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240B1 -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240B1
KR101267240B1 KR1020130002942A KR20130002942A KR101267240B1 KR 101267240 B1 KR101267240 B1 KR 101267240B1 KR 1020130002942 A KR1020130002942 A KR 1020130002942A KR 20130002942 A KR20130002942 A KR 20130002942A KR 101267240 B1 KR101267240 B1 KR 10126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p
collected
sheet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봉
Original Assignee
(주)두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진건설 filed Critical (주)두진건설
Priority to KR102013000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골재에 투광성 시트(투명한 비닐지의 통칭)를 덮어줄 경우에 투광성 시트의 팽팽한 고정과 비닐하우스의 내부로 결로나 우수 등에 의한 낙수를 방지하고, 비닐하우스를 덮어주는 투광성 시트의 부분적인 훼손시 훼손된 부분만을 교환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결로나 우수 등에 의한 낙수를 방지토록 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드를 종으로 설치하고, 횡으로 물받이 레일을 구비토록 한 후 물받이 레일에 패드가 연결되어 빗물을 집수토록 함은 물론 물받이 레일을 비닐하우스의 통기를 위하여 측벽으로 부분적인 개폐가 가능토록 할 경우에 부분적인 부분의 반복사용에 의하여 훼손되는 투광성시트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빗물등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종으로 설치되는 패드로 구획되어지는 투광성 시트의 구획되어지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교환가능하면서 교환시에도 누수 등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GUTTER AT THE EAVES}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골재에 투광성 시트(투명한 비닐지의 통칭)를 덮어줄 경우에 투광성 시트의 팽팽한 고정과 비닐하우스의 내부로 결로나 우수 등에 의한 낙수를 방지하고, 비닐하우스를 덮어주는 투광성 시트의 부분적인 훼손시 훼손된 부분만을 교환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결로나 우수 등에 의한 낙수를 방지토록 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닐하우스를 제작할 경우에는 비닐하우스의 형태에 따라 밴딩되어지는 파이프형태의 골재(100)가 지반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비닐하우스의 형태에 따라 종으로 길게 설치되어지고, 동시에 종으로 설치되어진 골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골재보다 직경이 작은 횡대(200)를 골재(100)의 상측의 중앙과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일정간격으로 다단으로 장착하게 되고 다시 횡대보다 직경이 작은 종대(300)를 횡대(200)의 상측에 횡대(200)와 직교하도록 골재(100)와 동일선상으로 골재(100)의 간격보다 종으로 촘촘하게 설치하여 뼈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이러한 뼈대의 상층으로 투광성 시트(10)를 덮어줄 경우에 비닐지로 제작되는 투광성 시트(10)를 팽팽하게 당김하여 덮어준다라는 것이 비닐하우스의 구조상 불가능하여 부분적으로 당김이 부족한 부분에서는 바람 등에 의하여 펄럭이게 되면서 그러한 부분에 투광성 시트가 쉽게 손상된다라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투광성시트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라는 것이어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뼈대를 구성하는 골재(100)의 상측(종대(300))에 투광성 시트(10)를 덮어줄 경우에는 투광성 시트의 팽팽한 설치를 위하여 내입부(21)를 갖는 패드(20)를 장착한 후 패드(20)의 내입부(21)에 투광성시트(10)를 고정구(22)를 이용하여 내입되게 끼움고정토록 함으로서 팽팽한 당김이 가능하게 고정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끼움방식은 비닐지로 제조되는 투광성 시트에 손상을 발생시켜 결국 빗물 등에 의한 누수가 발생되고 결국 이러한 손상에 따른 투광성 시트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방식은 온도변화에 의하여 결로가 발생될 경우에 이러한 패드로 인하여 투광성 시트를 타고 흐르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흐르지 못하여 패드가 설치된 부분에서 낙수가 발생되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각종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패드에 2단의 구조를 취하여 패드와 밀착되는 투광성시트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 맺힘에 대하여 패드의 하단에 집수통을 형성하여 한곳으로 집수하여 배수토록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한국 등록실용신안 372569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단지 투광성 시트를 팽팽하게 당김토록 하기 위한 패드의 개선에 불과하고, 이러한 2단의 구조를 갖는 패드는 그 장착의 형태가 종래 투광성시트를 팽팽하게 당김토록 고정하기 위한 패드의 용도(즉 종으로 설치되는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단지 횡으로 설치할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라는 것)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이러한 패드의 사용에 의한 팽팽한 당김고정시 발생되는 투광성시트의 훼손이 발생될 경우에 투광성 시트의 부분적인 교환에 어려움이 