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901B1 -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901B1
KR101263901B1 KR1020110004396A KR20110004396A KR101263901B1 KR 101263901 B1 KR101263901 B1 KR 101263901B1 KR 1020110004396 A KR1020110004396 A KR 1020110004396A KR 20110004396 A KR20110004396 A KR 20110004396A KR 101263901 B1 KR101263901 B1 KR 10126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in
acid
chitosan
phenyl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001A (ko
Inventor
채규윤
박기석
김보미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화장품, 포장재 그리고 섬유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키틴을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 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 (carboxylic acid derivatives)와 반응시켜 다양한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키틴 에스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키틴 에스터 유도체는 유기용매에 용해되기 때문에 의학, 화장품, 포장제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hitin Ester Derivativ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약, 화장품, 포장재 그리고 섬유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키틴을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 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 (carboxylic acid derivatives)와 반응시켜 다양한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키틴 에스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틴은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로서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신기능성 생물신소재 (biomaterials)이다. 키틴은 게, 새우 등의 갑각류 껍질, 연체류의 껍질과 근육에, 그리고 곤충류, 버섯류 및 사상균의 세포벽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지구상에서 년 간 약 1000억 톤 정도로 생산되고 있으며, 그 양은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많다. 키틴은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기본 단당류인 글루코피라노오스 (glucopyranose) 2번 탄소의 수산기 (-OH) 대신에 N-아세틸기 (-N-acetyl)가 결합한 N-아세틸글루코피라노오스 (N-acetylglucopyranose)가 연속적으로 β-1,4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강알칼리로 처리하여 탈아세틸화 (deacetylation) 시키면 아세틸기가 아민기로 바뀐 키토산을 얻을 수 있다. 키틴 및 키토산의 화학 구조식은 셀룰로오스와 유사하다. 아래는 키틴과 키토산의 구조식이다.
[키틴]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1
[키토산]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2
미 이용 생물자원으로만 알려졌던 키틴, 키토산의 생리활성들이 점차 밝혀짐으로써 이들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키틴, 키토산의 연구 및 이용은 대부분 폐수처리 및 오염물질의 제거 등에 관한 고분자 소재로서의 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최근 키틴, 키토산이 항균활성 (Allan 과 Hadwiger, 1979; Hadwiger 과 Beckman, 1980; Walker-Simmons 등, 1983; Hirano 와 Nagao, 1989; Uchida 등, 1989; Jeon 과 Kim, 2000; Jeon 등, 2001), 항콜레스테롤활성 (Maezaki 등, 1993; Hirano 등, 1990; Sugano 등, 1988; Sugano 등, 1992), 항암활성 (Sugano 등, 1992), 면역증강작용 (Jeon 등, 2001), 항산화활성 (Park 등, 2004) 및 항고혈압활성 (Okuda 등, 1997)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발현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그들의 의약적 및 산업적 이용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키틴, 키토산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우리 몸의 소화기관에는 키틴, 키토산을 분해할 수 있는 소화효소가 없어 인체 내에서 흡수되어 생리활성을 나타내기 힘들고, 특히 물에 녹지 않아 그 이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등록특허 제10-0712893호에서는 수용성 키틴, 키토산 유도체를 합성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키틴, 키토산은 일반적인 용매에는 녹지 않아 유도체를 만드는데 그 어려움이 따르고, 반응이 일어나더라도 반응율이 낮거나 부수적인 반응이 많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화학적 수식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키틴, 키토산 유도체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Kim 등 (1997)은 Schiff's base 중간체를 통해서 키토산의 아민 그룹에 알킬 그룹을 도입하여 N-알킬 키토산 유도체를 합성 및 메틸아이오드를 이용하여 4급 암모늄화시켜 수용성 키토산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들의 항균활성을 보고하였다. Jia 등 (2001)은 N,N,N-트라이메틸키토산, N-N-프로필-N,N-디메틸 키토산 및 N-퍼퓨릴-N,N-디메틸 키토산을 제조하여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Qin 등 (2004)은 키토산-N-2-하이드록실프로필 트라이메틸 암모늄염을 합성하여 S. aureus, E. coli 및 C.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Avadi 등 (2004)은 N-디에틸메틸 키토산을 합성하여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고하였으며, 하이드록실프로필 키토산, N-카르보뷰틸 키토산, 카복실메틸 키토산 및 황화 키토산 등도 여러 가지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Xie 등, 2001; Muzzarelli 등, 1990; Liu 등, 2000; Huang 등, 2004). 또한 키틴, 키토산의 C-6 위치에 N-아세틸-D-글루코사민 및 D-글루코사민이 치환된 유도체 및 당이 결합된 키틴, 키토산 유도체들의 항균활성도 보고되고 있다 (Kurita 등, 2000; Kurita 등, 1998). 