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598B1 -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 Google Patents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598B1
KR101264598B1 KR1020100128486A KR20100128486A KR101264598B1 KR 101264598 B1 KR101264598 B1 KR 101264598B1 KR 1020100128486 A KR1020100128486 A KR 1020100128486A KR 20100128486 A KR20100128486 A KR 20100128486A KR 101264598 B1 KR101264598 B1 KR 101264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flange
pillar
flanges
in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069A (ko
Inventor
이승은
하태휴
김진호
이승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5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59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부재로 사용되는 H형강에 내부플랜지를 구비하여 다중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둥구조는,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상부 H형강 기둥과,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며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하부 H형강 기둥과, 상기 상부 H형강 기둥과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하부층에서 H형강의 플랜지 및 웨브의 두께나 기둥의 외각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큰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부재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둥부재인 H형강 기둥의 플랜지 및 웨브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므로, 기둥부재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상, 하부 기둥부재의 이음이 용이해지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면적에 따르면, 상부 H형강과 하부 H형강의 수직하중 전달이 명확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PILLAR STRUCTURE WITH MULTI FLANGE}
본 발명은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둥부재로 사용하는 H형강에 내부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고층건축물과 같은 다층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구조에 관한 것이다.
형강은 특정한 단면형태로 열간압연된 구조용 강재로, 단면이 'H'자 형상인 H형강이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보 또는 기둥부재로 널리 사용된다. H형강은 두 개의 수평재인 플랜지(flange)와 한개의 수직재인 웨브(web)로 구성되며, 플랜지의 단부와 내부가 일정한 두께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단면성능이 우수하고 단면의 조합 및 접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형 건축물이나 토목공사의 철골구조 등에서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기둥부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건축물의 기둥부재는 하부층으로 갈수록 상부층부터 누적된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고층 건물의 경우 하부층에서 지지하는 수직하중이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 하부층의 누적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층의 H형강의 크기 즉, 플랜지와 웨브의 크기를 크게 하면, 기둥의 외각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건물의 실사용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H형강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건물의 하부층으로 갈수록 누적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H형강을 이루는 플랜지와 웨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기둥부재의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두꺼운 H형강은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 후에도 상하부의 H형강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제작 가능한 형강의 두께에도 한계가 있다. 결국 누적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둥부재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큰 하중을 지지하는 건출물의 기둥부재에서 하부층의 플랜지 및 웨브의 두께를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는 기둥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형강 기둥의 제작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기둥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내부플랜지를 이용함으로써 상,하부 기둥의 수직하중전달이 명확해지는 기둥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상부 H형강 기둥;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며,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하부 H형강 기둥; 및,
상기 상부 H형강 기둥과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부재는 플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n(n은 2이상의 자연수)하부 H형강 기둥은 제n-1 하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은, n쌍의 내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상기 n쌍의 내부플랜지는, 제n-1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에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은, 상기 내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는, 상기 웨브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d)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재는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n쌍의 내부플랜지와 제n-1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H형강 기둥 또는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에 보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플랜지를 갖는 기둥부재에 의하면, 특히 고층건축물의 하부층에서 H형강의 플랜지 및 웨브의 두께나 기둥의 외각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큰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부재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둥부재인 H형강 기둥의 플랜지 및 웨브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므로, 기둥부재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상, 하부 기둥부재의 이음이 용이해져서 시공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에 의하면, 상부 H형강과 하부 H형강의 수직하중 전달이 명확해져 기둥의 구조설계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H형강 기둥과 하부 H형강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구조에 보를 연결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H형강 기둥의 단면도(A-A')과 하부 H형강 기둥의 단면도(B-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기둥구조에 보를 연결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H형강 기둥(10)과 하부 H형강 기둥(20)과 접합부재(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은, 한쌍의 외부플랜지(11a,11b)와 상기 외부플랜지(11a,11b)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은 일반적인 H형강이므로, 플랜지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다만, 후술할 내부플랜지에 대비되면서, 후술할 보가 연결된다는 의미로 '외부'플랜지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은,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하측에 배치되며, 한쌍의 외부플랜지(21)와 상기 외부플랜지(2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플랜지(23), 상기 외부플랜지(21) 및 내부플랜지(23)를 연결하는 웨브(27)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실제 시공은 하부에서부터 이루어지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내부플랜지(23)는 상기 외부플랜지(21)의 내측에 구비되고, 후술할 보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내부'플랜지로 설명한다.
