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54B1 -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54B1
KR100889054B1 KR1020070080882A KR20070080882A KR100889054B1 KR 100889054 B1 KR100889054 B1 KR 100889054B1 KR 1020070080882 A KR1020070080882 A KR 1020070080882A KR 20070080882 A KR20070080882 A KR 20070080882A KR 100889054 B1 KR100889054 B1 KR 10088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expansion
inner spac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331A (ko
Inventor
송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Priority to KR102007008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10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by apply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는: 이격 설치된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연결하도록 신축이 이루어지는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되어 주름관 사이에 내측공간부가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부재, 주름관, 신축부, 측정부, 공급부

Description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GAS LEAKING IN EXPANSION JOINT ELEMEN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축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의 주름관을 갖는 신축부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신축부는 길이의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벨로즈형 신축관인 주름관을 사용하는 관 이음부재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이라 함은 현대 산업설비의 혈관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배관을 설계함에 있어 설계자가 직면하는 문제로는 외기 또는 수송 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의 팽창과 수축의 문제,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파손 등의 문제로부터 배관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배관 부분에 신축 및 진동을 흡수하는 신축부를 설치하 게 된다.
상기 신축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다수의 주름진 형상에 의하여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신축부는 계산식에 의한 수명계산으로 설계되어 현장에 설치되나, 부식 및 설치시 공차를 갖는 현장의 특성 등에 의하여 수명이 단축됨으로 신축부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외측으로 노출된 신축부를 포함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콘덴서 내부 및 관로의 이음에 사용되는 신축부나 보온재가 감싸진 신축부 등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신축부의 파손 여부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관찰하기가 어려움으로 인하여, 신축부 파손에 따른 유체가 누설되어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측으로 노출된 신축부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신축부의 누설을 용이하게 감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는: 이격 설치된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연결하도록 신축이 이루어지는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되어 주름관 사이에 내측공간부가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축부는 외측에 적층된 제1주름관과 내측에 적층된 제2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에 관통 설치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가 설치된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내측과 상기 신축부의 내측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 모서리는 상기 신축부의 내측 주름관에 용접 으로 고정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다른 모서리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측정부가 연결된 연결부는 상기 신축부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의 내측에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경사부재가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경사부재에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는 상기 신축부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의 양측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은 구속부재에 의하여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는 일단이 절곡되어 일측의 가이드링에 걸리는 제1절곡부재와, 상기 제1절곡부재에 결합되며 절곡된 타단이 타측의 가이드링에 걸리는 제2절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가 통과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링에 구비된 연결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공간부에 공급되는 유체는 질소, 압축공기 또는 비활성기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제조방법은: 이격된 파이프부재에 각각 구멍을 뚫고 플러그를 설치하는 플러그 설치단계와, 상기 파이프부재 사이에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된 신축부를 위치시키는 신축부 안착단계와, 상기 플러그 하측에 위치하는 안내부재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신축부의 양단이 상기 파이프부 재의 내측면에 용접되는 1차용접단계와, 상기 안내부재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신축부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고, 상기 안내부재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안내부재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2차용접단계와, 상기 신축부와 접하지 않는 상기 안내부재의 모서리부분을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3차용접단계 및 상기 플러그에 측정부와 공급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조립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3차용접단계 이후에 상기 신축부재 내측에 경사부재와 슬리브를 구비한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가이드부 설치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용접단계 이전에 상기 파이프부재에 링 형상의 가이드링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링 고정단계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신축부의 구비된 주름관을 복수로 하며, 상기 주름관 사이의 내측공간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측정함으로 신축부의 노출 여부에 상관없이 신축부의 파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신축부 파손에 따른 사고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안내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체가 흐르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파이프부재는 원형 또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제1파이프(1)와 제2파이프(6)로 구분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파이프(1)와 제2파이프(6) 사이에는 신축부(20)가 연결된다.
