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022B1 - 건축물용 흡음판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흡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022B1
KR102044022B1 KR1020190063486A KR20190063486A KR102044022B1 KR 102044022 B1 KR102044022 B1 KR 102044022B1 KR 1020190063486 A KR1020190063486 A KR 1020190063486A KR 20190063486 A KR20190063486 A KR 20190063486A KR 102044022 B1 KR102044022 B1 KR 10204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und absorbing
groove
sound absorp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엽
Original Assignee
에이스임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임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임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wooden surfaces, leather, or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흡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측 케이스 부재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가 맞닿는 케이스 결합부의 일 측에는 끼움 결합홈이 타 측에는 끼움 결합돌기가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에는 위치 고정홈이 구비된 흡음 장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은 흡음 장착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홈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과 지지봉 지지홈이 형성되는 중앙 흡음재; 상기 중앙 흡음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양측 외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면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홈과 측면 지지홈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곡면 홈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실링 홈이 형성되는 중앙부재와 상기 중앙부재의 실링 홈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측면 흡음재; 및 상기 케이스의 지지봉 지지홈과 측면 흡음재의 측면 지지홈 및 상기 측면 흡음재의 측면 지지홈과 케이스의 지지봉 지지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흡음판{Sound-absorbing panels for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용 흡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 벽체 내부에 설치되어 방음 및 방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흡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및 주택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바닥층 및 측벽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수반되어 안락한 주거환경을 바라는 욕구의 증대와 각종 소음원의 급격한 증가에 기인하여 특히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외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물론 윗층이나 옆방에서 발생된 소음이 자신의 실내공간으로 전해지는 것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기 시공된 벽체의 외면에 방음용 판넬이나 흡음판을 부착하여 실내에서 발생된 소음이 옆방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방음벽체 구조가 시공되고 있다.
일예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79261호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중 천정이나 측벽면상에 요철곡면을 갖는 흡음판을 부착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흡음판 부착방식에 의한 방음벽체 구조의 경우 흡음판이 설치된 실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은 흡음판에 의해서 어느 정도 감쇄가 이루어지긴 하나 기 시공된 벽체에 별도의 작업을 통해서 흡음판을 부착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문제점과 흡음판의 노출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점을 비롯한 소음흡수 효과의 한계성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그 밖에 종래의 대부분의 방음벽체 구조는 상기 흡음판 부착방식과 유사하게 기 시공된 실내벽에 방음판넬을 덧대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서 앞서 지적된 흡음판 부착방식에서 노출되는 거의 그대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792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 시공단계에서 벽체의 내부에 매입되어 소음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건축물용 흡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스와 중앙 흡음재 및 측면 흡음재의 복수의 구조를 통해 방음 및 방진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건축물용 흡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용 흡음판에 있어, 좌우측 케이스 부재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가 맞닿는 케이스 결합부의 일 측에는 끼움 결합홈이 타 측에는 끼움 결합돌기가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에는 위치 고정홈이 구비된 흡음 장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은 흡음 장착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홈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과 지지봉 지지홈이 형성되는 중앙 흡음재; 상기 중앙 흡음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양측 외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면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홈과 측면 지지홈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곡면 홈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실링 홈이 형성되는 중앙부재와 상기 중앙부재의 실링 홈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마감부재로 구성되는 측면 흡음재; 및 상기 케이스의 지지봉 지지홈과 측면 흡음재의 측면 지지홈 및 상기 측면 흡음재의 측면 지지홈과 케이스의 지지봉 지지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소음완충부재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가 외면으로 배치시 외면에는 인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쇄부는 포토샵 또는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판의 외면에 도포할 색상 형성하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색상 파일 생성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파일 전송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색상 파일에 대한 인쇄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인쇄기 판단단계; 상기 인쇄기 판단단계를 거친 색상 값을 