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635B1 -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635B1
KR101274635B1 KR1020087003936A KR20087003936A KR101274635B1 KR 101274635 B1 KR101274635 B1 KR 101274635B1 KR 1020087003936 A KR1020087003936 A KR 1020087003936A KR 20087003936 A KR20087003936 A KR 20087003936A KR 101274635 B1 KR101274635 B1 KR 10127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rifice
pressure gauge
detection passage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208A (ko
Inventor
마사히로 하스누마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09Pressure pulsation damp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계(10)가,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바늘에 의해 표시하는 압력측정 표시부(11)와,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로부터 뻗어 있으며 압력검출통로(22)가 형성된 부착부(21)와, 압력검출통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오리피스(62)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60)를 가지고 있다. 이 압력계에 의해 압력변동 현상에 따라 압력계의 내부기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오리피스 부재를 갖추는 대신, 압력검출통로의 일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압력계 조립체(1)가,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압력계(10)와, 압력계의 부착부와 관로를 접속하는 이음매(30, 40)를 가지고, 이음매의 내부통로의 일부에 오리피스(49)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계, 압력측정

Description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PRESSURE GAUGE AND PRESSURE GAUGE ASSEMBLY}
본 발명은 관로(管路)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로 도중에 설치된 압력계(PRESSURE GAUGE), 및 이러한 압력계 및 압력계에 접속된 이음매로 이루어지는 압력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7a는 일본특허공개 2002-31082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압력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로(101)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이 관로(101)의 도중에 압력계(10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압력계(102)는, 관로(101)가 접속되는 이음매(104)의 부착구멍(105)에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이 이음매(104)에 형성되어 관로(101)와 연결된 유로(106)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표시바늘(107)을 가지는 표시부(108)에서 유체의 압력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되는 압력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계(102)는, 이음매(104)의 부착구멍(105)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부착부(111)와, 이 부착부(111)에 고정된 측정부(112)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111)에는 압력검출통로(1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압력검출통로(111a)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이 다이어프램(113)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다이어프램(113)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은 아코디언 주름형상으로 형성된 신축(伸縮) 가능한 주름부(114)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다이어프램(113)에 그 상방측으로부터 측정부(112)의 작동막대(115)가 삽입되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압력계(102)에서는, 측정부(112)의 작동막대(115)에 유체가 직접 닿지 않도록, 신축 가능한 다이어프램(113)이 설치되고, 이 다이어프램(113)을 통하여 유체의 압력이 작동막대(11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 2002-310823호 공보에 개시되는 압력계(102)에서는, 작동막대(115)의 단부 둘레를 피복하는 보호캡(119)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캡(119)은 내식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약액이 흐르고 있는 관로(101)의 압력을 측정할 때, 압력계(102)의 내부기구가 약액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관로(101)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부착부(111)의 압력검출통로(111a)로부터 다이어프램(113)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이 다이어프램(113)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위쪽으로 수축되어, 이 다이어프램(113)에 삽입된 작동막대(115)가 들어올려지고, 그 작동막대(115)의 이동에 따라 측정부(112)의 표시부(108)의 표시바늘(107)이 회전운동하여 압력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압력계 직하류의 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로(101) 내의 유체가 밸브에 의해 급격하게 폐쇄되면 압력이 밸브 직전에서 급격하게 상승하고, 밸브를 급격하게 개방하면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이른바 수격작용(water hammer)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격작용이 발생한 경우에도, 압력계는 수격작용의 크기에 따라 직선적으로 응답하므로, 압력계의 내부기구부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작동막대 등이 응답시의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2-310823호 공보에 개시되는 압력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약품성이 뛰어난 재료를 이용하여 약액의 영향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지만, 수격작용의 영향까지 방지할 수 없어, 압력계의 파손이 마찬가지로 우려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격작용 등과 같은 관로 내의 압력변동 현상에 따른 내부기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계 및 이러한 압력계를 갖춘 압력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 태양에 따르면,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바늘에 의해 표시하는 압력측정 표시부와,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로부터 뻗어 있으며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압력검출통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를 구비하는 압력계가 제공된다.