상기 제1파이프(1)는 제1메인파이프(3)와 상기 제1메인파이프(3)의 일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연결파이프(5)로 구성이 이루어지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상기 제1메인파이프(3)와 제1연결파이프(5)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관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6)도 제2메인파이프(8)와 상기 제2메인파이프(8)의 일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연결파이프(7)로 구성이 이루어지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상기 제2메인파이프(8)와 제2연결파이프(7)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관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한 파이프부재는 제1파이프(1)와 제2파이프(6)로 구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파이프(1)는 제1메인파이프(3)와 제1연결파이프(5)로 구성되며, 상기 제2파이프(6)는 제2메인파이프(8)와 제2연결파이프(7)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된 파이프부재를 연결하도록 신축이 이루어지는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되어 주름관 사이에 내측공간부(95)가 형성된 신축부(20)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신축부(20)는 2개 이상의 주름관이 포개져서, 서로 접하는 주름관과 주름관 사이에 내측공간부(9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신축부(20)는 외측에 적층된 제1주름관(22)과 내측에 적층된 제2주름관(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주름관(22)과 제2주름관(24) 사이에는 내측공간부(9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부(20)를 구성하는 주름관이 2개로 이루어짐을 보이나, 이는 단지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3개 또는 그 이상의 주름관이 본 발명에 의한 신축부(20)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내측공간부(95)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는 연결부가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파이프(1)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파이프(6)에 설치되는 제2연결부(16)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파이프(1) 또는 제2파이프(6)의 일측에만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16)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1개 또는 3개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제1파이프(1) 또는 제2파이프(6)에 선택적으로 설치됨도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 파이프부재에 상기 연결부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에 공급부(60)와 측정부(70)가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공정의 편리 및 가공 불량에 의한 자재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연결파이프(5)에 제1연결부(10)를 설치하고 제2연결파이프(7)에 제2연결부(16)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에 관통 설치된 플러그(12,17)와, 상기 플러그(12,17)가 설치된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12,17)의 내측과 상기 신축부(20)의 내측공간부(95)를 연통시키는 안내부재(14,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재 외측과 신축부(20)의 내측공간부(95)를 연통시키기 위한 기술사상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연결부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파이프(5)에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중공이 형성된 플러그(12)를 삽입하여, 상기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 과 외측이 상기 플러그(12)를 통해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12)가 장착된 상기 제1파이프(1)의 내측에는 판재 형상의 안내부재(14)가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12)를 통한 제1파이프(1)의 외측과 상기 신축부(20)의 내측공간부(95)를 연결시켜주게 된다.
상기 제2연결파이프(7)에도 상기 제1연결부(10)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연결부(1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연결부(16)는 상기 제2연결파이프(7)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기 위한 플러그(17)와 상기 플러그(17)가 설치된 제2연결파이프(7)의 내측에 구비된 안내부재(18)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파이프(5)에 설치된 상기 안내부재(14)의 일측 모서리는 상기 신축부(20)의 내측 주름관인 제2주름관(24)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1용접부(8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안내부재(18)의 다른 모서리는 상기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4용접부(86)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14)가 접한 위치에 있는 제1주름관(22)은 상기 제1연결파이프(5)와 제2연결파이프(7)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용접부(8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14)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의 신축부(20)는 제1주름관(22)과 제2주름관(24)이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3용접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주름관(22)과 제2주름관(24)의 일단은 안 내부재(14)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16)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8)의 설치상태도 상기 제1연결부(10)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4)의 설치상태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상태에 의하여, 상기 내측공간부(95)는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16)와 연통되고, 신축부(20)의 다른 경계 부분은 용접됨으로 인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신축부(20)의 양단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3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30)은 구속부재(40)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이 구속된다.
