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644B1 -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644B1
KR101269644B1 KR1020120140115A KR20120140115A KR101269644B1 KR 101269644 B1 KR101269644 B1 KR 101269644B1 KR 1020120140115 A KR1020120140115 A KR 1020120140115A KR 20120140115 A KR20120140115 A KR 20120140115A KR 101269644 B1 KR101269644 B1 KR 10126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oad
main body
staff
adjustmen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삼식
Original Assignee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14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에서 촬영한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도로대장에 사용되는 도로 주변의 각종 시설물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항공기에 설치되고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주의 상단에서 도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가로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미지표식과; 이미지표식의 위치를 표시하는 스타프와; 스타프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로 구성되며, 항공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도로의 시설물에 이미지표식을 설치한 뒤 위치측정기와 스타프를 이용해 이미지표식의 정확한 위치를 측량한 뒤 항공이미지를 촬영하므로 항공이미지만으로도 도화원도의 수정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SURVEYING SYSTEM FOR ROAD REGISTER USEING AVIATION PHOTOGRAPHIC}
본 발명은 항공측량을 이용해 지형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서 촬영한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도로대장에 사용되는 도로 주변의 각종 시설물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는 국가의 중요 시설물로서, 정부는 각 지방에 국토관리청을 설치하고 해당 지역의 국토관리청은 관내의 모든 도로를 전문적으로 관리한다. 도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도로가 설치된 정확한 위치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록한 것을 도로대장이라 하고 도로대장은 일종의 수치지도와도 같은 것이다. 따라서 도로대장은 측량작업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도로는 넓은지역에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로, 도로 및 도로 주변의 시설들을 측량하여 데이터화 하는 것 및 관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에 속한다. 특히,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된 도로를 측량하는 것은 다수의 인력이 투입된다 하여도 수개월에 걸친 작업일 수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광범위한 지역의 도로를 측량하는데 항공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촬영기술과 항공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므로 가능해진 것으로서, 항공이미지를 이용하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항공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도화용 이미지로 제작하는 단계 및 도화용 이미지를 판독 가능한 지형지물의 위치와 지상기준점들과 결합하여 도화원도를 제작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도화원도의 수정작업이 매우 중요하며, 항공이미지를 활용해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과정이다.
도화원도의 수정작업은 도화원도상에서 확인되는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도화원도의 기준점들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무실과 현장을 반복해서 오가며 도화원도상의 기준점들과 실제 도로 주변의 기준점들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뒤 오류를 수정하는 작업을 반복해야만 한다.
따라서 도화원도를 수정하는 작업을 간소화시키기 위해 항공촬영 시 지상에 식별가능한 기준점을 설치하거나 특정 시실물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점들의 위치를 미리 측정한 뒤 측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도화원도를 수정할 경우 현장에서 기준점의 위치를 측정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로의 경우에는 일정한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는 시설물이 많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도로상의 이정표나 안내판 등의 시설물들은 보행자나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보기에 유리하도록 제작되고, 가로등이나 가드레일 등의 시설물들은 동일한 것들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높은 고도의 항공기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상에서는 이들 시설물로 위치를 파악하거나 이를 이용해 좌표를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 항공이미지를 이용해 도로대장에 사용될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미리 기준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식기를 도로의 각 지역에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이들 작업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존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을 항공이미지의 기준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면서도 저렴하게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도로의 시설물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도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본 발명은, 항공기에 설치되고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주의 상단에서 도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가로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미지표식과; 이미지표식의 위치를 표시하는 스타프와; 스타프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로 구성된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표식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이고 가로대의 상부에서 가로대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 측면에 설치되는 나사와 