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998B1 -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998B1
KR101266998B1 KR1020110102492A KR20110102492A KR101266998B1 KR 101266998 B1 KR101266998 B1 KR 101266998B1 KR 1020110102492 A KR1020110102492 A KR 1020110102492A KR 20110102492 A KR20110102492 A KR 20110102492A KR 101266998 B1 KR101266998 B1 KR 10126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weight loss
preven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934A (ko
Inventor
노주원
김철영
판철호
정상훈
엄병헌
강경수
유지혜
이희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998B1/ko
Priority to CN201210057284.9A priority patent/CN103027934B/zh
Publication of KR2013003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 증가 저해 효과와 고지방 식이에 따른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제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ducing weight,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by containing the extract of Crepidiastrum denticulatum}
본 발명은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감량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지방이 과도한 상태를 말하며, 과도한 체지방으로 인한 심장 질환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는 건강 위험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세계적으로 대략 1억 600만 명 이상의 과체중을 가진 성인들이 있으며 최소 400만 명 이상이 비만이며 미국인의 세 명 중 두 명 이상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Low et al, 2009; Cooke and Bloom, 2006). 또한 영국에서 약 20% 이상의 성인이 비만 진단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에도 비만 인구의 비율이 1995년 13.9%이었던 것이 2001년에는 30.6%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대한 비만학회, 2010). 비만한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관절염과 무호흡증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지며 특히 여러 종류의 암과 심장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국립 보건 연구소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는 사망 원인 중 20%에 비만이 관여 했으며 이 수치는 이미 담배에 의한 죽음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보고했다 (Shi and Burn, 2006).
과체중과 비만은 한 가지 원인에서 비롯된다고 정의하기는 어려우나 기본적으로는 우리 몸에서 소비하는 열량에 비해 많은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한다 (NIH, 2010). 그 원인은 크게 내분비적 요소, 유전적인 요소, 사회 환경적인 요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나, 내분비 질환이나 유전적인 요소 등의 2차적인 요소에 의한 비만은 5% 미만이고 대부분 병적 원인이 아닌 단순 비만으로서 소비하는 열량보다 과도한 섭식을 하는 식습관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대한 비만학회, 2010).
대부분의 비만과 과체중이 과도한 칼로리 섭취와 신체 활동 부족에 따른 것이므로 비만의 치료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이 치료의 기본이다. 비만 치료에 있어 체중 감량과 허리 둘레 감소는 중요한 목표이다. 치료의 원칙이 단순한데 비해 장기간의 체중 감량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만은 수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만성 질환으로 접근해야 한다. 생활 습관의 개선에 있어 저 열량식과 병행하여 운동 요법, 행동 치료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일부 심한 비만의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비만을 위한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크게 세 가지 정도의 접근 방식이 있다 (Cooke and Bloom, 2006; Shi and Burn, 2004). 그 첫 번째 접근은 식욕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뇌의 신경을 자극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 디에틸프로프리온(diethylproprion),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펜터민(phentermine) 등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비만 치료에 쓰이고 있다. 두 번째 접근은 섭취한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오리스타트(Orlistat)가 있으며, 이 약은 소화기관에 작용하며 지방의 흡수를 막는 것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약물이다. 세 번째 접근은 생체 내 많은 에너지 소비를 통한 체중 감량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약물은 시부트라민(sibutramine)으로, 신경 조절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 약제들은 신경제 부작용이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방해하는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특히 소아나 임산부 혹은 고혈압 등의 질환을 가진 경우 비만 치료제의 사용을 권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비만의 경우 단기간의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므로 새로운 대체제의 발굴이 필요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는 혹은 치료하는 조성물을 찾아내기 위한 시도가 진행 중이며, 대표적으로 식물로부터 천연 조성물을 분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경우 고 열량식에 따른 30% 이상이 비만이지만 일본과 우리나라는 선진국으로 분류됨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과체중과 비만도를 보이고 있다 (Low et al, 2009). 이는 먹고 있는 식품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식품 특히 산채, 채소, 과일류가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의 좋은 후보군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천연물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로 약용식물에 국한되어 연구가 되고 있는 경향이며, 각국에 자생하는 산채류, 채소류 및 과일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 또한 종래 전혀 알려진 바 없는 식물로부터 암 예방 용도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이고들빼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며, 높이는 30∼70 ㎝이고, 줄기는 가늘고 자줏빛이다. 가지가 퍼지며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이며 꽃이 필 때 스러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 길이는 6∼11 ㎝, 나비는 3∼7 ㎝이며 끝은 둔하다. 밑 부분은 귀처럼 되어 줄기를 반쯤 감싸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는 지름 15 ㎜ 정도로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는데, 꽃이 필 때는 곧게 서고 진 다음 밑으로 처진다. 총포는 좁은 통처럼 생기고 총포조각은 긴 타원 모양 바소꼴로서 2줄로 늘어서고, 안조각은 줄 모양이며 8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갈색이나 검은색이며 12개의 능선이 있다. 