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185B1 -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 Google Patents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185B1
KR101271185B1 KR1020110033525A KR20110033525A KR101271185B1 KR 101271185 B1 KR101271185 B1 KR 101271185B1 KR 1020110033525 A KR1020110033525 A KR 1020110033525A KR 20110033525 A KR20110033525 A KR 20110033525A KR 101271185 B1 KR101271185 B1 KR 10127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ocking
connection member
ladder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029A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1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9/10Berths; Mounting lad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는, 다수의 발판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사다리 본체; 오프닝(opening)에 인접된 선체의 벽면에 고정되어 선체의 벽면으로부터 사다리 본체를 이격시키는 제1 이격부재 및 제2 이격부재; 사다리 본체와 결합되어 제1 이격부재 및 제2 이격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 제1 이격부재와 제1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제1 이격부재와 제1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시키는 로킹부; 및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로킹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제2 이격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사다리 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Ladder for ship}
본 발명은,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하부 영역의 선실 혹은 화물창 영역으로 내려가거나 반대로 올라오기 위해 사다리가 갖춰진다.
선박이 파도에 의해 흔들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선박에 적용되는 사다리는 선체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사다리가 마련되는 데크(deck) 등에는 출입 개구로서의 오프닝(opening)이 사다리와 인접되게 마련된다.
한편, 오프닝을 통해 작업자 단독으로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큰 부피를 갖는 중량물, 예컨대 파이프 플랜지(pipe flange) 등의 중량물을 오프닝을 통해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오프닝 주변에 위치된 사다리와 간섭되기 때문에 중량물을 자유자재로 핸들링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오프닝의 사이즈를 키우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지만 오프닝의 사이즈를 임의로 키우는 것은 선박의 규정에 부합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분적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오프닝(opening)을 통한 중량물의 핸들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발판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사다리 본체; 오프닝(opening)에 인접된 선체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사다리 본체를 이격시키는 제1 이격부재 및 제2 이격부재; 상기 사다리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이격부재 및 상기 제2 이격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시키는 로킹부; 및 상기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사다리 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 및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커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로커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 회전축; 및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로커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로킹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 바아는,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는 수평 구간부; 및 상기 수평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평 구간부에 대하여 절곡되게 마련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로커 수용부에 수용되는 절곡 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로킹 바아의 반대편에서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바아를 조작하는 로킹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제1 이격부재 및 제1 연결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로킹 손잡이는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부재에 공용으로 적용되는 공용 로킹 손잡이일 수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2 브래킷과 상기 로킹 바아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로킹 바아가 상기 로커 수용부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이홈부가 구비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4 브래킷; 상기 제4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편; 일단부는 상기 회전편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이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스크루; 및 상기 볼스크루에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루를 상기 제3 브래킷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공구 없이 조작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너트(butterfly nut)일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힌지결합부;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힌지결합부에 삽입되는 제2 힌지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분적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오프닝(opening)을 통한 중량물의 핸들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의 동작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의 동작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선박의 데크(101, deck) 영역에는 선박의 하부 영역으로의 출입을 위한 개구로서 오프닝(102, opening)이 마련된다.
그리고 오프닝(102)에 인접된 선체의 벽면(10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가 설치된다.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는 작업자가 오프닝(102)을 통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오프닝(102)을 통해 작업자 단독으로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를 오르내리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큰 부피를 갖는 중량물, 예컨대 파이프 플랜지(pipe flange) 등의 중량물을 오프닝(102)을 통해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오프닝(102) 주변에 위치된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와의 간섭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도 1 참조) 중량물을 자유자재로 핸들링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는, 오프닝(102)을 통해 중량물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 도 1에서 도 2처럼 한 쪽을 분리하여 접어둔 후에 중량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의 한 쪽을 분리하여 접어 개방시키게 되면, 개방된 부분만큼의 여유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부피가 큰 중량물일지라도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의 간섭 없이 오프닝(102)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적으로 구조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비롯하여 전술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는, 사다리 본체(120), 다수의 이격부재(131,132), 다수의 연결부재(141,142), 로킹부(150), 그리고 힌지부(160)를 포함한다.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를 이루는 모든 구성들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사다리 본체(120)는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밟고 오르내리는 부분이다. 사다리 본체(120)는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21)과, 한 쌍의 본체 프레임(121) 사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발판(122)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발판(122)들이 봉 형태로 되어 있지만 발판(122)들은 넓은 판체 형상의 플레이트(plate) 구조물일 수도 있다.