키틴, 키토산 유도체의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서는 아실 키토산, N,O-카보실메틸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헥사노일 키틴, N-벤조일헥사노일 키토산, N-2-카복실에틸 키토산 및 황화 키토산을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합성한 예가 있다 (Matsugo 등, 1998; Xue 등, 1998; Xie 등, 2001; Kogan 등,2004; Xing 등, 2005). 이처럼 다양한 키틴, 키토산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들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위와 같이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키틴, 키토산 유도체가 합성되고 있으며 그들의 생리활성 또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종류는 키토산을 이용한 유도체의 합성에만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키틴을 이용한 유도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키틴 유도체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키틴을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터 반응을 시키는 경제적이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편리한 합성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틴을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의 존재 하에서 카르복실산 유도체 (carboxylic acid derivatives)와 반응시켜 다양한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촉매 및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용액에 키틴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촉매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산은 벤조산, 4-메톡시 벤조산, 할로겐(클로로, 브로모) 벤조산, 알킬(C1-C6) 벤조산, 뷰티르산 (butyric acid)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틴: 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인산의 몰비는 1: 4~8: 4~8: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3
상기에서 R은 페닐, 4-메톡시 페닐, 할로겐 페닐, 알킬 페닐, 프로필 임.
상기 키틴 에스터 유도체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틴 에스터 유도체는 유기 용매에 용해되기 때문에 의학, 화장품, 포장제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에 편리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도 1은 TFAA/H3PO4이 키틴의 아실반응을 활성화 시키는 것에 관한 모식도 이다.
도 2는 키틴 카르복실 산 에스터의 1D 1H-NMR 스펙트럼이다. 생성물을 DMDO-d6에 용해시켰고, 20℃에서 취득하였다.
도 3은 키틴 및 키틴 카르복실산 에스터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키틴 및 키틴 카르복실산 에스터의 SEM 이미지이다 (magnification 5000 ×, 201 scale bar =10 μM, magnification 45000 ×, scale bar =1 μM).
본 발명의 키틴은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로서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신기능성 생물신소재 (biomaterials)로 생리활성들이 점차 밝혀짐으로써 이들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용매에는 녹지 않아 유도체를 만드는데 그 어려움이 따르고, 반응이 일어나더라도 반응율이 낮거나 부수적인 반응이 많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촉매 및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용액에 키틴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촉매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는 카르복실산과 상호교환 반응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혼합 무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키틴의 아실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키틴은 원래 반응성이 큰 언하이드라이드 유도체 (anhydride derivatives) 또는 산 염화물 (acid halides)과 반응을 하는데 상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는 반응시킬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과 반응하여 반응성이 큰 혼합된 언하이드라이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4
상기 TFAA와 반응 후에 인산과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인산은 카르복실산 (carboxylic acid )의 반응성을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응은 하기 반응식 2와 같다.
[반응식 2]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5
상기 카르복실산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벤조산, 4-메톡시 벤조산, 할로겐(클로로, 브로모) 벤조산, 알킬(C1-C6) 벤조산, 뷰티르산 (butyr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틴: 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인산의 몰비는 1: 4~8: 4~8: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산의 경우 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와 반응하여 반응식 2와 같은 카르복실산의 반응성이 크게 증가된 인산 언하이드라드를 형성하지만, 인산이 과량 존재하면 키틴을 가수분해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6
상기에서 R은 페닐, 4-메톡시 페닐, 할로겐 페닐, 알킬 페닐, 프로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틴 에스터 유도체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이 벤질인 경우 DS 값은 1.35 내지 1.65 으로 (표 1) 높은 DS 값을 가짐을 알 수 있고, DMSO, DMF, THF, Acetic acid, Formic acid, Benzyl alcohol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에 용해되었다 (표 2). 반면에 촉매로 TFAA만을 사용한 경우 (표 1의 CBZb) DS 값이 낮고 DMF, THF, Acetic acid, Benzyl alcohol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았다.
