(222)가 실장되어 있고, 하부면으로는 정전용량센서(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223)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센서부(220)가 하부케이스(210)에 장착된 경우에 단자부(223)가 단자삽입공(217)을 통해 하부케이스(210)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피씨비(270)에 솔더링됨으로써 정전용량센서(222)와 피씨비(2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중간케이스(230)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231)를 가지며, 하측에는 한 쌍의 후크(236,237)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걸림공(213,214)에 각각 걸려서 하부케이스(210)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또한, 중간케이스(230)의 가운데 부분에는 센서부(220)의 정전용량센서(222)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된 센서노출공(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노출공(232)의 주변부 둘레로는 상측으로 입설된 벽체(233)가 형성되고, 몸체(231)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걸림홈(234,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234)의 상측은 폐쇄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벽체(233)는 내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만곡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부케이스(25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체로서, 측벽 하측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후크(252,253)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케이스(230)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때 후크(252,253)가 걸림홈(234,235)에 걸려서 상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부케이스(250)는 중간케이스(23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상단면부(254)는 평평하면서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40)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부케이스(250)의 내측을 삽입되어 상측은 상기 상단면부(254)에 걸리도록 장착되고, 하측은 중간케이스(230)의 몸체(231)의 내측과 벽체(233)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50)를 중간케이스(230)로부터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50)의 상단면부(254)의 상측에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필름(260)이 씌워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6은 이러한 본 발명의 방폭 스위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예로서, 피씨비(270) 상에 방폭 스위치(200)가 실장된 다음 방폭 컨트롤 스위치 박스의 내측에서 개구부를 폐쇄하는 투명패널(280)에 상부케이스(250)의 상단면부(254)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피씨비(270)와 투명패널(280)과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상부케이스(250)가 스프링(24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단면부(254)가 고르게 투명패널(280)의 면부와 접촉함으로써 접촉력이 증대된다.
또한, 중간케이스(230)와 상부케이스(250)가 홀을 형성함으로써 관리자의 손가락이 투명패널(280)에 접촉하였을 때 정전용량의 변화를 정전용량센서(222)로 집중시켜 센싱감도를 높임과 아울러, 또한 이웃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갖는 스위치를 관리자가 스위칭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값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의 결과를 회피할 수 있다.
아울러 벽체(233)의 내측면이 만곡됨으로써 정전용량의 변화값을 정전용량센서(222)로 더욱더 집중시킬 수 있어서 센싱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보호필름(260)은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정전용량센서(222)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센싱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200 : 방폭스위치 210 : 하부케이스
211 : 몸체 212 : 센서기판고정부
213,214 : 걸림공 215,216 : 후크
220 : 센서부 221 : 센서기판
222 : 정전용량센서 223 : 단자
230 : 중간케이스 231 : 몸체
232 : 센서노출공 233 : 벽체
234,235 : 걸림홈 236,237 : 후크
240 : 스프링 250 : 상부케이스
251 : 몸체 252,253 : 후크
254 : 상단면부 260 : 보호필름
270 : 피씨비 280 : 투명패널

Claims (2)

  1. 컨트롤 회로가 구비된 피씨비에 고정되고, 상부면으로 센서부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센서기판의 상부면에 정전용량센서가 실장되고, 하부면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그 단자가 상기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피씨비에 솔더링되는 센서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센서부의 정전용량센서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서노출공이 형성되고,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된 중간케이스;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체로 되고,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부터 내삽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측벽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중간케이스의 상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중간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하방향 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에는 센서노출공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입설된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는 내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만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 스위치.
KR1020130029275A 2013-03-19 2013-03-19 방폭 스위치 KR10127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75A KR101276766B1 (ko) 2013-03-19 2013-03-19 방폭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75A KR101276766B1 (ko) 2013-03-19 2013-03-19 방폭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766B1 true KR101276766B1 (ko) 2013-06-19

Family

ID=4886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275A KR101276766B1 (ko) 2013-03-19 2013-03-19 방폭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7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637A (ja) * 1993-04-09 1994-10-21 Asahi Eng Co Ltd 防爆型操作表示装置
JPH0720631A (ja) * 1993-06-30 1995-01-24 Taiyo Ink Mfg Ltd 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ソルダーマスク形成方法
JPH0729724U (ja) * 1993-06-30 1995-06-02 和泉電気株式会社 耐圧防爆形スイッチ
US20030080757A1 (en) 2001-11-01 2003-05-01 Groover Thomas A. Proximity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637A (ja) * 1993-04-09 1994-10-21 Asahi Eng Co Ltd 防爆型操作表示装置
JPH0720631A (ja) * 1993-06-30 1995-01-24 Taiyo Ink Mfg Ltd 感光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ソルダーマスク形成方法
JPH0729724U (ja) * 1993-06-30 1995-06-02 和泉電気株式会社 耐圧防爆形スイッチ
US20030080757A1 (en) 2001-11-01 2003-05-01 Groover Thomas A. Proximity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09128A (ja) コンテナ型蓄電システム
MX2013007415A (es) Accionador de auto-alineado para interruptor de puerta.
KR20160051565A (ko) 서지 보호 시스템
KR101307942B1 (ko) 방폭 단자함
KR101619644B1 (ko) 파워 아웃렛장치
KR101276766B1 (ko) 방폭 스위치
KR101487393B1 (ko) 멀티탭용 케이스
JP2016157757A (ja) 防爆電気機器
US9713273B2 (en) Fireproof separator board and plug-based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the fireproof board
US20180331465A1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JP6710109B2 (ja) 回路遮断器
US20070054520A1 (en) Receptacle with overload protection
JP6131487B2 (ja) 電気機器
JP2017103484A (ja) 電気機器
US20200375042A1 (en) Housing
JP5033048B2 (ja) 分電盤
JP6385485B2 (ja) 電気機器
US73932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component installation
KR20150110255A (ko) 누전 차단기
CN204391016U (zh) 多功能插头式断路器
JP2019045358A (ja) 電力量計
WO2013076375A1 (en) Socket
JP2014057445A (ja) 接続箱
CN204130470U (zh) 一种断路器接线防护罩板及断路器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