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689B1 -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 Google Patents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689B1
KR101269689B1 KR1020110032840A KR20110032840A KR101269689B1 KR 101269689 B1 KR101269689 B1 KR 101269689B1 KR 1020110032840 A KR1020110032840 A KR 1020110032840A KR 20110032840 A KR20110032840 A KR 20110032840A KR 101269689 B1 KR101269689 B1 KR 10126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valve
separation
bol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971A (ko
Inventor
장용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to KR102011003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6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가스켓이 편중되더라도 리테이너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리테이너를 현장에서 쉽게 분리하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밸브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외면에 형성되는 링홈에 기밀링을 결합하여 밸브바디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에 억지결합된 리테이너를 분리함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외면에 리테이너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내경에 나사를 생성시킨 분리홀을 다수 개 형성하고, 상기 분리홀에는 리테이너의 외면에 밀착되는 분리치구의 양측에서 결합볼트와 나사 결합시킨 후, 분리치구의 중앙에 이탈볼트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이탈볼트의 내단부가 디스크의 중심과 연접되면서 리테이너를 밸브바디로부터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SEPARATION METHOD OF RETAINER FOR VALVE AND ITS TOOL}
본 발명은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리테이너 분리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에 적용되는 리테이너의 기밀성을 높이면서 리테이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액체 또는 기체 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밸브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버터플라이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이하 밸브라 한다.)의 구성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밸브(100)는 중앙에 유체가 유통할 수 있도록 유로공을 가지는 밸브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101)의 유로공에는 개,폐에 의하여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크(102)가 작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스템(103)과 연결된다.
상기 디스크(102)와 밸브바디(101)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시트(104)를 개재하여 리테이너(105)로 단속하고, 상기 스템(103)의 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기밀재(106)를 개재하여 커버(107로 마감한다.
상기 스템(103)의 상측에도 스템(103)의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스템베어링(108)을 개재하고, 스템(103)과 밸브바디(101) 사이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109)을 개재한 후 패킹글랜드(Packing Gland,110)로 마감한다.
상기 밸브(100)는 관체(111)에 구비되는 플랜지(112)와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단속수단으로 결합 되는 데, 플랜지(112)와 리테이너(105)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탈가스켓(113)을 개재하는 구성이다.
종래에도 밸브(1)를 구성하는 밸브바디(2)에 스템과 연결되는 디스크(3)의 가장자리(외면부) 기밀을 위하여 개재되는 밸브시트(4)를 단속하는 리테이너(5)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도 7 (a)의 경우에는, 밸브바디(2)에 리테이너(5)가 안착될 수 있도록 리테이너홈(6)을 형성한다.
상기 리테이너(5)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단속공(7)을 형성한 후 리테이너홈(6)에 형성되는 단속홈(8)과 단속볼트(9)로 밸브바디에 대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7(b)의 경우에는, 리테이너(5)의 외면에 링홈(11)을 형성한 후 오링과 같은 기밀링(12)을 결합하여 리테이너홈(6)과 억지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리테이너를 고정한 후 배관에 밸브를 연결할 때 배관의 플랜지와 리테이너 사이에 메탈가스켓(10)을 삽입시킨 후 단속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플랜지와 리테이너 사이를 메탈가스켓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메탈가스켓을 삽입할 때 리테이너와 정확하게 중심에 일치하는 형태로 결합 되지 못하고 대체적으로 리테이너의 중심에서 아래 방향으로 메탈가스켓이 편중된 상태에서 체결된다.
물론, 메탈가스켓이 소정의 폭을 가지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편중되더라도 리테이너에 형성되는 단속공과 단속볼트를 커버하는 형태를 유지하기는 하나, 일부의 경우에는 아래 방향으로 편중이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메탈가스켓이 아래 방향으로 편중이 심할 경우에는 밸브바디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단속공과 단속볼트을 메탈가스켓이 완전하게 커버 하지 못하고 단속공과 단속볼트의 상측 또는 하측이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단속공과 단속보트가 메탈가스켓에 의하여 커버 되지 못하고 노출될 경우에는 유체가 메탈가스켓과 개방된 상태의 단속공 사이로 유입되고, 높은 압력에 의하여 단속공과 단속볼트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이동한 후, 리테이너와 밸브바디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으로 이동하여 밸브바디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리테이너에 형성되는 단속공과 단속볼트는 단지 밸브를 완전하게 조립(결합)하기 전까지 리테이너가 제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단속공과 단속볼트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유체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주기적으로 메탈가스켓이나 리테이너를 교환하여야 하는 유지,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불편이 따른다.