상기 R이 4-메톡시 벤질인 경우 DS 값은 1.20로 (표 1) 높은 DS 값을 가짐을 알 수 있고, DMSO, DMF, Formic acid, Benzyl alcohol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에 용해되었다 (표 2).
상기 R이 프로필기인 경우 DS 값은 다소 낮으나, DMSO, DMF, THF, Acetic acid, Formic acid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에 용해되었다 (표 2).
이와 같이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인산 (phosphoric acid)을 모두 사용하였을 때 키틴 에스터 유도체의 다양한 유기 용매에서의 용해도가 증가 되며, DS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재료 및 시약
키틴은 경북의 YB Bio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Lot A0255638)은 미국 뉴저지의 Acros organics에서, DMF-d 6 은 미국의 캠브리지 isotope organics에서, 뷰티르산 (butyric acid) 및 85% 인산 (phosphoric acid)은 시그마 알드리치사에서, 4-메톡시 벤조산 (4-Methoxy benzoic acid)은 알드리치사에서, 벤조산은 한국의 Samchun pure chemical company Ltd에서 구매했다. 모든 시약들은 분석 등급이었다.
2. 합성
키틴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 (Gray & Smyth, 2001)에서 약간의 수정된 방법으로 합성을 하였다. 즉, TFAA (4 equiv, 2.77 mL) 및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1-4 equiv)을 처음에 결합시키고 상온 (뷰티르산의 경우) 또는 40℃ (벤조산의 경우)에서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키틴 (1 equiv, 1.0 g)이 첨가되기 전, 결과물 용액이 식었을 때 85% 인산 (1 equiv, 0.33 mL)으로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5 시간 동안 50℃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식었을 때, 반응 용액을 여과 전, 차가운 EtOH (30 mL)로 혼합하였다. 환산 압력 (회전식 감압 농축기, <30℃) 하에서 여과액을 시럽으로 농축시켰다. 결과물 시럽을 EtOH/acetone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생성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침강시켜서 수득 및 여과에 의해 회수하였다. 이런 과정을 무색을 띌 때까지 반복하였다. 분석 전에 공기-건조된 생성물을 6시간, 65℃, 진공에서 더 건조하였다.
3. 1D 1 H NMR 분석
생성물의 1H NMR 스펙트럼은 실온 (20℃)에서 5mm diameter tubes를 사용하여JEOL JNM-ECP 500 NMR 분광계 (500 Hz)로 기록하였다. 샘플은 15 mg/mL 농도의 DMSO-d6에서 용해되었다. 화학적 이동은 internal signals (δ 2.50 DMSO-d6)에 상대적으로 표현되었다.
4. FT - IR 분석
FT-IR 스펙트럼은 이전에 보고된, Prestige-21, FT-IR spectrometer, Shimadzu (Yoshifuji, Noishiki, Wada, Heux, & Kuga, 2006)으로 기록되었다.
5. 주사전자현미경 (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 SEM )
키틴 및 키틴 에스터의 표면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 S-4800, Hitachi, Japan로 관찰하였다. 샘플을 5kV의 가속전압 및 5000-45000배 확대하여 분석하였다.
6. 용해도
생성물의 용해도는 선택된 용매에 가중 표본 (10 mg/mL)을 용해함으로써 분석하였다.
7. 결과
이전에 보고된 (Yang, Ding & Montgomery, 2009; 95 Bhatt LR et al., 2010) 방법으로 유일한 조촉매로서 TFAA 존재 하에 벤조산으로 키틴을 아실반응을 시켰을 때, 더 긴 반응시간 (60℃에서 6시간 동안)에서도 반응은 성공적이지 않았다. 결과물 생성물은 통상의 유기용매에서 낮은 DS 및 저용해도를 가졌다 (표 1 및 2참조). TFAA/H3PO4에 키틴을 혼합시켰을 때, 생성물은 높은 DS를 가지게 되었고, DMSO, DMF, THF, 벤질 알콜 (benzyl alcohol), 아세트산 (acetic acid) 및 포름산 (formic acid)에 쉽게 용해되었다 (표 1 및 2참고).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7
Figure 112011003546251-pat00008
또한, 메톡시 벤젠으로의 반응은 생성물의 개선된 용해도 및 DS>1.0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키틴 벤조에이트와 비교하여 낮은 수율을 가졌다.
