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074B1 -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 Google Patents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074B1
KR101263074B1 KR1020107015332A KR20107015332A KR101263074B1 KR 101263074 B1 KR101263074 B1 KR 101263074B1 KR 1020107015332 A KR1020107015332 A KR 1020107015332A KR 20107015332 A KR20107015332 A KR 20107015332A KR 101263074 B1 KR101263074 B1 KR 10126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und
disease
glaucoma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687A (ko
Inventor
노리후미 사또
요헤이 유끼
히사시 시노하라
야스히로 다께지
구니 이또
다이사꾸 미찌까미
게이스께 히노
히로유끼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며 강력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 작용을 갖는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및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A NOVEL CYANOPYRIMIDINE DERIVATIVE}
본 발명은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아데노신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각종 생리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아데노신 수용체는 G 단백질 공액형 수용체의 패밀리에 속하고, A1, A2a, A2b 및 A3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아데노신 A1 및 A3 수용체는 Gi 단백질과 공액하고, 그의 활성화는 세포 내 c-AMP 수준을 저하시킨다. 또한, 아데노신 A2a 및 A2b 수용체는 Gs 단백질과 공액하고, 그의 활성화는 세포 내 c-AMP 수준을 상승시킨다. 이들 4종의 아데노신 수용체 서브타입은 각각 클로닝되어 있다.
상기 아데노신 수용체 서브타입 각각에 작용하는 작동제 및 저해제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가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는 강한 혈압 강하 작용을 가지고, 항고혈압제, 심장 또는 뇌허혈성 질환의 치료/예방제, 항동맥경화증제 등에서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안압 저하 작용을 갖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문헌[J. Pharmcol. Exp. Ther. 320-326, 273(1995)] 참조).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인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다(WO2005/105778). 그러나, WO2005/105778에는 본 발명의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며 강력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 작용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기의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우수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 작용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합물이 눈의 모양체 동맥(ciliary artery)에 대하여 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고, 망막 신경절 세포에 대하여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을 기초로 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항 1에 나타내는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제제, 상기 화합물의 용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항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1
[식 중, R은 수소,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 할로겐 치환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항 2. (1)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2) N-(4-(6-아미노-5-시아노-2-((6-(3-(4-((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3) N-(4-(6-아미노-5-시아노-2-((6-(3-(4-((1-(3-히드록시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4) N-(4-(6-아미노-5-시아노-2-((6-(3-(4-((1-(2-플루오로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및
(5) N-(4-(6-아미노-5-시아노-2-((6-(3-(4-((1-(2-메톡시카르보닐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 1에 기재된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항 3.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항 4. 안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 3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항 5. 녹내장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 4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항 6.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로서의 상기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항 7.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치료가 필요한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치료 방법.
항 8. 항 3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제.
항 9.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용해 보조제 및 pH 조정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항 8에 기재된 수성 액제.
항 10. 완충제가 숙신산, 붕산, 인산, 아미노산 및 그의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항 9에 기재된 수성 액제.
항 11. 완충제가 숙신산인 항 10에 기재된 수성 액제.
항 12. 등장화제가 포도당, 소르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의 등장화제인 항 8에 기재된 수성 액제.
항 13. 방부제가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브롬화벤조도데시늄,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클로로부탄올 및 벤질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항 9에 기재된 수성 액제.
항 14. pH가 약 5.0 내지 9.0인 항 8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성 액제.
상기 화학식에서 나타내어지는 각 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로서는, 알콕시 잔기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기인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n-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n-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n-펜틸옥시카르보닐, 네오펜틸옥시카르보닐, n-헥실옥시카르보닐, 이소헥실옥시카르보닐, 3-메틸펜틸옥시카르보닐기 등이 포함된다.
할로겐 치환 (저급 알킬)기로서는, 할로겐 원자가 1 내지 7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디브로모메틸, 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 2,2-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펜타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2-클로로에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헵타플루오로프로필,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2-클로로프로필, 3-브로모프로필, 4,4,4-트리플루오로부틸, 4,4,4,3,3-펜타플루오로부틸, 4-클로로부틸, 4-브로모부틸, 2-클로로부틸, 5,5,5-트리플루오로펜틸, 5-클로로펜틸, 6,6,6-트리플루오로헥실, 6-클로로헥실, 퍼플루오로헥실기 등이 포함된다.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로서는, 히드록시기를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갖는 상기 예시된 저급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2,3-디히드록시프로필, 4-히드록시부틸, 3,4-디히드록시부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5-히드록시펜틸, 6-히드록시헥실, 3,3-디메틸-3-히드록시프로필, 2-메틸-3-히드록시프로필, 2,3,4-트리히드록시부틸, 퍼히드록시헥실기 등이 포함된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저급 알킬기로서는, 상기 예시된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카르보닐기)를 1 내지 3개(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 갖는 상기 예시된 저급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1-메톡시카르보닐에틸, 2-메톡시카르보닐에틸, 2-에톡시카르보닐에틸, 1-에톡시카르보닐에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에틸, 3-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 3-에톡시카르보닐프로필, 4-에톡시카르보닐부틸, 5-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펜틸, 6-n-프로폭시카르보닐헥실, 1,1-디메틸-2-n-부톡시카르보닐에틸, 1-메틸-1-메톡시카르보닐에틸, 2-메틸-1-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 2-메틸-3-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3-메틸-1-메톡시카르보닐부틸, 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 1,2-디에톡시카르보닐에틸, 2-n-펜틸옥시카르보닐에틸, n-헥실옥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는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그의 일례를 나타내면,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2
[식 중, Ra는 히드록시 (저급 알킬)기, 할로겐 치환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와 동일한 치환 반응을 일으키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에 있어서, X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이다.
X로 표시되는 할로겐 원자와 동일한 치환 반응을 일으키는 기로서는, 예를 들면 (저급 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등의 이탈기를 들 수 있다.
(저급 알칸)술포닐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탄술포닐옥시, 에탄술포닐옥시, 이소프로판술포닐옥시, n-프로판술포닐옥시, n-부탄술포닐옥시, tert-부탄술포닐옥시, n-펜탄술포닐옥시, n-헥산술포닐옥시기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칸술포닐옥시기를 예시할 수 있다.