후자의 경우에는, 메탈가스켓과 밀착되는 리테이너의 외면에 단속공 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메탈가스켓, 리테이너 또는 밸브시트 등의 수명이 다하거나 이상으로 교환하고자 할 경우 현장에서 바로 분해 조립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리테이너가 밸브바디와 억지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작업장으로 이동시킨 후 밸브의 앞,뒤를 완전하게 분리한 후 리테이너의 배면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하여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밸브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외면에 형성되는 링홈에 기밀링을 결합하여 밸브바디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에 억지결합된 리테이너를 분리함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외면에 리테이너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내경에 나사를 생성시킨 분리홀을 다수 개 형성하고, 상기 분리홀에는 리테이너의 외면에 밀착되는 분리치구의 양측에서 결합볼트와 나사 결합시킨 후, 분리치구의 중앙에 이탈볼트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이탈볼트의 내단부가 디스크의 중심과 연접되면서 리테이너를 밸브바디로부터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메탈가스켓이 편중되더라도 리테이너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리테이너를 현장에서 쉽게 분리하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메탈가스켓 또는 리테이너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테이너와 메탈가스켓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누설의 우려를 배제하여 밸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혹여 발생할 수 있는 리테이너와 메탈가스켓의 교환에 필요한 유지 보수작업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밸브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리테이너가 적용된 밸브를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a,b)는 종래 기술인 리테이너가 적용된 밸브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밸브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인 리테이너가 적용된 밸브를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용 리테이너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밸브(100)는 중앙에 유체가 유통할 수 있도록 유로공을 가지는 밸브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101)의 유로공에는 개,폐에 의하여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크(102)가 작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스템(103)과 연결된다.
상기 디스크(102)와 밸브바디(101)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시트(104)를 개재하여 리테이너(105)로 단속하고, 상기 스템(103)의 하단에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기밀재(106)를 개재하여 커버(107로 마감한다.
상기 스템(103)의 상측에도 스템(103)의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스템베어링(108)을 개재하고, 스템(103)과 밸브바디(101) 사이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109)을 개재한 후 패킹글랜드(Packing Gland,110)로 마감한다.
상기 밸브(100)는 관체(111)에 구비되는 플랜지(112)와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단속수단으로 결합 되는 데, 플랜지(112)와 리테이너(105)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탈가스켓(113)을 개재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테이너(105)를 밸브바디(101)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115)에 리테이너(105) 외면에 링홈(116)을 형성하여 오링과 같은 기밀링(117)을 개재한 후 억지결합을 통하여 배관과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지보수시 현장에서 리테이너(105)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분리치구(12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너(105)의 외면(플랜지 방향)에 180°선상을 유지하도록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가급적이면 짝수)로 리테이너(105)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내경에 나사를 생성시킨 분리홀(121)을 형성한다.
상기 분리홀(121)에는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밀착되는 분리치구(120)의 양측에서 결합볼트(122)와 나사 결합시킨 후 분리치구(120)의 중앙에 이탈볼트(123)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이탈볼트(123)의 내단부가 디스크(102)의 중심과 연접되면서 리테이너(105)를 밸브바디(101)로부터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테이너(105)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120)는, 단면이 개략 사각형이면서 바타입으로 구비되는 치구바디(125)를 구비하는 데, 상기 치구바디(125)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사각형 바로 예시하고 있으나 원형바, 육각형바 또는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타입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치구바디(125)의 길이는 최소한 리테이너(105)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리테이너(105)를 분리하기 위하여 리테이너(105)와 밀착시킬 때 안정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치구바디(125)의 양측에는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형성되는 분리홀(121)과 결합볼트(122)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홀(126)을 형성하는 데, 상기 결합홀(126)은 밸브(100)의 종류에 따라 리테이너(105)의 규격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리테이너(105)의 규격에 맞게 결합홀(126)을 다수 개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치구바디(125)의 중앙에는 이탈볼트(123)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한 이탈홀(127)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볼트(123)의 내단면에는 디스크(102)와 연접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줄이면서 디스크(10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호면(128)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100)용 리테이너(105)를 분리치구(120)를 이용하는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테이너(105)를 밸브바디(101)에 결합할 때에는,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형성되는 링홈(116)에 기밀링(117)을 개재한 후 밸브바디(101)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115)과 억지결합시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관(131) 사이에 밸브(100)를 개재한 후 배관(131)에 구비되는 플랜지(132)와 리테이너(105) 사이에 메탈가스켓(113)을 개재한 후 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는 리테이너(105)와 플랜지(132) 사이에 