다만, H형강 기둥의 좌,우 외부플랜지(11a,11b,21a,21b) 및 내부플랜지(23a,23b) 전체를 설명하는 경우에는 11, 21, 23의 부호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일한 하부 H형강 기둥(20)과 복수개인 경우의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웨브 및 플랜지는 동일한 도면부호(21,23,27)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1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웨브(13)는 하부 H형강 기둥(20)의 웨브(27)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의 상측에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를 배치하여,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 및 이에 연결될 보 등의 하중이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층의 기둥을 형성하는 H형강에 내부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상부와 하부의 H형강 기둥의 단면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기둥구조(1)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과 하부 H형강 기둥(20)을 연결하는 접합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30)를 통하여 다른 단면을 가지는 H형강이 다층으로 연결되어 고층 건물의 기둥구조(1)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부재(30)는 플레이트(31)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1)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의 바깥면과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1)를 상, 하부 플랜지(11,23)에 용접접합하거나 고력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용접접합한 후 고력볼트접합을 할 수 있다.
즉, 먼저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와 그 하측에 연결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의 바깥면에 사각 판형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31)를 용접접합한다. 다음, 상기 외부플랜지(11) 및 내부플랜지(23)에 상기 플레이트(31)의 구멍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플랜지(11,23)상의 구멍에 고력볼트(33)를 각각 끼우고 너트(도시되지 않음)로 체결하여 상부 H형강 기둥(10)과 하부 H형강 기둥(20)을 접합할 수 있다.
다만, 상, 하부 H형강 기둥(10,20)을 접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상, 하부 H형강 기둥(10,20)을 연결하여 건축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를 접합하는 위치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와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의 바깥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11,23)의 내측면 또는 내측면 및 외측면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접합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를 형성시,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배치하면, 상,하 플랜지(11,23)를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하부 H형강 기둥(20)에 내부플랜지(23)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면서, 상부층에서 전달받은 누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층의 기둥을 구성하는 H형강의 두께가 종래와 같이 두꺼워지지 않으므로 플레이트를 이용한 접합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n(n은 2이상의 자연수)하부 H형강 기둥은 제n-1 하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이 복수개인 경우에,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하측에는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이 배치되고, 상기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하측에는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이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배치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개수는 건물의 층수나 하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은, n쌍의 내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은 2쌍(4개)의 내부플랜지(24,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그 하단에 배치되는 제3부 H형강 기둥은 3쌍의 내부플랜지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든 하부 H형강 기둥(20)은 한쌍의 외부플랜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n쌍의 내부플랜지는, 제n-1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에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의 2쌍의 내부플랜지(24,25)는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21) 및 내부플랜지(23) 각각에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5a)에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a)와 상기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a)의 누적하중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H형강 기둥의 단면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층으로 갈수록 하중이 누적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플랜지의 개수도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의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의 개수가 가장 많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은 상기 내부플랜지(23)와 상기 외부플랜지(21)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와 외부플랜지(21)는 중심선(M)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21) 및 내부플랜지(23)는, 상기 웨브(13,27)의 중심(M)으로부터 동일한 간격(d)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11)의 하단에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가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H형강의 제작시 웨브의 중심(M)으로부터 내부플랜지 및 외부플랜지를 동일한 간격(d)으로 배치하여 상, 하부 기둥의 이음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중심선(M)을 기준으로 외부 및 내부플랜지(21,23)의 간격은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면,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21) 및 내부플랜지(23)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1)에 의하면, 각각의 H형강 기둥이 지지하는 하중은 하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상기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 및 외부플랜지 각각이 지지하는 수직하중은 분리되므로 과도하게 누적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22a)는 상기 외부플랜지(22a)에 연결되는 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플랜지(22a)에 인접한 내부플랜지(24a)는 상단에 위치한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21a)와 상기 외부플랜지(21a)에 연결되는 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안쪽의 내부플랜지(25a)는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a)와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a) 및 상기 외부플랜지(11a)에 연결되는 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각각의 내부플랜지의 두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두꺼워질 필요가 없다.
다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 하부 플랜지의 두께는 반드시 동일한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5a)는 상부 H형강 기둥(10)의 외부플랜지(11a) 및 상기 외부플랜지(11a)에 연결되는 보 뿐만 아니라,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a)의 하중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제1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접합부재(30)인 플레이트(31)는,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n쌍의 내부플랜지와 제n-1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될 수 있다.
