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381B1 -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381B1
KR101266381B1 KR1020080026957A KR20080026957A KR101266381B1 KR 101266381 B1 KR101266381 B1 KR 101266381B1 KR 1020080026957 A KR1020080026957 A KR 1020080026957A KR 20080026957 A KR20080026957 A KR 20080026957A KR 101266381 B1 KR101266381 B1 KR 10126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anaging
job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670A (ko
Inventor
윤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381B1/ko
Priority to US12/388,582 priority patent/US8284414B2/en
Publication of KR2009010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78Performing substitution, e.g. substitute reception or substituting a corrupted line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방법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제1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대응하여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가운데 제2서버가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시스템은 복사, 스캔, 인쇄, 팩스 등을 수행하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와, 네트워크(5)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에 연결되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의 작업을 관리하는 서버(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7)와 이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형성장치는 1: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관계로서, 여러 대의 서버(7)가 동시에 동일한 장치로부터 작업 레코드를 가져올 수는 없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 각각은 저장부(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사, 스캔, 인쇄, 팩스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작업 인덱스와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저장부(3)에 저장한다.
상기 서버(7)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작업 인덱스와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며, 상기 저장부(1)가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1)를 관리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상형성시스템은 서버가 예기치 못한 문제로 다운되는 경우에 대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새로 생성되는 작업 레코드는 상기 저장부에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상기 저장부의 저장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작업 레코드를 수집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 정보가 손실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버에 오류 발생 시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다른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여 관리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제1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 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가운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요청단계는 상기 제1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관리를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가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1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 알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의 비정상 동작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서버가 복구된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수집한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제1서버로 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레코드 이전단계는,
제1서버의 복구를 상기 제2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에게 응답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2서버에게 작업 레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작업 레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 및 상기 제2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서버의 복구를 알린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메인으로 관리하는 제1서버 및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제2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2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시스템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제1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가운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시스템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메인으로 관리하는 제1서버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제2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문제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며,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1서버를 대신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각각은 복사, 스캔, 팩스 및 인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작업 레코드 및 작업 인덱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와 통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작업 레코드를 수집한 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가 삭제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은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서버가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더라도, 다른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레코드의 손상없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할 수 있어서 관리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10)와, 상기 화상형성장치(10)를 관리하는 복수의 서버(20)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는 화상형성부(11)와, 이 화상형성부(11)의 작업 레코드와 작업 인덱스를 저장하는 저장부(15)와, 제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부(11)는 인쇄부, 스캔부, 복사부 및 팩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인쇄, 스캔, 복사 및 팩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화상형성장치(10)는 상기한 인쇄, 스캔, 복사 및 팩스 기능 중 적어도 2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5)는 상기 화상형성부(11)를 통하여 수행되는 작업에 대한 작업 레코드와, 작업 인덱스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레코드는 작업 대상 문서의 파일명, 요청 사용자 이름, 작업 일시, 작업 매수, 작업 종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버(20)는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를 나누어 관리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시스템이 구성된 경우, 제1서버(21)는 A로 표시된 제1그룹의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며, 제2서버(23)는 B로 표시된 제2그룹의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그룹에 속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서버에 의하여 관리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와 이에 의하여 관리되는 화상형성장치는 1:N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관계로서,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동시에 여러 대의 서버가 작업관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1서버(21)를 예로 들어, 정상적인 상황에서 작업 관리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서버(21)는 제1그룹의 화상형성장치(A) 각각으로부터 작업 인덱스와 작업 레코드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며, 수집 후에는 상기 제1그룹의 화상형성장치(A)의 상기 저장부(15)의 저장 공간을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의 삭제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수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13)가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를 삭제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버(21)가 상기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기 전에 상기 제1그룹의 화상형성장치(A)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예컨대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구성하는 저장부(15)의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게 된 경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는 저장 공간이 부족한 상태를 상기 제1서버(21)에 알리고, 작업 레코드의 수집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버(21)가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며, 수집이 완료 된 후에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를 삭제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인덱스는 어느 작업 레코드까지 수집되었는지 여부와, 작업 레코드의 삭제 범위 등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20)의 관리자는 수집된 작업 레코드를 일정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화상형성장치(10)를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한다.