존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드를 종으로 설치하고, 횡으로 물받이 레일을 구비토록 한 후 물받이 레일에 패드가 연결되어 빗물을 집수토록 함은 물론 물받이 레일을 비닐하우스의 통기를 위하여 측벽으로 부분적인 개폐가 가능토록 할 경우에 부분적인 부분의 반복사용에 의하여 훼손되는 투광성 시트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빗물 등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고, 또한 종으로 설치되는 패드로 구획되어지는 투광성 시트의 구획되어지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교환가능하면서 교환시에도 누수 등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대에 패드를 장착하고 패드의 양단에는 각각 물받이 레일의 일측단이 연결토록 하고, 물받이 레일은 바닥판의 일측변을 연장토록 하여 받침면을 형성하여 패드에서 집수되는 빗물 등을 받아서 받침골로 집수된 물의 흐름이 가능토록 하고, 바닥판에서 상측으로는 2개의 연결단에 의하여 각각의 내입홈을 갖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내입홈은 각각의 지지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벽을 갖는 내입홈은 일정거리 이격되어지고, 하단의 내입홈의 하부에는 하단의 내입홈에 집수되는 물을 배수토록 하기 위한 물받이 홀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내입홈에서 집수되는 물을 물받이 홀이나 또는 받침골로 배수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내입홈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천공되어지는 것이고, 받침골과 물받이 홀의 바닥면에도 집수통이 장착되는 부위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집수통으로 배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집수통의 구조도 물받이 레일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하여 맺혀지는 물방울이 흐를 경우에 이를 집수토록 하기 위하여 집수통의 좌우단에는 물받이 레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단차를 형성하고, 그 후단에는 집수골에 의한 격벽에 의하여 물받이 레일이 긴밀하게 밀착토록 하면서 격벽에 의하여 물방울이 집수골로 집수토록 하고, 집수골을 형성하는 격벽의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집수골로 집수된 물이 집수통으로 집수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지붕 부근에 투광성 시트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면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또한 비닐하우스의 측벽 부분에 통기를 위한 개폐문에 의한 투광성시트의 부분적인 교환도 가능하면서 누수는 물론 결로 등에 의한 낙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환작업이 간단한 시공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에 패드가 연결된 연결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통에 또 다른 물받이 레일이 장착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물받이 레일이 집수통과 결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받이 레일을 통하여 물이 집수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통에 물받이 레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집수통의 단차에 의하여 집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통의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의 외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에 패드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물받이 레일에서 투광성 시트가 교환되는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패드로 구획되어진 투광성 시트가 부분적으로 교환되는 상태도.
도12는 종래 비닐하우스의 골재에 횡대와 종대가 중첩되게 결합되는 상태도,
도13은 종래의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통기를 위하여 개폐되는 상태도.
도14는 종래의 2단 패드에서 집수를 위한 방식을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물받이 레일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물받이 레일에 패드가 연결된 상태이고, 도3은 집수통에 물받이 레일이 장착되어 집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물받이 레일이 집수통과 결합되는 상태이고, 도5는 물받이 레일이 집수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이 집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집수통의 단차에 의하여 집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형성하는 종대(300)에 상부로 오픈되어진 내입홈(21)을 갖는 패드(20)를 장착하여 패드(20)의 양단은 각각 물받이 레일(30,30a)의 일측변에 연결고정토록 하고, 이때 패드(20)의 내입홈(21)으로 흐르는 빗물 등이 집수가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벽 양측에 장착되는 물받이 레일(30,30a)에는 패드(20)가 연결고정되는 일측변으로 물받이 레일(30,30a)을 형성하는 바닥판(31)을 연장토록 하여 받침면(32)을 형성하여 패드(20)의 내입홈(21)에서 집수되는 빗물 등이 새어나가지 않토록 하고, 이와 같이 집수되어지는 물이 물받이 레일을 타고 집수통으로 집수되도록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받침골(33)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골(33)로 집수토록 하여 물의 넘침이 없이 원활한 흐름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상기 