상기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1)는 상기 플랜지의 바깥면에 접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부 플랜지를 필요한 강도로 접합할 수 있으면 내측면에 연결되거나 내측면 및 바깥면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의 플랜지가 상부의 플랜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 하부의 플랜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일직선상에 배열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31)를 접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H형강 기둥(10) 또는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외부플랜지(11,21)에 보(4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구조부재인 보(40)는, 상기 각각의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11,21,22)에만 연결되므로, 각 층의 하중은 상기 외부플랜지(11,21,22)에만 전달되고, 같은 층의 내부플랜지(23,24,25)에는 직접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H형강 기둥(20)의 내부플랜지(23,24,25)는 상부층으로부터 수직하중을 받게 되고, 상기 외부플랜지(11,21,22)는 상기 보(40)로부터 수평 하중을 전달받아 하부층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23,24,25)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플랜지를 구비한 H형강 기둥을 이용한 기둥구조(1)로 상,하부 수직하중의 전달이 명확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때 각각의 H형강 기둥에 연결되는 보(4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건물의 구조와 각층의 하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기둥구조 10 : 상부 H형강 기둥
11 : 외부플랜지 13 : 웨브
20 : 하부 H형강 기둥 21,22 : 외부플랜지
23,24,25 : 내부플랜지 27 : 웨브
30 : 접합부재 31 : 플레이트
33 : 볼트 40 : 보

Claims (10)

  1.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상부 H형강 기둥;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며, 한쌍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구성된 하부 H형강 기둥; 및,
    상기 상부 H형강 기둥과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을 연결하는 접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내부플랜지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제n(n은 2이상의 자연수)하부 H형강 기둥은 제n-1 하부 H형강 기둥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은, n쌍의 내부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n쌍의 내부플랜지는, 제n-1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에 연결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은, 상기 내부플랜지와 상기 외부플랜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는, 상기 웨브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d)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플레이트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n하부 H형강 기둥의 n쌍의 내부플랜지와 제n-1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 및 내부플랜지 각각의 바깥면에 용접접합 또는 고력볼트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H형강 기둥 또는 상기 하부 H형강 기둥의 외부플랜지에 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구조.
KR1020100128486A 2010-12-15 2010-12-15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KR10126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86A KR101264598B1 (ko) 2010-12-15 2010-12-15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86A KR101264598B1 (ko) 2010-12-15 2010-12-15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69A KR20120067069A (ko) 2012-06-25
KR101264598B1 true KR101264598B1 (ko) 2013-05-24

Family

ID=4668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486A KR101264598B1 (ko) 2010-12-15 2010-12-15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5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2948A (ja) 2002-05-28 2003-12-03 Marufuji Sheet Piling Co Ltd 土留杭とその杭を用いる土留工法
JP2010196441A (ja) 2009-02-27 2010-09-09 Taisei Corp ソイルセメント地中連続壁の芯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2948A (ja) 2002-05-28 2003-12-03 Marufuji Sheet Piling Co Ltd 土留杭とその杭を用いる土留工法
JP2010196441A (ja) 2009-02-27 2010-09-09 Taisei Corp ソイルセメント地中連続壁の芯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69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JP6394239B2 (ja) 連結柱
KR101174548B1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 시스템
KR20140065145A (ko) ㄱ형강 또는 t형강을 이용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JP6013028B2 (ja) 外殻構造
JP6163731B2 (ja) 耐震壁および耐震構造
JP5967642B2 (ja) 建物の補強構造
JP6469429B2 (ja) トラス梁架構
KR101264598B1 (ko) 다중 플랜지를 갖는 기둥구조
CN103924669B (zh) 一种装配式型钢混凝土组合框架结构
JP2016075131A (ja) 複合構造
JP5663882B2 (ja) 構造体、耐震補強方法
JP2009013592A (ja) 架構組立方法および建物の架構
KR200358912Y1 (ko) 원형강관기둥과 h-형강철골보의 연결이음구조
JP6752006B2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2019011675A (ja) 複合構造
JP4772308B2 (ja) 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JPH06136990A (ja) 免震構造物
KR101317194B1 (ko) 무량판 접합구조
JP2015117534A (ja) 面材・ブレース併用耐力壁
JP5769458B2 (ja) 架構の補強構造
KR102175363B1 (ko) 기둥과 보의 접합을 위한 접합부 코어
KR101222040B1 (ko) 층고 저감형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KR102037979B1 (ko) 건설용 조립부품 및 이를 이용한 벽체 및 바닥 시공방법
JP6253189B2 (ja) 建物の外殻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