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916B1 -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916B1
KR101269916B1 KR1020110021669A KR20110021669A KR101269916B1 KR 101269916 B1 KR101269916 B1 KR 101269916B1 KR 1020110021669 A KR1020110021669 A KR 1020110021669A KR 20110021669 A KR20110021669 A KR 20110021669A KR 101269916 B1 KR101269916 B1 KR 10126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pipe
pump
ri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366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트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트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트크린
Priority to KR102011002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9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에서 배수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의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배수펌프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배출관의 공기관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차단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와 헹굼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본체(10)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중앙에는 세척수탱크(11)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우측에는 수도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온수탱크(12)와, 상기 세척수탱크(11)와 연결관(16)으로 연결된 세척모터(14)의 펌프(15)와, 상기 펌프(15)와 연결관(17)으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관(22)을 통해 공급 분사하도록 중앙 상,하부에 세척노즐(20,21)과, 상기 세척수탱크(11)의 하측에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31)이 연결된 배수펌프(30)와, 상기 배수펌프(3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관(32)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본체(10)의 후방 상측 외부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40)과, 상기 온수탱크(12)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펌프(24)와, 상기 헹굼수펌프(24)와 공급관(25)으로 연결되어 좌측 상,하부에 헹굼노즐(26,27)이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30)의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는 공기관(4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공기관(41)의 상측은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의 기준선(50)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형상으로 상측 내부에 일부분이 절반 분리되게 분리막(40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40a)은 배수펌프(30)측은 막고 배출부측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wash water and rinse water drainage device for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에서 배수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의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배수펌프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배출관의 공기관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차단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통상 개수대(또는 '애벌조'라고 하기도 하고 '불림조'라고 하기도 함)와 세척조, 헹굼조로 이루어지며, 개수대에 닦고자 하는 식기를 먼저 담가 불린 뒤 세척조로 이송시키면 세척조에서는 1종 또는 3종 세척제를 첨가 혼합한 물로 식기를 세척한 뒤, 세척된 식기를 다시 온수로 헹굼 세척한 다음 헹굼조로 이송시켜 2차 헹굼하게 된다.
즉, 통상의 세척조 구성을 살펴보면, 상측 내부 상하 각각에 세척노즐과 헹굼노즐이 장착되고, 하측에는 내부에 세척수가 항상 일정수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착탈식 수위관이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에 세척수를 순환 펌핑시키는 순환펌프가 장착된 세척수조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조 옆에 온수를 가열 공급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와 온수 공급펌프가 장착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수대에서 1차적으로 담금 세척된 식기를 랙에 정리하여 세척조로 이송시킨 뒤 다시 세척하게 되며, 이때 세척수조에 들어있던 세척수가 펌프에 의해 재순환되면서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척한 뒤에는 헹굼탱크와 연결된 펌프를 작동시켜 헹굼탱크의 온수를 헹굼노즐을 통하여 세척된 식기를 헹구게 되며, 이때 공급 분사된 헹굼수는 세척수조로 유입되어 수위관을 통하여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업소용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개수대의 역할은 사용한 식기를 세제가 용해된 물에 담가 불림과 동시에 애벌세척을 하게 하는 것으로서, 통상 식기 세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액상 또는 분말로 된 3종 세제를 첨가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분말 또는 액상으로 된 세제는 특성상 찬물보다는 따뜻한 물에 잘 풀어지게 되는데, 통상 개수대에는 온수를 사용하기 보다는 상온의 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더불어 식기를 담가 불리는 작업을 비롯하여 세척작업을 연속적으로 하다 보면 자연적으로 개수대에 들어있는 세척수의 세제농도가 엷어지게 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세제 공급도 해주어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구성의 세척조에서는 식기를 헹굼후 헹굼수를 배수펌프에 의해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세척조 보다 하부에 설치된 배수펌프를 정지시켜도 배수관을 통하여 세척수 또는 헹궁수가 자동으로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출원인은 식기세척기의 배출관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배수펌프를 정지시키면 배출관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관의 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배출관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별도의 오버 플로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배출관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배수펌프를 정지시키면 배출관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관의 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척수와 헹굼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본체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의 