나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구성된 'ㄴ'자 형상인 클램프로 구성되되, 클램프는 본체의 측면에 세 개가 상호로 교차반복되게 설치되어 본체를 가로대의 측면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상부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본체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양측 측면에는 보조지지대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상부에 평탄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오목한 설치면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평을 측정할 수 있는 수평계가 구비된 설치판과, 설치판의 상부 측면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앙을 가로지르는 연결봉이 내부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연결봉의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항공표식과, 설치판의 설치면에 삽입설치되고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형 시트이며 표면에는 항공이미지상에서 식별가능한 부호가 인쇄된 표식지로 구성된 이미지패널과; 고정부의 본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에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조절나사와, 이동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에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제1조절나사의 나사산과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조절나사와,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1조절나사 및 제2조절나사가 결합되는 조절핸들로 구성된 각도조절장치;로 구성되고,
스타프는 측정기에서 측정하기 용이하게 표면에는 식별눈금이 그려진 사각기둥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직계와; 몸체의 직선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이저포인터;로 구성되는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표적이 구비되고, 표적은 프레임에 구비된 연결봉과 동일선상에 구비되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서 중심을 식별할 수 있도록 마크가 도시된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으로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항공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도로의 시설물에 이미지표식을 설치한 뒤 위치측정기와 스타프를 이용해 이미지표식의 정확한 위치를 측량한 뒤 항공이미지를 촬영하므로 항공이미지만으로도 도화원도의 수정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상의 시설물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므로 차량이 도로를 이용하는데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에 의해 항공이미지가 촬영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표식이 도로의 가로등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이미지표식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미지표식을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이미지표식에 표식지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이미지표식의 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타프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8은 가로등에 설치된 이미지표식과 이미지표식의 위치를 측정하는 스타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의 이미지표식 및 스타프를 위치측정기로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촬영된 항공이미지에서 이미지표식부분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이하, 측량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량 시스템은 항공기(1)에 탑재되는 카메라(10)와 메모리(11), 도로에 설치되는 이미지표식(2) 및 이미지표식(2)의 좌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스타프(20)와 위치측정기(30)로 구성된다.
카메라(10)는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공에서도 지면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높은 선명도와 해상도의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11)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를 연속해서 저장하기에 충분한 용량과, 항공이미지에서 연속해서 전송되는 고해상도의 항공이미지가 저장되는데 지장이 없는 속도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타프(2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것으로서, 위치측정기(30)에서 높이나 방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는 식별눈금(25)이 그려진 사각기둥 형상의 몸체(21)로 구성되고, 몸체(21)의 측면에는 수직으로 세워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직계(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1)에 구비되는 수직계(22)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은 수평계 두 개를 이용되어 제작된 수직계(22)이다.
더불어 스타프(20)에는 아래 설명될 이미지표식(2)의 하부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세워질 수 있도록 이미지표식(2)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포인터(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이저포인터(23)는 스타프(20)의 길이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스타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측정기(30)는 정해진 지점에서 스타프(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 또는 각도측정기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면에 세워지는 삼각대(31)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표식(2)은 고정부(100), 이미지패널(200) 및 각도조절장치(300)로 구성된다. 이중 고정부(100)는 본체(110), 클램프(120) 등으로 구성되고,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등과 같이 지주(3)와 지주(3)의 상부에서 도로 방향으로 돌출된 가로대(4)가 구비된 가로등이나 도로 안내판 등에 설치된다.
본체(110)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체(110)의 단면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제작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지주(3) 상단에 돌출된 가로대(4) 상부에 올려지는 것으로 가로대(4)를 감싸는 형상으로 가로대(4)의 상부에 설치된다.