이전에, Somorin et al. (1979)에서는 초과된 염화 벤조일 (BENZOYL CHLORIDE)이 첨가 (염화 벤조일 대 키틴은 10:1) 되었을 때 다양한 유기 용매에서 용해 가능한 키틴 벤조에이트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TFAA/H3PO4의 사용으로 중재된 시스템은 키틴 벤조에이트가 간단한 반응 조건 및 카르복실산 및 TFAA 대 키틴의 낮은 몰비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키틴: 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인산의 몰비를 1: 4~8: 4~8: 1 로 하였다.
반면, 다양한 알킬 카르복실산과의 키틴 에스터의 합성을 위한 반응을 진행했을 때, 생성물 (키틴 부티레이트를 제외하고)은 낮은 수율 및 다양한 유기 용매에서 낮은 용해도를 보였다.
생성물을 1H-NMR spectroscopy로 관찰하였다 (도 2). 스펙트럼은 키틴 백본의 특징적 프로톤 시그널 (δ 3.14-4.97), 아세트아미도 메틸 프로톤 (acetamido methyl protons) (~δ 1.6-1.8), 및 N-H 프로톤 (δ 7.47, 7.73)을 보였다. 부가적인 시그널, 약 δ 2.19,2.32, 1.45 (메틸렌 프로톤) 및 키틴 부티레이트에 있어 δ 0.84 (메틸 프로톤) 및 약 δ 6.97, 7.87 (COMe)의 페닐 프로톤, 및 키틴 벤조에이트에 있어 δ 7.47-8.24에서 검출되었다. 더욱이, 비록 시그널 겹침 (overlapping)으로 낮은 선명도를 보였지만, 메톡시 프로톤 시그널은 COMe에 있어 δ 3.45에서 관찰되었다. 이런 시그널들은 생산물에서의 각각의 산들의 에스테르화를 나타낸다. 벤조산의 증가된 치환과 함께, 페닐 프로톤의 신호 강도의 상당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약 δ 1.15-1.45에서 시그널은 CBZ-2 및 COMe이 혼합물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생성물의 FT-IR 스펙트럼 (도 3)은 모분자에 대해 약 1662 cm-1 및 1557 cm-1에서 아미드 흡수 밴드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약 1725-1 cm (C=O) 및 키틴 벤조에이트에서 1264-1274 cm-1(C-O) 및 1738 cm-1(C=O), 및 키틴 부티레이트에서 1070-1170 (C-O)의 추가적인 밴드의 존재는 키틴의 에스테르화를 나타내었다 (Roberts, 1992, Somorin, Nishi, Tokura & Noguchi,1979). 게다가, 방향족 고리 C-H streching에 있어 약 3000 cm-1에서의 낮은 강도의 흡수 밴드 및 굽은 C-H bending에 있어 약 715-768 cm-1에서의 강한 흡수 밴드는 키틴 벤조에이트에서 관찰되었다. 지방족의 C-H stretching (2860-2970 cm-1) 및 C-O bending (1300-1400 cm-1) 영역에서의 상당히 강한 피크들은 CB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모 분자로 카르복실산 moieties의 삽입을 나타낸다. 산 치환정도 (The degree of the acid substitution, (DS))는 FT-IR spectroscopy (Yoshifuji, Noishiki, Wada, Heux, & Kuga, 2006)에 의해 측정되었다. 생성물의 DS는 첨가된 카르복실산의 종류에 의존하여 (표 1) 0.76-1.61 범위에서 얻었다. TFAA/H3PO4로 매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준비된 키틴 벤조에이트에 있어 더 높은 DS를 얻었다. 반복된 유닛으로의 산의 유입을 나타내는 DS는 덜 방해 받는, 특히 CBZ, COMe 및 CB에 있어서 1차 수산기 그룹 ((Kurita, 2001 Yoshifuji, Noishiki, Wada, Heux, & Kuga, 2006) 및, CBZ-1 및 CBZ-2에 있어서 1차 및 2차 수산기 그룹에서 발생한다. 키틴 및 생성물의 표면 구조는 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산 moieties의 유입으로 인한 모 분자에서의 표면 구조의 변화는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키틴의 O-아실반응을 매개한 TFAA/H3PO4 는 키틴 벤조에이트 및 키틴 부티에이트에 다양한 유기용매에서의 개선된 용해도를 준 간단하고 효율적인 공정이다. 이것은 생의학 및 산업 분야에서 응용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벤조산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aromatic ring)과의 키틴 벤조에이트 합성이 용이한 점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삭제
  2. 인산 (phosphoric acid);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및
    벤조산, 4-메톡시 벤조산, 할로 벤조산, C1~C6의 알킬 벤조산, 뷰티르산 (buty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카르복실산의 혼합용액에 키틴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의 키틴 에스터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2106099710-pat00014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페닐, 4-메톡시페닐, 할로 페닐, C1~C6의 알킬 페닐, 또는 프로필이고, 여기서 할로는 클로로(Cl) 또는 브로모(Br)이다.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틴: 카르복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인산의 몰비는 1: 4~8: 4~8: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키틴 에스터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2106099710-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페닐, 4-메톡시페닐, 할로 페닐, C1~C6의 알킬 페닐, 또는 프로필이고, 여기서 할로는 클로로(Cl) 또는 브로모(Br)이다.
