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349A -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349A
KR20180055349A KR1020160153122A KR20160153122A KR20180055349A KR 20180055349 A KR20180055349 A KR 20180055349A KR 1020160153122 A KR1020160153122 A KR 1020160153122A KR 20160153122 A KR20160153122 A KR 20160153122A KR 20180055349 A KR20180055349 A KR 2018005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inyl
guide frame
hou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철
Original Assignee
최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철 filed Critical 최용철
Priority to KR102016015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349A/ko
Publication of KR2018005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있어서, 일직선상으로 비닐시트고정패드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의 하단에서 배면측으로 한 조의 이격패널이 연장되고, 상기 이격패널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측면패널이 형성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의 측면패널과 탈부착 되는 낙수물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낙수를 가이드하며 배수 되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내부로 낙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낙수가이드프레임에 비닐하우스를 이루는 비닐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또한 동일한 구조에서 실현 되도록 하여, 설치 작업의 용이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Vinyl greenhouse for the structure to prevent the gleanings into the interna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이루는 골재에 투명한 비닐을 덮어 팽팽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내부로 결로나 우수 등에 의한 낙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연동식 비닐하우스는 화훼단지나 논,밭 등에서 화초나 야채 등의 농작물, 식물 등을 대량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동식 비닐하우스는 아치형의 골조를 이용하여 복열로 인접되게 설치하고, 그 외부에 비닐을 씌워 실내 온도를 높이면서도 자연광을 최대한 이용하고, 부족한 열은 인위적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내부 식물의 원할한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통상적인 연동식 비닐하우스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우천시 빗물이 아치형의 비닐하우스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 사이의 골부분에 모여 비닐하우스의 전후방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는 우천시 골부분에 빗물이 고이면서 빗물의 자중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골저와 비닐의 처진 부분에 물이 집중적으로 고여 비닐이 찢어지거나 늘어나게 되어 비닐하우스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 10-1267240 호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 특허등록된 기술의 경우,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구성하는 종대에 내입홈을 갖는 패드를 장착하고, 그 패드의 단부와 직교되는 횡방향으로 구성되는 물받이레일을 구성하고 물받이레일의 후면측에 상기 패드의 내입홈을 통하여 집수되는 물이 물받이레일을 타고 집수통으로 집수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선행 특허는 패드와 물받이레일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고, 패드는 종대에 장착된 후 비닐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제공되면서 동시에 패드 전면으로 형성되는 내입홈을 따라 물이 안내되어 이와 직교 되도록 별도로 구성되는 물받이레일을 통해 집수통을 거쳐 배수되는 구성을 갖게 되므로, 구성적인면에서 설치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6-0101374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267240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물받이 구조를 비닐하우스에 설치하는 작업이 단순하고 간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부품의 최소화에 따른 설치 작업의 용이성과 낙수되는 물의 원할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있어서,
일직선상으로 비닐시트고정패드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의 하단에서 배면측으로 한 조의 이격패널이 연장되고, 상기 이격패널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측면패널이 형성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의 측면패널과 탈부착 되는 낙수물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낙수를 가이드하며 배수 되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내부로 낙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낙수가이드프레임에 비닐하우스를 이루는 비닐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또한 동일한 구조에서 실현 되도록 하여, 설치 작업의 용이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과 이들을 연결하여 비닐시트를 타고 내려오는 결로에 의한 낙수를 포집하기 위한 낙수물받이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해 각각 분리된 낙수가이드프레임과 낙수물받이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및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낙수물받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
도 5는 비닐하우스의 골조에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닐시트를 팽팽하게 당기며 설치된 상태에서 낙수가 낙수물받이를 통하여 집수된 후 배수되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듯이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낙수 방지를 위한 물받이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비닐시트를 고정하는 비닐시트 고정수단인 비닐시트고정패드와 낙수가이드프레임을 하나의 구성을 갖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낙수가이드프레임을 이루는 레일과, 그 레일에 직교 결합되며 낙수를 유도하고 비닐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패드의 분리된 구성을 배제하였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이에 결합되는 낙수물받이(200)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전면에 비닐시트(13)를 고정하기 위한 비닐시트고정패드(110)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110) 하단에서 배면측방향으로 