클램프(120)는 본체(110)를 가로대(4)의 측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으로서, 나사(121)와 손잡이(122)로 구성된다. 나사(121)는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는 것이고, 손잡이(122)는 나사(121)의 단부에서 측면으로 직교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클램프(120)는 나사(121)와 손잡이(122)가 결합 된 'ㄴ'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클램프(120)는 본체(110)의 측면에 세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클램프(120)는 서로 이웃하는 것들끼리 상하 반복해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 개의 클램프(120)를 꼭지점으로 하여 가상의 도형을 그리면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클램프(120)를 본체(110)의 측면에 상하 교차반복되게 세 개를 설치하는 것은 대부분의 가로대(4)가 측면이 수직을 이룬 것을 감한 한 것이다. 즉, 본체(110)가 가로대(4)에 밀착될 때 측면에서 클램프(120)가 상하 방향에 잠기면 본체(110)의 내부면과 가로대(4)의 외부면이 최대한 밀착되면서 본체(110)의 상부면이 최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령, 가로대(4)가 원형인 경우에도 상부와 하부의 클램프(120)를 조절하여 체결하는 경우에는 본체(110)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고정부(100)의 상부에는 이미지패널(200)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미지패널(200)은 크게 이동체(210), 설치판(220), 프레임(230), 항공표식(240) 및 표식지(250)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이동체(210)는 고정부(100)의 상부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부(100)의 본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에는 보조지지대(211)가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된다.
설치판(220)은 이동체(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체(210) 및 보조지지대(211)에 의해 저면이 지탱되므로 뒤틀림 없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평탄한 면을 이루게 되고, 상부면의 내부에는 오목한 설치면(221)이 형성된다.
설치판(220)의 상부에는 설치판(220)의 설치면(221) 외부를 덮을 수 있는 프레임(230)이 설치되고, 프레임(230)과 설치판(220)은 일측이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이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프레임(230)이 회동되고 설치판(220)의 설치면(221)이 개방 또는 폐쇄되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230)의 내부에는 프레임(23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연결봉(231)이 구비되고, 연결봉(231)의 중앙에는 항공기(1)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상에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원형의 항공표식(240)이 구비된다.
표식지(250)는 설치판(220)의 설치면(221)에 삽입설치된 뒤 프레임(230)에 의해 눌려 고정되는 것으로서, 표면에는 항공이미지상에서 식별가능한 부호나 문자가 인쇄된다. 표식지(250)에 인쇄되는 문자나 부호는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며, 표식지(250)에 인쇄되는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다.
각도조절장치(300)는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이미지패널(200)을 회전시켜 이미지패널(200)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조절나사(310), 제2조절나사(320), 조절핸들(330) 및 수평계(340)로 구성된다.
제1조절나사(310)는 고정부(100)의 본체(110)에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상부에는 돌출되게 브라켓(103)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103)에 제1조절나사(310)의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된다.
제2조절나사(320)는 이동체(210)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이동체(210)의 하부에는 돌출되게 브라켓(203)이 형성된다. 이동체(210)의 브라켓(203)에는 제2조절나사(320)의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된다.
제1조절나사(310)와 제2조절나사(320)는 일측 단부가 각각 고정부(100)와 이미지패널(200)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조절핸들(330)에 결합된다. 이때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는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11,32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핸들(330)을 조이거나 풀면 동시에 양측에서 조절핸들(330)의 내부로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가 삽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어 길이가 가변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장치(300)는 일종의 턴버클로서,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조절핸들(330)을 회전시키면 각도조절장치(300)의 길이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미지패널(200)의 설치된 각도가 변경된다.
수평계(340)는 이미지패널(200)의 수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도조절장치(300)가 보이는 방향의 설치판(220)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도조절장치(300)를 조작하면서 수평계(340)가 수평을 이루면 각도조절장치(300)의 조작을 중지하여 이미지패널(200)이 최대한 수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미지표식(2)에는 별도의 표적(24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별도로 구비되는 표적(241)은 프레임(23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프레임(230)의 연결봉(2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표적(241)은 프레임(230)의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식별 가능하도록 중앙에 원형의 중심마크가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230) 양측의 표적(241)의 이격된 거리의 중심에는 항상 항공표식(240)이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측량 시스템을 이용해 도로대장용 데이터를 측량하는데 사용되는 항공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측량 시스템을 이용해 항공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미지표식(2)을 도로의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도로안내판 등의 돌출된 가로대(4)에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정 거리 이격된 가로대(4)를 지정하고 지정된 가로대(4)에 차례로 이미지표식(2)을 설치한다.
