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58B1 - 실내 소음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소음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58B1
KR101270358B1 KR1020110037009A KR20110037009A KR101270358B1 KR 101270358 B1 KR101270358 B1 KR 101270358B1 KR 1020110037009 A KR1020110037009 A KR 1020110037009A KR 20110037009 A KR20110037009 A KR 20110037009A KR 101270358 B1 KR101270358 B1 KR 10127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peaker
speaker device
signal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197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1003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46Multiple acoustic inputs, multiple acoustic outp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실내 소음 제어 장치는 제1 마이크로폰, 스피커 장치 및 제2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제1 마이크로폰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원으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 장치는 마이크로폰과 연결되어 소음 신호를 전달 받아 실내 공간에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간섭 신호에 따른 간섭음을 실내 공간으로 방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실내 공간의 측벽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 마이크로폰은 간섭음이 방사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간섭음에 의해 간섭된 잔류 소음을 감지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실내 소음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OOM NOISE}
본 발명은 실내 소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원으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나 철로 주변의 소음, 공사장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능동소음제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능동소음제어에서는 소음과 위상이 반대이고 주파수가 동일한 상쇄음의 소멸 간섭을 이용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능동소음제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상쇄음을 방사하게 된다.
특히, 아파트의 층간 소음은 서로의 감정을 격하게 만들어 심지어 심각한 중범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층간 소음을 없애고자, 아파트 건설 시 층 사이에 소음 저감을 위한 소음 완충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 완충 구조물은 단순히 인위적으로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일정 수준의 소음은 원천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실내 공간의 소음을 그 정도에 따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과 연결되어 상기 소음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상기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간섭 신호에 따른 간섭음을 상기 실내 공간으로 방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측벽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상기 간섭음이 방사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피커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간섭음에 의해 간섭된 잔류 소음을 감지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에러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잔류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보상한 제2 간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2 간섭 신호에 따른 제2 간섭음을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실내 공간의 천장 중앙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천장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상기 천장의 각 모서리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각 모서리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천장의 각 변들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각 변들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천장과 만나는 측벽들의 각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측벽들의 각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모서리의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스피커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까지 연장된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고리에 매달리는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소음에 의한 상기 측벽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상기 진동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한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진동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간섭 신호를 통해 상기 진동을 상쇄시키는 간섭 진동을 발생시키는 필름 진동 스피커를 갖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설치된 창문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설치된 이중창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는 스피커 장치를 실내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 장치가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실내 공간의 소음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실내 공간을 정숙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와 제2 마이크로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 이동 유닛과 상기 스피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피커 장치를 이동부재에 결합하거나 실내 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스피커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소음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와 제2 마이크로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100)는 소음원과 수음점 사이에 배치되고, 소음원에서 발생하여 수음점에 도달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섭음을 방사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장치(110), 제1 마이크로폰(130) 및 제2 마이크로폰(140)을 포함한다.