바탕으로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판에 도료하는 인쇄 실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은 건축물의 벽체 시공단계에서 벽체의 내부에 매입되어 소음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구조로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은 케이스와 중앙 흡음재 및 측면 흡음재의 복수의 구조를 통해 방음 및 방진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중앙 흡음재와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측면 흡음재와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측면 흡음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인쇄부의 형성단계를 나타낸 순차도 및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중앙 흡음재와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흡음판을 구성하는 측면 흡음재와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물용 흡음판(100)은 케이스(200), 중앙 흡음재(300), 측면 흡음재(400), 지지봉(5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연속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케이스(200)는 원활한 결합을 위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는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3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통공(240)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지지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가 맞닿는 케이스 결합부(260)의 일 측에는 끼움 결합홈(262)이 타 측에는 끼움 결합돌기(264)가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에는 위치 고정홈(272)이 구비된 흡음 장착부(27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200)는 연통공(240), 지지봉 지지홈(250), 케이스 결합부(260), 흡입 장착부(270)가 형성되는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를 각각 형성한 후,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를 결합하여 내부에 장착공간(230)을 형성한 다음, 상기 장착공간(230)에 중앙 흡음재(300)와 측면 흡음재(400)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는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230)과 연통공(240)을 통해 건축물로 전달되는 방음 및 방진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물용 흡음판(100)은 케이스(200)의 외면으로 인쇄부(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축물용 흡음판(100)은 케이스(200)가 건축물의 외면으로 배치시 미관 향상을 위하여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의 외면으로 인쇄부(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부(700)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 파일 전송 단계(S720), 인쇄기 판단단계(S730), 인쇄 실행단계(S740)를 포함한다.
상기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는 포토샵 또는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의 외면에 도포할 색상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는 컴퓨터에 설치된 포토샵 또는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에 인쇄할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을 조합하여 원하는 색상 파일 혹은 이미지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에서 조합될 색상은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된다.
상기 파일 전송 단계(S720)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를 통해 얻어진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파일 전송 단계(S720)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를 통해 얻어진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공지된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토샵 또는 일러스트 프로그램이 제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파일 전송 단계(S720)가 제외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인쇄기 판단단계(S730)는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색상 파일에 대한 인쇄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인쇄기 판단단계(S730)는 제어부로 전송된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 색상 값을 공지된 인쇄기가 정확하게 인식하여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에 입력된 색상 값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인쇄기 인식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비교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기 인식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인쇄기가 인식하지 못한 값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로 전송된 후 상기 파일 생성 단계(S710), 파일 전송 단계(S720)를 연속해서 거치면서 상기 인쇄기가 인식하는 색상 값을 얻게 된다.
상기 인쇄 실행단계(S740)는 인쇄기 판단단계(S730)를 거친 색상 값을 바탕으로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에 도료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인쇄 실행단계(S740)는 제어부의 인쇄기 인식 프로그램에 전송된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 색상 값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색상 값을 파일명으로 변환한 다음, 인쇄기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인쇄기 고정판을 구성하는 흡착판의 상부에 위치한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의 상부에 설정된 사양(인식된 색상 값)에 대응하는 UV 도료를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합판에 인쇄(도포)하여 결과물인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상하부 끝단으로 흡음 장착부(270)에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홈(272)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 고정돌기(3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320)과 지지봉 지지홈(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케이스(2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끝단에 위치 고정돌기(310)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320)과 지지봉 지지홈(330)을 형성하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연통공(240)을 통해 장착공간(230)으로 전달되는 소리와 진동을 중앙 관통공(320)과 상기 중앙 흡음재(300) 및 측면 흡음재(4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방음 및 방진하게 된다.