즉, 첫번째 태양에서는, 압력계에 접속된 관로의 압력이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력측정 표시부까지 전달된다. 이 때문에, 수격작용 등과 같은 관로 내의 압력변동 현상에 따른 충격이 약해져서, 압력계의 내부기구 등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태양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오리피스 부재를 별도로 작성한 후에 압력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압력계에 오리피스 부재를 나중에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압력계를 압력변동 현상으로부터 쉽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 태양에 따르면,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바늘에 의해 표시하는 압력측정 표시부와,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로부터 뻗어 있으며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검출통로의 일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압력계가 제공된다.
즉, 두번째 태양에서는, 압력계에 접속된 관로의 압력이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력측정 표시부까지 전달된다. 이 때문에, 수격작용 등과 같은 관로 내의 압력변동 현상에 따른 충격이 약해져서, 압력계의 내부기구 등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태양에서는 오리피스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세번째 태양에 따르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태양에서, 상기 압력검출통로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오리피스의 길이는, 오리피스 내부직경의 약 10~30배이다.
즉, 세번째 태양에서는, 이러한 치수의 오리피스를 이용하는 경우, 압력변동에 따른 충격을 약하게 하면서, 압력계의 응답성을 유지할 수 있다.
네번째 태양에 따르면, 첫번째 내지 세번째 중 어느 한 태양에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압력검출통로에서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네번째 태양에서는, 압력측정되는 액체가 압력측정 표시부와 오리피스 사이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의 상기 부착부와 관로를 접속하는 이음매와,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를 구비하는 압력계 조립체가 제공된다.
즉, 다섯번째 태양에서는, 관로의 압력이 이음매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력계까지 전달된다. 이 때문에, 수격작용 등과 같은 관로 내의 압력변동 현상에 따른 충격이 약해져서, 압력계의 내부기구 등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섯번째 태양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오리피스 부재를 별도로 작성한 후에 이음매에 설치할 수 있다.
여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의 상기 부착부와 관로를 접속하는 이음매를 구비하고, 이 이음매의 내부통로의 일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압력계 조립체가 제공된다.
즉, 여섯번째 태양에서는, 관로의 압력이 이음매 및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력측정 표시부까지 전달된다. 이 때문에, 수격작용 등과 같은 관로 내의 압력변동 현상에 따른 충격이 약해져서, 압력계의 내부기구 등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섯번째 태양에서는 오리피스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곱번째 태양에 따르면, 다섯번째 또는 여섯번째 태양에서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오리피스의 길이는, 오리피스 내부직경의 약 10~30배이다.
즉, 일곱번째 태양에서는, 이러한 치수의 오리피스를 이용하는 경우, 압력변동에 따른 충격을 약하게 하면서, 압력계의 응답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덟번째 태양에 따르면, 다섯번째 내지 일곱번째 중 어느 한 태양에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압력계의 상기 부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여덟번째 태양에서는, 압력측정되는 액체가 압력측정 표시부와 오리피스 사이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오리피스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오리피스 부재를 압력계의 부착부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3b는 오리피스 부재를 압력계의 부착부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3c는 오리피스 부재를 압력계의 부착부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압력계를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압력계를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압력계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압력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종래기술의 압력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압력계의 부분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압력계 조립체 10: 압력계
11: 압력측정 표시부 12: 하우징
13: 내부기구부 14: 표시바늘
15: 표시부 21: 부착부
22: 압력검출통로 29: 보호캡
30: T자형 이음매 31: 접합부
31a: 나사부착 캡 31c: 접합부 선단
32, 33: 접합부 40: T자형 이음매
41: 접합부 41a: 나사부착 캡
41b: 삽입 피스 41c: 접합부 선단
60: 오리피스 부재 62, 69, 49: 오리피스
63, 64: 테이퍼부 65, 66: 모따기부
67: 고리형상 돌출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해를 쉽게 하 기 위하여, 이 도면들은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계(10)는, 압력을 측정하여 그것을 표시하는 압력측정 표시부(11)와, 압력측정 표시부(11)로부터 뻗어 있으며 압력검출통로(22)가 형성되는 부착부(21)를 포함하고 있다. 불소계 재료로 형성되는 부착부(21)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이음매(30)에 접속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부착부(21)의 선단에 제품출하시에 부착되는 보호캡(29)이 배치되어 있다.