이격패널(12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격패널(1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패널(130)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즉,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이캐스팅 사출에 의해 상기 각 구성들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한편, 상기 이격패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시트고정패드(110) 하단에서 후방향 즉 배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조의 이격패널(1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격패널(120)이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하여, 측면패널(120)과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상단부간 사이에 깊은 골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낙수가이드홀(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비닐하우스(10)의 특성상 내부 및 외부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발생되는 낙수는, 낙수가이드홀(140)측으로 비닐하우스(10)를 덮는 비닐시트(13)를 타고 흘러내려 후술하게 되는 낙수물받이(200)로 집수되어 낙수물받이(200) 하단으로 연결되는 호스(3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비닐하우스(10)의 전체 설치 길이에 대응되며 일자 형태로 횡대(12)를 따라 설치되는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것으로 다수개의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상기 낙수물받이(20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되 그 연결부위는 벌어지도록 이격틈(150)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낙수가이드프레임(100)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비닐시트고정패드(1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연결바(16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11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베이스판(11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111) 상하에서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처리되는 라운드부(112)를 형성한 후, 상기 라운드부(112)에서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중앙측으로 경사지는 경사판(113)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비닐시트고정패드(110) 내측방향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이격패널(120)은 베이스판(111)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160)는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라운드부(112)에 내합되며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낙수가이드프레임(100)간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됨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 연결바(160)와 더불어 낙수물받이(200)에 의해 그 연결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전면측 비닐시트고정패드(110)측으로 즉,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비닐시트(13)가 안쪽으로 접혀지는 상태에서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라운드부(112) 및 경사판(113)에 의해 형성되는 요입홈(114)으로 내입되도록 한 다음 고정탄성스프링부재(170)를 이용하여,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요입홈(114)에서 비닐시트(13)를 당기며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양단부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낙수물받이(200)는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데, 상기 측면패널(130)과 접하는 베이스패널(210)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패널(210) 상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면패널(130) 상하단이 내입되며 파지 고정되도록 하는 절곡파지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패널(210) 중앙에 집수부(230)가 형성되도록 배면측으로 돌출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부(230) 하단에 집수공(23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공(231) 하단으로는 호스(300)와 연결되기 위한 호스연결구(240)을 일체로 형성하여,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낙수가이드홀(140)을 통해 집수부(230)측으로 집수되는 낙수가 상기 호스연결구(240)와 연결되는 호스(3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패널(210) 전면측으로 종방향 이격되며 횡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211)를 형성하여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측면패널(130) 배면과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211)와 측면패널(130) 배면간 접촉을 유도하는 것은, 낙수물받이(200)와 낙수가이드프레임(100)간 상호 연결 고정시 접촉력을 최대화하여 슬림 현상에 의한 낙수물받이(200)의 자유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접촉에 의한 마찰력 제공에 의해 기존의 낙수물받이 구조처럼 낙수물받이(200)와 낙수가이드프레임(100)간 고정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나 나사 타입 피스 등의 결합 수단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분리 및 해체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이격틈(150)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이격틈(150)의 자유로운 조절에 의해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다수의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설치, 연결할 때 비교적 정확한 치수에 의해 제공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이 아니라 할지라도, 작업 현장에서의 유연한 작업에 따라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전체적 설치 길이의 가변 조절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종래의 경우 낙수가이드레일 등으로 명명되는 본 발명의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에 부합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경우에, 비닐하우스(10) 전체 길이에 따른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사출하여 얻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비닐하우스(10)의 규모 및 길이가 상이하므로, 현장 조건에 따라 각각 사출 성형하여 현장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장 조건 및 비닐하우스의 조건에 구애되지 않고, 일정 규격으로 생산되는 낙수가이드레프레임(100)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에 능동적인 대응에 의해 설치, 시공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 시공되는 본 발명을 비닐하우스(10)에 적용할 경우 우수 및 비닐하우스(10)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비닐하우스(10) 내부 결로에 의해 비닐시트(13) 표면에 발생되는 물방울들이 모여 낙수화되는 경우, 그 낙수는 비닐시트(13)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낙수가이드홀(140)측으로 포집된 후 이격틈(150) 사이를 통하여 낙수물받이(200)의 집수부(230) 및 집수공(231)을 통하여 호스측으로 배수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비닐하우스 11; 종대
