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21B1 -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 Google Patents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21B1
KR101271921B1 KR20110096019A KR20110096019A KR101271921B1 KR 101271921 B1 KR101271921 B1 KR 101271921B1 KR 20110096019 A KR20110096019 A KR 20110096019A KR 20110096019 A KR20110096019 A KR 20110096019A KR 101271921 B1 KR101271921 B1 KR 10127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winding
flow
block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438A (ko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1009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9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태 변경이 가능한 스트립을 권취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내부에서 권취부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트립 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보더 용이하게 확장고정시키거나 스트립 릴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향성 전기강판의 2차 고온 소둔시 일정한 속도로 스트립의 공급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권취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자에게 초래될 수 있는 안전사고 감소, 스크랩 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REEL}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2차 고온 소둔시 스트립을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스트립 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트립 릴의 권취부를 분할 구성하여 권취부의 내부에 위치한 구동부의 작동을 통해 권취부의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거나 스트립 릴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스트립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정을 통해 슬라브(slab)를 압연하여 얇은 두께의 스트립(강판)을 만든 후 스트립 릴(권취기)를 통해 스트립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여 말아 놓는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권취가 완료된 스트립은 권취기에서 인출되어 방향성 전기강판의 2차 고온 소둔시 스트립이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게 된다. 이렇듯 스트립은 스트립 릴에 권취되어 작업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도1a 및 도1b 는 종래의 스트립 릴(50)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립 릴(50)은 권취부(10), 가이드부(20) 및 권취부(10)에서 스트립을 제거할 수 있도록 권취부(10)와 가이드부(20)를 분리토록 하는 손잡이(51)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스트립 릴(50)의 경우 스트립이 권취부(10)를 따라 감기고, 스트립이 코일형태로 이뤄지면 이를 권취부(10)에서 분리하기 위해 가이드부(20)의 도출된 원통형의 측면에 위치한 손잡이(51)를 돌려 분리하여 권취부(1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0)를 제거한 후 스트립을 권취부(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스트립이 권취부(10)에 강하게 감겨있어 스트립을 권취부(10)에서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다시 스트립을 권취부(10)에서 인출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이 때 강하게 감겨있던 스트립이 풀리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찰과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을 권취부(10)에서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상에 스크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스크랩을 스트립이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스트립 릴(50)상에서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권취부의 형태변경을 통하여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좀 더 용이하게 확장고정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 및 스크랩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스트립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스트립 릴을 제공한다.
스트립을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내부에서 권취부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트립 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부는 고정블럭과 이동가능한 유동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블럭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상기 유동블럭에 전달하도록 하는 상기 유동블럭상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에 접촉되어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유동블럭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블럭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동블럭간에는 인장스크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스프링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유동블럭이 이동하여 상기 권취부의 형태가 권취부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도 유동블럭이 계속하여 구동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인장력을 제공하고, 다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유동블럭이 권취부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직경이 다른 캠으로 구성되어, 상기 캠상에는 두개의 손잡이가 있고, 상기 손잡이로 상기 캠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캠의 장반경이 유동블럭에 접촉하게 되어 유동블럭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권취부가 확대되고, 다시 캠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캠의 단반경이 유동블럭에 접촉하게 되어 유동블럭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권취부가 수축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 릴은 상기 권취부의 양측면에 병렬 배치되어 상기 권취부에 스트립을 폭방향으로 일정하게 권취토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보다 용이하게 확장고정시키거나 스트립 릴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스트립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성 전기강판 2차 고온 소둔시에 스트립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을 스트립 릴에 권취하거나 스트립 릴로부터 인출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에게 초래되는 찰과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 릴로부터 스트립을 확장고정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1a 은 종래 스트립 릴의 예시도이다.
도1b 는 종래 스트립 릴의 가이드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2 는 종래 스트립 릴의 절개도이다.
도3a 은 본 발명인 스트립 릴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b 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 실시예의 가이드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4a 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 실시예의 권취부가 확대된 경우의 절개도이다.
도4b 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 실시예의 권취부가 축소된 경우의 절개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3a 에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3b 에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500) 실시예의 가이드부를 분리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3a 및 도3b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권취부(100)와 권취부(100)의 양측면에서 권취부(100)를 지지하면서 병렬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부(200)로 구성된다. 가이드부(200)는 스트립이 스트립 릴을 따라 권취부(100)에 권취되거나 인출될 때 권취부(100)의 폭방향으로 일정하게 권취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200)에는 권취부(100)에서 가이드부(200)를 분리하여 권취부(100)에 코일형으로 감겨있는 스트립을 권취부(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끔 권취부(100)와 가이드부(200)를 분리하는 분리바(510)가 있고 상기 분리바(510)는 스트립 릴의 회전축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를 이루는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분리바(510)를 돌려서 분리하면 스트립 릴의 회전축을 이루는 중심바(520)에서 분리바(510)가 도출되면서 가이드를 중심바(520)의 회전축을 따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권취부(100)와 가이드부(20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 후에는 권취부(100)에 코일형으로 감겨 있는 스트립을 권취부(10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200)를 권취부(100)에서 분리하면 권취부(100)의 내부 형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도4a 와 도4b 및 도5 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살펴본다.