압력측정 표시부(11)는, 하우징(12)의 아래쪽 부분 내에 설치되는 내부기구부(13;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이 내부기구부(13)는 공지의 형식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하지 않은 관로에 압력계(10)가 설치되면, 관로 내의 유체의 압력은 부착부(21)의 압력검출통로(22)를 통하여 내부기구부(13)에 전달된다. 내부기구부(13)에서는 압력값이 측정되고, 이어서 압력측정 표시부(11)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부(15)의 표시바늘(14)이 압력값에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계(10)에서는 압력검출통로(22) 내에 오리피스 부재(60)가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오리피스 부재(60)의 측단면도이다. 오리피스 부재(60)는 압력검출통로(22)의 내부직경보다 조금 작은 외부직경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 부재(60)에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관통구멍으로서의 오리피스(62)가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62)의 내부직경은 오리피스 부재(60)의 외부직경보다도 꽤 작다. 또한, 오리피스(62)의 길이는 오리피스(62) 내부직경의 약 10~30배 정도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오리피스 부재(60)는 불소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식성이 높은 약액의 압력을 계측하는 경우에는 오리피스 부재(60)가 약액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 부재(60)는 부착부(21)를 형성하는 불소계 재료보다 강도가 높은 불소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오리피스(62)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부(63, 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63, 64)들은 유체가 오리피스(62)에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오리피스 부재(60)의 둘레면에는, 고리형상 돌출부(67)가 설치되어 있다. 고리형상 돌출부(67)의 외부직경은, 압력검출통로(22)의 내부직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이것보다 조금 크다. 또한, 고리형상 돌출부(67)는 오리피스 부재(60)의 중심보다 전방측 즉, 테이퍼부(63)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 부재(6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오리피스 부재(60)의 삽입을 쉽게 하기 위한 모따기부(chamfering)(65, 6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오리피스 부재를 압력계의 부착부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리피스 부재(60)를 부착부(21)의 압력검출통로(22)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 지그(50) 및 제2 지그(55)가 사용된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지그(50)는 핸들(51)과 핸들(51)로부터 뻗은 로드(52)를 구비하고 있고, 로드(52)의 외부직경은 압력검출통로(22)의 내부직경보다 조금 작다. 또한, 대략 원통형상 부재인 제2 지그(55)의 양단면에는 각각, 오목부(56, 57)가 서로 동축으 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6, 57)들의 내부직경은 압력검출통로(22)의 내부직경과 거의 같다.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56, 57)들 사이에는 스토퍼(5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제1 지그(50)의 핸들(51)을 잡고, 스토퍼(58)에 닿을 때까지 로드(52)를 제2 지그(55)의 오목부(56)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2 지그(55)의 오목부(57)에 오리피스 부재(60)를 그 후방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오목부(57)는, 오리피스 부재(60)의 고리형상 돌출부(67)로부터 후방측 단면까지 수용하기에 충분하도록 깊게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돌출부(67)는 오리피스 부재(60)의 중심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지그(55)에 의해 오리피스 부재(60)를 지지했을 때, 오리피스 부재(60)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 상태로 핸들(51)을 밀어 넣고, 그것에 의해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에 삽입한다.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 입구에 남기면서, 제1 지그(50) 및 제2 지그(55)를 잡아빼어, 제1 지그(50)와 제2 지그(55)를 분리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지그(50)의 로드(52)를 압력검출통로(22)에 밀어 넣어,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 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오리피스 부재(60)는 압력측정 표시부(11)의 바로 밑에, 바꿔 말하면, 오리피스 부재(60)는 압력측정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계(10)의 사용시에 수격작용 등에 의해 오리피스 부재(60)의 오리피스(62)를 통과한 약액이 압력측정 표시부(11)와 오리피스 부재(60) 사이에 머무르는 것이 방지된다.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 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로드(52)를 잡아뺀 후에 부착부(21)의 외부로부터 열과 압력을 가하여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 내에 열융착시킨다. 이에 의해 압력검출통로(22)가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여 수축하고, 오리피스 부재(60)는 압력검출통로(22) 내에 밀봉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 부재(60)와 압력검출통로(22)의 내면 사이의 틈이 없어지고, 관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압력은 오리피스 부재(60)의 오리피스(62)만을 통하여 내부기구부(13)에 전달된다. 한편, 당연한 것이지만, 지그(50, 55)를 이용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에 의해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에 설치하여도 좋다.