상기 측면 흡음재(400)는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에 삽입되면서 중앙 흡음재(30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즉, 상기 측면 흡음재(400)는 중앙 흡음재(30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건축물을 방음 및 방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흡음재(400)는 양측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측면 지지홈(42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홈(422)과 측면 지지홈(422)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곡면 홈(424)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실링 홈(426)이 형성되는 중앙부재(420)와 상기 중앙부재(420)의 실링 홈(426)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마감부재(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면 흡음재(400)는 케이스(200)와 중앙 흡음재(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에 유입되는 소리와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흡음재(400)는 케이스(200)와 중앙 흡음재(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곡면 형상의 곡면 홈(424) 등을 통해 방음과 방진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 흡읍재(400)의 측면 지지홈(422)은 케이스(200)의 지지봉 지지홈(250)과 중앙 흡음재(300)의 지지봉 지지홈(330)과 동일선상에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지지봉(500)은 소정의 지름(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00)은 상기 케이스(200)의 지지봉 지지홈(250)과 측면 흡음재(400)의 측면 지지홈(424) 및 상기 측면 흡음재(400)의 측면 지지홈(424)과 케이스(200)의 지지봉 지지홈(250)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500)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20)이 형성되는 소음완충부재(6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봉(500)의 외면에 관통공(620)이 형성되는 소음완충부재(600)를 장착하여, 건축물로 이동중인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용 흡음판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3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통공(240)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지지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가 맞닿는 케이스 결합부(260)의 일 측에는 끼움 결합홈(262)이 타 측에는 끼움 결합돌기(264)가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에는 위치 고정홈(272)이 구비된 흡음 장착부(270)가 형성되는 케이스(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상하부 끝단으로 흡음 장착부(270)에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홈(272)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 고정돌기(3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320)과 지지봉 지지홈(330)이 형성되는 중앙 흡음재(3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흡음재(300)의 양측으로 양측 외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면 지지홈(42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홈(422)과 측면 지지홈(422)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곡면 홈(424)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실링 홈(426)이 형성되는 중앙부재(420)와 상기 중앙부재(420)의 실링 홈(426)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마감부재(440)로 구성되는 측면 흡음재(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흡음재(300)의 지지봉 지지홈(330)과 측면 흡음재(400)의 측면 지지홈(442)의 사이에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봉(500)을 각각 끼움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좌측 케이스 부재(210)와 우측 케이스 부재(220)를 분리한 후, 상기 중앙 흡음재(300)와 측면 흡음재(400)가 결합된 구성을 상기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 지지홈(250)과 측면 지지홈(422)에 지지봉(500)을 각각 장착한 다음, 상기 좌측 케이스 부재(210)와 우측 케이스 부재(220)를 결합하면, 건축물용 흡음판(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중앙 흡음재(300)는 위치 고정돌기(310)를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의 케이스 결합부(260)에 맞춘 후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용 흡음판(10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건축물용 흡음판(100)은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 및 좌우 연속장착되어, 건축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축물용 흡음판 200 : 케이스
210 : 좌측 케이스 부재 220 : 우측 케이스 부재
230 : 장착공간 240 : 연통공
250 : 지지봉 지지홈 260 : 케이스 결합부
262 : 끼움 결합홈 264 : 끼움 결합돌기
270 : 흡음 장착부 272 : 위치 고정홈
300 : 중앙 흡음재 310 : 위치 고정돌기
320 : 중앙 관통공 330 : 지지봉 지지홈
400 : 측면 흡음재 420 : 중앙부재
422 : 측면 지지홈 424 : 곡면 홈
426 : 실링 홈 440 : 밀착마감부재
500 : 지지봉 600 : 소음완충부재
620 : 관통공 700 : 인쇄부

Claims (3)

  1. 건축물용 흡음판에 있어서,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로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30)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통공(240)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봉 지지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케이스 부재(210, 220)가 맞닿는 케이스 결합부(260)의 일 측에는 끼움 결합홈(262)이 타 측에는 끼움 결합돌기(264)가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에는 위치 고정홈(272)이 구비된 흡음 장착부(270)가 형성되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의 장착공간(230)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은 흡음 장착부(270)에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홈(272)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 고정돌기(3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중앙 관통공(320)과 지지봉 지지홈(330)이 형성되는 중앙 흡음재(300);
    상기 중앙 흡음재(30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양측 외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면 지지홈(42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홈(422)과 측면 지지홈(422)의 사이에는 곡면 형상의 곡면 홈(424)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간격을 두고 실링 홈(426)이 형성되는 중앙부재(420)와 상기 중앙부재(420)의 실링 홈(426)에 각각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마감부재(440)로 구성되는 측면 흡음재(400); 및
    상기 케이스(200)의 지지봉 지지홈(250)과 측면 흡음재(400)의 측면 지지홈(424) 및 상기 측면 흡음재(400)의 측면 지지홈(424)과 케이스(200)의 지지봉 지지홈(250)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봉(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흡음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500)의 외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20)이 형성되는 소음완충부재(60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흡음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가 외면으로 배치시 외면에는 인쇄부(700)가 형성되고,
    상기 인쇄부(700)는,
    포토샵 또는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판의 외면에 도포할 색상 형성하는 색상 파일 생성 단계(S710);
    상기 색상 파일 생성 단계를 통해 얻어진 색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파일 전송 단계(S720);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색상 파일에 대한 인쇄기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인쇄기 판단단계(S730);
    상기 인쇄기 판단단계(S730)를 거친 색상 값을 바탕으로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판에 도료하는 인쇄 실행단계(S7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흡음판.
