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395B1 - 편광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395B1
KR101268395B1 KR1020110032626A KR20110032626A KR101268395B1 KR 101268395 B1 KR101268395 B1 KR 101268395B1 KR 1020110032626 A KR1020110032626 A KR 1020110032626A KR 20110032626 A KR20110032626 A KR 20110032626A KR 101268395 B1 KR101268395 B1 KR 10126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polarized light
light source
polarization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839A (ko
Inventor
최욱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최욱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11003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395B1/ko
Priority to CN201180056977XA priority patent/CN103328886A/zh
Priority to EP11843490.1A priority patent/EP2644983A4/en
Priority to JP2013540901A priority patent/JP2014500596A/ja
Priority to US13/989,210 priority patent/US9016884B2/en
Priority to PCT/KR2011/009054 priority patent/WO2012070904A2/ko
Publication of KR2012011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multi-branched, e.g. a chandel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3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interposition of elements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light transmissivity, e.g. liquid crystal elements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샹들리에와 같은 조명기구의 장식물의 색상이 변화하는 편광조명장치(1000)를 제공한다. 상기 편광조명장치(1000)는 편광복굴절광원(100)을 제공하여 파장별로 다른 편광방향을 가지며 그 편관방향이 변하는 빛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편광복굴절광원의 빛은 조명기구의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필름(87)에 조사된다.

Description

편광조명장치{Polarization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샹들리에와 같이 장식물이 달린 조명기구에서 그 광원을 편광으로 하여 상기 장식물이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연출하는 편광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현상은 빛이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진행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편광현상의 대표적인 예는 두 개의 편광자를 상호간에 편광방향이 수직이 되게 놓고 빛을 통과시키는 경우 빛의 투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편광필름 등을 이용하여 빛에 대하여 일정방향의 편광성을 가지게 하거나, 편광된 빛을 복굴절 필름과 같은 복굴절 매질을 통과시켜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편광방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샹들리에와 같이 장식물이 달린 조명기구에서 그 장식물이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는 편광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샹들리에와 같이 장식물이 달린 조명기구에서 그 장식물이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는 편광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조명기구가 제공하는 빛이 색상의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장식물에서 색상의 변화가 연출되는 편광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장식물과;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복굴절매질과;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한 빛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상기 편광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을 상호간에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편광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편광방향을 회전시키고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회전시키고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편광광원을 같이 회전시키고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일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편광수단을 자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편광수단을 상기 편광조명장치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변위수단은 마주보는 두 개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에 액정을 충진하며, 이들 유리기판의 사이를 실런트로 밀봉하고, 상기 유리기판에는 투명전극과 배향층이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기판으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액정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회전은 일부각도의 회전 또는 각도의 변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복굴절매질을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윗면에 붙여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장식물과; 각각 다른 색의 빛이 방출되는 복수개의 편광광원과; 상기 복수개의 편광광원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상기 편광광원의 각 편광방향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을 상호간에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개의 편광광원은 R(적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1편광광원과, G(녹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2편광광원과, B(청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3편광광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혼합되어 백색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편광광원의 각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은 마주보는 두 개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에 액정을 충진하며, 이들 유리기판의 사이를 실런트로 밀봉하고, 상기 유리기판에는 투명전극과 배향층이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기판으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액정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샹들리에와 같이 장식물이 달린 조명장치에서 그 장식물에서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는 편광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색은 아무런 변화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장식물에서는 색의 변화가 연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편광조명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의 편광복굴절광원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효과가 나타나는 장식물에서 색상변화가 일어나는 부분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편광광원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액정소자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편광복굴절광원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R, G, B 별 편광광원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편광조명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서 장식물을 변위시키는 변위수단을 보이는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조명장치의 일 예(1000)를 보이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조명장치(1000)는 샹들리에로서 다수개의 장식물(8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장식물(80)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예를 들어 크리스털이나 유리를 재질로 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이 투과되는 한 플라스틱 등 다른 여러 가지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장식물(80)에는 편광필름, 편광필터 또는 편광판과 같은 편광수단이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과 3을 참고로, 상기 장식물(80)은 샹들리에 본체(180) 주변의 장식간(18)에 줄(8)을 통하여 매달려 있고, 상기 장식물(80)은 육면체의 형상으로서 편광수단인 편광필름(87)이 상기 장식물(87)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필름(87)은 상기 편광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조사받게 된다.