오리피스 부재(60)는 열융착시에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 및 내열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부착부(21)의 재료보다 강도 및 내열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오리피스 부재(60)의 오리피스(62)의 치수가 열융착시 변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오리피스 부재(60)의 바람직한 재료는, 예를 들어 PCTFE(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이고, 부착부(21)의 바람직한 재료는, 예를 들어 PFA(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10)를 사용하는 일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압력계(10)의 부착부(21)를 T자형 이음매(30)의 하나의 접합부(31)에 접속하고, 나사부착 캡(31a)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일직선으로 늘어선 다른 접합부(23, 33)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압 력계(10)에 의해 측정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T자형 이음매(30)를 통하지 않고, 압력계(10)를 관로(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압력계(10)를 사용한 경우에는, 관로를 흐르는 압력은 오리피스 부재(60)의 오리피스(62)를 통하여 압력측정 표시부(11)의 내부기구부(13)까지 전달되게 된다. 이 때문에, 압력변동 현상에 따르는 충격 예를 들어, 수격작용은 오리피스(62) 통과시에 약해지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부기구부(13)가 파손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압력이 통과하는 통로의 유효단면적은 오리피스(62) 통과시에 줄어들지만, 압력 자체는 변하지 않아, 압력계(10)의 압력측정 표시부(11)에서 적절한 압력값을 측정 및 표시할 수 있다.
오리피스 부재(60)를 배치함으로써 압력측정 표시부(11)에서의 응답성이 조금이나마 떨어지지만, 오리피스(62)의 길이를 오리피스(62) 내부직경의 약 10~30배의 범위로 한 경우에는 응답성 저하가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즉, 오리피스(62)의 치수를 상술한 범위로 한정한 경우에는, 압력변동 현상에 따르는 충격을 약하게 하면서, 압력계(10)의 응답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62)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60)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오리피스 부재(60)는 압력계(10)와는 별도로 작성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1)의 수율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오리피스 부재(60)는 기존의 압력계의 압력검출통로에 나중에 설치하여 삽입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오리피스 부재(60)를 기존의 압력계 에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압력계를 수격작용 등의 압력변동 현상으로부터 쉽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정면도이다. 도 5a에서 압력계(10)는 T자형 이음매(30)에 접속되어 있고, 접합부(31)의 접합부 선단(31c)이 부착부(21) 선단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나사부착 캡(31a)이 부착부(21)를 접합부 선단(31c)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1)의 압력검출통로(22)의 내면이 안쪽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여 있고, 그것에 의해 오리피스(69)가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69)는 상술한 오리피스 부재(60)의 오리피스(62)와 거의 같은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 오리피스(69)는 부착부(21)의 성형시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에 의해 오리피스(69)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관로(도시하지 않음)의 압력은 T자형 이음매(30) 및 오리피스(69)를 통하여 내부기구부(13; 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므로, 상술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69)가 압력검출통로(2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리피스 부재(60)를 압력검출통로(22)에 삽입하는 공정 및 이들을 열융착하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제조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 부재(60)가 압력검출통로(22)에 양호하게 열융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지만, 열융착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제2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열융착 불량에 따르는 문제가 사전에 방지된다.