받침골(33)은 물받이 레일(30)에 투광성 시트(10)가 덮여져 각각의 내입홈(34,34a)에 고정구(22)로 가압되어 끼임고정된 상태에서 투광성 시트(1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맺혀진 물방울이 흐르게 될 경우에 내입홈(34)을 형성하는 지지벽(35)과 밀착되면서 받침골(33)로 집수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입홈(21)이 형성되는 패드(20)의 양단이 물받이 레일(30)의 바닥판(31)에서 연장된 받침면(32)에 연결되어짐으로 패드(20)의 내입홈(21)에서 집수되는 물이 물받이 레일(30)의 받침골(33)로 집수되어져 패드(20)에 의하여 구획되어지는 투광성 시트(10)의 일정부분에 훼손이 발생되면 훼손된 부분의 투광성 시트(10)를 구획된 부분을 절개토록 한 후 훼손되지 않은 부분과 교환토록 하는 투광성시트의 일정부분이 중첩되게 형성하여 내입홈(21)에서 중첩되어진 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구(22)로 내입홈(21)에 끼임고정토록 함으로서 투광성 시트(10)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면서 이렇게 중첩된 부분이 내입홈(21)에 위치되어 집수된 물이 물받이 레일(30)의 받침골(33)로 집수됨으로 물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받이 레일(30)의 바닥판(31)에서 2개의 연결단(36,36a)에 의하여 받침골(33)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각각의 내입홈(34,34a)을 갖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내입홈(34,34a)은 각각의 지지벽(35,35a)에 의하여 형성토록 하고, 상기 지지벽(35,35a)을 갖는 각각의 내입홈(34,34a)은 상단과 하단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분되어 지고, 하단의 내입홈(34a)의 하부(즉 받침골의 측방)에는 하단의 내입홈(34a)에 집수되는 물을 누수가 없이 배수토록 하기 위한 물받이 홀(37)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내입홈(34,34a)에서 집수되는 물을 물받이 홀(37)이나 또는 받침골(33)로 배수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내입홈(34,34a)의 바닥면(34-1,34a-1)에는 배수공(38,38a)이 천공되어지는 것이고, 받침골(33)과 물받이 홀(37)의 바닥면에도 집수통(40)이 장착되는 부위에는 배수구(39)가 형성되어 집수통(40)으로만 배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단과 하단이 이격되어져 각각으로 형성된 내입홈(34,34a)의 상부로 투광성 시트(10)가 덮여진 상태에서 각각의 내입홈(34,34a)에 고정구(22)의 끼임고정에 의하여 투광성시트(10)가 각각 내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상단의 내입홈(34)에 끼임고정된 상태에서는 투광성시트(10)의 내측으로 결로에 의하여 물방울 맺힘이 발생되어 흐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벽(35)에 의하여 받침골(33)로 흘러내려 집수되어지는 것이고, 또한 빗물 등은 각각의 내입홈(34,34a)의 상부로 덮여진 투광성시트(10)의 상층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고, 만일 투광성시트(10)가 고정구(22)로 고정된 상태에서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 내입홈(34,34a)으로 누수가 될 경우에도 내입홈(34,34a)의 바닥면(34-1,34a-1)에 천공된 배수공(38,38a)을 통하여 배수되어지면서 받침골(33)이나 물받이 홀(37)로 집수되어지고, 집수되어진 것은 물받이 레일(30)이 물받이 통(40)에 결합된 부위에 배수구(39)가 형성됨으로 배수구(39)를 통하여 물받이 통(40)으로 집수되어 외부로 배수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물받이 레일(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내입홈(34,34a)에 투광성 시트(10)가 내입되어 패드의 내입홈에 장착되는 동일한 고정구(22)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물받이 레일(30)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홈(34a)에 고정되어진 투광성시트(10)의 하단이 통상 비닐하우스의 통기를 위하여 반복적으로 개폐되어질 경우에 훼손이 발생될 경우에는 하단의 내입홈(34a)에 고정된 투광성시트(10)를 절개하여 제거토록 한 후 투광성시트(10)를 하단의 내입홈(34a)에 부분적으로 끼워고정토록 할 경우에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부분적인 교환시 내입홈(34a)에서 발생되는 누수도 내입홈(34a)의 바닥면(34a-1)에 천공된 배수공(38a)을 통하여 물받이 홀(37)로 배수되어짐으로 비닐하우스의 내부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부분적인 투광성 시트(10)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받이 레일(30)이 결합되어지는 집수통(40)의 구조는 물받이 레일(30)이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방지와 또한 물받이 레일(30)의 바닥면을 타고 습기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턱(47)을 형성하고 안착을 유도하면서 물받이 레일(30)과 집수통(40)과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홀(49)을 갖는 안착면(48)을 형성하고, 또한 이러한 안착면(48)에 안착되어 고정홀(49)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물받이 레일(30)의 바닥판(31)의 이면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하여 물방울이 흐를 경우에 이를 집수토록 하기 위하여 집수통(40)의 좌우단에는 물받이 레일(30)이 장착된 상태에서 단차(41)를 형성하고, 단차(41)가 형성된 후단에는 집수골(42)을 형성하게 되는 격벽(43)에 의하여 물받이 레일(30)의 바닥면이 긴밀하게 밀착토록 하여 격벽(43)에 의하여 물방울이 집수골(42)로 집수토록 하고, 집수골(42)을 형성하는 격벽(43)의 일측으로는 개구부(44)를 형성하여 집수골(42)로 집수된 물이 집수통(40)으로 집수토록 한 것이다.