아릴술포닐옥시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술포닐옥시기, 나프틸술포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닐환 상에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기, 니트로기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1 내지 3개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아릴술포닐옥시기의 구체예로서는, 페닐술포닐옥시, 4-메틸페닐술포닐옥시, 2-메틸페닐술포닐옥시, 4-니트로페닐술포닐옥시, 4-메톡시페닐술포닐옥시, 2-니트로페닐술포닐옥시, 3-클로로페닐술포닐옥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나프틸술포닐옥시기의 구체예로서는, α-나프틸술포닐옥시, β-나프틸술포닐옥시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합물(1b)는 화합물(1a)와 화합물(2)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반응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용적인 용매,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또한, 본 반응은 이들 관용적인 용매의 혼합 용매 중에서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은 통상적으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해진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통상적인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가 이용된다.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 탄산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등), 탄산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 알칼리 금속 (저급 알콕시드)(예를 들면,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알킬아민(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등), 피리딘, 퀴놀린, 피페리딘, 이미다졸, 피콜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DBU)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1a)에 대하여 통상 0.5 내지 10배 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배 몰이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이 액상인 경우, 용매로서 겸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필요에 따라서 반응 촉진제로서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등의 요오드화 알칼리 금속을 반응계 내에 존재시켜 둘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서의 화합물(1a)와 화합물(2)의 사용 비율은 통상적으로 화합물(1a)에 대하여 화합물(2)를 적어도 1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몰로 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냉각하, 실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실온 부근의 온도 조건하에 1 내지 30 시간 행하는 것이 좋다.
<반응식 2>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3
[식 중, R은 상기와 동일하다.]
화합물(1)은 화합물(3) 또는 카르복시기가 활성화된 그의 반응성 유도체와, 화합물(4) 또는 이미노기가 활성화된 반응성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화합물(3)의 카르복시기의 바람직한 반응성 형태로서는, 산할로겐화물, 산무수물, 활성화 아미드, 활성화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염화물; 산아지드화물; 예를 들면 디알킬인산, 페닐인산, 디페닐인산, 디벤질인산, 할로겐화인산 등의 치환된 인산, 디알킬아인산, 아황산, 티오황산, 황산, 예를 들면 메탄술폰산 등의 술폰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피발산, 펜탄산, 이소펜탄산, 2-에틸부티르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등의 지방족산 또는 예를 들면 벤조산 등의 방향족산과 같은 산과의 혼합 산무수물; 대칭 산무수물; 이미다졸, 4-치환 이미다졸, 디메틸피라졸, 트리아졸 또는 테트라졸과의 활성화 아미드; 또는 예를 들면, 시아노메틸에스테르, 메톡시메틸에스테르, 디메틸이미노메틸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프로파르길에스테르, p-니트로페닐에스테르, 2,4-디니트로페닐에스테르, 트리클로로페닐에스테르, 펜타클로로페닐에스테르, 메실페닐에스테르 등의 활성화 에스테르, 또는 예를 들면 N,N-디메틸히드록실아민, 1-히드록시-2-(1H)-피리돈,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등의 N-히드록시 화합물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반응성 유도체는 사용해야 하는 화합물(3)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화합물(3)을 유리산의 형태 또는 그의 염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축합제의 존재하에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합제로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시클로헥실-N'-모르폴리노에틸카르보디이미드; N-시클로헥실-N'-(4-디에틸아미노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에틸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또는 그의 염산염; N,N'-카르보닐비스(2-메틸이미다졸); 펜타메틸렌케텐-N-시클로헥실이민; 디페닐케텐-N-시클로헥실이민; 에톡시아세틸렌, 1-알콕시-1-클로로에틸렌; 아인산트리알킬; 폴리인산에틸; 폴리인산이소프로필; 옥시염화인(설포닐클로라이드); 삼염화인; 디페닐설포닐아지드; 염화티오닐; 염화옥살릴;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산에틸, 클로로포름산이소프로필 등의 할로포름산 (저급 알킬); 트리페닐포스핀; 2-에틸-7-히드록시벤즈이소옥사졸륨염; 2-에틸-5-(m-술포페닐)이소옥사졸륨히드록시드 분자내 염; 헥사플루오로인산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1-(p-클로로벤젠술포닐옥시)-6-클로로-1H-벤조트리아졸;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염화티오닐, 포스겐, 클로로포름산트리클로로메틸, 옥시염화인 등과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한 이른바 빌스마이어(Vilsmeier) 시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축합제의 존재하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등의 활성 에스테르화제의 공존하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합물(4)의 이미노기에서의 바람직한 반응성 유도체로서는, 화합물(4)와 알데히드, 케톤 등과 같은 카르보닐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시프(Schiff) 염기형 이미노기 또는 그의 에나민형 호변 이성체; 화합물(4)와 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모노(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 등과 같은 실릴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실릴 유도체; 화합물(4)와 삼염화인 또는 포스겐 등과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반응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용적인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n-펜탄,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염기로서는, 공지된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 탄산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등), 탄산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 알칼리 금속 저급 알콕시드(예를 들면,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알킬아민(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등), 피리딘, 퀴놀린, 피페리딘, 이미다졸, 피콜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DBU)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염기가 액상인 경우, 용매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들 염기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3) 1 몰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10 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몰이다.
상기 반응식 2에서의 화합물(3)과 화합물(4)의 사용 비율은 통상적으로 화합물(4) 1 몰에 대하여 화합물(3)을 적어도 1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몰이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냉각하, 실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 ℃의 온도 조건하에 30 분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5 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출발 원료로서 이용되는 화합물(3)은 공지된 화합물이고,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반응식 4).
<반응식 3>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4
[식 중, W는 N-보호기를 나타낸다.]