다수의 이격부재(131,132)는 오프닝(102)에 인접된 선체의 벽면(103)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격부재(131,132)들은 선체의 벽면(103)에 고정되어 선체의 벽면(103)으로부터 사다리 본체(120)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이격부재(131,132)는 오른쪽에 상하로 한 쌍, 그리고 왼쪽에 상하로 한 쌍 마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다리 본체(1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도 3의 오른쪽 이격부재(131)를 제1 이격부재(131)라 하고, 반대편인 왼쪽의 이격부재(132)를 제2 이격부재(132)가 하여 설명한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사다리 본체(120)의 사이즈를 고려할 때, 제1 이격부재(131)와 제2 이격부재(132)가 한 쌍씩 마련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사다리 본체(120)의 사이즈가 도시된 것보다 더 큰 경우라면 제1 이격부재(131)와 제2 이격부재(132)의 개수가 더 많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이격부재(131)와 제2 이격부재(132)들의 개수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는 제1 이격부재(131)가 한글 "ㄱ"자 형상의 구조물로 도시되고 있고, 제2 이격부재(132)가 사각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로 되어 있으나 이 역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시된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이격부재(131)와 제2 이격부재(132)들의 단부 영역에는 제1 이격부재(131)와 제2 이격부재(132)들보다 넓은 표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선체의 벽면(103)에 안정적으로 접면되도록 하는 플랜지부(131a,132a, 도 4 및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31a,132a)는 용접 또는 볼팅 방식에 의해 선체의 벽면(103)에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연결부재(141,142)는 제1 및 제2 이격부재(131,132)와 사다리 본체(120)를 대응되는 것끼리 연결한다.
다수의 연결부재(141,142)는 사다리 본체(12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사다리 본체(1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한 쌍씩 배치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이격부재(131,132)와 대응되는 것들을 각각 제1 및 제2 연결부재(141,142)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로킹부(150)의 설명에 앞서 힌지부(16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힌지부(160)는 제2 이격부재(132)와 그에 대응되는 제2 연결부재(142)에 마련되어 도 1에서 도 2처럼 사다리 본체(120)가 회전될 때 사다리 본체(12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힌지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격부재(132) 쪽에 마련되는 제1 힌지결합부(161)와, 제2 연결부재(142) 쪽에 마련되어 제1 힌지결합부(161)에 삽입되는 제2 힌지결합부(162)와,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161,162)에 결합되는 힌지핀(163)을 포함한다. 힌지핀(163)은 볼트와 너트의 조합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160)가 적용되면 힌지핀(163)이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서 도 2처럼 사다리 본체(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로킹부(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에 결합되어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 또는 로킹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150)에 의해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의 로킹이 해제된 때. 비로소 도 1에서 도 2처럼 힌지핀(163)을 축으로 하여 사다리 본체(1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부(150)는 제1 이격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151)와, 제1 연결부재(141)에 마련되어 로커(151)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로커 수용부(156)를 포함한다.
로커(151)는, 로킹 회전축(152)과, 로킹 회전축(152)에 연결되고 단부가 로커 수용부(156)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로킹 바아(153)와, 로킹 바아(153)를 조작하는 로킹 손잡이(154)를 포함한다.
로킹 회전축(152)은 제1 연결부재(141)의 제1 브래킷(B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로킹 손잡이(154)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로킹 바아(153)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의 회전축을 로킹 회전축(152)이 형성한다.
로킹 바아(153)는, 로킹 회전축(152)에 연결되는 수평 구간부(153a)와, 수평 구간부(153a)의 단부에서 수평 구간부(153a)에 대하여 절곡되게 마련되는 절곡 구간부(153b)를 포함한다. 실제, 로커 수용부(156)에 수용되는 부분은 절곡 구간부(153b)이다.