또한,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다른 압력계의 정면도이다. 압력계(10)의 압력검출통로(22)에는 오리피스(69)가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계(10)는 T자형 이음매(30)와는 다른 구성의 T자형 이음매(40)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로가 형성된 삽입 피스(41b)가 압력검출통로(22)의 입구에 삽입유지되고, 이어서 삽입 피스(41b)를 갖춘 압력검출통로(22)가 접합부 선단(41c)에 삽입된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접합부 선단(41c)의 내부유로와 삽입 피스(41b)의 관통로는 동축이며 그들의 내부직경은 서로 거의 같다. 그 후, 나사부착 캡(41a)이 부착부(21)를 접합부 선단(41c)에 나사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할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되는 압력계 조립체(1)는, 부착부(21)를 포함하는 압력계(10)와, 압력계(10)의 부착부(21)에 접속된 T자형 이음매(30)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되는 압력계(10)의 압력검출통로(22)에는 오리피스(62, 69)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술한 압력계와 다르다. 또한, T자형 이음매(30)는 도 5a에 도시되는 T자형 이음매(30)와 거의 같은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6a에 도시되는 압력계 조립체(1)에서는, T자형 이음매(30)의 접합부(31)에서의 접합부 선단(31c)에 오리피스(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49)는 상술한 오리피스(62) 등과 거의 같은 내부직경을 가지고 있고, 접합부(31)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49)는 T자형 이음매(30)의 제조시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오리피스(49)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계(10)가 T자형 이음매(30)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오리피스(49)는 압력측정 표시부(11)에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관로(도시하지 않음)를 흐르는 압력은 T자형 이음매(30) 및 오리피스(49)를 통하여 압력측정 표시부(11)의 내부기구부(13)까지 전달되게 된다. 이 때문에, 압력변동 현상에 따르는 충격 예를 들어, 수격작용은 오리피스(62) 통과시에 약해지고, 따라서 내부기구부(13)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49) 통과시에 유효단면적은 줄어들지만, 압력 자체는 변하지 않아, 압력계(10)의 압력측정 표시부(11)에서 적절한 압력값을 측정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압력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b에 도시되는 압력계 조립체(1)는, 부착부(21)를 포함하는 압력계(10)와, 압력계(10)의 부착부(21)에 접속된 T자형 이음매(40)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T자형 이음매(40)는 도 5b에 도시되는 T자형 이음매(40)과 거의 마찬가지 구성인 것으로 한다.
도 6b에 도시되는 압력계 조립체(1)에서는, T자형 이음매(40)의 접합부(41)에서의 삽입 피스(41b)에 오리피스(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49)는 삽입 피스(41b)의 제조시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력계(10)가 T자형 이음매(40)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오리피스(49)는 압력측정 표시부(11)에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결정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되는 압력계 조립체(1)에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할 것 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계의 특징 및 압력계 조립체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압력계(10)와 이 압력계(10)에 접속된 T자형 이음매(30)를 포함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압력계 조립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접합부 선단(31c)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리피스 부재(60)가 접합부(31)의 접합부 선단(31c)에 삽입되어 고정된 압력계 조립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경우, 압력계에 접속된 기존의 이음매에 오리피스 부재(60)를 삽입함으로써, 이 압력계를 압력변동 현상으로부터 마찬가지로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명확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력계의 형식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형식의 압력계, 예를 들어 밸로우즈식 압력계라도, 상술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구성인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형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변경 및 각종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8)

  1.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바늘에 의해 표시하는 압력측정 표시부와,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로부터 뻗어 있으며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압력검출통로에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는 상기 부착부를 형성하는 불소계 재료보다 강도가 높은 불소계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 부재의 둘레면에는, 상기 압력검출통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압력검출통로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형상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압력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검출통로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오리피스의 길이는 오리피스 내부직경의 10~30배인 압력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압력검출통로에서 상기 압력측정 표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압력계.
