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481B1 -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481B1
KR101266481B1 KR1020060111716A KR20060111716A KR101266481B1 KR 101266481 B1 KR101266481 B1 KR 101266481B1 KR 1020060111716 A KR1020060111716 A KR 1020060111716A KR 20060111716 A KR20060111716 A KR 20060111716A KR 101266481 B1 KR101266481 B1 KR 10126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mera unit
photographing apparatus
c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102A (ko
Inventor
차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481B1/ko
Priority to US11/783,086 priority patent/US7643747B2/en
Priority to CNA2007101809032A priority patent/CN101184164A/zh
Publication of KR200800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초기화 시간 단축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소정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가 임시 저장되는 제1메모리, 제1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제2메모리, 그리고, 제2메모리가 초기화되는 동안, 제1메모리에 영상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제2메모리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1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촬영장치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촬영장치, 초기화, RAM, 플래시메모리, EEPROM, 조정데이터

Description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Photograph apparatus and initializ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카메라부 110 : 조작부
120 : 카드부 130 : RAM
140 : EEPROM 150 : 플래시메모리
160 : DSP 170 : 디스크부
180 : 재생부
본 발명은 초기화 시간 단축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 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인가한 후, 촬영가능한 상태에 도달하기까지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시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와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광전 변환된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촬영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후, 촬영가능한 대기모드로 진입할 때까지, 도 1에 설명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촬영장치에 전원이 ON되면(S10),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전원이 인가되고, RAM(Random Access Memory)이 초기화된다(S11). 즉, DSP가 RAM의 모든 영역에 대해, 어드레스를 하나씩 읽어와서 각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0'으로 기록하여, RAM을 초기화하게 된다.
DSP는 외부조작에 의한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DSP에 연결된 모든 포트의 역할을 설정하여, DSP가 초기화된다(S12). 그리고, 촬영장치에 구비된 여러 가지 디바이스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디바이스들을 초기화한 후(S13), DSP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를 조정한다(S14).
여기서, 카메라부는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CCD(Charged Coupled Device)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AE(Auto Exposure), AF(Auto Focus), 및 AWB(Auto White Balance)의 조건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이다. 그리고, 촬영장치는 제조시 모두 이상적으로 만들어질 수 없으며, 각 각의 촬영장치에는 편차가 조금씩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차는 주로 카메라부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편차를 줄이기 위해 설정된 데이터를 조정데이터라 한다.
조정데이터에 따라 카메라부의 조정이 완료되면, DSP는 현재의 촬영환경에 적합하도록 카메라부를 재조정한다(S15). 그리고, 메모리카드나 CF(Compact Flash)카드 등이 장착되는 카드부를 초기화한다(S16). 즉, 카드부에 장착된 카드의 카드정보를 읽어온다.
그리고 나면, 촬영장치는 촬영이 가능한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17). 이때, 사용자가 촬영동작을 수행하면(S18), DSP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카드부에 저장한다(S19).
이상과 같이, 종래의 촬영장치는 전원을 인가한 후,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모드로 진입하기까지, 수 초가 소요된다. 그래서,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없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야 촬영동작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촬영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촬영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전원이 인가된 후, 즉시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화 시간 단축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소정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신호가 임시 저장되는 제1메모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제2메모리, 및 상기 제2메모리가 초기화되는 동안, 상기 제1메모리에 상기 영상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제2메모리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메모리는 탈착 및 분리 가능한 메모리카드 및 CF(Compact Flash)카드 중, 어느 하나거나, HDD(Hard Disk Drive) 및 광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영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의 편차를 없애기 위한 조정데이터가 프로그램 소스와 함께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전원이 켜지면,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소스와 상기 조정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카메라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메모리에 한 번의 초기화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제1메모리가 초기화되는 동안, 상기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은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한 후, 소정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가 제1메모리에 임시 저장되는 단계, 및 제2메모리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메모리는 탈착 및 분리 가능한 메모리카드 및 CF(Compact Flash)카드 중, 어느 하나거나, HDD(Hard Disk Drive) 및 광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은 상기 제1메모리를 초기화하면서, 제3메모리에 프로그램 소스와 함께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및 상기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촬영장치는 카메라부(100), 조작부(110), 카드부(120), RAM(Random Accessory Memory)(13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40),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150), DSP(Digital Signal Processor)(160), 디스크부(170), 및 재생부(18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0)는 렌즈(미도시)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CCD(Charged Coupled Device)(미도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 변환시킨 후, AE(Auto Exposure), AF(Auto Focus), 및 AWB(Auto White Balance) 등의 조건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00)는 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후술 되는 플래시메모리(150)에 저장된 조정데이터에 따라 렌즈의 포커스, 줌, 및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등이 조정된 후, 현재의 촬영환경에 따라 재조정된다.