이에 앞서 이미지표식(2)에는 해당 표식지(250)를 순서대로 설치한다. 표식지(250)의 설치는 설치판(220)의 상부에서 프레임(230)을 회동시켜 설치면(221)이 노출되게 한 뒤 설치면(221)의 상부에 표식지(250)를 설치한 뒤 다시 프레임(230)을 설치판(220) 상부로 회동시켜 덮으면 된다.
설치된 표식지(250)는 프레임(230)에 눌려 설치판(220)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바람이 불거나 하여도 설치면(22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표식지(25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이미지표식(2)을 지정된 가로대(4)에 고정한다.
가로대(4)에 이미지표식(2)을 설치하는 것은 가로대(4)에 고정부(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능하고, 본체(110)의 측면에서 클램프(120)를 풀어 가로대(4)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뒤 본체(110)가 가로대(4)를 감싸도록 위에서부터 안착시키면 된다.
이후, 클램프(120)를 잠그면 본체(110)는 클램프(120)가 상하에서 가로대(4)의 측면을 밀착하므로 수직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 설치된다. 가로대(4)에 고정부(100)가 완전히 고정되면, 작업자는 다시 이미지패널(200)의 설치판(220) 측면에 구비된 수평계(340)를 보면서 각도조절장치(300)를 조작한다.
각도조절장치(300)의 조작은 조절핸들(3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가능하고, 조절핸들(330)의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는 조절핸들(330)로부터 돌출되거나 삽입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평계(340)가 수평이 되는 순간까지 조절핸들(330)을 회전시킨 뒤 수평계(340)가 수평이 되면 조절핸들(330)의 조작을 중지하여 이미지패널(200)이 수평이 되게 한다.
이처럼 이미지패널(200)의 수평이 완성되면 작업자는 지상으로 철수하고 다음 가로대(4)로 이동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작업인원이 이미지표식(2)을 가로대(4)에 설치된 뒤 철수하면, 지상에서는 측량인원이 스타프(20)와 위치측정기(30)를 이용해 이미지표식(2)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하고자 하는 것은 이미지표식(2)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는 항공표식(240)의 위치이고, 항공표식(24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측량인원은 스타프(20)의 레이저포인터(23)를 작동시켜 레이저포인터(23)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이 이미지표식(2)의 저면 중앙을 지시하도록 하고, 동시에 스타프(20)의 수직계(22)를 이용해 스타프(20)가 수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다른 측량인원은 지상의 기준이 되는 지점에서 위칙측정기(30)를 이용해 스타프(20)의 위치를 측정하여 기준점으로부터 스타프(20)와 이격된 x축 및 y축으로 이격된 거리와 방향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록한다. 즉, 스타프(20)의 좌표는 해당 이미지표식(2)의 수평좌표와 동일하기 때문에 스타프(20)의 위치를 측정하면 항공표식(240)의 좌표를 측정한 것과 동일하다.
이때, 프레임(230)의 양측에 지상의 저면에서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표적(241)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광을 이용해 스타프(20)의 중심이 표적(241)의 수직면 하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의 표적(241)의 좌표를 측정한 뒤 이들 좌표값의 중간값을 구하면 이 중간값이 항공표적(241)의 좌표가 된다. 이처럼 별도의 표적(241)이 구비된 경우에는 항공표적의 위치에 대한 오차를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항공표적(241)의 정확한 위치 값을 구한 뒤에는 측량인원은 각 항공표적(241)의 표식지(250)에 정해진 부호와 항공표적(241)의 위치값을 데이터화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의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의 가로대(4)에 다수의 이미지표식(2)을 설치되면, 측량인원들은 이미지표식(2)의 좌표를 측정하고 항공기(1)는 이륙하여 정해진 지역을 카메라(10)를 이용해 정밀촬영하여 고해상도의 항공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를 메모리(11)에 저장한다.