  5. 압력검출통로가 형성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압력계와,
    상기 압력계의 상기 부착부와 관로를 접속하는 이음매와,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오리피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는 상기 부착부를 형성하는 불소계 재료보다 강도가 높은 불소계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 부재의 둘레면에는, 상기 압력검출통로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압력검출통로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고리형상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압력계 조립체.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오리피스의 길이는 오리피스 내부직경의 10~30배인 압력계 조립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이음매의 내부통로에서 상기 압력계의 상기 부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압력계 조립체.
KR1020087003936A 2005-08-31 2006-08-18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KR101274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1561 2005-08-31
JP2005251561A JP4911933B2 (ja) 2005-08-31 2005-08-31 圧力計および圧力計組立体
PCT/JP2006/316668 WO2007026602A1 (ja) 2005-08-31 2006-08-18 圧力計および圧力計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208A KR20080041208A (ko) 2008-05-09
KR101274635B1 true KR101274635B1 (ko) 2013-06-13

Family

ID=3780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936A KR101274635B1 (ko) 2005-08-31 2006-08-18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37769B2 (ko)
JP (1) JP4911933B2 (ko)
KR (1) KR101274635B1 (ko)
DE (1) DE112006002271B4 (ko)
WO (1) WO2007026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6491A1 (en) * 2007-03-08 2008-09-11 Quest William J Pressure gauges and methods of use
CN103630290B (zh) * 2012-08-17 2016-06-0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带旁路保护的铝刻蚀腔压力计管路
US10363383B2 (en) * 2014-02-07 2019-07-30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Pressure indicator for an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JP6556522B2 (ja) * 2015-06-23 2019-08-07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CN106197832A (zh) * 2016-08-19 2016-12-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江汉油田分公司勘探开发研究院 一种防冻防凝测压接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9133A (ko) * 1983-04-05 1984-12-24 미첼 코헤르엘 압력차 측정장치
JPH0635938U (ja) * 1992-10-13 1994-05-13 ニューセントラル株式会社 ガス圧力計用アダプタ
KR0173535B1 (ko) * 1995-06-12 1999-04-01 오가와 슈우헤이 압력식 유량제어장치
KR100327879B1 (ko) 1998-05-29 2002-03-09 오가와 슈우헤이 압력식 유량제어장치를 구비한 가스공급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94Y1 (ko) * 1964-07-18 1969-01-08
JPS5030743B2 (ko) * 1971-10-14 1975-10-03
JPS4950972A (ko) * 1972-09-14 1974-05-17
JPS5851211B2 (ja) * 1976-06-14 1983-11-15 エヌ・テ−・エヌ東洋ベアリング株式会社 圧力計用緩衝継手
JPS53129384U (ko) * 1977-03-22 1978-10-14
JPS5939190B2 (ja) * 1977-04-18 1984-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集塵機
DE2724584A1 (de) 1977-05-31 1978-12-07 Erwin Pelz Druckabfalldaempfer fuer manometer oder andere mess- und registriergeraete in druckleitungen
JPS5660893A (en) * 1979-10-22 1981-05-26 Hitachi Ltd Self-priming pump
JPS5697692A (en) * 1979-12-28 1981-08-06 Toyoda Gosei Kk Joint for high pressure hose
JPS5851211A (ja) 1981-09-18 1983-03-25 Toyota Motor Corp モノリス触媒保持構造
JPS5880542U (ja) * 1981-11-26 1983-05-31 豊興工業株式会社 圧力検知装置