로킹 바아(153)에는 탄성부재(155)가 더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155)는 제1 연결부재(141)의 제2 브래킷(B2)과 로킹 바아(153)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어 로킹 바아(153)가 로커 수용부(156)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5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처럼 로킹 바아(153)의 절곡 구간부(153b)가 로커 수용부(156)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로킹 바아(153)를 탄성적으로 당긴다. 따라서 평상 시 로킹 바아(153)의 절곡 구간부(153b)가 로커 수용부(156)에서 빠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킹 손잡이(154)는 로킹 바아(153)의 반대편에서 로킹 회전축(152)에 연결되어 로킹 바아(153)를 조작하는 부분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141)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마련되고 있고, 한 쌍의 제1 연결부재(141) 쪽의 상부 및 하부 영역 로커(151)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로킹 손잡이(154)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141) 쪽에 공용으로 적용되는 공용 로킹 손잡이(154)로 마련된다. 즉 공용 로킹 손잡이(154)를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제1 연결부재(141) 쪽의 상부 및 하부 영역 로커(151)가 한번에 동작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한 쌍의 제1 연결부재(141) 쪽의 상부 및 하부 영역 로커(151)에 각각 개별적인 로킹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로커 수용부(156)는 제1 이격부재(131)의 일측 표면에 홈(groove)의 형태로 가공된다. 로킹 바아(153)의 단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로킹 바아(153)의 절곡 구간부(153b)가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로킹부(150)는, 제1 연결부재(141)에 결합되고 일측에 걸이홈부(158a)가 구비되는 제3 브래킷(B3)과, 제1 이격부재(131)에 결합되는 제4 브래킷(B4)과, 제4 브래킷(B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편(158b)과, 일단부는 회전편(158b)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걸이홈부(158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스크루(158c)와, 볼스크루(158c)에 체결되어 볼스크루(158c)를 제3 브래킷(B3)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58d)를 더 포함한다.
이에, 도 5의 실선처럼 회전편(158b)을 이용하여 볼스크루(158c)의 일단부를 제3 브래킷(B3)의 걸이홈부(158a)에 걸쳐두고 볼스크루(158c)에 체결부재(158d)를 조이면 결과적으로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가 상호 고정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로커(151)를 동작시키더라도 도 2처럼 사다리 본체(120)를 회전시킬 수 없다.
하지만, 도 2처럼 사다리 본체(120)를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우선 체결부재(158d)를 풀어 도 5의 점선처럼 볼스크루(158c)를 제3 브래킷(B3)의 걸이홈부(158a)에서 빼내어 제쳐두고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든 후에, 로커(151)를 동작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158d)는 공구 없이 조작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너트(butterfly nut)로 적용되고 있으나 이의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큰 부피를 갖는 중량물, 예컨대 파이프 플랜지(pipe flange) 등의 중량물을 오프닝(102)을 통해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 도 2처럼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110)의 한 쪽을 분리하여 접어둔 후에 작업하면 된다.