조작부(110)에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각종 키가 마련되며, 사용자는 조작부(110)를 통해 촬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아서,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후술 되는 DSP(160)에 전달한다.
카드부(120)에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및 CF(Compact Flash)카드 등이 장착된다. DSP(160)가 카드부(120)에 장착된 카드에 기록된 카드정보를 읽어와서, 카드의 용량 및 구조 등을 파악함으로써, 카드부(120)의 초기화가 실행되고, 카드부(120)가 초기화된 후, 촬영된 영상신호가 카드부(120)에 기록되게 된다.
RAM(130)에는 DSP(160)가 촬영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발생한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또한,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RAM(130)에 임시 저장된 후, 카드부(120)에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RAM(130)의 용량은 64M 정도이며, 대략 1-3장 정도의 사진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저장된다.
여기서, RAM(130)은 DSP(160)에서 한 번에 하나의 어드레스를 읽어온 후, 이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0'으로 기록하던 종래와는 달리, DSP(160)에서 한 번에 전달되는 일괄초기화명령에 따라, RAM(130)의 모든 영역의 데이터를 '0'으로 기록하게 된다. 이때, DSP(16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소스에 따라, RAM(130)의 임의의 어드레스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특정값이 저장된다.
EEPROM(140)에는 사용자의 설정정보가 저장되며, EEPROM(140)에 저장된 설정정보는 촬영장치의 전원이 꺼져도 지워지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정보에는 사진 사이즈,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 등이 있다.
플래시메모리(150)에는 촬영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소스 및 카메라부(100)의 편차를 없애기 위한 조정데이터가 동일한 영역에 저장된다. 촬영장치의 전원이 ON되면, 조정데이터는 프로그램 소스와 함께 읽혀진 후, DSP(160)에 의해 카메라부(100)의 렌즈 포커스, 줌, 및 화이트밸런스 등을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DSP(160)는 조작부(110)를 통해 촬영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전원 ON명령이 수신되면, RAM(130)에 일괄초기화명령을 전달한 후, RAM(130)이 초기화되는 동안 플래시메모리(150)에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00)를 조정한다. 또한, 촬영환경에 따라 카메라부(100)를 재조정하면서, 카드부(120)에 장착된 카드의 카드정보를 읽어와서 카드부(120)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조작부(110)를 통해 촬영명령이 수신되면, 촬영된 영상신호를 RAM(130)에 임시 저장한 후, 카드부(12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RAM(13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카드부(120)에 옮겨 저장한다. 카드부(120)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 촬영되는 영상신호에 관해서는 바로 카드부(120)에 저장하게 된다.
디스크부(170)에는 HDD(Hard Disk Drive)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가 포함되며, RAM(130)에 임시 저장된 영상신호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디스크부(170)에 저장되기도 한다.
재생부(18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되며, 카메라부(10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나, 카드부(120) 및 디스크부(170)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영상으로 재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초기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먼저, 촬영장치의 전원이 ON되면(S200), DSP(160)는 RAM(130)을 초기화하면서 플래시메모리(150)에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00)를 조정한다(S210).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작부(110)를 통해 촬영장치의 전원을 켜기 위한 전원 ON명령이 입력되면, DSP(160)는 플래시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소스 및 조정데이터를 읽어온 후, 프로그램 소스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DSP(160)는 RAM(130)에 일괄초기화명령을 전달한 후, RAM(130)의 초기화가 진행되는 동안, 플래시메모리(150)에서 읽어온 조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00)의 렌즈 포커스, 줌, 및 화이트밸런스 등을 조정한다.
그리고, DSP(160)가 외부조작에 의한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프로그램 소스에 따라 DSP(160)에 연결된 모든 포트의 역할을 설정함으로써, DSP(160)가 초기화된다(S220).
DSP(160)가 초기화되면, 카메라부(100) 및 재생부(미도시) 등의 디바이스들에 전원이 공급되어 디바이스들의 초기화가 진행되고(S230), DSP(160)는 카메라부(100)를 재조정하면서, 카드부(120) 및 디스크부(170)를 초기화한다. 즉, DSP(160)는 현재의 촬영환경에 적합하도록 카메라부(100)의 렌즈 포커스, 줌, 및 화이트밸런스 등을 조정하면서, 카드부(120)에 장착된 카드의 카드정보를 읽어와 카드의 용량 및 구조 등을 파악한다. 또한, 디스크부(170)에 구비된 HDD 및 DVD 등을 초기화 한다(S240).