화합물(6)은 화합물(3)과 화합물(5)를 반응식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N-보호기의 이탈 반응에 적용함으로써 화합물(1a)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N-보호기 W로서는, 예를 들면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카노일기, 아릴 치환 (저급 알킬)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그의 구체예로서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카노일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카노일기를 포함하고, 그의 구체예로서는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tert-부틸카르보닐, 헥사노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 치환 (저급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 2-페닐에틸,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6-페닐헥실, 디페닐메틸, 트리틸 등, 페닐기가 1 내지 3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페닐기 상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히드록시메틸, 2-히드록시에틸, 1-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2,3-디히드록시프로필, 4-히드록시부틸,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 5,5,4-트리히드록시펜틸, 5-히드록시펜틸, 6-히드록시헥실, 1-히드록시이소프로필, 2-메틸-3-히드록시프로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플루오로메틸, 요오도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디브로모메틸, 2-클로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3-클로로프로필, 2,3-디클로로프로필, 4,4,4-트리클로로부틸, 4-플루오로부틸, 5-클로로펜틸, 3-클로로-2-메틸프로필, 5-브로모헥실, 5,6-디클로로헥실, 3-히드록시-2-클로로프로필기 등의 치환기로서 할로겐 원자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1 내지 3개 가질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n-펜틸옥시, n-헥실옥시, 히드록시메톡시, 2-히드록시에톡시, 1-히드록시에톡시, 3-히드록시프로폭시, 2,3-디히드록시프로폭시, 4-히드록시부톡시, 1,1-디메틸-2-히드록시에톡시, 5,5,4-트리히드록시펜틸옥시, 5-히드록시펜틸옥시, 6-히드록시헥실옥시, 1-히드록시이소프로폭시, 2-메틸-3-히드록시프로폭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클로로메톡시, 브로모메톡시, 플루오로메톡시, 요오도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디브로모메톡시, 2-클로로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2,2,2-트리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3-디클로로프로폭시, 4,4,4-트리클로로부톡시, 4-플루오로부톡시, 5-클로로펜틸옥시, 3-클로로-2-메틸프로폭시, 5-브로모헥실옥시, 5,6-디클로로헥실옥시, 3-히드록시-2-클로로프로폭시기 등의 치환기로서 할로겐 원자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를 1 내지 3개 가질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콕시기; 불소 원자, 브롬 원자, 염소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페닐기 상에 치환기가 2개 이상인 경우, 이들 치환기는 동종의 것일 수도 있고, 이종의 것일 수도 있다.
N-보호기 W의 이탈 반응에는, 가수분해, 수소화 분해 등의 관용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반응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용적인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메톡시에탄,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반응은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i) 가수분해:
가수분해는 염기 또는 산(루이스산을 포함함)의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로서는, 공지된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토류 금속(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등), 이들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알킬아민(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 피콜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 등을 들 수 있다.
산으로서는, 공지된 유기산 및 무기산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지방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트리할로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루이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삼불화 붕소에테르 착체, 삼브롬화붕소, 염화알루미늄, 염화 제2철 등을 들 수 있다.
산으로서 트리할로아세트산 또는 루이스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이온 포착제(예를 들면 아니솔, 페놀 등)의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 또는 산의 사용량은 가수분해에 필요한 양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 온도는 통상 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80 ℃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 30 분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12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시간이다.
(ii) 수소화 분해:
수소화 분해에는, 공지된 수소화 분해 방법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화 분해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학 환원, 접촉 환원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환원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환원제는 수소화물(예를 들면 요오드화수소, 황화수소,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등) 또는 금속(예를 들면 주석, 아연, 철 등), 또는 금속 화합물(예를 들면 염화 크롬, 아세트산 크롬 등)과 유기산 또는 무기산(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조합이다.
접촉 환원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촉매는 백금 촉매(예를 들면 백금판, 해면상 백금, 백금흑, 콜로이드형 백금, 산화백금, 백금선 등), 팔라듐 촉매(예를 들면 해면상 팔라듐, 팔라듐흑, 산화팔라듐, 팔라듐 탄소, 팔라듐/황산바륨, 팔라듐/탄산바륨 등), 니켈 촉매(예를 들면 환원 니켈, 산화니켈, 라니 니켈 등), 코발트 촉매(예를 들면 환원 코발트, 라니 코발트 등), 철 촉매(예를 들면 환원 철 등) 등이다.
또한, 화학 환원에 사용되는 상기 산이 액상인 경우에는, 이들을 용매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화학 환원에 이용되는 환원제 및 접촉 환원에 이용되는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이 없고, 통상적인 사용량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 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80 ℃이다. 반응 시간은 통상 30 분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1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4 시간이다.
<반응식 4>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5
화합물(3)은 화합물(5)와 화합물(6)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반응은 문헌[El-Sharabsy, S. A.; Abdel Gawad, S. M.; Hussain, S. M.; J. Prakt. Chem., 1989, 331(2), 207]에 기재된 방법 또는 상기 방법에 준하여 행해진다.
본 반응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용적인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반응은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상기 반응은 촉매 화합물의 비존재하 또는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상기 반응은 통상적으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통상적인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가 이용된다.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 탄산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등), 탄산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 알칼리 금속 저급 알콕시드(예를 들면,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 수소화물(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알킬아민(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등), 피리딘, 퀴놀린, 피페리딘, 이미다졸, 피콜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DBN, DABCO, DBU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5)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촉매량 내지 10배 몰, 바람직하게는 등몰 내지 3.5배 몰이다. 이들 염기가 액상인 경우, 용매로서 겸용할 수 있다.
화합물(6)과 화합물(5)의 사용 비율은 통상적으로 화합물(6) 1 몰에 대하여 화합물(5)를 적어도 1 몰, 바람직하게는 1 몰 내지 5 몰로 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냉각하, 실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환류하에서 1 내지 30 시간에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반응 중, 중간체인 디히드로체 화합물(7)이 생성된 경우, 화합물(7)을 추가로 산화시킴으로써 화합물(8)을 얻을 수 있다.
화합물(7)의 산화는 이 기술 분야에서 관용되고 있는 산화 방법에 따라서 행해진다. 바람직한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2,3-디클로로-5,6-디시아노-p-벤조퀴논(DDQ),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등을 들 수 있다.
본 산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무용매 또는 반응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용적인 용매 중에서 행해진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트리플루오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반응은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산화제의 사용량은 화합물(7)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촉매량 내지 과잉 몰이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냉각하, 실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환류 온도 조건하에 0.5 내지 75 시간 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반응식 4에 있어서, 화합물(7)은 환 내 이중 결합의 위치가 다른 이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출발 원료로서 이용되는 화합물(4)는 입수가 용이한 공지된 화합물이다.