도 1을 참고로, 빛을 편광한 후 복굴절 시켜 방출하는 편광복굴절광원(100a)이 제공되고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에는 편광광원(110)이 설치되고 있다. (도 2 참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장식물(80)에는 음각 또는 양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음각 또는 양각된 부분마다 색채가 두드려져 보이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상기 장식물(80)에 양각 또는 음각 대신 장식물의 내부에 기포 등을 형성하거나 빈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기포나 빈 공간의 경계면에서 색체가 두드려져 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물(80)을 복잡한 선에 의한 다수의 모서리를 가진 다면체로 하여 각 모서리마다 색체가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식물(80)에 양각 또는 음각이나 기포나 빈공간이 없고, 복잡한 다면체 구조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색상변화의 효과는 나타나며 따라서 위와 같은 것들이 필수요소는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장식물(80)에는 음각인 V자 형태의 홈(804)(80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조명장치(1000)는 샹들리에로 한정되지 않고 장식물을 가지는 조명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조명장치(1000)는 편광광원을 가지는데, 상기 편광광원은 편광 된 빛을 방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원에 편광필름, 편광판 또는 편광필터와 같은 편광수단이 부착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편광필름, 편광판 또는 편광필터 등의 편광수단을 통과하면서 편광 되어 조사되는 것이 편광광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복굴절매질(120)이 제공되는데,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놓이며 이에 따라 상기 편광광원(110)으로부터 편광되어 방출되는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120)을 통과한 후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본 실시예의 경우 편광필름(87))으로 조사된다.
상기 복굴절매질(120)은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80)의 사이에서 다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는데, 편광광원(110)과 상기 장식물(80)로부터 각각 독립되어 이들의 사이에 놓일 수도 있고, 필름형태의 것이 사용되어 편광광원(110)의 편광수단(7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장식물(80)에서 상기 편광수단인 편광필름(87)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필름형태의 복굴절매질은 복굴절성을 가지는 OPP 필름이나 셀로판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 복굴절을 위하여 특별히 제조된 복굴절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복굴절매질로서 복굴절판, 복굴절렌즈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편광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은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변화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변화는 아래의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의 변화는 복굴절매질 상의 임의의 일점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복굴절매질이 자전을 이루는 경우 자전축상의 점은 위치가 변하지 않지만 다른 곳의 임의의 점은 위치가 변화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편광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이 상호간에 회전을 하고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 있는 경우이다. (만일 편광수단이 장식물(80)에 고정되는 경우 장식물(80)이 정지되면 편광수단도 정지될 것이다. 한편 편광수단이 장식물(80)에 고정된 경우, 장식물(80)의 변위에 따라 편광수단도 변위를 일으킬 것이다.)
이 경우는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복굴절매질 중에서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그리고 양자가 회전되는데 그 회전속도가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둘째, 상기 편광광원이 정지되고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일점이 상호간에 변위를 이루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복굴절매질이 회전을 이루는 경우 또는 상면에 편광필름(87)이 부착된 장식물(80)의 줄(8)을 돌려 이들 장식물(80)이 자전을 하는 경우 또는 장식물(80)이 설치되는 장식간(18)을 샹들리에 본체(180)를 중심으로 공전시키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셋째, 상기 복굴절매질이 정지를 이루고 상기 편광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변화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상기 편광광원(110)과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중 어느 하나가 정지되고 다른 하나가 자전 또는 공전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복굴절매질(120)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이 모두 변위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다섯째, 상기 편광광원과 복굴절매질이 같이 변위를 이루고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된 경우이다.