메탈가스켓(113)을 개재할 때 메탈가스켓(113)이 리테이너(105)의 중심에서 아래 방향으로 편중되더라도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관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분리홀(121) 전체를 메탈가스켓(113)이 커버할 수 있게 되므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형성되는 분리홀(121)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볼트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큰 직경으로 형성되지 않고 볼트의 축부만 결합될 수 있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탈가스켓(113)의 편중이 있더라도 분리홀(121)이 메탈가스켓(113)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 된 리테이너(10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테이너(105) 위치의 밸브(100)와 연결된 플랜지(132)를 분리하거나 또는 플랜지(132)로부터 밸브(100)를 완전하게 분리한 후 분리치구(120)를 이용하여 리테이너(105)를 밸브(105)로부터 분리한 후 유지보수를 수행하면 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치구바디(125)를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밀착시킨 후 치구바디(125)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26)과 리테이너(105)의 외면에 형성되는 분리홀(121)을 일치시킨 후, 결합볼트(122)를 이용하여 치구바디(125)와 리테이너(105)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치구바디(125)의 중앙에 형성된 이탈홀(127)에 이탈볼트(123)를 결합하여 디스크(102) 방향으로 조여주면, 이탈볼트(123)의 내단면에 형성되는 원호면(128)이 디스크(102)와 연접되는 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이탈볼트(123)를 조여주면 치구바디(125)가 디스크(102)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면, 치구바디(125)와 결합된 리테이너(105)도 함께 외부로 밀려나게 되므로 밸브바디(101)에 형성된 리테이너홈(131)에 억지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105)를 분리한 후에는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처음과 같이 리테이너(105)에 기밀링(117)을 결합한 후 리테이너홈(115)에 억지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탈가스켓이 편중되더라도 리테이너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리테이너를 전용의 치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밸브
101; 밸브바디
105; 리테이너
113; 메탈가스켓
120; 분리치구
121; 분리홀
122; 결합볼트
123; 이탈볼트
125; 치구바디
126; 결합홀
127; 이탈홀

Claims (3)

  1. 밸브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외면에 형성되는 링홈에 기밀링을 결합하여 밸브바디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에 억지결합된 리테이너를 분리함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외면에 리테이너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내경에 나사를 생성시킨 분리홀을 다수 개 형성하고,
    상기 분리홀에는 리테이너의 외면에 밀착되는 분리치구의 양측에서 결합볼트와 나사 결합시킨 후,
    분리치구의 중앙에 이탈볼트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이탈볼트의 내단부가 디스크의 중심과 연접되면서 리테이너를 밸브바디로부터 밀어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2. 밸브를 구성하는 리테이너 외면에 형성되는 링홈에 기밀링을 결합하여 밸브바디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홈에 억지결합된 리테이너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치구바디와;
    상기 치구바디의 양측에 형성하여 리테이너의 외면에 리테이너를 관통되지 않게 형성되는 분리홀과 결합볼트로 결합 되는 결합홀과;
    상기 치구바디의 중앙에 형성하는 이탈홀과;
    상기 이탈홀에 결합 되어 조여지면서 디스크와 연접되어 리테이너를 밀어내는 이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치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리테이너의 규격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 또는 다수 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치구.
KR1020110032840A 2011-04-08 2011-04-08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KR10126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840A KR101269689B1 (ko) 2011-04-08 2011-04-08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840A KR101269689B1 (ko) 2011-04-08 2011-04-08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71A KR20120114971A (ko) 2012-10-17
KR101269689B1 true KR101269689B1 (ko) 2013-05-30

Family

ID=4728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840A KR101269689B1 (ko) 2011-04-08 2011-04-08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3671A (zh) * 2018-05-23 2018-08-28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组装式盘车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538B1 (ko) 1999-12-28 2002-10-25 한전기공주식회사 피스톤 분해/조립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538B1 (ko) 1999-12-28 2002-10-25 한전기공주식회사 피스톤 분해/조립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71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9161B (zh) 对准关闭件和阀杆的装置和方法
JP4454577B2 (ja) 流体配管系の流体機器交換方法
US20120222753A1 (en) Device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and method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GB2535891A (en) Uninterrupted flow device and uninterrupted flow construction method
JP2006144824A (ja) 流体配管系統の流路遮断方法及び管内流路遮断装置
KR101269689B1 (ko) 밸브용 리테이너 분리방법 및 분리치구
JP2008106942A (ja) 管内流路遮断装置及び流体配管系統の流路遮断方法
JP2011017446A (ja) 管内流路遮断装置及び管内流路遮断装置の遮断作業カバー
JP2006349004A (ja) 流体配管系統の流路遮断方法及び管内流路遮断装置
JP5964574B2 (ja) 作業具導入方法及びその際に用いられる取付具
KR101901659B1 (ko) 관로 보수용 밀폐장치
JP2007303683A (ja) 管内流路遮断装置
US10215290B2 (en) Plug with attachable upper trunnion
JP2015143562A (ja) 仕切弁の弁蓋撤去工法
JP2010116952A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JP2012112485A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JP4796644B2 (ja) 流体配管系統の流路遮断方法及び管内流路遮断装置
JP2007298181A (ja) 管内流路遮断装置
KR200445193Y1 (ko) 수동 씰 용접 밸브의 밸브 보닛 분해 및 조임 공구
KR200486772Y1 (ko) 밀폐를 위한 보수용 플러그장치
KR20110092210A (ko) 허브형 밸브 구조
JP6262534B2 (ja) 管内流路遮断装置
KR102043223B1 (ko) 개별 분해 조립형 냉매 차단용 밸브
TWI815942B (zh) 導通口和配管端部間的連接構造、開關閥裝置及拆卸治具
JP5675209B2 (ja) 空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