이때, 촬영동작이 수행되면(S250), DSP(160)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RAM(130)에 임시 저장한 후(S260), 카드부(12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RAM(13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카드부(120) 혹은 디스크부(170)에 저장하게 된다(S270). 여기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카드부(120) 혹은 디스크부(170)에 저장하기 위해 카드부(120) 및 디스크부(170)의 초기화가 완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RAM(130)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촬영장치의 초기화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250에서, 촬영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촬영장치는 촬영 가능한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28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50)에 프로그램 소스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촬영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DSP(160)에 의해 프로그램 소스와 함께 바로 읽혀지게 되므로, 촬영장치의 초기화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즉, 기존의 EEPROM(140)에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읽어오는데 있어서 대략 1s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반해, 플래시메모리(150)에 저장된 조정데이터를 읽어 오는데는 대략 1ms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조정데이터를 읽어오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DSP(160)가 RAM(130)에 일괄초기화명령을 전달하여 RAM(130)을 초기화하는 동안, DSP(160)는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RAM(130)을 초기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카드부(120)나 디스크부(170)에 저장하지 않고, 카드부(120) 및 디스크부(170)가 초기화되는 동안 RAM(130)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촬영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장치의 초기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바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제1 메모리;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신호처리하여 촬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촬영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소스 코드 및 상기 카메라부의 조정을 위한 조정 데이터가 저장된 플래쉬 메모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메모리의 모든 영역을 일괄적으로 초기화시키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메모리가 초기화되는 동안,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 소스 코드와 상기 조정 데이터를 읽고, 상기 조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프로그램 소스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촬영명령을 수신하는 조작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생성된 촬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2 메모리의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촬상 이미지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메모리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HDD(Hard Disk Drive) 및 광 기록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전원이 인가되면 제1 메모리의 모든 영역을 일괄적으로 초기화시키는 제1 메모리 초기화 단계; 및
    상기 제1 메모리가 초기화되는 동안 촬영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소스 코드와 카메라부의 조정을 위한 조정 데이터를 읽고, 상기 조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데이터는,
    동일한 플래쉬 메모리에 상기 프로그램 소스 코드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초기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초기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소스 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초기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초기화시키는 제2 메모리 초기화 단계;
    렌즈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신호처리하여 촬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모리의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촬상 이미지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장치의 초기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초기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메모리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HDD(Hard Disk Drive) 및 광 기록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의 초기화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11716A 2006-11-13 2006-11-13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KR10126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16A KR101266481B1 (ko) 2006-11-13 2006-11-13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US11/783,086 US7643747B2 (en) 2006-11-13 2007-04-05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nitialization method thereof
CNA2007101809032A CN101184164A (zh) 2006-11-13 2007-10-09 照相装置及其初始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716A KR101266481B1 (ko) 2006-11-13 2006-11-13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02A KR20080043102A (ko) 2008-05-16
KR101266481B1 true KR101266481B1 (ko) 2013-05-23

Family

ID=3936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16A KR101266481B1 (ko) 2006-11-13 2006-11-13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43747B2 (ko)
KR (1) KR101266481B1 (ko)
CN (1) CN101184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6293B2 (en) 2012-06-12 2016-05-10 Hanwha Techwin Co., Ltd.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illan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004A (ko) *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지,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190681B1 (en) 2015-07-10 2021-11-30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SP fast boot
CN106254775A (zh) * 2016-08-22 2016-12-21 贵州万臻时代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连拍方法及装置
CN111953897B (zh) * 2017-05-05 2021-09-10 瑞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拍摄图像的方法和装置
CN207869382U (zh) * 2018-01-30 2018-09-1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扬声器箱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330A (ja) * 1997-12-17 1999-07-02 Canon Inc カメラのメモリ改変システム
JP2002055388A (ja) * 2000-08-10 2002-02-20 Minolta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US7046924B2 (en) * 2002-11-25 2006-05-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n area of importance in an image using eye monitoring information
JP2005303991A (ja) * 2004-03-15 2005-10-2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6238298A (ja) * 2005-02-28 2006-09-07 Megachips Lsi Solutions Inc カメラ付き電子機器およびカメラ付き電子機器に組み込まれるメインモジュール
JP2007006165A (ja) * 2005-06-24 2007-01-11 Fujifilm Holdings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7080184A (ja) * 2005-09-16 2007-03-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6293B2 (en) 2012-06-12 2016-05-10 Hanwha Techwin Co., Ltd.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ill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4164A (zh) 2008-05-21
US20080112702A1 (en) 2008-05-15
KR20080043102A (ko) 2008-05-16
US7643747B2 (en) 201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6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N102761688B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266481B1 (ko) 촬영장치 및 그의 초기화방법
JP5709629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402734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040032490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sen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620864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59512A (ko) 렌즈부 셰이딩 현상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70426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5061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9317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81030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情報表示方法
JP200219932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記憶媒体および集積回路
JP200111195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0916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5051697A (ja) 撮像装置
JP543611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57691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200930277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98491B2 (ja) 撮像装置
JP2006033159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2135647A (ja) 撮像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16208206A (ja) 記録装置
JP2001330868A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610887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