상기 가이드링(30)에는 연결공(34)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공(34)에는 숫나사산이 양측에 형성된 고정바(42)가 삽입되어 너트(44)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속부재(40)는 상기 신축부(20)의 운송작업시 신축부(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신축부(20)의 설치 완료시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 신축부(20)의 신축이나 비틀림이 설계허용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신축부(20)의 변형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도 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신축부(20) 이동 시 뿐만 아니라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구속부재(40)는 계속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경사부재(52)가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경사부재(52)에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슬리 브(54)는 상기 신축부(20)의 내측에 위치하여 가이드부(5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50)의 설치에 의하여, 상기 제1파이프(1)를 통하여 상기 제2파이프(6)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신축부(20)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부(10)에는 상기 내측공간부(95)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7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16)에는 상기 내측공간부(95)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부(70)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60)는 상기 내측공간부(95)로 유체를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유체는 질소, 압축공기 또는 비활성기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기체 또는 유체가 상기 내측공간부(9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60)는 유체공급기(64)와 상기 유체공급기(64)에서 발생된 기체 또는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밸브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60)가 연결된 제2연결부(16)와 상기 측정부(70)가 연결된 제1연결부(10)는 상기 신축부(20)의 축방향(도 3기준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어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0)는 좌측상단에 설치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2연결부(16)는 우측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공간부(95)로 유입 되는 기체 또는 유체 등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의 측정이 상기 측정부(70)에 의하여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나,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16)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20)의 누설감지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격된 파이프부재에 각각 구멍을 뚫고 플러그(12,17)를 설치하는 플러그 설치단계를 갖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연결파이프(5)와 제2연결파이프(7)에 구멍을 뚫고 플러그(12,17)를 삽입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재 사이에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된 신축부(20)를 위치시키는 신축부(20) 안착단계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재에 링 형상의 가이드링(30)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링(30) 고정단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제1연결파이프(5)와 제2연결파이프(7)에 가이드링(30)을 각각 고정하게 된다.
만약, 제1연결파이프(5)와 제2연결파이프(7)에 구멍을 뚫고 플러그(12,17)를 삽입하는 작업 또는 제1연결파이프(5)와 제2연결파이프(7)에 가이드링(30)을 각각 고정하는 작업에서 불량품이 발생한다 하여도 제1파이프(1) 또는 제2파이프(6)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되는 제1연결파이프(5) 또는 제2연결파이프(7)를 교체하면 되기에 제조비를 절감하게 된다.
이하, 상기 제1연결부(10)의 안내부재(14)와 신축부(20)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2연결부(16)의 안내부재(18)와 신축부(20)의 연결상태는 상기 제1연결부(10)의 안내부재(14)와 신축부(20)의 연결상태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신축부(20)에서 상기 플러그(12) 하측에 위치하는 안내부재(14)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신축부(20)의 양단 중 일단이 상기 파이프부재를 구성하는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제3용접부(84)를 형성하는 1차용접단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신축부(20)는 상기 안내부재(14)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제3용접부(84)를 형성함으로 기밀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14)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신축부(20)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제2용접부(8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안내부재(14)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안내부재(14)에 용접되어 제1용접부(80)를 형성하게 되는 2차용접단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14)와 접하는 신축부(20)에서 상기 제1주름관(22)은 상기 제1연결파이프(5)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2용접부(8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2주름관(24)은 상기 안내부재(14)와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1용접부(8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20)와 접하지 않는 상기 안내부재(14)의 모서리부분을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시켜 제4용접부(86)를 형성하는 3차용접단계를 갖게 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1차용접단계에서는 안내부재(14)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용접한 후에, 2차용접단계에서는 안내부재(14)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제1주름관(22)만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하고, 제2주름관(24)은 안내부재(14)에 고정하게 되며, 3차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안내부재(14)의 용접되지 못한 부분을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제1연결부(10)와 내측공간부(95)와 제2연결부(16)가 연통된 상태에서, 다른 부분은 밀봉되어 기밀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3차용접단계 이후에 상기 신축부(20) 내측에 경사부재(52)와 슬리브(54)를 구비한 가이드부(50)가 설치되는 가이드부 설치단계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2,17)에 측정부(70)와 공급부(60)를 각각 연결시키는 조립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파이프(5)를 상기 제1메인파이프(3)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함께, 상기 제2연결파이프(7)를 상기 제2메인파이프(8)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2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링(30)을 너트(44)와 고정바(42)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공급기(64)에서 발생된 유체는 밸브부재(62)에 의하여 공급되는 양이 조절되어 제2연결부(16)의 플러그(17)와 안내부재(18)를 따라 신축부(20)의 내측공간부(95)로 유입된다.
상기 신축부(20)의 내측공간부(95)로 유입된 유체는 제1연결부(10)의 안내부재(14)와 플러그(12)를 통하여 측정부(70)로 유입되어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내측공간부(95)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상기 신축부(20)를 구성하는 제1주름관(22) 및 제2주름관(24)이 갖는 설계압력의 1/4 내지 1/2가 적절하다.