상기 각 반응식에서 이용되는 출발 원료는 적당한 염일 수도 있고, 또한 각 반응에서 얻어진 목적 화합물도 적당한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 반응식에서 얻어진 각각의 목적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을, 예를 들면 냉각시킨 후, 여과, 농축, 추출 등의 단리 조작에 의해서 조반응 생성물을 분리하고,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의 통상적인 정제 조작에 의해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 정제할 수 있다.
화합물(1)의 바람직한 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류 금속염(예를 들면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탄산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리튬,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세슘 등), 탄산수소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탄산수소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등) 등의 무기 염기의 염;
예를 들면, 트리(저급)알킬아민(예를 들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등), 피리딘, 퀴놀린, 피페리딘, 이미다졸, 피콜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저급)알킬-모르폴린(예를 들면, N-메틸모르폴린 등), DBN, DBU, DABCO 등의 유기 염기의 염;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프로피온산염, 옥살산염, 말론산염, 숙신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유산염, 말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탄산염, 피크르산염, 메탄술폰산염, 에탄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글루탐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반응식에서 이용되는 출발 원료는 상기 화합물(1)과 동일한 염일 수도 있고, 또한 각 반응에서 얻어진 목적 화합물도 동일한 적당한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반응식에서 나타내어진 출발 원료 및 목적 화합물에 용매화물(예를 들면, 수화물, 에타놀레이트 등)이 부가된 형태의 화합물도 각각의 화학식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용매화물로서는 수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는, 기하 이성체, 입체 이성체, 광학 이성체 등의 이성체도 당연히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화합물에 포함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원자가 1개 또는 복수개의 동위체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삽입될 수 있는 동위체의 예로는, 각각 2H, 3H, 13C, 14C, 15N, 17O, 18O, 18F 및 36Cl 등의 수소, 탄소, 질소, 산소, 황, 불소 및 염소 동위체를 포함한다. 상기 동위체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체를 함유하는, 특정 동위체 표지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면 3H 및 14C 등의 방사성 동위체가 삽입되어 있는 화합물은 약물 조직 분포 분석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분석에 있어서 유용하다. 트리튬화(즉, 3H) 및 C-14(즉, 14C) 동위체는 제조의 용이성 및 검출성에 의해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중수소(즉, 2H) 등의 보다 무거운 동위체에 의한 치환에 의해서 대사 안정성의 향상(예를 들면, 생체 내 반감기의 증대) 또는 투여 필요량의 감소에서 기인하는 특정 치료상의 이점을 가져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위체 표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식 및/또는 하기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서, 입수 가능한 동위체 표지 시약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를 작동시키는 활성을 가져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대하여 의약품 분야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 등의 약물로서의 의약 조성물도 제공한다.
이하, 이 의약 조성물을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효량을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일반적인 의약 제제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이용되는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는, 부형제 등의 고체일 수도 희석제 등의 액체일 수도 있다. 이들 담체의 구체예에는, 예를 들면 젖당,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전분, 탈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라비아 고무, 올리브유, 호마유, 카카오 버터, 에틸렌글리콜, 증류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그의 투여에 적합한 투여 단위 제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의 구체예로서는, 정제, 환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액제 등의 고형제 및 액제 형태의 경구 투여 형태, 및 정맥 주사, 근육 주사 등의 주사제 형태, 점안제 형태, 안연고제 형태, 좌제 형태, 경피제 형태 등의 비경구 투여 형태를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그의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 활성을 이용하여 안압 강하제, 녹내장 치료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고려하면, 그의 의약 조성물 형태로서는 점안제가 바람직하다.
본원의 의약 조성물은 수성 액제로서 제조되고, 또한 점안용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 수성 액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그의 염을 포함하고, 이하 동일함)에, 필요에 따라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용해 보조제 및 pH 조정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통상법에 따라서 목적하는 수성 액제를 제조한다.
수성 액제 중의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미노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 등,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인산 및 인산이수소나트륨이다. 이들 완충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제로서 숙신산 또는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용한 경우, 유효 성분과 숙신산과의 염의 용해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간의 보존 과정에서 그 유효 성분의 석출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수성 액제 중의 완충제 농도는 pH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w/v) 이하이다.
수성 액제 중의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락트산, 아세트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는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 pH 조정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성 액제 중의 등장화제로서는, 눈물액과 등장으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한다. 등장화제로서는, 점안 액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붕산, 붕산나트륨, 만니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토스, 자당, 소르비톨, 포도당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포도당, 만니톨, 프로필렌글리콜 및 소르비톨이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 이용된다. 이들 등장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등장화제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한 경우, 유효 성분의 용해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의 보존 동안 유효 성분이나 그와 관련된 물질이 석출되지 않는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장화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수성 액제의 침투압은, 예를 들면 170 내지 460 mOsm/kg, 바람직하게는 229 내지 372 mOsm/kg, 보다 바람직하게는 256 내지 316 mOsm/kg의 범위이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잘코늄, 벤제토늄, 벤조도데시늄 등의 4급 암모늄의 염, 클로로헥시딘 등의 양이온 화합물의 염,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등의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화벤잘코늄 및 브롬화벤조도데시늄이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쇄가 12개인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벤잘코늄염산염 및 브롬화벤조도데시늄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용해 보조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해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매크로골(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고분자; 폴리소르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등의 계면활성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벤조산, 소르브산 등의 유기산; 아스파라긴산, 히스티딘, 글리신, 리신 등의 아미노산; 및 카페인 등의 크산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피롤리돈, 매크로골, 폴리비닐알코올, 벤조산, 소르브산, 알긴산, 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매크로골은 바람직한 용해 보조제이다. 이들 용해 보조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수성 액제의 pH는 약 4 내지 9,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7, 보다 바람직하게는 6.3 내지 6.9이다.