항공기(1)는 촬영이 종료되면 지상으로 귀환하고, 메모리(11)에 저장된 항공이미지 데이터는 지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옮겨 저장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후, 항공이미지들은 도화용 이미지로 제작된 뒤 다시 도화원도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도화원도의 수정작업이 진행되는데 본 발명에 의해 촬영된 항공이미지(P)에는 도로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이미지표식(2)이 촬영되어 있고, 이들 이미지표식(2)은 중앙에 식별이 용이한 항공표식(2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들 항공표식(240)의 주변에 표시된 표식지(250)의 이미지가 촬영되어 있다.
따라서 도화원도를 수정하는 작업자는 이미지패널(200)의 표식지(250)의 부호로 해당 항공표식(240)을 식별할 수 있고, 항공표식(240)의 위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사무실에서 항공표식(240)의 ㅇ위치를 확인한 뒤 이 위치가 이미지상에 정확한 위치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도화원도를 수정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장에 나가 기준점을 측정할 필요 없이 도화원도의 수정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항공기 2: 이미지표식
10: 카메라 11: 메모리
20: 스타프 21: 몸체
22: 수직계 23: 레이저포인터
30: 위치측정기 100: 고정부
110: 본체 120: 클램프
121: 나사 122: 손잡이
200: 이미지패널 210: 이동체
211: 보조지지대 220: 설치판
221: 설치면 230: 프레임
231: 연결봉 240: 항공표식
241: 표적 250: 표식지
300: 각도조절장치 310: 제1조절나사
320: 제2조절나사 330: 조절핸들
340: 수평계

Claims (2)

  1. 항공기(1)에 설치되고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와; 카메라(10)에서 촬영된 항공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11)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주(3)의 상단에서 도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가로대(4)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미지표식(2)과; 이미지표식(2)의 위치를 표시하는 스타프(20)와; 스타프(2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30);로 구성된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표식(2)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이고 가로대(4)의 상부에서 가로대(4)를 감싸듯이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 측면에 설치되는 나사(121)와 나사(12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122)로 구성된 'ㄴ'자 형상인 클램프(120)로 구성되되, 클램프(120)는 본체(110)의 측면에 세 개가 상하로 교차반복되게 설치되어 본체(110)를 가로대(4)의 측면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100)와;
    고정부(100)의 상부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본체(110)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양측 측면에는 보조지지대(211)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이동체(210)와, 이동체(210)의 상부에 평탄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오목한 설치면(22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수평을 측정할 수 있는 수평계(340)가 구비된 설치판(220)과, 설치판(220)의 상부 측면과 힌지결합되고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중앙을 가로지르는 연결봉(231)이 내부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프레임(230)과, 연결봉(231)의 중앙에 구비되는 원형의 항공표식(240)과, 설치판(220)의 설치면(221)에 삽입설치되고 프레임(230)에 의해 고정되는 사각형 시트이며 표면에는 항공이미지상에서 식별가능한 부호가 인쇄된 표식지(250)로 구성된 이미지패널(200)과;
    고정부(100)의 본체(110)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103)에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311)이 형성된 제1조절나사(310)와, 이동체(21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203)에 단부가 회동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제1조절나사(310)의 나사산(311)과 역방향의 나사산(321)이 형성된 제2조절나사(320)와,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의 나사산(311,321)들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1조절나사(310) 및 제2조절나사(320)가 결합되는 조절핸들(330)로 구성된 각도조절장치(300);로 구성되고,
    스타프(20)는
    위치측정기(30)에서 측정하기 용이하게 표면에는 식별눈금(25)이 그려진 사각기둥형상의 몸체(21)와;
    몸체(21)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직계(22)와;
    몸체(21)의 직선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몸체(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이저포인터(23);로 구성되는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230)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표적이 구비되고, 표적(241)은 프레임(230)에 구비된 연결봉(231)과 동일선상에 구비되며 프레임(23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서 중심을 식별할 수 있도록 마크가 도시된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KR1020120140115A 2012-12-05 2012-12-05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KR10126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15A KR101269644B1 (ko) 2012-12-05 2012-12-05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15A KR101269644B1 (ko) 2012-12-05 2012-12-05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644B1 true KR101269644B1 (ko) 2013-05-30