중앙에는 세척수탱크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의 우측에는 수도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세척수탱크와 연결관으로 연결된 세척모터의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관을 통해 공급 분사하도록 중앙 상,하부에 세척노즐과, 상기 세척수탱크의 하측에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된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본체의 후방 상측 외부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펌프와, 상기 헹굼수펌프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좌측 상,하부에 헹굼노즐이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의 연결관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의 상부에는 공기관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공기관의 상측은 상기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의 기준선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형상으로 상측 내부에 일부분이 절반 분리되게 분리막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은 배수펌프 측은 막고 배출부측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배출관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의 배출관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배수펌프를 정지시키면 배출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관의 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좌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우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좌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우측면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에서 배수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의 상측에 공기관을 형성하여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의 기준선 이상으로 차오르면 공기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배수펌프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배출관의 공기관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차단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와 헹굼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본체(10)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중앙에는 세척수탱크(11)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우측에는 수도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온수탱크(12)와, 상기 세척수탱크(11)와 연결관(16)으로 연결된 세척모터(14)의 펌프(15)와, 상기 펌프(15)와 연결관(17)으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관(22)을 통해 공급 분사하도록 중앙 상,하부에 세척노즐(20,21)과, 상기 세척수탱크(11)의 하측에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31)이 연결된 배수펌프(30)와, 상기 배수펌프(3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관(32)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본체(10)의 후방 상측 외부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40)과, 상기 온수탱크(12)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펌프(24)와, 상기 헹굼수펌프(24)와 공급관(25)으로 연결되어 좌측 상,하부에 헹굼노즐(26,27)이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30)의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는 공기관(4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공기관(41)의 상측은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의 기준선(50) 상측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배출관(40)은 "∩"형상으로 상측 내부에 일부분이 절반 분리되게 분리막(40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40a)은 배수펌프(30)측은 막고 배출부측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기준선(50) 이상으로 차오르면 상기 공기관(41)을 통하여 배출관(40)의 상측 분리막(40a)의 통로를 통해 개방된 배출부측으로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배수펌프(30)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공기관(41)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의 수도관을 통하여 물이 온수탱크(12)로 들어오면 가열수단(13)에 의해 열교환부(12a)를 통해 온수탱크(12) 내부의 물을 일정온도로 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13)은 가스제어장치(13a)와 연결된 가스식 또는 전기제어장치와 연결된 전기식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는 수도관으로 공급된 물이 온수탱크(12)로 공급되며 수위감지센서(12c)가 감지하여 공급되는 물을 차단 하고 상기 가열수단(13)에 의해 온수탱크(12)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부(12a)를 가열시켜 열교환부가 가열되며 상기 열교환부(12a) 상측에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관통된 열교환파이프에 내의 물을 가열시켜 온수탱크(12)의 내부 물이 적정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적정온도는 70-80도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식기를 담아 불리며 애벌세척 하도록 된 개수대에서 식기세척기의 우측에서 식기류가 안치된 식기선반을 올려 놓고 중앙으로 이송시키면 이를 감지하여 세척세제공급펌프에 의해 세척세제용기의 세제를 공급관을 통해 세척수탱크(11) 내부로 자동 공급되게 하여 세척수에 세제를 공급하고 상기 세척수탱크(11)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모터(14)가 동작되며 펌프(15)에 의해 공급관(22)으로 연결되어 중앙 상,하부에 세척노즐(20,21)에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선반의 식기류를 세척하게 된다.
이후, 이송모터(18)에 의해 식기선반을 일정주기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식기선반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좌측의 상,하 헹굼노즐(26,27)위치에 오면 자석스위치에 의해 헹굼수펌프(24)가 동작되며 온수탱크(12)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5)을 통해 상,하부에 설치된 헹굼노즐(26,27)에 의해 분사되어 식기선반의 식기류를 헹굼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기준선(50) 이상으로 차오르면 상기 공기관(41)을 통하여 배출관(40)의 상측 분리막(40a)의 통로를 통해 개방된 배출부측으로 자동 배출되는 것이다.
이후, 세척수탱크(11)내의 세척된 물과 헹굼된 물은 배수펌프(30)를 작동시켜 배수관(31)을 통해 배수펌프(30)를 거쳐 연결관(32)과 연결된 배출관(40)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수되거나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식기를 담아 불리며 애벌세척 하도록 된 개수대로 공급하여 재활용 하게 한다.