상기 측정부(70)에서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내측에 위치한 제2주름관(24)이 파손되어 파이프부재를 흐르는 유체가 내측공간부(95)로 유입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70)에서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외측에 위치한 제1주름관(22)이 파손되어 내측공간부(95)로 공급된 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상기 측정부(70)를 통하여 측정된 압력 수치로 제1주름관(22) 또는 제2주름관(24)의 파손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링(30) 및 이를 구속하기 위한 너트(44)와 고정바(42)를 포함한 구속부재(40)는 상기 신축부(20)의 이동이나 설치시 외부충격에 의하여 상기 신축부(20)가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부(20)의 양측에는 가이드링(32)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32)에는 구속부재(90)가 통과되기 위한 장공 형상의 연결공(35)이 구비된다.
상기 구속부재(90)는 일단이 절곡되어 일측의 가이드링(32)에 걸리는 제1절곡부재(92)와, 상기 제1절곡부재(92)에 결합되며 절곡된 타단이 타측의 가이드링(32)에 걸리는 제2절곡부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제1절곡부재(92)와 제2절곡부재(9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절곡부재(92)는 "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재(92)에 결합되는 제2절곡부재(94)는 "ㄴ"형상 또는 "ㅣ"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절곡부재(92)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절곡부재(92)와 제2절곡부재(94)의 이음 부분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과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돌기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재(90)는 양측이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과, 상기 신축부(20)의 길이보다 여유길이 만큼 구속부재(9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에 의하여, 신축부(20)가 늘어나는 한계 길이를 구속하게 되어 신축부(20)가 허용길이 이상으로 신장되어 파손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35)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하여, 상기 신축 부(20)가 한계 각도 이상으로 비틀리는 경우, 상기 구속부재(90)에 의하여 신축부(20)의 비틀림이 억제되어 신축부(2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안내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파이프 3 : 제1메인파이프
5 : 제1연결파이프 6 : 제2파이프
7 : 제2연결파이프 8 : 제2메인파이프
10 : 제1연결부 12,17 : 플러그
14,18 : 안내부재 16 : 제2연결부
20 : 신축부 22 : 제1주름관
24 : 제2주름관 30,32 : 가이드링
34,35 : 연결공 40,90 : 구속부재
42 : 고정바 44 : 너트
50 : 가이드부 52 : 경사부재
54 : 슬리브 60 : 공급부
62 : 밸브부재 64 : 유체공급기
70 : 측정부 80 : 제1용접부
82 : 제2용접부 84 : 제3용접부
86 : 제4용접부 92 : 제1절곡부재
94 : 제2절곡부재 95 : 내측공간부

Claims (13)

  1. 이격 설치된 파이프부재;
    상기 파이프부재를 연결하도록 신축이 이루어지는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되어 주름관 사이에 내측공간부가 형성된 신축부;
    상기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공간부의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신축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의 양측에는 구속부재에 의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이 구비되고, 상기 구속부재가 통과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링에 구비된 연결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신축부가 한계각도 이상으로 비틀리는 경우, 상기 구속부재에 의하여 상기 신축부의 비틀림이 억제되어 상기 신축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외측에 적층된 제1주름관과 내측에 적층된 제2주름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에 관통 설치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가 설치된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내 측과 상기 신축부의 내측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 모서리는 상기 신축부의 내측 주름관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다른 모서리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용접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측정부가 연결된 연결부는 상기 신축부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일단이 절곡되어 일측의 가이드링에 걸리는 제1절곡부재와,
    상기 제1절곡부재에 결합되며 절곡된 타단이 타측의 가이드링에 걸리는 제2절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공간부에 공급되는 유체는 질소, 압축공기 또는 비활성기체 중 어 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11. 이격된 파이프부재에 각각 구멍을 뚫고 플러그를 설치하는 플러그 설치단계;
    상기 파이프부재 사이에 주름관이 복수의 겹으로 적층된 신축부를 위치시키는 신축부 안착단계;
    상기 플러그 하측에 위치하는 안내부재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신축부의 양단이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는 1차용접단계;
    상기 안내부재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신축부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고, 상기 안내부재와 접하는 주름관은 상기 안내부재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2차용접단계;
    상기 신축부와 접하지 않는 상기 안내부재의 모서리부분을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3차용접단계;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측에는 유체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경사부재와, 상기 경사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신축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가이드부 설치단계; 및