Family

ID=4866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15A KR101269644B1 (ko) 2012-12-05 2012-12-05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8661A (zh) * 2021-03-22 2021-04-23 成都睿铂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飞行器的航测数据采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573109B1 (ko) * 2023-03-27 2023-09-04 (주)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측정을 위한 회전형 스타프 설치용 측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143A (ja) 2003-08-08 2005-03-10 Kyushu Techno Research Kk 航空写真測量用対空標識
JP2010536019A (ja) 2007-08-06 2010-11-25 ステフコ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ーディ 測量用標尺
KR101125586B1 (ko) 2011-12-07 2012-03-26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수치지도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을 통한 지피에스 기반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141066B1 (ko) 2011-12-12 2012-05-03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피에스 기반의 측지데이터 갱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143A (ja) 2003-08-08 2005-03-10 Kyushu Techno Research Kk 航空写真測量用対空標識
JP2010536019A (ja) 2007-08-06 2010-11-25 ステフコ ピーティーワイ エルテーディ 測量用標尺
KR101125586B1 (ko) 2011-12-07 2012-03-26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수치지도이미지의 해상도 설정을 통한 지피에스 기반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141066B1 (ko) 2011-12-12 2012-05-03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피에스 기반의 측지데이터 갱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8661A (zh) * 2021-03-22 2021-04-23 成都睿铂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飞行器的航测数据采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573109B1 (ko) * 2023-03-27 2023-09-04 (주)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측정을 위한 회전형 스타프 설치용 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4882B (zh) 用于标注地图的方法、装置和设备
JP2888594B2 (ja) ディジタル3次元地形情報を得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支援測量システム
US8351704B2 (en) Method of capturing linear features along a reference-line across a surface for use in a map database
US8345928B2 (en) Localizing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US8006394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precise identification of multiple points distributed throughout an area
CN106093954A (zh) 一种二维码激光测距车辆定位方法及其设备
CN108221603A (zh) 一种道路的路面三维信息检测装置、方法及系统
KR100587405B1 (ko) Gps수신기, 레이저 계측기 및 사진기 장착 차량을이용한 도로 주변 시설물 측량정보의 gis 수치지도업데이트 방법
CN108802043A (zh) 隧道检测装置、检测系统及隧道病害信息提取方法
US7970538B2 (en) Accurate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deliveries
CN103186892A (zh) 利用航拍图像生成等比例实景现场图的方法及系统
CN103366555A (zh) 基于航拍图像的交通事故现场图快速生成方法及系统
KR101743392B1 (ko)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도로 기하구조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JP2019529918A (ja) 自動車両の電気的または電子的な構成要素を較正するために地面上に幾何学的基準マーカ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する機器
US20150369602A1 (en) Surveying And Leveling Device
KR101269644B1 (ko)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도로대장용 데이터 측량 시스템
CN109863382A (zh) 前照灯设置测试设备、测试站及前照灯设置装置和测试方法
US7177016B2 (en) Electronic surveying apparatus
KR101144193B1 (ko) 영상도화정보와 지피에스정보를 이용한 영상도화의 데이터 수집시스템
CN111912523A (zh) 一种可调节定位的隧道照明检测装置及其方法
CN106203335A (zh) 基于三维点云的标志牌可视度评价方法
US8405485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multiple points located throughout an area
US20210148706A1 (en) Aquisition process of at least one scene
JPWO2018062335A1 (ja) 位置情報特定方法、位置情報特定装置、及び、位置情報特定プログラム
KR101329564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설물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