  6. 삭제
KR1020110004396A 2011-01-17 2011-01-17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96A KR101263901B1 (ko) 2011-01-17 2011-01-17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96A KR101263901B1 (ko) 2011-01-17 2011-01-17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01A KR20120083001A (ko) 2012-07-25
KR101263901B1 true KR101263901B1 (ko) 2013-05-13

Family

ID=4671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96A KR101263901B1 (ko) 2011-01-17 2011-01-17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5622B (zh) * 2021-04-29 2022-05-24 华南理工大学 一种高磷含量壳聚糖衍生物及其制备与在负载纳米零价铁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665B2 (ja) 1988-03-30 1996-06-2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多糖エステルの合成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665B2 (ja) 1988-03-30 1996-06-2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多糖エステルの合成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HATT, L. R. et al., Synthesis of chitin cycloalkyl ester derivative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Carbohydrate Research, 2010, Vol. 345, pp 2102-2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01A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3236B (zh) 一种新型水溶性天然多糖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Carso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carbon nanotube composites
Salama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Schiff bases based on chitosan and arylpyrazole moiety
Ma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sensitive chitosan derivatives (1)
Vasnev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cylated chitin and chitosan derivatives
CN103450369B (zh) 聚乙二醇单甲醚-壳聚糖衍生物的制备方法
CN103539866A (zh) 可控性精氨酸偶联壳聚糖的制备方法
Elschner et al. Syntheses and detailed 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dextran carbonates
Sayed et al. Expedient synthesis and properties of 6-deoxy-6-amino chitosan
JP4356289B2 (ja) 多糖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Muhitdinov et al. Homogenous synthesis of sodium cellulose sulfates with regulable low and high degree of substitutions with SO3/Py in N, N-dimethylacetamide/LiCl
Arulmoorthy et al. Bio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based hydrogel: A potential in vitro wound healing agent
KR101263901B1 (ko) 키틴 에스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384883C (zh) 制备壳聚糖-接枝-聚己内酯的方法
Azmi et al. Influence of Synthesis Approach and Formul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from Black Soldier Fly
Celikc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xymethyl shrimp chitosan (CMSCh) from waste shrimp shell.
JPS627701A (ja) 部分加水分解法
EP3713967A1 (en) Method of synthesising 6-deoxy-6-amino- -d-glucopyranoside-containing polymers and their precursors
JP5110046B2 (ja) 多糖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82445A1 (ja) 糖類誘導体の製造方法、変性糖類誘導体及び変性糖類誘導体組成物
Heinze et al. Recent advances in cellulose chemistry
Feng et al. Selective and full derivatization of amino group in chitosan with alkyl chloroformate of low stereo-hindrance
JP4395573B2 (ja) 酸化キトサン化合物
KR100381387B1 (ko) 키토산유도체의제조방법
KR101331912B1 (ko) O-벤조일 키토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