경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고형제, 예를 들면 정제, 산제, 과립제 등의 제조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인 담체, 예를 들면 젖당, 만니톨, 포도당,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세 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규산, 알루민산마그네슘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통상법에 따라서 부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는, 적당한 첨가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셀룰로오스 글루콜산칼슘과 같은 붕괴제; 락토오스와 같은 안정화제;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과 같은 용해 보조제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 등을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정제 및 환제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자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의 당의 또는 위용성 또는 장용성 물질의 필름으로 피막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제, 예를 들면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등의 제조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불활성인 희석제,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등에 용해 내지 분산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액제에는, 습윤제, 현탁화제 등의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 등을 더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에는, 무균의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제, 현탁제, 유탁제 등이 포함된다. 수성 주사제는,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및 생리 식염수를 희석제로서 이용하여 통상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비수성 주사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유;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을 희석제 또는 담체로서 이용하여 통상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주사제에는,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예를 들면, 락토오스), 용해 보조제(예를 들면,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와 같은 보조제를 더 첨가 배합할 수 있다. 제조되는 주사제는 통상법에 따라서, 예를 들면 박테리아 보류 필터를 통과시키는 여과, 살균제의 배합 또는 감마선 등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 무균화된다. 또한, 주사제는 무균 고형제를 제조 후, 무균수 또는 무균 주사용 용매에 용해시켜 실용되는 용시(用時) 용해제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각종 형태의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의약 조성물을 적용하는 환자(투여 대상자)의 증상 정도,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개개의 경우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점안제 형태의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농도가 0.0001 내지 10 %(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 %(w/v)인 점안제를 1 일 1 내지 수회, 점안 또는 눈에 도포하는 정도의 양으로 할 수 있다. 이 1회당 점안량은 일반적으로 성인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1 mL가 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 경구제 또는 주사제인 경우, 이들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이 1 일 성인 1인당 0.001 내지 1000 mg이 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이 1 일당 투여량은 이것을 1 일에 1회로 투여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1 일에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여량은 어디까지나 참고 기준이고, 추가로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여량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그 때마다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투여량 범위보다 더욱 감소된 투여량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및 화합물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 작동제로서 각종 활성, 예를 들면 안압 강하, 시신경 유두 혈류 증가, 시신경 보호 작용, 혈관 확장, 관혈관 확장, 혈압 강하, 혈소판 응집 억제, 항혈전, 항염증, 기관지 확장, 면역 억제 등의 작용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및 화합물은 안질환(예를 들면, 녹내장(예를 들면, 정상 안압 녹내장, 고안압 녹내장, 수술에 따른 속발 녹내장 등), 고안압증, 당뇨병성 망막증, 가령성(加齡性) 황반 변성(ARDM), 색소성 망막염(RP), 녹내장에 의한 망막증 등),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관상 동맥 질환, 협심증,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 허혈, 재환류 장해, 혈전증, 간질, 비염, 부비강염, 기종(氣腫),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 천식, 기관지염, 호흡기 질환, 호흡 부전 증후군, 감염성 쇼크, 폐섬유증, 위염, 전이 위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씨병(Crohn's disease), 염증성 대장 질환, 창상 치유, 습진, 피부 알레르기, 피부염, 건선, 만성 관절 류마티즘,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자기 면역 질환 등의 질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및 화합물은 심근 경색 진단 보조제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원료 화합물의 제조예를 참고예로서 예시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제의 제조예를 실시예로서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행해진 약리 시험예를 예시한다. 이들 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예 중, 핵 자기 공명(NMR) 스펙트럼은 하기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약호는 다음과 같다.
장치: JNM-AL300(JEOL사 제조)
내부 표준 물질: TMS
s: singlet, d: doublet, t: triplet, q: quartet, quint: quintet, sext: sextet
도 1은 실시예 1의 화합물을 0.25, 0.5 및 1 mM로 집토끼 각막 상피 세포에 첨가하였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2는 집토끼의 모양체 동맥에서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래트의 망막 신경절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에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참고예 1
(E)-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2-브로모피리딘-6-메탄올 50.0 g을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0 ml에 용해시키고, 용해액 중에 아크릴산메틸 47.9 ml, 염화테트라(n-부틸)암모늄 73.9 g, 탄산수소나트륨 47.7 g 및 분자체(Molecular Sieves 3A(1/16)) 50.0 g을 첨가하고, 아르곤 분위기하에 아세트산팔라듐(II) 2.98 g을 더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E)-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를 50.2 g 얻었다.
갈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6
참고예 2
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E)-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50.2 g을 이소프로필알코올 502 ml에 거의 용해시키고, 용해액 중에 5 % 팔라듐-(활성 탄소) 2.51 g을 첨가하고, 상압의 수소 분위기하에 50 ℃에서 2.5 시간 교반하였다. 냉각 후,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를 50.0 g 얻었다.
갈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7
참고예 3
3-(6-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50.0 g을 아세트산에틸 1000 ml에 용해시키고, 용해액 중에 트리에틸아민 53.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냉하에 10 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에 메탄술폰산클로라이드 23.8 ml를 10 분에 걸쳐 적하하고, 빙냉하에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하여 3-(6-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를 63.0 g 얻었다.
갈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8
참고예 4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4-아세트아미드벤즈알데히드 1000 g을 에탄올 16000 ml에 용해시키고, 말로노니트릴 607 g, 피페리딘 40 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켜 30 분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에탄올 2000 ml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N-[4-(2,2-디시아노비닐)페닐]아세트아미드를 황색 분말로서 1049 g 얻었다.
3-(6-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7.0 g을 메탄올 75 ml에 용해시키고, 용해액에 티오우레아 1.85 g을 첨가하여 1.5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빙냉 후,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10.7 ml를 첨가하여 잠시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메탄올 75 ml,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N-[4-(2,2-디시아노비닐)페닐]아세트아미드 4.33 g을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N-브로모숙신이미드 3.67 g을 첨가하여 1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메탄올 40 ml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5.5 g을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09
참고예 5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5 g을 50 % 함수 아세토니트릴 150 ml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리튬일수화물 1.35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시트르산 4.11 g을 물 20 ml에 용해시켜 서서히 반응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물 75 ml로 세정 후,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켜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 5 g을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0
참고예 6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리딜메탄올 10 g을 아세트산에틸 150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2.8 ml를 첨가하고, 빙냉하에 잠시 교반하였다. 이것에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5.4 ml를 천천히 적하하고, 빙냉하에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물 50 ml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50 ml로 2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 건조 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아세토니트릴 200 ml에 용해시키고, 피페라진 18 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생성된 피페라진을 여과 제거하였다. 이 여과액에 포화 식염수 50 ml, 아세트산에틸 50 ml를 첨가하여 철야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또한 포화 식염수 50 ml로 2회 세정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에 물 50 ml를 첨가하고, 빙냉하에 1 N 염산을 이용하여 중화시켰다. 이것에 아세트산에틸 100 ml를 첨가하여 잠시 교반 후, 분액하였다. 수층에 빙냉하에 5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강염기성으로 하고, 아세트산에틸 추출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이에 의해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을 9.96 g 얻었다.