스피커 장치(110)는 스피커 하우징(111), 스피커 유닛(120) 및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은 아파트와 같은 실내 공간(3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장치(110)은 상기 천장(32)의 각 모서리에 부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은 천장(32)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도 4와 같이 삼각기둥, 구체적으로 직각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피커 장치(11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스피커 하우징(111)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다. 스피커 하우징(111)의 형상은 스피커 장치(1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스피커 하우징(111)은 스피커 유닛(120)이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112), 상기 제1 플레이트(112)에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측면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2)에는 스피커 유닛(120)의 진동판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20)에 의해 생성된 간섭음은 제1 플레이트(112)의 개구부(112a)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스피커 하우징(111) 내부에 복수의 스피커 유닛(120)이 수납되는 경우, 스피커 하우징(111)은 각 스피커 유닛(120)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부(112a)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음점 방향으로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1 스피커 유닛 및 스피커 하우징(111)의 상부로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2 스피커 유닛을 수납하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경우, 수음점과 마주보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플레이트 및 상부로 향하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플레이트에 각각 제1 및 제2 스피커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들에는 제1 스피커 유닛 및 제2 스피커 유닛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하우징(111)은 나무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20)은 스피커 하우징(111) 중 개구부(112a)가 형성된 플레이트(112)에 고정되고, 스피커 유닛(120)의 진동판이 개구부(112a)를 통해 노출된다. 스피커 유닛(120)은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음과 간섭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간섭음을 방사한다. 스피커 유닛(120)은 신호 처리부(150)에서 제공된 간섭신호에 기초하여 간섭음을 생성하고, 이를 방사한다. 스피커 유닛(120)은 진동판, 보이스 코일, 마그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20)로는 공지의 스피커 유닛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150)는 제1 마이크로폰(130)으로부터 전송된 소음신호 및 제2 마이크로폰(140)으로부터 전송된 에러신호에 기초하여 간섭음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간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스피커 유닛(12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150)는 제1 마이크로폰(130)으로부터 전송된 소음신호와 위상이 반대이고 주파수가 동일한 원시 간섭신호를 생성한 후, 제2 마이크로폰(140)으로부터 전송된 에러신호를 이용하여 원시 간섭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간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신호 처리부(150)는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130, 140)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소음신호 및 에러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151)와 증폭된 소음신호 및 에러신호를 기초로 하여 간섭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153: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110)는 신호 처리부(150)가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10) 및 지지플레이트(10)와 스피커 하우징(111)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스피커 하우징(111)에 가해진 외부 진동을 완충하여 지지플레이트(10)에 전달하는 완충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를 지지플레이트(10)에 체결한 후 지지플레이트(10)를 스피커 하우징(111)에 고정시키는 경우, 소음 제어 장치(100)의 조립 공정 및 보수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플레이트(10)는 스피커 하우징(111)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들 중 소음원과 마주보는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소음원과 마주보는 플레이트는 스피커 장치(110)의 수리를 위해 임의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20)는 외부 진동에 의해 신호 처리부(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완충부재(20)로는 고무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은 실내 공간(30)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 공간(30)은 천장(32), 측벽(34) 및 바닥(36)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은 층간 소음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천장(32)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은 상기 천장(32)의 중앙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은 외부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30)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음신호를 신호처리부(15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마이크로폰(130)은 소음원에서 발생된 소음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인 소음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150)에 전송한다. 제1 마이크로폰(130)으로는 공지의 마이크로폰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1 마이크로폰(130)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마이크로폰(140)은 스피커 장치(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스피커 장치(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마이크로폰(140)은 스피커 유닛(1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스피커 하우징(111)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지지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폰(140)은 스피커 하우징(111)의 개구부(112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폰(140)은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스피커 유닛(120)으로부터 방사된 간섭음에 의해 간섭된 후의 잔류소음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이크로폰(140)은 잔류소음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에러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폰(140)으로는 공지의 마이크로폰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제1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음제어장치(100)는 제2 마이크로폰(140)을 스피커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60)는 가이드부(211, 213, 215) 및 체결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1, 213, 215)는 제2 마이크로폰(140)과 신호 처리부(150)를 연결하는 배선 중 스피커 하우징(111)의 외부로 인출된 배선을 제2 마이크로폰(140)으로 가이드하고, 제2 마이크로폰(140)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217)는 제1 고정부재(210)를 스피커 하우징(111)에 체결한다.