US4552153A (en) * 1983-11-17 1985-11-12 Welch Allyn Inc. Pressure gauge
JPS61167832A (ja) * 1985-01-19 1986-07-29 Hiroshi Kasahara 圧力計測装置
JPS6326748A (ja) 1986-07-21 1988-02-04 Toyo Electric Mfg Co Ltd メモリの異常判別方法
DE8714327U1 (ko) 1987-10-28 1987-12-23 Asys-Gmbh Gesellschaft Fuer Die Herstellung Und Den Vertrieb Von Systemen Fuer Die Automatisierung, 7060 Schorndorf, De
US5012678A (en) * 1990-08-15 1991-05-07 Dwyer Struments, Inc. Overpressure relief safety plug for pressure gauges
JPH0635938A (ja) 1992-07-20 1994-02-10 Seiji Kouhou Center:Kk 選挙端末装置
JPH06194248A (ja) * 1992-12-22 199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力センサ
US5346775A (en) * 1993-02-22 1994-09-13 At&T Laboratories Article comprising solder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US5377539A (en) * 1993-04-26 1995-01-03 Lasalle; Robert Valve stem extender with integral air pressure gauge
FR2705781B1 (fr) 1993-05-25 1995-08-25 Schlumberger Services Petrol Capteur de pression à membrane comportant un système de protection anti-choc, et gradiomanomètre incorporant un tel capteur.
JPH08271367A (ja) * 1995-03-30 1996-10-18 Nok Corp 圧力センサ
US6216541B1 (en) * 1995-12-13 2001-04-17 Dresser Industries, Inc. Pressure gauge overpressure safety release
JP4777531B2 (ja) 2001-04-12 2011-09-2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圧力計
JP2004012140A (ja) * 2002-06-03 2004-01-15 Saginomiya Seisakusho Inc 圧力検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9133A (ko) * 1983-04-05 1984-12-24 미첼 코헤르엘 압력차 측정장치
JPH0635938U (ja) * 1992-10-13 1994-05-13 ニューセントラル株式会社 ガス圧力計用アダプタ
KR0173535B1 (ko) * 1995-06-12 1999-04-01 오가와 슈우헤이 압력식 유량제어장치
KR100327879B1 (ko) 1998-05-29 2002-03-09 오가와 슈우헤이 압력식 유량제어장치를 구비한 가스공급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6002271T5 (de) 2008-08-21
US8037769B2 (en) 2011-10-18
JP4911933B2 (ja) 2012-04-04
US20090301207A1 (en) 2009-12-10
DE112006002271B4 (de) 2024-01-25
JP2007064805A (ja) 2007-03-15
KR20080041208A (ko) 2008-05-09
WO2007026602A1 (ja)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635B1 (ko)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EP1957950B1 (de) Kombinierter druck-temperatursensor mit zentrischer temperaturmessung
US8733188B2 (en) Apparatus for mounting pipe sensors
US8117920B2 (en) Pressure sensor
JP3126141U (ja) 温度計の保護管構造
US809985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asuring transducer of vibration-type
EP2757305B1 (en) Valve for fuel tank
JP4702929B2 (ja) シール組立体
JP5631409B2 (ja) 低粘度媒体用圧力センサ
US20070234824A1 (en) Measuring transducer of vibration-type
CN108369119B (zh) 流量计
KR100889054B1 (ko)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342866B2 (ja) 圧力センサ
JP5449261B2 (ja) 圧力計および圧力計組立体
JP5195303B2 (ja) 流体の温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管
KR20210038572A (ko) 온도 센서 시스템
JP6037112B2 (ja) 差圧/圧力発信器
RU2377515C2 (ru) Датчик давления
CN112714864B (zh) 压力或流量测量单元
JP2015526714A (ja) 流量計用のセンサハウジング
JP4551845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ロウ付け固定方法
CN108955786B (zh) 流量计
JP6622092B2 (ja) 流量計
WO2016163132A1 (ja) 温度センサのシール構造
JP5123737B2 (ja) 検圧装置の受圧部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