상기 배수펌프(30)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공기관(41)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식기세척기본체 11:세척수탱크
12:온수탱크 12a:열교환부
13:가열수단 13a:가스제어장치
14:세척모터 15:펌프
16,17:연결관 18:이송모터
20,21:세척노즐 22:공급관
24:헹굼수펌프 25:공급관
26,27:헹굼노즐 30:배수펌프
31:배수관 32:연결관
40:배출관 41:공기관
40a:분리막 50:기준선

Claims (4)

  1. 세척수와 헹굼수에 의해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본체(10)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중앙에는 세척수탱크(11)와, 상기 식기세척기본체(10)의 우측에는 수도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온수탱크(12)와, 상기 세척수탱크(11)와 연결관(16)으로 연결된 세척모터(14)의 펌프(15)와, 상기 펌프(15)와 연결관(17)으로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관(22)을 통해 공급 분사하도록 중앙 상,하부에 세척노즐(20,21)과, 상기 세척수탱크(11)의 하측에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31)이 연결된 배수펌프(30)와, 상기 배수펌프(3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관(32)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본체(10)의 후방 상측 외부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40)과, 상기 온수탱크(12)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펌프(24)와, 상기 헹굼수펌프(24)와 공급관(25)으로 연결되어 좌측 상,하부에 헹굼노즐(26,27)이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30)의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는 공기관(41)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공기관(41)의 상측은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의 기준선(50)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형상으로 상측 내부에 일부분이 절반 분리되게 분리막(40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40a)은 배수펌프(30)측은 막고 배출부측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탱크(11)의 세척수와 헹굼수가 기준선(50) 이상으로 차오르면 상기 공기관(41)을 통하여 배출관(40)의 상측 분리막(40a)의 통로를 통해 개방된 배출부측으로 자동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30)가 정지시에도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하는 것을 상기 배출관(4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공기관(41)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와 헹굼수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KR1020110021669A 2011-03-11 2011-03-11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KR10126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69A KR101269916B1 (ko) 2011-03-11 2011-03-11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69A KR101269916B1 (ko) 2011-03-11 2011-03-11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66A KR20120103366A (ko) 2012-09-19
KR101269916B1 true KR101269916B1 (ko) 2013-05-31

Family

ID=4711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69A KR101269916B1 (ko) 2011-03-11 2011-03-11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45B1 (ko) * 2020-05-29 2021-05-17 최영철 초미세 버블수 장치를 구비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386B1 (ko) * 1998-09-03 2000-12-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사이펀(siphon) 방지장치
JP2003235779A (ja) 2001-12-10 2003-08-2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00655717B1 (ko) * 2005-01-03 2006-12-08 김병권 업소용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386B1 (ko) * 1998-09-03 2000-12-01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사이펀(siphon) 방지장치
JP2003235779A (ja) 2001-12-10 2003-08-2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100655717B1 (ko) * 2005-01-03 2006-12-08 김병권 업소용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66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73322B2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dishwasher or washing machine
KR101117245B1 (ko) 폐온수 재활용 식기세척기
EP2193739B1 (en)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KR2008008812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9445708B2 (en) Water-bearing domestic appliance
KR100867531B1 (ko) 세척수와 헹굼수 재활용 효율을 높인 업소용 식기 세척기
CN111345761A (zh) 洗碗机
EP2818089B1 (en) Conveyor type dishwasher machine
KR101269916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와 헹굼수 배수장치
KR101315288B1 (ko) 세척수 및 헹굼수 재활용을 위한 식기세척기
KR20090014510A (ko) 식기세척기
JP6236316B2 (ja) 洗浄機
KR100535771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탱크
KR20030080961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KR20060064576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관 구조
JP2007215882A (ja) 食器洗浄機
CN112932377A (zh) 一种用于家用环保洗碗机的餐具清洗方法
JP3882388B2 (ja) 食器洗浄機
CN105125151A (zh) 洗碗机
JP3385706B2 (ja) 食器洗浄機の運転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食器洗浄機
KR200425237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폐온수 이용구조
KR20100058875A (ko) 스팀 식기세척기
JP6577749B2 (ja) 洗浄機
JP6518489B2 (ja) 洗浄機
JP2012125495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