가이드부(211, 213, 215)는 체결부(217)를 통하여 스피커 하우징(111)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부(211), 제1 가이드부(211)에 체결되는 제2 가이드부(213) 및 제2 가이드부(213)에 체결되는 제3 가이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1)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일면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마이크로폰(140)과 신호 처리부(150)를 연결하는 배선을 가이드하는 내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1)에는 스피커 하우징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체결부(217)는 제1 가이드부(21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스피커 하우징의 대향하는 두면에 각각 체결되어 제1 고정부재(210)를 스피커 하우징(1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217)는 제1 가이드(211)부로부터 돌출되어 스피커 하우징(111)의 일면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217a) 및 제1 가이드부(211)로부터 돌출되어 스피커 하우징(111)의 타면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2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결부(217a, 217b)는 나사 및 볼트 등을 통하여 스피커 하우징(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체결부(2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1 고정부재(210)를 스피커 하우징(111)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체결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13)는 제1 가이드부(211)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부분(213a) 및 제1 부분(213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가이드부(213)를 구성하는 제1 부분(213a)과 제2 부분(213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13a, 213b)에는 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1)와 결합하는 제1 부분(213a)의 내부홀은 외부로 개구될 수 있다. 외부로 개구된 제1 부분(213a)의 내부홀에는 제1 가이드부(21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61)의 일단부를 수용한 제2 가이드부(213)는 제2 마이크로폰(140)과 스피커 유닛(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가이드부(211)가 제2 가이드부(213)의 내부홀에 삽입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제2 가이드부(213)가 제1 가이드부(211)의 내부홀에 삽입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을 통하여 제1 가이드부(211)와 제2 가이드부(213)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부분(213b)은 제1 부분(213a)의 일 단부로부터 제2 방향에 수평한 양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부분(213b)에 형성된 내부 홀은 제1 부분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213b)의 하면에는 내부 홀을 외부로 개구시키고, 배선을 인출시킬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213b)의 가이드홈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215)는 제2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2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215)는 제2 가이드부(213)의 가이드홈을 통해 인출된 배선을 제2 마이크로폰(140)으로 가이드하는 내부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가이드부(215)는 제2 가이드부(213)의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213)에 결합된 제3 부분(215a) 및 지면에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부분(215a)에 결합된 제4 부분(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215a)의 내부 홀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고, 제4 부분(215b)은 제3 부분(215a)의 개구된 내부홀로 삽입되어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부분(215b)의 개구된 내부홀에 제3 부분(215a)이 삽입되도록 제3 및 제4 부분(215a, 215b)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제4 부분(215b)이 제3 부분(215a)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제4 부분(215b)의 노출된 단부에는 제2 마이크로폰(140)이 결합될 수 있다. 제4 부분(215b)은 제2 마이크로폰(140)이 스피커 유닛(120)을 바라보도록 중간 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를 이용하여 제2 마이크로폰(140)을 스피커 하우징(111)에 고정하는 경우, 제2 가이드부(213)는 제1 가이드부(211)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3 가이드부(215)는 제2 가이드부(213)에 대해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부(215)의 제4 부분(215b)은 제3 가이드부(215)의 제3 부분(215a)에 대해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제어 장치를 설치한 후라도 소음원의 이동, 외부 환경의 변화 등을 이유로 제2 마이크로폰(14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용이하게 제2 마이크로폰(1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 이동 유닛과 상기 스피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소음 제어 장치(100)는 제1 이동 부재(160), 제2 이동 부재(170) 및 제3 이동 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제1 이동 부재(160)는 천장(30)의 각 모서리와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이 설치된 지점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장치(110)는 제1 이동 부재(160)를 따라 상기 각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과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상기 각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제1 이동 부재(160)는 레일(162) 및 이동 고리(164)를 포함하고, 스피커 장치(110)의 스피커 하우징(111)은 연결 고리(111a)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62)은 상기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마이크로폰(130)이 설치된 지점까지 연장된다. 이동 고리(164)는 레일(16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연결 고리(111a)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상면에 구비된다. 이동 고리(164)와 연결 고리(111a)의 결합에 따라 스피커 장치(130)가 이동 고리(164)에 고정되며, 이동 고리(164)의 이동에 따라 스피커 장치(130)도 레일(1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 부재(160)를 이용하여 스피커 장치(110)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170)는 천장(32)의 각 변들을 따라 설치된다. 즉, 제2 이동 부재(170)는 천장(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스피커 장치(130)은 제2 이동 부재(170)를 이용하여 천장(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이동 부재(180)는 천장(32)과 만나는 측벽들(34)의 각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다. 