여섯째, 상기 편광광원은 정지되고,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이 같이 변위를 이루는 경우이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에서, 같이 변위를 이루는 경우는 일체로서 변위되는 경우와, 등속으로 동일경로를 따라 변위를 일으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전술한 회전은 일부 각도의 회전 또는 각도의 변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0°, 60°, 90° 또는 180°등 각도가 변화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 예는 도 2를 참고로 후술하는 편광복굴절광원(100a)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 경우는 편광광원(110)과 복굴절매질(120)이 일체로서 같이 회전하고 상기 장식물(80)에 부착된 편광필름(87)이 정지되어 있다. 이 경우 바람 등에 따라 장식물(80)이 움직이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경우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의 구조를 보이는데,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은 우선 몸체부(9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90)의 내부에는 광원(60)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편광필터 또는 편광필름 같은 편광수단(7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60)의 빛은 상기 편광수단(70)을 통과하면서 편광되고, 상기 광원(60)과 편광수단(70)은 편광 된 빛을 방출하는 편광광원(110)을 이룬다.
상기 몸체부(90)에서 상기 편광수단(70)의 전방에는 복굴절매질(12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편광수단(70)을 거쳐 편광되어진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120)을 통과하면서 복굴절을 이루고 그 파장에 따라 각각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으로부터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모터(40)가 제공되어 상기 몸체부(90)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몸체부(90)에 일체로 설치된 편광광원(110)과 복굴절매질(120)은 일체로서 같이 회전되며 상대적 변위를 일으킨다.
상기 모터(40)는 제어부(3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조작부(10)의 명령을 받는다. 이에 따라 모터(40)의 동작은 상기 조작부(10)의 조작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40)가 상기 복굴절매질(120)만을 회전시키도록 기계적 구조를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는 편광광원(110)은 정지되고 상기 복굴절매질(120)의 일점이 변위를 일으키는 경우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동력원으로서 반드시 모터가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수단의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수동(手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편광복굴절광원(100a)은 조명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수단인 편광필름(87)은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으로부터의 빛을 받게 된다. 이러한 편광복굴절광원(100a)은 하나가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편광광원(110)에서 방출되는 편광 된 빛은 복굴절매질(120)을 거치면서 복굴절되어 파장마다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되어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필름(87)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은 회전을 이루고 있어, 각 파장별로 달라진 각 편광방향이 다시 각기 회전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상기 장식물(80)에 설치된 편광필름(87)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 3을 참고로, 상기 장식물(80)에 조사되는 빛은 설치된 편광필름(87)을 통과하면서 특정한 색상을 띄게 되고, 편광필름(87)을 통과한 빛의 진행방향에 놓인 장식물(80)의 모서리(C1)(C2)(C3)에서 이러한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며, 한편으로 상기 편광복굴절광원(100a)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의 회전에 따라 그 나타나는 색상이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것은 편광된 빛이 복굴절되어 파장마다 편광방향이 다른 것이 상기 장식물(80)의 편광수단(87)으로 입사되면 상기 편광수단(87)의 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통과를 못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편광 각도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통과를 이루면서 통과한 파장 빛의 것의 혼합으로 특정한 색상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색상이 특히 모서리(C1)(C2)(C3)에서 반사 등의 광학적 효과로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때, 상기 편광필름(87)으로 입사되는 빛의 파장마다의 편광방향은 다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서, 상기 편광필름(87)을 통과할 수 있는 파장과 그 통과 비율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장식물(80)에 나타나는 색상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편광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이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 모두 발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이 변화가 없이 복굴절매질(120)만이 회전을 일으켜 굴절방향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액정소자를 이용하여 편광방향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액정소자(400)의 예를 보인다.
상기 편광방향의 변화를 일으키는 액정소자(400)는 유리기판(410)(410)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개재하여 공간을 확보하여 액정(490)을 충진하고 실런트(430)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기 유리기판(410)(410)의 하부에는 투명전극(460)과 액정배향층(4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투명전극(460)(460)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액정(490)은 그 배열을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리기판(410)(410)으로 편광된 빛을 입사시키면 상기 액정을 통과하면서 빛의 편광방향이 변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LCD 패널에서 편광판이 제거된 구조이다.
도 5는 도 4의 액정소자(400)를 이용한 편광복굴절광원(100b)의 일예를 보인다.
케이스부재(900)에 광원(60)이 설치되고 그 전방에 편광필름 또는 편광필터와 같은 편광수단(70)이 설치되며 그 전방에 편광방향의 회전을 일으키는 액정소자(400)가 설치되며 그 전방에 복굴절필름(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편광수단(70)을 통과하면서 편광되고 이후 상기 액정소자(400)를 통과하면서 편광방향이 회전되면서 상기 복굴절필름(120)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편광방향을 가지면서 그 각 파장별 편광방향이 변화하는 빛이 출력된다.