무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1
참고예 7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이염산염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 2.16 g을 아세톤 44 ml에 현탁시키고,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781 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1.1 g,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 1.5 g을 순차로 첨가하여 1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아세톤을 감압 증류 제거 후, 아세트산에틸 30 ml, 물 30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메탄올 25 ml에 완전 용해시킨 후, 빙냉하에 진한 염산 0.85 ml를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에탄올 50 ml를 첨가하여 50 ℃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건조시켜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이염산염을 2.95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2
실시예 1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이염산염 40 g에 염화수소[1 몰/L 아세트산에틸 용액] 400 m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 24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트산에틸 80 ml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백색 조결정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조결정을 실온하에서 물 245 ml에 용해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아세톤 875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종정(種晶)을 섞어 6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톤 140 ml로 세정 후, 건조시켜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을 29.8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3
실시예 2
N-(4-(6-아미노-5-시아노-2-((6-(3-(4-((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말레산염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 1.01 g을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에 용해시키고, 2-클로로에탄올 186 μl, 트리에틸아민 0.6 ml, 탄산칼륨 386 mg, 요오드화나트륨 300 mg을 첨가하여 50 ℃하에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28 % 암모니아수=100:10:1)로 정제하여 N-(4-(6-아미노-5-시아노-2-((6-(3-(4-((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를 220 mg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 5 ml에 용해시키고, 말레산 38.8 mg을 첨가하여 잠시 교반하였다. 용해액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N-(4-(6-아미노-5-시아노-2-((6-(3-(4-((1-(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말레산염을 250 m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4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실시예 3 내지 5의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5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6
실시예 6
N-(4-(6-아미노-5- 시아노 -2-(6-(3-옥소-3-(4-(피페리딘-4- 일메틸 )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 메틸티오 )피리미딘-4-일) 페닐 ) 아세트 - D3 -아미드 삼염산염 (6-3)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7
4-(4-(3-(6-(4-(4- 아세트 - D3 - 아미도페닐 )-6-아미노-5- 시아노피리미딘 -2- 일티오 ) 메틸 )피리딘-2-일) 프로파노일 )피페라진-1-일) 메틸 )피페리딘-1- 카르복실산 t-부 틸에 스테르이염산염(6-2)
4-(4-(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6-1) 3.4 g을 염화메틸렌 68 mL에 용해시키고, 빙냉하에 트리에틸아민 1.4 ml를 첨가하여 잠시 교반하였다. 이것에 아세틸-D3 클로라이드 532 μl를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하에 철야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분액한 후, 수층을 염화메틸렌으로 2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25:1)로 정제하여 4-(4-(3-(6-(4-(4-(아세트-D3-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를 3.1 g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 20 mL에 완전 용해시킨 후, 빙냉하에 진한 염산 1.7 ml를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하에 3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에탄올 40 ml를 첨가하여 50 ℃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건조시켜 4-((4-(3-(6-((4-(4-(아세트-D3-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이염산염(6-2)를 2.06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8
N-(4-(6-아미노-5- 시아노 -2-(6-(3-옥소-3-(4-(피페리딘-4- 일메틸 )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 메틸티오 )피리미딘-4-일) 페닐 ) 아세트 - D3 -아미드 삼염산염 (6-3)
4-(4-(3-(6-(4-(4-(아세트-D3-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이염산염(6-2) 2.0 g에 염화수소[1 몰/L 아세트산에틸 용액] 20 m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 41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트산에틸 4.0 ml로 세정하였다. 이 조결정을 실온하에 물 10 mL에 용해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아세톤 40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종정을 섞어 2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톤 4 ml로 세정 후, 건조시켜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D3-아미드 삼염산염(6-3)을 1.75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19
실시예 7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0
4-니트로벤조산-2,3,5,6-D4 메틸에스테르(7-2)
4-니트로벤조산-D4(7-1) 5 g을 메탄올 100 ml에 용해시키고, 진한 염산 1.0 ml를 첨가하여 15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시킨 후, 이 잔사에 물을 첨가하여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4-니트로벤조산-2,3,5,6-D4 메틸에스테르(7-2)를 5.3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1
4-니트로벤질-2,3,5,6-D4 알코올(7-3)
4-니트로벤조산-2,3,5,6-D4 메틸에스테르(7-2) 5.3 g을 디옥산 53 ml와 물 53 ml의 혼합 용매에 현탁시키고, 수소화붕소산나트륨 9.4 g을 첨가하여 실온하에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5 N 염산으로 반응액을 약산성으로 하여 분액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하여 4-니트로벤질-2,3,5,6-D4 알코올(7-3)을 3.75 g 얻었다.
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2
4-아미노벤질-2,3,5,6-D4 알코올(7-4)
4-니트로벤질-2,3,5,6-D4 알코올(7-3) 3.75 g을 아세트산에틸 37 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5 % 팔라듐-(활성 탄소) 400 mg을 첨가하고, 상압의 수소 분위기하에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4-아미노벤질-2,3,5,6-D4 알코올(7-4)를 2.65 g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3
4-아세트아미드벤질-2,3,5,6-D4 아세테이트(7-5)
4-아미노벤질-2,3,5,6-D4 알코올(7-4) 2.65 g을 아세트산에틸 53 mL에 용해시키고, 빙냉하에 트리에틸아민 12.9 ml를 첨가하여 잠시 교반하였다. 다음에 아세틸클로라이드 5.5 ml를 천천히 적하하여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였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4-아세트아미도벤질-2,3,5,6-D4 아세테이트(7-5)를 4.28 g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4
N-(4-(히드록시디메틸)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6)
4-아세트아미드벤질-2,3,5,6-D4 아세테이트(7-5) 4.28 g을 메탄올 80 mL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 2.9 g을 첨가하여 1.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N-(4-(히드록시디메틸)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6)을 3.4 g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5
N-(4-포르밀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7)
N-(4-(히드록시디메틸)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6) 3.4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8 mL에 용해시키고, 이산화망간 17 g을 첨가하여 60 ℃하에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N-(4-포르밀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7)을 2.5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6
N-(4-(2,2-디시아노비닐)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8)
N-(4-포르밀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7) 2.5 g을 에탄올 50 mL에 용해시키고, 말로노니트릴 1.1 g, 피페리딘 2 방울을 첨가하여 실온하에 8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에탄올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N-(4-(2,2-디시아노비닐)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8)을 2.1 g 얻었다.