스피커 장치(130)는 제3 이동 부재(18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장치(130)가 이동함에 따라 스피커 장치(130)에 고정되는 제2 마이크로폰(140)도 스피커 장치(130)와 함께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160), 제2 이동 부재(170) 및 제3 이동 부재(180)를 이용하여 스피커 장치(130) 및 제2 마이크로폰(1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소음 제어 장치(100)를 설치한 후라도 스피커 유닛(120)가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커(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간섭음을 방사하는 스피커 유닛(120)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는데, 스피커 유닛(120)의 최적 위치는 소음원의 위치와 수음점의 위치 및 기타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소음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환경적인 요인이 변경되는 것에 맞추어 스피커 장치(110)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수음점에 도달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피커 장치는 이동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레일이 실내공간의 측벽에 설치된 구조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피커 장치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스피커 장치를 이동부재에 결합하거나 실내 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스피커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음 제어 장치(100)는 스피커 장치(110)를 이동부재에 결합하거나 실내 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스피커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고정부재(220)는 고정대상물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221), 제1 고정부(221)에 체결되는 제2 고정부(223) 및 제2 고정부(223)에 체결되는 제3 고정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21)는 상기 이동부재, 실내 공간의 천정 또는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2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부로 개구된 내부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21)가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되는 경우, 스피커 고정부재(220)는 이동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23)는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제1 고정부(221)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223)는 제1 고정부(221)에 체결된 제1 부분(223a), 제1 부분(223a)에 결합된 제2 부분(223b) 및 제2 부분(223b)에 결합된 제3 부분(2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부분(223a, 223b, 223c)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23a)은 제1 고정부(221)의 내부홀에 삽입되어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221)에 체결된다. 제1 부분(223a)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부분(223b)은 제1 부분(223a)의 일단부와 결합한다. 제2 부분(223b)은 제1 방향에 수직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 부분(223a)은 제2 부분(223b)의 중앙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223b)은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 및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에 따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223b)의 길이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부분(223c)은 제2 부분(223b)의 제2 방향에 따른 양쪽 단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3 부분(223c)은 제2 부분(223b)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223b)과 제3 부분(223c)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는 제2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고정부(223)의 제3 부분(223c)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결합부(227)를 통하여 제2 고정부(22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직사각형 플레이트로서 제2 고정부의 제1 부분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제4 부분(225b) 및 제2 방향에 따른 제4 부분(225b)의 양쪽 단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5 부분(22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부분(225b)은 제2 고정부(223)의 제3 부분(223c)인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제5 부분(225a)은 제2 고정부(223)의 제3 부분(223c)인 2개의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되고, 이들에 평행한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의 제4 부분(225b) 및 제5 부분(225a)은 단면이 "ㄷ"형상을 이루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의 일부는 제2 고정부(223)의 "ㄷ"자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25)의 제5 부분(225a)을 이루는 2개의 플레이트는 스피커 하우징(111)의 대향하는 2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 고정부재(220)를 이용하여 스피커 장치(110)를 고정 대상물에 결합하는 경우, 제2 고정부(223)는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3 고정부(225)는 제2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 유닛(120)이 간섭음을 방사하는 방향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소음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피커 장치(110)는 측벽(14)에 설치된 창문(38)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는 천정에 설치된 제1 스피커 장치 및 바닥에 설치된 제2 스피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 장치는 하부 방향으로 간섭음을 방사하고, 제2 스피커 장치는 상부 방향으로 간섭음을 방사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는 창문(38)과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피커 장치(110)는 창문(38)과 가까워지거나 창문(38)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외부 소음에 대응하는 소음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에 전송하는 제1 마이크로폰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고정부재를 통하여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30)는 제1 고정부(231), 제2 고정부(232) 및 제3 고정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부(231, 232, 233)는 제1 마이크로폰(140)과 신호 처리부(150)를 연결하는 배선을 가이드하는 내부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30)는 제1 마이크로폰(130)을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한다.