도 6은 도 4의 액정소자(400)를 이용하여 R, G, B의 파장에 따라 다른 편광방향을 가지며 그 편광방향이 회전하는 빛을 출력하는 R, G, B 별 편광광원(100c)을 보인다.
상기 R, G, B 별 편광광원(100c)은 적색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편광광원(101)과 녹색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편광광원(102)과 청색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편광광원(103)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원을 방출하는 광원(60R)(60G)(60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광원의 (60R)(60G)(60B)전방에 편광수단(70)(70)(70)이 설치되며 다시 그 전방에 전술한 액정소자(400)(400)(4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R, G, B의 파장의 것이 각각 출력되면서 그 각각의 것의 편광방향이 변화하는 빛이 출력되는데 이들 R, G, B의 혼합으로 전체로는 백색광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샹들리에로부터는 백색광이 출력되어 조명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장식물(80)은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다른 경우 그 혼합비율에 따라 백색광이 아닌 다른 색의 빛이 출력되어 조명으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R, G, B의 파장마다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상기 장식물(80)의 편광수단인 편광필름(87)으로 입사되면 상기 편광필름(87)의 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통과를 못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편광 각도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통과를 이루면서 통과한 파장 빛의 것의 혼합으로 특정한 색상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색상이 특히 모서리(C1)(C2)(C3)에서 반사 등의 광학적 효과로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때, 상기 편광필름(87)으로 입사되는 빛의 파장마다의 편광방향은 다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서, 상기 편광필름(87)을 통과할 수 있는 파장과 그 통과 비율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장식물(80)에 나타나는 색상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R, G, B 별 편광광원(100c)은 조명장치에서 단독 또는 다수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1000')를 보인다.
이 경우, 편광복굴절광원(100d)은 몸체부(90)와 그 내부의 광원(60)과 편광수단(70) 및 복굴절매질(1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90)는 정지되고 장식물(80)이 변위를 일으켜 편광필름(87)이 변위를 일으키게 되는데, 모터(40)의 동력에 따라 장식물(80)이 놓이는 장식간(18)이 회전되는 것을 보인다.
도 8을 참고로, 장식간(18)이 설치되는 베이스판(190)이 모터(40)의 작동에 따라 회전을 이루어, 상기 장식물(80)들이 회전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90)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80)의 편광필름(87)에는 파장마다 편광방향이 다른 빛이 조사되는데, 장식물(80)의 위치가 변화됨으로 인하여 편광복굴절광원(100d)과의 관계에서 편광필름(87)의 상대적인 편광방향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편광필름(87)을 통과하는 파장이 변화되어 장식물(80)에 나타나는 색상이 변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샹들리에와 같이 장식물이 달린 조명장치에서 그 장식물에서 색상이 변화하여 보이는 편광조명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색은 아무런 변화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장식물에서는 색의 변화가 연출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a, 100b, 100d: 편광복굴절광원,
100c: R, G, B별 편광광원
80: 장식물, 60: 광원, 70: 편광수단
120: 복굴절매질
400: 편광방향 변화용 액정소자

Claims (16)

  1. 삭제
  2.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편광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편광방향을 회전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4)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3.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복굴절매질을 회전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4)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4.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복굴절매질과 상기 편광광원을 같이 회전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4)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은 정지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5.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일점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편광수단을 자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상기 편광수단을 상기 편광조명장치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마주보는 두 개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에 액정을 충진하며, 이들 유리기판의 사이를 실런트로 밀봉하고, 상기 유리기판에는 투명전극과 배향층이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기판으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액정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9. 제2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은 일부각도의 회전 또는 각도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0.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의 전방에서 상기 편광광원과 결합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일체로 결합된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복굴절매질을 회전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1.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편광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을 상호간에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21) 상기 복굴절매질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윗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2.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편광광원과;
    (b2) 상기 편광광원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사이에 배치된 복굴절매질과; 여기서, 상기 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복굴절매질을 통과하여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3) 상기 편광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복굴절매질의 일점의 위치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을 상호간에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1) 상기 장식물에는 음각 또는 양각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물의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물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물은 다수의 모서리를 가진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3. 삭제
  14. 장식물이 설치된 조명기구로서,
    (a) 상기 장식물은 빛이 통과하는 매질체로서 편광수단이 설치된 것이고;
    (b1) 편광 된 빛이 방출되는 것으로서 방출되는 빛의 색이 다른 복수개의 편광광원과; 상기 복수개의 편광광원은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을 조사하며;
    (b2) 상기 복수개의 편광광원의 각 편광방향과 상기 장식물에 설치된 편광수단의 편광방향을 상호간에 변화시키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b11) 상기 복수개의 편광광원은 R(적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1편광광원과, G(녹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2편광광원과, B(청색)의 빛이 편광되어 방출되는 제3편광광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광원에서 제3편광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혼합되어 백색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마주보는 두 개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공간에 액정을 충진하며, 이들 유리기판의 사이를 실런트로 밀봉하고, 상기 유리기판에는 투명전극과 배향층이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투명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리기판으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을 변화시키는 액정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조명장치.