한편, 제1서버(21)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로부터 상기 제1서버(21)가 작업 레코드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21)의 비정상적인 작동 원인으로는 제1버(21)의 전원 오프, 네트워크 접속 장애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1서버(21)에 의해 관리되는 제1그룹의 화상형성장치(A) 가운데 제1화상형성장치(11a)의 화상형성 과정에서 상기 제1서버(21)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비정상적인 상황 하에서 작업 관리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는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가 발생된 경우 다른 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관리를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가 상기 제1서버에 작업 레코드 수집을 요청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서버가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는지 여부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디폴트값 내지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한 시간값이다.
상기 관리 요청을 받은 서버 가운데 가장 먼저 응답을 한 어느 하나의 서버 예컨대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21)를 대신하여 임시로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한다.
한편,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는 상기 제1서버(21)에 의해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버(21)가 작업 레코드 수집을 위한 기능을 포함한 일부 장애가 있는 경우는 문제가 있음을 자가진단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서버(21)가 다른 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관리를 요청한다. 새로 관리를 맡은 서버 예컨대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의 비정상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 통지하여, 서버가 임시로 변경되었음을 알린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버(21)의 정상 동작 여부를 별도로 판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서버(21)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대 비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 각각에 대하여 메인 서버와 보조 서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제1서버를 메인 서버로 지정하고, 상기 제2서버를 보조 서버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서버가 비정상 동작 시 다른 서버의 검색 과정 없이, 제1서버를 대신하여 임시적으로 관리할 제2서버를 바로 지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서버(23)는 상기 제1서버(21)를 대신하여,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2서버(23)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면 이를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 통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수집이 완료된 작업 레코드가 삭제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의 비정상 동작 사실을 관리자에게 이메일,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RSS 등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 동작 상태로 복구된 경우, 복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서버(21)는 그 복구 상태를 상기 제2서버(23)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에 알림으로써,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하는 제2서버(23)를 검색한다. 즉, 상기 제1서버(21)는 서버가 복구되어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IP adress), 호스트 네임(host name)과 같은 제1서버의 정보를 네트워크 상에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을 통하여 연결된 서버들은 상기 제1서버의 정보 를 전송받고, 이들 가운데 상기 제2서버(23)는 자신이 제1화상형성장치를 임시로 관리하고 있음을 제1서버에게 알려준다.
이어서, 상기 제1서버(21)가 통신 인터페이스(30) 통하여 상기 제2서버(23)로부터, 제1화상형성장치(10a) 관련 작업 레코드, 작업 인덱스 등을 포함한 작업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서버(21)는 제2서버(23)로부터 제1화상형성장치(10a)와 관련된 작업 전송이 완료된 후, 복구 사실 및 전송 완료 사실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에 알린다.
상기 서버(20) 사이의 인터페이스(30)는 IP 브로드 캐스트(IP broadcast), SLP 멀티 캐스트(Service Location Protocol multicast; SLP multicast), IP 레인지(IP range), 웹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서버(21)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1a) 외의 상기 제1서버(21)에 의하여 관리되는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경우도 제1화상형성장치(11a)와 마찬가지로 제2서버(23)를 포함한 다른 정상적인 서버 가운데 어느 하나를 임시 서버로 하여 작업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화상형성시스템은 관리자의 관리 편의를 고려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어 있는 서버 목록을 보여주는 화면과, 각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보여주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서버가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더라도, 다른 서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함으로써, 작업 레코드의 손상없이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10)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하는 제1서버(21)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20)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은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제1서버(21)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S20); 및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서버 예컨대 제2서버(23)를 통하여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서버(21)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계속하여 관리한다(S4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저장 공간이 작업 레코드를 저장하기에 충분한지 아니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가 상기 제1서버(21)에 상기 작업 레코드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S13)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작업 레코드 수집 요청에 대하여,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서버(21)가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 S15에서 소정 시간 내에 작업 레코드를 수집하면 단계 S40을 수행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 상기 제1서버가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20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과정 이외에도 제1서버 자체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상기 관리 요청단계(S20)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가 관리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서버(21)가 관리를 요청한다. 단계 S20에 있어서, 다른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서버 가운데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를 지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가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1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 알린다.