관모는 흰색이며 길이 약 3.5 ㎜이며,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한국,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시된 특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131호에는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 세포독성이 없으며, 간의 해독효소인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유도하는 약리기전을 통해 간 보호 및 암 예방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어떠한 문헌에서도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이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함을 개시한 바 없으며, 더욱이 구체적인 약리기전을 통해 이러한 활성을 갖는지에 대해서 확인한 바도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 독성이 없으면서 지속적인 섭식이 가능한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식용 가능한 천연물에서 항비만 활성을 검색하던 중, 이고들빼기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감량 및 간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을 감량시키고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지방 축적에 따라 증가하는 신호 전달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 중 TNFα와 IL-6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고지방 식이에 따른 간의 지방 축적증 역시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서의 지방 축적의 지표물질인 TNFα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서의 지방 축적의 지표물질인 IL-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서의 간의 지방질 축적증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은 이고들빼기 또는 이의 건조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이다. 상기 이고들빼기는 채취한 것, 양식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고들빼기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추출법은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으로 제조되며, 본 발명은 추출방법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또는 HP-20을 포함한 흡착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출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이고들빼기 건조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은 후, 추출용매를 넣고 용액을 끓이면서 환류 추출한 후, 일정시간 방치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추출시간은 2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5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이고들빼기 건조물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은 후, 추출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초음파로 3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를 억제시켜 과체중을 예방하므로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 효과는 구체적인 실험결과들을 근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효능을 보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에 대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체중의 변화, 지방 축적에 따른 신호 전달 물질의 변화, 및 간에서의 지방질 축적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12 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켰다. AIN93G 정상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그룹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를 시작한 지 4주 후부터 8주간 600 mg/kg의 농도로 섭식시켰다.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이고들빼기 추출물 섭식군은 체중의 증가를 절반 정도로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1 참조). 양성 대조군인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 섭식군과는 유사한 정도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1 참조). 건강에 대한 확인으로서 털의 윤기, 광채 혹은 활동성 등에 대해 관찰하였으나 섭식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 섭식군은 혈액 분석에서 지방 축적에 따라 증가하는 신호 전달 물질인 여러 싸이토카인 중 TNFα와 IL-6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도 2, 3 참조). 특히 TNFα의 감소는 극명하게 나타나 지방 축적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 섭식군은 간에서 고지방 식이에 따른 지방질 축적증에 대해서 정상 식이군에 비슷한 정도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4 참조). 양성 대조군인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 섭식군이 약한 억제 효과를 보인데 비해 정상 식이군 만큼의 정상적인 간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에 따른 체중 증가를 줄이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간에서의 지방질 축적증을 억제하므로,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체중감량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비만의 예방과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으로서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 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즈,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등 혼합물,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제, 정맥주사제, 근육 내 주사제 또는 흉부 내 주사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다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약 0.1 내지 1,500 ㎎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500 ㎎ 범위가 보통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 회 투여량으로는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5 내지 300 ㎎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은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고들빼기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시에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조 첨가제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솔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 중량부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 중량부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제조