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7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3,4-디히드로피리미딘-4-일)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9)
금속 나트륨 276 mg을 용해시킨 에탄올 용액 20 ml에, 티오우레아 760 mg을 첨가하여 실온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N-(4-(2,2-디시아노비닐)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8) 2.1 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온수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으로 약산성으로 하였다. 생성된 불용물을 여과 분리, 건조시킴으로써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3,4-디히드로피리미딘-4-일)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9)를 2.91 g 얻었다.
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8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7-10)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3,4-디히드로피리미딘-4-일)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7-9) 2.91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0 ml에 용해시키고, 3-(6-메탄술포닐옥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 2.73 g 및 탄산칼륨 2.76 g을 첨가하고, 실온하에 철야 교반하였다. 다음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1.77 g을 첨가하여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20:1)로 정제하여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7-10)를 3.52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29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7-11)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7-10) 3.52 g을 50 % 함수 아세토니트릴 100 mL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리튬일수화물 331 m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2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시트르산 1.59 g을 물 10 ml에 용해시켜 서서히 반응액에 첨가하고, 50 ℃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물로 세정하였다. 이 결정을 건조시켜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7-11)을 2.29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0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이염산염(7-12)
3-(6-(4-(4-아세틸아미노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7-11) 2.29 g을 아세톤 46 mL에 현탁시키고,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820 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1.16 g, 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 1.43 g을 순차로 첨가하고, 1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아세톤을 감압 증류 제거 후, 아세트산에틸 23 ml, 물 23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메탄올 22.5 ml에 완전 용해시킨 후, 빙냉하에 진한 염산 1.43 ml를 천천히 적하하고, 실온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에탄올 45 ml를 첨가하여 50 ℃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건조시켜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이염산염(7-12)를 2.35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1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7-13)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2,3,5,6-D4)-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이염산염(7-12) 2.35 g에 염화수소[1 몰/L 아세트산에틸 용액] 23 m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 24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트산에틸 4.7 ml로 세정하였다. 이 조결정을 실온하에 물 10 ml에 용해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아세톤 40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종정을 섞어 2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톤 4.7 ml로 세정 후, 건조시켜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2,3,5,6-D4)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7-13)을 1.93 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2
이하, 참고예로서 하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3
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8-2)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8-1) 230 mg을 아세토니트릴 20 mL에 현탁시키고, 5 N 염산 2 ml를 첨가하여 60 ℃하에 철야 교반하였다. 방냉 후, 시트르산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에탄올 세정 후,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켜 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8-2) 150 mg을 얻었다.
담황색 분말
4-(4-(3-(6-((4-아미노-6-(4-아미도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8-3)
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8-2) 2.58 g을 아세톤 50 mL에 현탁시켜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1.28 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1.8 g, 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 1.8 g을 순차로 첨가하여 1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아세톤을 감압 증류 제거 후, 아세트산에틸 30 ml, 물 30 ml를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28 % 암모니아수=100:10:1)로 정제하여 4-(4-(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8-3)을 3.9 g 얻었다.
담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5
4-아미노-6-(4-아미노페닐)-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사염산염(8-4)
4-(4-(3-(6-(4-아미노-6-(4-아미노페닐)-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8-3) 3.6 g에 염화수소[1 몰/L 아세트산에틸 용액] 54 m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 24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의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4-아미노-6-(4-아미노페닐)-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사염산염(8-4)를 4.3 g 얻었다.
담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6
이하, 참고예로서 하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7
3-(6-히드록시디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2)
3-(6-히드록시메틸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1) 1.37 g을 염화메틸렌 15 mL에 용해시키고, m-클로로과벤조산 1.46 g의 염화메틸렌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10 % 아황산나트륨 수용액,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로 순차로 세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 증류 제거함으로써 3-(6-히드록시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2)를 880 m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8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9-4)
티오우레아 1.52 g을 에탄올 15 mL에 현탁시킨 후, 탄산나트륨 2.12 g을 첨가하여 60 ℃하에 30 분 교반하였다. 다음에 N-(4-(2,2-디시아노비닐)페닐)아세트아미드(9-3) 4.22 g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온수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으로 약산성으로 하였다. 생성된 불용물을 여과 분리, 건조시킴으로써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9-4)를 1.87 g 얻었다.
황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39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5)
3-(6-히드록시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4) 880 mg을 염화메틸렌 18 mL에 용해시키고, 용해액 중에 트리에틸아민 1.1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빙냉하에 10 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에 메탄술폰산클로라이드 0.48 ml를 천천히 적하하고, 빙냉하에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분액하고,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농축시켜 3-(6-메탄술포닐옥시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를 얻었다. 다음에, 이것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시키고, N-(4-(6-아미노-5-시아노-2-머캅토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1.14 g 및 탄산칼륨 1.1 g을 첨가하여 실온하에 철야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를 580 m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0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9-6)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9-5) 580 mg을 50 % 함수 아세토니트릴 17 mL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리튬일수화물 53 mg을 첨가하여 80 ℃하에 2 시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시트르산 253 mg을 첨가하고, 50 ℃하에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수세하였다. 이 얻어진 결정을 건조시켜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9-6) 540 mg을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1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9-7)
3-{6-[4-(4-아세틸아미노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술파닐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피온산(9-6) 520 mg을 아세톤 10 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1-히드록시-1H-벤조트리아졸 224 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318 mg, 4-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 315 mg을 순차로 첨가하여 2 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아세톤을 감압 증류 제거 후,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여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50:1)로 정제하여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9-7)을 470 m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2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1-옥시-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9-8)
4-(4-(3-(6-(4-(4-아세트아미도페닐)-6-아미노-5-시아노피리미딘-2-일티오)메틸)-1-옥시피리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부틸에스테르 450 mg에 염화수소[1 몰/L 아세트산에틸 용액] 4.5 m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 24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건조시켜 백색 조결정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조결정을 실온하에 물 2.5 ml에 용해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아세톤 10 ml를 천천히 첨가하고, 6 시간 교반하였다. 석출 결정을 여과 분리하여 아세톤으로 세정 후, 건조시켜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1-옥시-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삼염산염을 230 mg 얻었다.