그리고, 단계 S30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받은 서버 가운데 가장 먼저 응답한 어느 하나의 서버 예컨대 제2서버를 선택하는 단계(S31)와, 이 제2서버(23)를 통하여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하는 단계(S35)로 세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35)는 상기 제2서버(23)를 통하여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작업 레코드를 수집 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 내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서버(23)가 상기 제1서버(21)의 비정상 동작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50). 여기서, 통지는 이메일,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RSS 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방법은 상기 제1서버가 복구된 경우(S60), 상기 제2서버가 수집한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제1서버로 이전하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 레코드 이전단계(S70)는 제1서버(21)의 복구 상태를 상기 제2서버(23)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20)에 알리는 단계(S71); 상기 제2서버(23)가 상기 제1서버(21)에 응답하는 단계(S73); 상기 제1서버(21)가 상기 제2서버(23)에게 작업 레코드를 요청하는 단계(S75); 및 상기 제2서버(23)가 상기 작업 레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77)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70은 상기 제1서버(21)가 상기 제2서버(23)로부터 작업 레코드를 전송 받은 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게 상기 제1서버의 복구 사실을 알리는 단계(S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시스템은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메인으로 관리하는 제1서버(21) 및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제2서버(23)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20)를 구비한다.
이 화상형성시스템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시스템과 비교하여 볼 때, 상기 제2서버(23)를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서버로 미리 지정한 점에서 구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은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제1서버(21)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보조 서버인 제2서버(23)에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S120)와, 요청받은 제2서버(23)를 통하여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관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서버(21)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를 계속하여 관리한다(S140).
상기 제1서버(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리방법의 단계 S10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관리 요청단계(S120)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 또는 상기 제1서 버(21)가 관리를 요청한다.
단계 S130은 상기 제2서버(23)를 통하여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의 작업 레코드를 수집 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10a) 내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서버(23)가 상기 제1서버(21)의 비정상 동작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5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방법은 상기 제1서버(21)가 복구된 경우(S160), 상기 제2서버(23)가 수집한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제1서버(21)로 이전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작업 레코드 이전단계(S170)는 제1실시예의 단계 S70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은 일부 서버가 비정상적인 상황에 있더라도 다른 서버를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함으로써, 작업 레코드의 손상 없이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용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이를 수록한 컴퓨터 독취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 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5는 도 4의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세분하여 보인 순서도.