KR1020190063486A 2019-05-29 2019-05-29 건축물용 흡음판 KR10204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86A KR102044022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용 흡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86A KR102044022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용 흡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022B1 true KR102044022B1 (ko) 2019-11-12

Family

ID=6857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86A KR102044022B1 (ko) 2019-05-29 2019-05-29 건축물용 흡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91A (ko) * 2021-05-18 2022-11-25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230037313A (ko) * 2021-09-09 2023-03-16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230043446A (ko) * 2021-09-24 2023-03-31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79B1 (ko) * 2010-06-28 2010-10-20 이용숙 동공 및 흡음막을 갖는 방음판
KR20160104507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방지재
KR200484453Y1 (ko) * 2016-12-09 2017-09-07 최경진 숯 분말과 돌가루가 포함된 차음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79B1 (ko) * 2010-06-28 2010-10-20 이용숙 동공 및 흡음막을 갖는 방음판
KR20160104507A (ko) * 2015-02-26 2016-09-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방지재
KR200484453Y1 (ko) * 2016-12-09 2017-09-07 최경진 숯 분말과 돌가루가 포함된 차음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91A (ko) * 2021-05-18 2022-11-25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2546126B1 (ko) * 2021-05-18 2023-06-22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KR20230037313A (ko) * 2021-09-09 2023-03-16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02557475B1 (ko) * 2021-09-09 2023-07-18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230043446A (ko) * 2021-09-24 2023-03-31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2557476B1 (ko) * 2021-09-24 2023-07-18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022B1 (ko) 건축물용 흡음판
US6715241B2 (en) Lightweight sound-deadening board
CN204645336U (zh) 一种挂接插接式铝板幕墙
KR102412980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진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Field Acoustic design in green buildings
CN207739508U (zh) 一种线路集成式内隔墙
KR20190041835A (ko) 가변 타입의 벽체
WO2013005927A2 (ko) 흡음형 복층 유리
CN213038635U (zh) 一种分装式墙体
KR20210047101A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20050024504A (ko)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102560587B1 (ko) 천장용 마감몰딩
JP3909938B2 (ja) 床衝撃音低減構造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KR101250680B1 (ko) 건식욕실건조방법
JP5225757B2 (ja) 間仕切り構造
KR20160109653A (ko)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CN207499213U (zh) 一种扣接式内隔墙
CN211690983U (zh) 楼层板框架及楼层板结构
KR102542298B1 (ko) 준불연 타공 흡음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0033B1 (ko) 복사난방패널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판넬
CN211597249U (zh) 一种隔音的grc幕墙体结构
CN220451164U (zh) 一种插接式保温石膏外墙
CN218091780U (zh) 一种房屋建筑用装饰板固定机构
CN213569012U (zh) 一种观光电梯轿厢布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