여기서 도4a 에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500)의 권취부(100)가 확대된 경우의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4b 에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500)의 권취부(100)가 축소된 경우의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5 에는 본 발명인 스트립 릴(5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4a 와 도4b 및 도5 를 참고하면, 권취부(100)는 하나의 고정블럭(110)과 두개의 유동블럭(120)으로 구성되며 고정블럭(110)과 유동블럭(120)은 권취부(100)를 3등분하고 있다. 또한 고정블럭(110)과 유동블럭(120)은 모두 권취부(100)의 외측면를 이루는 부분은 호로 이뤄져 있으며 권취부(100)의 내측면을 이루는 부분은 직선으로 이뤄져 있다.
여기서, 고정블럭(110)은 동력수단(700)측의 가이드부(210)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블럭(110)과 두개의 유동블럭(120)은 힌지(111)로 연결되어 있어 유동블럭(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두개의 유동블럭(120)은 힌지(111)로 고정블럭(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동블럭(120)의 내측 면에는 캠(320)와 접촉되어 캠(320)의 작동을 유동블럭(120)에 전달하는 지지수단(121)을 포함하고 있다.
도5 를 참조하면, 지지수단(121)은 유동블럭(120)의 내측면 요철부분에 지지축을 따라 위치하는 롤러(123)와 롤러(123)를 유동블럭(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덮개(124)와 결합구(1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동블럭(120)의 요철부분에 먼저 롤러(123)를 지지축을 따라 위치시키고, 지지덮개(124)로 롤러(123)와 유동블럭의 표면상에 덮은 후 결합구(122)로 지지덮개(124)의 양측면을 유동블럭(120)에 결합시켜 지지수단(121)을 구성한다.
도4a 와 도4b 및 도5 를 참고하면, 상기 스트립 릴은 두개의 유동블럭(120)간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25)을 포함한다. 인장스프링(125)은 상기 지지수단(121)의 결합구(122) 중 고정부와 반대측의 결합구(1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125)은 캠(3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유동블럭(120)이 상기 권취부(1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부(100)가 확대되는 경우에도 유동블럭(120)가 계속하여 캠(3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인장력을 제공하고, 다시 권취부(100)로부터 스트립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캠(320)을 구동시켜 유동블럭(120)를 권취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유동블럭(1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4a 와 도4b 를 참고하면 상기 캠(320)은 장반경(d1)과 단반경(d2)으로 되어 있고, 상기 캠(320)상에는 상기 캠(320)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310)이 있다. 그리고 상기 캠(320)은 스트립 릴의 회전축을 따라 위치한다. 상기 캠(320)상에 위치한 손잡이(310)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캠의 장반경(d1)이 두개의 유동부(120)의 지지축(121)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동블럭(120)는 권취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권취부(100)가 확대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 때 인장스프링(125)에 의해 상기 유동블럭(120)의 지지축(121)과 상기 캠(320)은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권취부(100)에 감겨있는 스트립은 권취부(100)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320)상에 위치한 손잡이를 잡고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캠(320)의 단반경(d2)이 하나의 유동블럭(120)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유동블럭(120)은 권취부(100)의 내측방향으로 인장스프링(125)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권취부(125)가 수축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 때 권취부(100)와 권취부(100)에 감겨있던 스트립 간에는 갭(400)이 발생하게 되고 권취부(100)와 스트립 사이에 작용하는 텐션이 감소하게 되어 작업자는 스트립 릴로부터 스트립을 좀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를 통해 스트립를 스트립 릴에 용이하게 확장고정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어 원활한 스트립 릴의 공급이 가능해지고,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 및 스크랩을 조금 더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는 복수 개의 고정블럭과 복수 개의 유동블럭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럭과 유동블럭은 권취부의 형태변경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각각의 크기 변화가 가능하므로 반드시 정확히 등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반드시 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동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왕복피스톤 등 다른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100...권취부 110...고정블럭
111...힌지 120...유동블럭
121...지지수단 122...결합구
123...롤러 124...지지덮개
125...인장스프링 126...롤러결합구
130...탄성수단 200...가이드부
300...구동부 310...손잡이
320...캠 400...갭(gap)
510...분리 바 520...중심 바
700...동력수단

Claims (6)

  1. 스트립을 권취토록, 외측은 곡면형상으로 이뤄지고 내측은 평면형상으로 이뤄진 고정블럭(110)과 상기 고정블럭(1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블럭(110)의 양단에 힌지(111)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유동블럭(120)를 포함하는 권취부(100);
    상기 권취부(100)의 형태를 변경토록, 상기 권취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권취부(10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블럭(110) 또는 상기 유동블럭(120)에 접하는 타원형의 캠을 포함하는 구동부(300);