KR1020110032626A 2010-11-25 2011-04-08 편광조명장치 KR10126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626A KR101268395B1 (ko) 2011-04-08 2011-04-08 편광조명장치
CN201180056977XA CN103328886A (zh) 2010-11-25 2011-11-25 偏振照明系统
EP11843490.1A EP2644983A4 (en) 2010-11-25 2011-11-25 LIGHTING SYSTEM WITH POLARIZED LIGHT
JP2013540901A JP2014500596A (ja) 2010-11-25 2011-11-25 偏光照明システム
US13/989,210 US9016884B2 (en) 2010-11-25 2011-11-25 Polarization illumination system
PCT/KR2011/009054 WO2012070904A2 (ko) 2010-11-25 2011-11-25 편광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626A KR101268395B1 (ko) 2011-04-08 2011-04-08 편광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839A KR20120114839A (ko) 2012-10-17
KR101268395B1 true KR101268395B1 (ko) 2013-06-04

Family

ID=472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626A KR101268395B1 (ko) 2010-11-25 2011-04-08 편광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3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04A (ja) * 1991-09-03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装飾用照明器具
JP2003241193A (ja) * 2002-02-15 2003-08-27 Ricoh Co Ltd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0734221B1 (ko) 2007-04-10 2007-07-02 (주)유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직 간접 조명의 조절이 가능한전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04A (ja) * 1991-09-03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装飾用照明器具
JP2003241193A (ja) * 2002-02-15 2003-08-27 Ricoh Co Ltd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0734221B1 (ko) 2007-04-10 2007-07-02 (주)유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직 간접 조명의 조절이 가능한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839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359B1 (ko) 편광디스플레이장치
US20240111182A1 (en) Display device
JP6842418B2 (ja) Lcベース光学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TWI306533B (en) A transflective electrophoresis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JP5857599B2 (ja) 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6292057A (zh) 包括边界荧光结构体的液晶显示装置
US9016884B2 (en) Polarization illumination system
CN108241187B (zh) 量子点偏光片、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02981323B (zh) 显示面板、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KR101268395B1 (ko) 편광조명장치
CN103913912A (zh)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控制方法
CN105892200A (zh) 光学色轮组件及其光学色轮
CN102654684A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306546B1 (ko) 편광 반사 조명 시스템
CN106547042A (zh) 散射膜及具有该散射膜的阵列基板
CN106200102B (zh) 面板结构及其制作方法、投影系统
KR101458262B1 (ko) 편광조명시스템
JPH0562504A (ja) 装飾用照明器具
TWI676056B (zh) 具有顏色效果改變的裝置
KR101517672B1 (ko) 높은 채도 또는 짙은 농도의 색을 창출하는 편광을 이용한 색 창출 장치
WO2023074106A1 (ja) 光学素子
JPH09179041A (ja) 光学的異方性物質と光源との組み合わせによる発色装置。
JP2007199158A (ja) 液晶表示素子、及び、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3186846U (ja) 回転偏光板ボックス装置
JP2010198928A (ja) 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