제1 고정부(231)는 천정 또는 측벽에 결합된다. 제1 고정부(231)는 지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32)는 제1 고정부(231)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부분(232a) 및 제1 부분(232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2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고정부(232)를 구성하는 제1 부분(232a)과 제2 부분(232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32a, 232b)에는 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내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31)와 결합하는 제1 부분(232a)의 내부홀은 외부로 개구될 수 있다. 외부로 개구된 제1 부분(232a)의 내부홀에는 제1 고정부(23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31)의 일단부를 수용한 제2 고정부(232)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고정부(231)가 제2 고정부(232)의 내부홀에 삽입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제2 고정부(232)가 제1 고정부(231)의 내부홀에 삽입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을 통하여 제1 고정부(231)와 제2 고정부(23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부분(232b)은 제1 부분(232a)의 일 단부로부터 제2 방향에 수평한 양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부분(232b)에 형성된 내부 홀은 제1 부분(232a)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232b)의 측면에는 내부 홀을 외부로 개구시키고, 배선을 인출시킬 수 있는 가이드홈(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232b)의 가이드홈(A)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33)는 제2 고정부의 가이드홈(A)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2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233)는 제2 고정부(232)의 가이드홈(A)을 통해 인출된 배선을 제1 마이크로폰(130)으로 가이드하는 내부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고정부(233)는 제2 고정부(232)의 가이드홈(A)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232)에 결합된 제3 부분(233a) 및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부분(233a)에 결합된 제4 부분(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233a)의 내부홀은 외부로 개구될 수 있고, 제4 부분(233b)은 제3 부분(233a)의 개구된 내부홀로 삽입되어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부분(233b)의 개구된 내부홀에 제3 부분(233a)이 삽입되도록 제3 및 제4 부분(233a, 233b)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제4 부분(233b)이 제3 부분(233a)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제4 부분(233b)의 노출된 단부에는 제1 마이크로폰(1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30)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로폰(140)을 천정 또는 측벽에 고정하는 경우, 제2 고정부(232)는 제1 고정부(231)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3 고정부(233)는 제2 고정부(232)에 대해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고정부(233)의 제4 부분(233b)은 제3 고정부(233)의 제3 부분(233a)에 대해 제3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제어 장치를 설치한 후라도 소음원의 이동, 외부 환경의 변화 등을 이유로 제1 마이크로폰(13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용이하게 제1 마이크로폰(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피커 장치(110)는 측벽(14)에 설치된 이중 창문(3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장치(110)는 천정에 설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1 스피커 장치(110) 및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 방향을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2 스피커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는 이중 창문(38)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10)는 이중 창문(38)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환경적인 요인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스피커 장치(1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음점에 도달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피커 장치(110)는 실내 공간(30)과 실외 사이에 위치하는 베란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장치(110)는 천정에 설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1 스피커 장치(110) 및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 방향을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2 스피커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10)는 실내 공간과 실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10)는 베란다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원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환경적인 요인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스피커 장치(1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수음점에 도달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장치(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로는 레일, LM가이드 등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므로, 이동 부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진동 스피커 장치는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지만,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소음제어장치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 스피커 장치(190)는 진동 센서(192), 진동 신호 처리부(194) 및 진동 스피커(196)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스피커(196)는 필름 형태의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센서(192)는 실내 공간(3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진동 센서(192)는 천장(32) 또는 측벽(34)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센서(192)는 진동 스피커(196)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진동 센서(192)는 천정이나 측벽을 통해 진행하는 진동을 수집하여 진동 신호 처리부(194)로 전달한다. 즉, 진동 센서(192)는 진동 소음원에서 발생된 진동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인 진동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신호 처리부(194)에 전송할 수 있다. 진동 센서(192)로는 공지의 진동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신호 처리부(194)는 진동 센서(192)로부터 전송된 진동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간섭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진동 스피커(196)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진동 신호 처리부(194)는 진동 센서(192)로부터 전송된 진동신호와 위상이 반대이고 주파수가 동일한 원시 간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96)는 천장(32), 측벽(34), 또는 바닥(3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196)는 진동 신호 처리부(194)에서 제공된 간섭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을 생성한다. 진동 스피커(196)는 전기적 에너지를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필름 및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소재로는 이소불화비닐(Poly Vinylidene Fluoride : PVDF)이 사용될 수 있다. 진동 스피커(196)로는 공지의 진동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스피커 장치는 가정에 설치된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음 제어를 위한 스피커 장치를 가정용 오디오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소음 제어 장치(100)는 스피커 장치(110)을 실내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 장치(110)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1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실내 공간의 소음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제어 장치(110)는 진동 스피커 장치(190)을 이용하여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110)는 진동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는 스피커 장치를 실내 공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 장치가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피커 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음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는 외부 진동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소음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정숙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실내 소음 제어 장치 110 : 스피커 장치
111 : 하우징 120 : 스피커
130 : 제1 마이크로폰 140 : 제2 마이크로폰
150 : 신호 처리부 160 : 제1 이동 부재
170 : 제2 이동 부재 180 : 제3 이동 부재
190 : 진동 스피커 장치

Claims (9)

  1. 실내 공간의 천장 중앙 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과 연결되어 상기 소음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상기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간섭 신호에 따른 간섭음을 상기 실내 공간으로 방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천장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스피커 장치; 및
    상기 천장의 각 모서리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각 모서리와 상기 마이크로폰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간섭음이 방사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간섭음에 의해 간섭된 잔류 소음을 감지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에러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잔류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보상한 제2 간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2 간섭 신호에 따른 제2 간섭음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각 변들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각 변들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천장과 만나는 측벽들의 각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 장치를 상기 측벽들의 각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모서리의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스피커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까지 연장된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고리에 매달리는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7.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지하여 소음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과 연결되어 상기 소음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실내 공간에 상기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간섭 신호에 따른 간섭음을 상기 실내 공간으로 방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 및
    상기 실내 공간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소음에 의한 상기 측벽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상기 진동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한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진동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간섭 신호를 통해 상기 진동을 상쇄시키는 간섭 진동을 발생시키는 필름 진동 스피커를 갖는 진동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설치된 창문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에 설치된 이중창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소음 제어 장치.