또한 집수통(40)으로 집수된 것은 배출구(45)를 통하여 배출구(45)에 연결되는 배출호스(4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집수통(40)은 골재(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고정토록 하여 집수통(40)의 높이와 골재(10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횡대(200)와 종대(300)의 적층된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서 종대(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패드(20)의 내입홈(21)에 집수되는 물이 물받이 레일(30)의 받침골(33)로 용이하게 집수되어지는 것이다.
10:투광성 시트
20:패드 21:내입홈
30:물받이레일 31:바닥판
32:받침면 33:받침골
34:내입홈 35:지지벽
36:연결간 37:물받이 홀
38:배수공 39:배수구
40:집수통 41:단차
42:집수골 43:격벽
44:개구부 45:배출구
46:배출호스 47:단턱
48:안착면 49:고정홀

Claims (9)

  1.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형성하는 종대(300)에 장착되며 상부로 오픈되어진 내입홈(21)을 갖는 패드(20)와
    상기 종대(300)에 장착되는 패드(20)의 양단은 각각 물받이 레일(30,30a)의 일측변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패드(20)의 내입홈(21)으로 흐르는 빗물등이 집수가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벽 양측에 장착되는 물받이 레일(30,30a)에는 패드(20)가 연결고정되는 일측변으로 물받이 레일(30,30a)을 형성하는 바닥판(31)을 연장토록 하여 받침면(32)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20)의 내입홈(21)에서 집수되는 빗물등이 새어나가지 않토록 집수되어지는 물이 물받이 레일을 타고 집수통으로 집수되어 잘 흐를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받침골(33)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골(33)은 물받이 레일(30)에 투광성 시트(10)가 덮여져 각각의 내입홈(34,34a)에 가압되어 끼임고정된 상태에서 투광성 시트(1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 맺힘이 흐를 경우에 내입홈(34)을 형성하는 지지벽(35)과 밀착되면서 받침골(33)로 집수토록 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홈(21)이 형성되는 패드(20)의 양단이 물받이 레일(30)의 바닥판(31)에서 연장된 받침면(32)에 연결되어져 패드(20)의 내입홈(21)에서 집수되는 물이 물받이 레일(30)의 받침골(33)로 집수되어져 패드(20)에 의하여 구획되어지는 투광성 시트(10)의 일정부분에 훼손이 발생될 경우에 훼손된 부분의 투광성 시트(10)를 패드로 구획된 부분을 절개토록 한 후 교환토록 하여 교환된 투광성시트의 일정부분이 중첩되게 형성하여 내입홈에서 중첩되어진 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구(22)로 끼임고정토록 하여 투광성 시트(10)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면서 중첩된 부분이 내입홈(21)에 위치되어 집수된 물이 물받이 레일(30)의 받침골(33)로 집수됨으로 물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레일(30)의 바닥판(31)에서 받침골(33)을 형성하는 2개의 연결단(36,36a)의 상측으로는 각각의 내입홈(34,34a)을 형성하고, 각각의 내입홈(34,34a)은 각각의 지지벽(35,35a)에 의하여 형성토록 하고, 상기 지지벽(35,35a)을 갖는 각각의 내입홈(34,34a)은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게 일정거리 이격되어지고, 하단의 내입홈(34a)의 하부에는 하단의 내입홈(34a)에 집수되는 물을 누수가 없이 배수토록 하기 위한 물받이 홀(37)을 형성하고, 각각의 내입홈(34,34a)에서 집수되는 물을 물받이 홀(37)이나 또는 받침골(33)로 배수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내입홈(34,34a)의 바닥면(34-1,34a-1)에는 배수공(38,38a)이 천공되어지는 것이고, 받침골(33)과 물받이 홀(37)의 바닥면에도 집수통(40)이 장착되는 부위에는 배수구(39)가 형성되어 집수통(40)으로만 배수가 가능토록 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과 하단이 이격되어져 각각으로 형성된 내입홈(34,34a)의 상부로 투광성 시트가 덮여진 상태에서 각각의 내입홈(34,34a)에 고정구(22)의 끼임고정에 의하여 투광성시트가 각각 내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상단의 내입홈에 끼임고정된 상태에서는 투광성시트의 내측으로 결로에 의하여 물방울 맺힘이 발생되어 흐를 경우에는 지지벽에 의하여 받침골로 흘러내려 집수되어지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내입홈의 상부로 덮여진 투광성시트의 상층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빗물등은 투광성시트가 고정구로 고정된 상태에서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 내입홈으로 누수가 될 경우에도 내입홈의 바닥면에 천공된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어지면서 받침골이나 물받이 홀로 집수되어지고, 집수되어진 것은 물받이 레일이 물받이 통에 결합된 부위에 배수구가 형성됨으로 배수구를 통하여 물받이 통으로 집수되어 외부로 배수되어지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레일(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내입홈에 투광성 시트가 내입되어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물받이 레일의 하단에 형성된 내입홈에 