    상기 권취부(100)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폭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권취부(100)의 양측에 병렬 배치되는 원판형 가이드부(200); 및
    상기 가이드부(200)의 일측을 분리하여 상기 권취부(100)에 권취된 스트립을 제거토록, 상기 권취부(100)의 회전축에 연결된 중심바(520) 및 상기 중심바(520)와 상기 가이드부(200)간에 장탈착되는 분리바(510);
    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부(100)는 상기 한 쌍의 유동블럭(120)이 각각 유동되며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유동블럭(120)간에 결합되며, 상기 캠(3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동블럭(120)이 상기 캠(320)의 장반경에 접촉하여 상기 권취부(100)가 외측방향으로 확대되는 경우에 상기 유동블럭(120)과 상기 구동부(300)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캠(3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동블럭(120)이 상기 캠(320)의 단반경에 접촉하여 상기 권취부(100)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는 경우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블럭(120)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을 상기 유동블럭(120)에 전달하도록 하는 상기 유동블럭(120)상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300)에 접촉되어 있는 지지수단(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21)는 상기 구동부(300)와 상기 유동블럭(120)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릴
  5. 삭제
  6. 삭제
KR20110096019A 2011-09-23 2011-09-23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KR10127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6019A KR101271921B1 (ko) 2011-09-23 2011-09-23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6019A KR101271921B1 (ko) 2011-09-23 2011-09-23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38A KR20130032438A (ko) 2013-04-02
KR101271921B1 true KR101271921B1 (ko) 2013-06-10

Family

ID=484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6019A KR101271921B1 (ko) 2011-09-23 2011-09-23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386A (zh) * 2013-09-09 2014-01-01 首钢长治钢铁有限公司 一种包装钢带供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308U (ja) * 1993-01-30 1994-08-30 真研工業株式会社 リ−ル径変更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
JPH06278951A (ja) * 1993-03-29 1994-10-04 Nippon Steel Corp 帯状体の捲取装置及び捲取方法
KR20040014012A (ko) * 2002-08-09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텔레스코프를 교정하기 위해 코일에 압착되는 유동롤 장치
KR20110015680A (ko) * 2008-06-27 2011-02-16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 재료 권취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308U (ja) * 1993-01-30 1994-08-30 真研工業株式会社 リ−ル径変更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
JPH06278951A (ja) * 1993-03-29 1994-10-04 Nippon Steel Corp 帯状体の捲取装置及び捲取方法
KR20040014012A (ko) * 2002-08-09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텔레스코프를 교정하기 위해 코일에 압착되는 유동롤 장치
KR20110015680A (ko) * 2008-06-27 2011-02-16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스트립 재료 권취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386A (zh) * 2013-09-09 2014-01-01 首钢长治钢铁有限公司 一种包装钢带供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38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376B2 (ja) ウエブ巻取り方法及び巻取装置
CN210467978U (zh) 极片除皱机构及极片辊压装置
KR101271921B1 (ko) 확장고정 및 인출이 간편한 스트립 릴
DE60206608D1 (de) Mehrere rollen aufweisende vorrichtung in einer papiermaschine
KR101110258B1 (ko) 센터링이 자동 조정되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하는 벨트래퍼의 롤러 장치
KR101240767B1 (ko) 이차전지용 권취기의 절단장치
BR9815585A (pt) Dobadoura de rotor e processo para o funcionamento da mesma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FI20011197A0 (fi) Menetelmä ja laite rainan rullauksessa
KR101317348B1 (ko) 슬리브의 스크랩코일 분리장치
RU2335361C2 (ru) Нам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таной полосы
RU68939U1 (ru) Барабан для нам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й ленты
KR101523964B1 (ko) 소재 정렬장치
CN219546214U (zh) 一种钢带放卷装置
KR101660769B1 (ko) 주조장치
JP2020063153A (ja) 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の作動方法
KR20040035469A (ko) 코일인출이 용이한 텐션릴 러버슬리브 지지장치
BR112016014716B1 (pt) Aparelho e método de fundição e laminagem contínuas
CN212334131U (zh) 带状薄片材料加工成型用自动换卷装置
JP7220140B2 (ja) 線材巻き取り装置及び線材処理システム
CN211100780U (zh) 一种异形环毛坯的轧辊装置
JP2017001787A (ja) ウエブ巻取装置およびウエブ巻取方法
JP2014205173A (ja) 鋼帯の蛇行制御装置及び蛇行制御方法
KR200464170Y1 (ko) 롤페이퍼 제작 장치용 롤링 가이드
JP2005152981A (ja) 鋼帯の巻取設備および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