KR1020110037009A 2011-04-20 2011-04-20 실내 소음 제어 장치 KR10127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09A KR101270358B1 (ko) 2011-04-20 2011-04-20 실내 소음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09A KR101270358B1 (ko) 2011-04-20 2011-04-20 실내 소음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97A KR20120119197A (ko) 2012-10-30
KR101270358B1 true KR101270358B1 (ko) 2013-05-31

Family

ID=4728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009A KR101270358B1 (ko) 2011-04-20 2011-04-20 실내 소음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961A (ko) 2016-08-23 2016-09-02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60106031A (ko) 2016-08-30 2016-09-09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60107143A (ko) 2016-09-02 2016-09-13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WO2021206347A1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6B1 (ko) * 2013-09-17 2014-03-12 온시스텍 주식회사 실시간 층간소음 제거 시스템
KR101583144B1 (ko) * 2014-07-14 2016-01-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2298750B1 (ko) * 2019-10-30 2021-09-07 (주) 번영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KR102292751B1 (ko) * 2020-04-03 2021-09-30 반석공조시스템(주) 공조용 소음기
KR102228970B1 (ko) * 2020-11-12 2021-03-17 성창화 유리에 결합되어 외부 소음을 제어하는 소음제어장치
KR20230135317A (ko) 2022-03-16 2023-09-25 주식회사 원일아이씨티 실시간 층간소음 억제 시스템
CN115334439B (zh) * 2022-08-11 2024-05-31 歌尔股份有限公司 校准线的安装结构和扬声器的测试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885A (ja) * 2006-03-08 2007-09-2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騒音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885A (ja) * 2006-03-08 2007-09-2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騒音低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961A (ko) 2016-08-23 2016-09-02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60106031A (ko) 2016-08-30 2016-09-09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KR20160107143A (ko) 2016-09-02 2016-09-13 장선자 건물 층간 소음.진동 배출 시스템
WO2021206347A1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197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58B1 (ko) 실내 소음 제어 장치
US7854295B2 (e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US9992576B2 (en) Speaker including damper having deformation prevention member
WO2011052088A1 (ja) 騒音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搭載したファン構造体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081124A (ja) インターホン装置用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5104764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5738535B2 (ja) 振動発電システム
TWI695128B (zh) 主動慣性阻尼器系統及方法
KR101756335B1 (ko)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 제어 장치
KR102044022B1 (ko) 건축물용 흡음판
KR100948227B1 (ko) 평판형 스피커
KR101175930B1 (ko) 능동방음벽
JP4059272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KR101710861B1 (ko) 막대자석을 구비하는 투웨이 스피커
CN202677825U (zh) 多通道有源噪声控制系统
JP2011107272A (ja) 消音装置
JP5372529B2 (ja) 防音箱
KR20130019958A (ko) 소음 저감 장치
JP4086743B2 (ja) 騒音制御装置
CN104457970A (zh) 一种宽频带测量用半消声箱
US20220277723A1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method
JP2009145740A (ja) 吸音体、吸音体群及び音響室
JP3819891B2 (ja) 遮音構造体、遮音装置、及び遮音方法
JP6618240B2 (ja) 騒音低減装置
JP2013029137A (ja) 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