12; 횡대 13; 비닐시트
100; 낙수가이드프레임 110; 비닐시트고정패드
111; 베이스판 112; 라운드부
113; 경사판 114; 요입홈
120; 이격패널 130; 측면패널
140; 낙수가이드홀 150; 이격틈
160; 연결바 170; 고정탄성스프링부재
200; 낙수물받이 210; 베이스패널
211; 돌출부 220; 절곡파지부
230; 집수부 231; 집수공
240; 호스연결구

Claims (6)

  1. 비닐하우스(10)에 설치되는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에 있어서,
    일직선상으로 비닐시트고정패드(110)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하단에서 배면측으로 한 조의 이격패널(120)이 연장되고, 상기 이격패널(12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측면패널(130)이 형성되는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측면패널(130)과 탈부착 되는 낙수물받이(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부재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을 상기 낙수물받이(20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되 그 연결부위는 벌어지도록 이격틈(150)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가이드프레임(100)과 낙수가이드프레임(100)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비닐시트고정패드(1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연결바(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트고정패드(110)는 베이스판(11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111) 상하에서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처리되는 라운드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112)에서 비닐시트고정패드(110)의 중앙측으로 외향 경사지는 경사판(113)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비닐시트고정패드(110) 내측방향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물받이(200)는 상기 측면패널(130)과 접하는 베이스패널(210)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패널(210) 상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면패널(130) 상하단이 내입되며 파지 고정되도록 하는 절곡파지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패널(210) 중앙에 집수부(230)가 형성되도록 배면측 중앙으로 돌출형성 되어지되 상기 집수부(230) 하단에 집수공(231)이 형성되어 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210) 전면측으로 종방향 이격되며 횡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211)를 형성하여 낙수가이드프레임(100)의 측면패널(130) 배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KR1020160153122A 2016-11-17 2016-11-17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KR20180055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22A KR20180055349A (ko) 2016-11-17 2016-11-17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122A KR20180055349A (ko) 2016-11-17 2016-11-17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49A true KR20180055349A (ko) 2018-05-25

Family

ID=6229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122A KR20180055349A (ko) 2016-11-17 2016-11-17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34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417U (ko) * 1989-09-01 1991-04-19
JP3591582B2 (ja) * 2000-09-07 2004-11-24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7195504A (ja) * 2006-01-30 2007-08-09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7222008A (ja) * 2006-02-21 2007-09-06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KR101267240B1 (ko) * 2013-01-10 2013-05-30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417U (ko) * 1989-09-01 1991-04-19
JP3591582B2 (ja) * 2000-09-07 2004-11-24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7195504A (ja) * 2006-01-30 2007-08-09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JP2007222008A (ja) * 2006-02-21 2007-09-06 Toto Kogyo Co Ltd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結露回収装置
KR101267240B1 (ko) * 2013-01-10 2013-05-30 (주)두진건설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1927B2 (en) Green Wall Planting Support Apparatus
US8286390B2 (en) Removable downspout for a gutter system
ITBS20090222A1 (it) Sistema per la realizzazione di un giardino verticale
US20160168857A1 (en) Gutter system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KR101207429B1 (ko)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JP5514493B2 (ja) シートの定着を兼ねた結露水回収装置
KR20180055349A (ko)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 물받이 구조
US20130048121A1 (en) Adjustable Assembly for a Drain Inlet
KR100937581B1 (ko) 전천후 스케이트장의 시공구조
KR101683537B1 (ko) 내부 물받이를 갖는 연동 비닐하우스
CN214126173U (zh) 一种建筑阳台垂直绿化装置
KR101517069B1 (ko) 비닐하우스용 물받이설치구조물
EP3653799A1 (en) Fog collector or device for collecting the water present in the atmosphere
CN206015333U (zh) 洗衣机排水管
JP2009024421A (ja) 落葉等の排出口付雨樋用集水器
CN208220018U (zh) 建筑檐沟排水管用雨水斗
JP5166222B2 (ja) 結露水回収装置
CN210444986U (zh) 一种生态园林景观设计绿化带
KR200486458Y1 (ko) 물받이용 낙엽 방지 커버
KR102044176B1 (ko) 타프 유닛
KR101267240B1 (ko) 비닐하우스 내부로의 낙수 방지와 투광성시트의 보수 용이성을 갖는 비닐하우스의 물받이장치
CN204837451U (zh) 笼子
CN206238872U (zh) 可调式园林座椅
AU2014100545B4 (en) Green Wall Planting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