도 6은 도 4의 작업 레코드 이전 과정을 세분하여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부
13: 제어부 15: 저장부
10a: 제1화상형성장치 20: 서버
21: 제1서버 23: 제2서버
30: 인터페이스

Claims (14)

  1.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제1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가운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가 복구된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수집한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제1서버로 이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업 레코드 이전단계가,
    제1서버의 복구를 상기 제2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에게 응답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2서버에게 작업 레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작업 레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요청단계는 상기 제1서버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관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의 동작 상태를 상기 제1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의 비정상 동작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 및 상기 제2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서버의 복구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8.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메인으로 관리하는 제1서버 및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제2서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2서버에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는 단계;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서버가 복구된 경우, 상기 제2서버가 수집한 작업 레코드를 상기 제1서버로 이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업 레코드 이전단계가, 상기 제1서버가 상기 제2서버로부터 작업 레코드를 이전받은 후, 상기 제1서버의 복구 사실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요청단계는,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 또는 상기 제1서버가 관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의 관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하는 제1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서버를 제외한 복수의 서버 중 하나의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할 때,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로 작업 레코드를 전송한 후, 상기 제1서버의 복구 사실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13. 제1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메인으로 관리하는 제1서버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보조하여 관리하는 제2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제1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문제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서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관리를 요청하며,
    상기 제1서버를 대신하여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할 때,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서버로 작업 레코드를 전송한 후, 상기 제1서버의 복구 사실을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복사, 스캔, 팩스 및 인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작업 레코드 및 작업 인덱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와 통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제2서버가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작업 레코드를 수집한 후에 상기 제1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작업 레코드가 삭제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20080026957A 2008-03-24 2008-03-24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126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57A KR101266381B1 (ko) 2008-03-24 2008-03-24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US12/388,582 US8284414B2 (en) 2008-03-24 2009-02-19 Image forming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57A KR101266381B1 (ko) 2008-03-24 2008-03-24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70A KR20090101670A (ko) 2009-09-29
KR101266381B1 true KR101266381B1 (ko) 2013-05-22

Family

ID=4108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957A KR101266381B1 (ko) 2008-03-24 2008-03-24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4414B2 (ko)
KR (1) KR101266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931B2 (ja) * 2011-10-31 2016-05-2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5807713B1 (ja) * 2014-10-24 2015-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75098B1 (ko) * 2015-06-26 2016-11-10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서버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9912782B2 (en) * 2015-12-22 2018-03-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in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redundanc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5675A1 (en) 2001-02-06 2002-08-08 Fuji Photo Film Co., Ltd.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US20020156984A1 (en) * 2001-02-20 2002-10-24 Storageapp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orage area network as network attached storage
JP2004234625A (ja) * 2003-01-09 2004-08-19 Seiko Epson Corp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被アクセス端末、アクセス端末および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アクセス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565A (en) * 1993-07-20 1999-11-02 Vinca Corporation Method for rapid recovery from a network file server failure including method for operating co-standby servers
US20030160993A1 (en) * 1998-10-30 2003-08-28 Kian Hoe Kang Method for printing to a networked printer
JP2004220564A (ja) * 2002-12-26 2004-08-05 Seiko Epson Corp デバイス連携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デバイス用プログラム、並びにデバイス連携管理方法
US8081323B2 (en) * 2003-01-31 2011-12-20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remote printer
US7174479B2 (en) * 2003-09-10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ollback-free failure recovery of multi-step proced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5675A1 (en) 2001-02-06 2002-08-08 Fuji Photo Film Co., Ltd.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JP2002229762A (ja) * 2001-02-06 2002-08-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20156984A1 (en) * 2001-02-20 2002-10-24 Storageapp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orage area network as network attached storage
JP2004234625A (ja) * 2003-01-09 2004-08-19 Seiko Epson Corp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被アクセス端末、アクセス端末および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アクセス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70A (ko) 2009-09-29
US20090237702A1 (en) 2009-09-24
US8284414B2 (en)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5961B2 (en) Read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9176202A (ja) 印刷処理システム
US84773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ser setup information
US95257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updating the transmission result of a multi-address transmission
US201300141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management system
JP2009295080A (ja) 印刷処理システム
KR101266381B1 (ko) 화상형성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US20240012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nting service
US8495191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JP201102285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出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354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20099B2 (ja) デバイス管理装置、デバイス管理方法及びデバイス管理プログラム
JP477111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装置
JP735119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7091037A (ja) システム、管理装置、システムの制御方法、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92917B2 (en) Operating information storing system, operating information s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operating information storing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from volatile memory to non-volatile memory
RU2483464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реда хранения
JP5163352B2 (ja) 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23278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管理装置、電力状態制御方法
JP2006238316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JP200530398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複数の画像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9098865A (ja) ジョブ履歴管理システム
JP710296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20240012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nting service
JP2022014763A (ja) デバイス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