고정되어진 투광성시트의 하단이 통상 비닐하우스의 통기를 위하여 반복 개폐되면서 훼손되어질 경우에 하단의 내입홈에 고정된 투광성시트를 절개하여 제거토록 한 후 투광성시트를 하단의 내입홈에 부분적으로 끼워고정토록 할 경우에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부분적인 교환시 내입홈에서 발생되는 누수도 내입홈의 바닥면에 천공된 배수공을 통하여 물받이 홀로 배수되어짐으로 비닐하우스의 내부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부분적인 투광성 시트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레일(30)이 결합되어지는 집수통(40)은 물받이 레일이 안착된 상태에서 집수통의 좌우단에는 물받이 레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단차(41)를 형성하고, 단차가 형성된 후단에는 집수골(42)을 형성하게 되는 격벽(43)에 의하여 물받이 레일이 긴밀하게 밀착토록 하여 격벽에 의하여 물방울이 집수골로 집수토록 하고, 집수골을 형성하는 격벽의 일측으로는 개구부(44)를 형성하여 집수골로 집수된 물이 집수통으로 집수토록 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의 유동방지를 위하여 단턱(47)을 형성하고 안착을 유도하면서 물받이 레일과 집수통과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홀(49)을 갖는 안착면(48)을 형성하고, 또한 이러한 안착면(48)에 안착되어 고정홀(49)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골재의 상측에 위치되어 고정토록 하여 집수통의 높이와 골재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횡대와 종대의 적층된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서 종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패드의 내입홈에 집수되는 물이 물받이 레일의 받침골로 용이하게 집수되어지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KR1020130002942A 2013-01-10 2013-01-10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KR10126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42A KR101267240B1 (ko) 2013-01-10 2013-01-10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42A KR101267240B1 (ko) 2013-01-10 2013-01-10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240B1 true KR101267240B1 (ko) 2013-05-30

Family

ID=4866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42A KR101267240B1 (ko) 2013-01-10 2013-01-10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349A (ko) * 2016-11-17 2018-05-25 최용철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900A (ja) 2000-09-07 2002-03-26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8220194A (ja) 2007-03-08 2008-09-25 Kyodo Hinode Sangyo Kk ビニールハウスの露取り具
KR100929772B1 (ko)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900A (ja) 2000-09-07 2002-03-26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8220194A (ja) 2007-03-08 2008-09-25 Kyodo Hinode Sangyo Kk ビニールハウスの露取り具
KR100929772B1 (ko)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349A (ko) * 2016-11-17 2018-05-25 최용철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661B2 (en) Valve device
RU2007106943A (ru) Снегоу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966333B1 (en) Rainwater collection device
KR101267240B1 (ko)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US5117597A (en) Roof vent pipe collection device
CN106247512A (zh) 自动回水排水的空调器加湿器
JP6406833B2 (ja) 軒先の排水構造及び建物
WO2007012160A3 (en) Condensate drain pan for an evaporator unit
JP3145276U (ja) 雨水貯留設備
CN211597406U (zh) 屋面暗排水结构
JPH019915Y2 (ko)
US20040163329A1 (en) Eaves beam with internal drainage
EP1020929A1 (en) Assembly with photovoltaic panel for a roof
JP2007195504A (ja)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6332973B2 (ja) 雨樋及び屋外構造物
CN205776585U (zh) 洗碗池排水装置
CN214406457U (zh) 移动空调风道组件冷凝水自排水结构及移动空调
TWI542844B (zh) Drainage device
KR101215106B1 (ko) 배수구 덮개
TH16821B (th) รางน้ำสำหรับฝาปิดกระบะรถที่ม้วนเก็บได้
JP4575113B2 (ja) 排水管飾り部材
KR200372569Y1 (ko) 경질필름온실의 결로수 배출구조
KR20110002979U (ko) 다목적산화방지용수탱크의 간단한 증발방지장치와 집수장치
JP6693717B2 (ja) 屋根構造および建物
JP3030304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