강원도 평창 산채시험장에서 채취한 이고들빼기를 그늘에서 건조하여,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여 추출용기에 이고들빼기 1 ㎏과 94% 에탄올 5 L를 가하여 초음파로 추출하였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였고, 이후 용매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70 g의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체중 증가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의 체중감량 효과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수컷 C57BL/6 마우스를 4그룹으로 나누어 4일 간의 정상 식이 기간을 주었다. 이후 음성 대조군에는 정상 식이 AIN96G를 주고 다른 군에는 지방을 60% 포함한 고지방 식이를 12주간 섭식시켰다. 고지방 식이 섭식 4주 후에 이고들빼기 추출물 또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에 혼합하여 8주 간 섭식시켰다. 정상 식이군(음성 대조군), 고지방 식이군,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 포함 고지방 식이군(양성 대조군), 이고들빼기 추출물 포함 고지방 식이군의 4군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이고들빼기 추출물 고지방 식이군은 고지방 식이 대비 50% 가량의 체중감량 효과를 보였고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 고지방 식이 역시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이고들빼기 추출물 고지방 식이군은 급격한 TNFα의 저해와 IL-6의 저해를 보여 생체 내 지방의 축적이 줄어들었음을 도 2와 도 3으로부터 확인하였다. 간 조직 검사를 통해 이고들빼기 추출물 고지방 식이군의 간에 지방질 축적증이 정상 식이군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도 4). 이는 고지방 식이에도 불구하고 간에서의 지방질 축적증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에 따른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지방의 축적에 따른 신호 전달 물질을 감소시키며 간에서의 지방질 축적증을 막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에 안전한 물질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제예]
하기 제제예는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를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이고들빼기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이고들빼기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이고들빼기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제의 제조
이고들빼기 추출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2-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이고들빼기 추출물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2-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중량%
설탕 76.36∼76.76 중량%
이고들빼기 추출물 0.24∼0.64 중량%
후르츠향 1 중량%
물 2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중량%
물엿 39.26∼49.66 중량%
이고들빼기 추출물 0.24∼10.64 중량%
오렌지향 0.1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2-4.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 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5.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6.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고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에 따른 이고들빼기의 추출물 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현미 30 중량%
율무 20 중량%
보리 25 중량%
들깨 7 중량%
검정콩 7 중량%
검은깨 7 중량%
이고들빼기 추출물 3 중량%
영지 0.5 중량%
지황 0.5 중량%

Claims (14)

  1.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체중감량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지방의 축적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산제, 정제, 캡슐제 및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이고들빼기(Crepidiastrum denticulatu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체중감량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고들빼기 추출물은 지방의 축적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츄잉껌, 캔디, 밀가루, 유제품 또는 선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10102492A 2011-10-07 2011-10-07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126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92A KR101266998B1 (ko) 2011-10-07 2011-10-07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CN201210057284.9A CN103027934B (zh) 2011-10-07 2012-03-06 包含黄瓜假还阳参提取物的药物组合物和保健食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492A KR101266998B1 (ko) 2011-10-07 2011-10-07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934A KR20130037934A (ko) 2013-04-17
KR101266998B1 true KR101266998B1 (ko) 2013-05-30

Family

ID=4801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492A KR101266998B1 (ko) 2011-10-07 2011-10-07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6998B1 (ko)
CN (1) CN10302793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61B1 (ko) 2006-10-12 2008-07-04 문제학 고들빼기 뿌리와 줄기 및 잎으로부터 분리한천연항산화물질 및 그의 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59A (zh) * 1994-08-24 1996-02-28 刘占斌 苦菜减肥保健液的制备方法
CN1058901C (zh) * 1998-04-20 2000-11-29 孔政 一种减肥净身茶及其制造方法
CN1394947A (zh) * 2001-07-09 2003-02-05 曹光荣 保健酒及其加工方法
CN101322518A (zh) * 2008-07-13 2008-12-17 刘鹏 一种用纯野生苦苦菜制作保健茶叶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61B1 (ko) 2006-10-12 2008-07-04 문제학 고들빼기 뿌리와 줄기 및 잎으로부터 분리한천연항산화물질 및 그의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7934A (zh) 2013-04-10
CN103027934B (zh) 2015-02-04
KR20130037934A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20140064280A (ko) 수면유도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857404A (zh) 睡眠质量改善剂
JP2018516987A (ja) 阿魏茸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代謝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又は健康機能性食品
KR100555904B1 (ko)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66998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량 및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8971B1 (ko) 호박, 엉겅퀴, 단호박, 양파, 토마토, 돼지감자,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1257909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5006B1 (ko) 엉겅퀴, 도라지 및 더덕이 포함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천식 및 혈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620166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odontella aurita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70055366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61340A (ko) 고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0526A (ko)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진된 kiom 숙지황의 제조방법
KR20230161341A (ko)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8291A (ko)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력증가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6478A (ko) 원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보호용 조성물
KR20230096583A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