즉 우선 체결부재(158d)를 풀어 도 5의 점선처럼 볼스크루(158c)를 제3 브래킷(B3)의 걸이홈부(158a)에서 빼내어 제쳐둠으로써 제1 이격부재(131)와 제1 연결부재(141)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
다음, 공용 로킹 손잡이(154)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로커 수용부(156)에 수용되어 있던 로킹 바아(153)의 절곡 구간부(153b)가 로킹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로커 수용부(156)에서 빠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다리 본체(120)를 도 2처럼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사다리 본체(120)가 위치하던 공간만큼의 여유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중량물의 이동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오프닝(102)을 통한 중량물의 핸들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로커가 제1 연결부재 쪽에 마련되고 로커 수용부가 제1 이격부재 쪽에 마련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로커 수용부를 제1 연결부재 쪽에 만들고, 로커를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1 이격부재 쪽에 만들어 동작시키더라도 본 실시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데크 102 : 오프닝
103 : 선체의 벽면 110 :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120 : 사다리 본체 121 : 본체 프레임
122 : 발판 131,132 : 이격부재
141,142 : 연결부재 150 : 로킹부
151 : 로커 152 : 로킹 회전축
153 : 로킹 바아 154 : (공용) 로킹 손잡이
155 : 탄성부재 156 : 로커 수용부
158a : 걸이홈부 158b : 회전편
158c : 볼스크루 158d :체결부재
160 : 힌지부 161 : 제1 힌지결합부
162 : 제2 힌지결합부 163 : 힌지핀

Claims (10)

  1. 다수의 발판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사다리 본체;
    오프닝(opening)에 인접된 선체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사다리 본체를 이격시키는 제1 이격부재 및 제2 이격부재;
    상기 사다리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이격부재 및 상기 제2 이격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선택적으로 로킹(locking)시키는 로킹부; 및
    상기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로킹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사다리 본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일측에 걸이홈부가 구비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4 브래킷;
    상기 제4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편;
    일단부는 상기 회전편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걸이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스크루; 및
    상기 볼스크루에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루를 상기 제3 브래킷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 및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로커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로커 수용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 회전축; 및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로커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로킹 바아를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바아는,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는 수평 구간부; 및
    상기 수평 구간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평 구간부에 대하여 절곡되게 마련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로커 수용부에 수용되는 절곡 구간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로킹 바아의 반대편에서 상기 로킹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바아를 조작하는 로킹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 마련되고,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제1 이격부재 및 제1 연결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 마련되며,
    상기 로킹 손잡이는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부재에 공용으로 적용되는 공용 로킹 손잡이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1 이격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2 브래킷과 상기 로킹 바아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로킹 바아가 상기 로커 수용부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공구 없이 조작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너트(butterfly nut)인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 힌지결합부;
    상기 제2 이격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힌지결합부에 삽입되는 제2 힌지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힌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KR1020110033525A 2011-04-12 2011-04-12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KR10127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25A KR101271185B1 (ko) 2011-04-12 2011-04-12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525A KR101271185B1 (ko) 2011-04-12 2011-04-12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29A KR20120116029A (ko) 2012-10-22
KR101271185B1 true KR101271185B1 (ko) 2013-06-04

Family

ID=472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525A KR101271185B1 (ko) 2011-04-12 2011-04-12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30A (ko) 2021-11-30 2023-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사다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00068526A (ko) * 2008-12-15 2010-06-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작업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526A (ko) * 2008-12-15 2010-06-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용 작업 사다리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29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6170B1 (en) Folding-type container
JP6018322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US20050104334A1 (en) Collapsible wheelbarrow
US6981605B2 (en) Returnable case
WO2017084620A1 (zh) 框架及托盘围板箱
KR101271185B1 (ko) 선박용 개폐식 사다리
EP2397048A1 (de) Zusammenfaltbarer Lagerungsschrank
JP5019950B2 (ja) タンクローリー
KR200483499Y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이식 낚시좌대
JP5399796B2 (ja) 足場板用の幅木付き隙間塞ぎプレート
JP2017024731A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WO2014111046A1 (zh) 适用于大型容器的锁定机构及大型容器
DE202011001829U1 (de) Verbindungskonstruktion f. Honigschleuder
DE102012201204B4 (de) Verriegelungssystem für eine Tischtennisplatte
HUE026088T2 (en) storage device
DE3020064A1 (de) Vorrichtung zum verriegeln der schwenkbaren eckpfosten von ladeplattformen (klappflats)
JPH07197643A (ja) 足場板
JPH08128192A (ja) 足場板
JP5591580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懸吊具
EP2706166A1 (fr) Tour d'étaiement modulaire pour le génie civil et le bâtiment
KR200450018Y1 (ko) 조립식 전시장치
JP4318101B2 (ja) 折畳み型コンテナ
KR20120004199A (ko) 선박용 안전 핸드 레일
JP5371483B2 (ja) ペット用金網フェンス
JP6523380B2 (ja) 人孔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