    상기 플러그에 측정부와 공급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조립단계를 포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용접단계 이전에 상기 파이프부재에 링 형상의 가이드링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링 고정단계를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70080882A 2007-08-10 2007-08-10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82A KR100889054B1 (ko) 2007-08-10 2007-08-10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82A KR100889054B1 (ko) 2007-08-10 2007-08-10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31A KR20090016331A (ko) 2009-02-13
KR100889054B1 true KR100889054B1 (ko) 2009-03-17

Family

ID=4068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82A KR100889054B1 (ko) 2007-08-10 2007-08-10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82B1 (ko) * 2014-04-15 2015-06-19 (주)지에스티산업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0478837Y1 (ko) * 2014-11-27 2015-11-23 (주)지에스티산업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
KR101578328B1 (ko) * 2015-07-24 2015-12-16 (주)케이텍플러스 플렉시블 연료가스 배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84B1 (ko) * 2012-10-23 2015-02-25 (주) 소프트랩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KR101422385B1 (ko) * 2013-01-11 2014-07-2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점화 플러그 가스 누설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881753B1 (ko) * 2016-12-29 2018-07-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수로 연료교환기의 분리기용 밸로우즈 검사장치
US10788148B2 (en) * 2018-12-20 2020-09-29 The Boeing Company Conduits for transporting flui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57Y1 (ko) 2000-04-06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타이로드 신축관
JP2002054800A (ja) * 2000-08-07 2002-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漏れ検知システム
KR100454077B1 (ko) 2001-12-13 2004-10-26 정구증 신축 이음관
KR20050119862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파열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57Y1 (ko) 2000-04-06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타이로드 신축관
JP2002054800A (ja) * 2000-08-07 2002-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漏れ検知システム
KR100454077B1 (ko) 2001-12-13 2004-10-26 정구증 신축 이음관
KR20050119862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파열 감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82B1 (ko) * 2014-04-15 2015-06-19 (주)지에스티산업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0478837Y1 (ko) * 2014-11-27 2015-11-23 (주)지에스티산업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
KR101578328B1 (ko) * 2015-07-24 2015-12-16 (주)케이텍플러스 플렉시블 연료가스 배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31A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054B1 (ko)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055B1 (ko) 신축부의 원격 누설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508B1 (ko) 탱크, 파이프 또는 탱크 및 파이프의 세트 분리용 파이프 밀폐 장치
BRPI1103742B1 (pt) Aparelho para montagem de um sensor de tubo
BRPI0314294B1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a resistência de um conduto flexível de transporte de fluido sob pressão ao nível de uma ponteira terminal
CN103712752A (zh) 热交换器用管束的气密试验装置
KR20170123454A (ko) 신축 연결관 조립체
KR20110000974A (ko) 다겹벨로즈 및 이를 구비한 누설감지장치
KR101274635B1 (ko) 압력계 및 압력계 조립체
JP6529557B2 (ja) 耐震用フレキシブルスリップジョイント装置
JP2005010078A (ja) インライン型圧力センサ
KR200478837Y1 (ko)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
KR101386663B1 (ko) 슬립조인트
KR102300814B1 (ko)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배관의 신축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를 구비한 신축조인트
CN204758148U (zh) 一种热套式热电偶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CN205781650U (zh) 一种管道热膨胀补偿装置
CN210034755U (zh) 一种承压堵漏测试装置
CN117146089B (zh) 一种波纹管膨胀节及其波纹管
TWI634307B (zh) 熱交換器用流路之連接裝置
KR20180124406A (ko) 면진 및 내진용 신축 조인트
JP2014074494A (ja) 石油/化学流体圧送装置のためのドレイン・ベント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101119825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101379005B1 (ko) 파이프 라인
CN209876263U (zh) 一种波纹管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