백색 분말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3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8
5 L 스테인리스제 비이커에 약 4.5 kg의 정제수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등장화제로서 진한 글리세린 130 g, 완충제로서 숙신산 3.5 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다음에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이후, 실시예 1의 화합물라 함) 0.5 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또한 보존제로서 브롬화벤조도데시늄 0.3 g을 첨가하여 서서히 교반하고, 완전히 용해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여기에, 별도로 제조한 4 %(w/w)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pH를 6.6으로 조정하였다. pH 제조 후, 용액의 총 중량이 5.0 kg이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하고, 서서히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무균 여과한 후, 점안 용기에 무균적으로 충전시켜 밀봉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의 의약 조성물은 숙신산 대신에 완충제로서 인산이수소나트륨 3.00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의 의약 조성물은 진한 글리세린 대신에 등장화제로서 포도당 275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의 의약 조성물은 진한 글리세린 대신에 등장화제로서 만니톨 255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의 의약 조성물은 진한 글리세린 대신에 등장화제로서 진한 글리세린 68 g과 프로필렌글리콜 50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의 의약 조성물은 진한 글리세린 대신에 등장화제로서 진한 글리세린 105 g과 소르비톨 43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의 의약 조성물은 진한 글리세린 대신에 등장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50 g과 만니톨 100 g과 소르비톨 43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5의 의약 조성물은 브롬화벤조도데시늄 대신에 방부제로서 염화벤잘코늄 0.5 g을 이용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행해진 약리 시험예를 예시한다.
시험 1: 아데노신 A2a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의 c-AMP 생산 작용
본 실험은 문헌[Klotz k. N. et al.,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1998)357, 1-9; Shryock J. C. et al., Molecular Pharmacology, (1998)53, 886-893)]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세포로서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인간)를 발현시킨 HEK293 세포(퍼킨 엘머 라이스 사이언시스(Perkin Elmer Life Sciences), Code No. RBHA2AC)를 사용하였다.
배지로서는 10 % FBS(Fetal bovine serum) 및 1 mM 피루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둘벳코 변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를 사용하였다.
본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뿌려(1×105/웰) 밤새 배양하였다. 상청을 제거한 후, 20 mM HEPES, 0.1 mM IBMX(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및 2 유닛/mL 아데노신디아미나제를 포함하는 DMEM(FBS는 제외함)을 0.1 mL/웰 첨가하고, 37 ℃에서 30 분간 인큐베이팅하였다. 배지 중 피검 약물 농도가 소정 농도가 되도록 피검 약물의 DMSO 용액을 첨가한 배지를 각 웰에 0.1 mL/웰 첨가하고, 추가로 30 분간 인큐베이팅하였다. 상청을 제거한 후, 세포 용해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각 웰의 c-AMP량을 c-AMP 효소 면역 분석(enzyme immunoassay; EIA) 시스템(아머샴 바이오사이언시스(Amersham Biosciences), Code No.RPN225)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 화합물로서 CGS-21680(2-p-카르복시에틸)페네틸아미노-5'-N-에틸카르복사미도아데노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시그마(Sigma), code C141)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대조 화합물의 배지 중 농도가 1 μM일 때의 c-AMP량 측정 결과를 100 %로 하여, 각 피검 약물을 소정 농도로 사용하여 구해진 c-AMP 측정값을 각각 환산하고, 상기 값이 50 %가 되는 경우의 각 피검 화합물의 배지 중 농도를 구하고, 이것을 EC50값으로 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한 이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4
시험 2: 각막 상피 세포에 미치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의 영향
[방법]
세포는 집토끼 각막 상피 세포(쿠라보; KURABO)를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뿌린 집토끼 각막 상피 세포에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60 분 인큐베이팅하였다. 다음에 솔라 시뮬레이터(SOL500)를 이용하여 UVA 3.5 mW/cm2의 광을 70 분 조사하였다. 그 후, 버퍼로 세포를 세정하고, 24 시간 후에 뉴트럴 레드 취입법에 의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첨가(0.25, 0.5 및 1 mM) 후의 솔라 시뮬레이터 조사에서의 세포 생존율은 각각 106.3 %, 115.0 % 및 100.7 %이고, 세포 생존율의 저하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점에서 광 조사시에 본원 화합물을 고농도로 사용하더라도 세포 독성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태양광이 내리쬐는 옥외에서도 고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인 것이 분명하였다.
시험 3: 혈관 확장 작용
눈의 순환 장해로서는, 녹내장, 망막 색소 변성증, 황반 변성증, 허혈성 시신경증, 망막 동맥 폐색증, 망막 정맥 폐색증, 당뇨병성 망막증, 홍채모양체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녹내장은 시신경 유두부에서의 순환 장해가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안(眼)순환에는 주로 2개의 계가 존재하고, 그의 하나는 모양체 동맥을 통과하는 순환이고, 다른 하나는 망막 중심 동맥을 통과하는 순환이다. 모양체 동맥은 맥락막, 시신경 유두부, 홍채, 모양체 등의 동맥으로 통한다. 한편, 망막 중심 동맥은 시신경을 통과하여 망막 중심 정맥으로 통하지만, 그의 일부는 시신경 유두부로부터 미세 동맥으로 분지되어 있다.
모양체 동맥에 대하여 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눈의 혈류를 개선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녹내장, 망막 색소 변성증, 황반 변성증, 허혈성 시신경증, 망막 동맥 폐색증, 망막 정맥 폐색증, 당뇨병성 망막증 및 홍채모양체염 등으로 대표되는 망막 질환의 치료에 이용하는 순환 개선약으로서 유용함이 기대된다.
<재료 및 방법>
집토끼를 과잉량의 펜토바르비탈나트륨 정맥 내 투여에 의해 안락사시킨 후, 안구를 적출하였다. 실체 현미경하에서 모양체 동맥을 채취하였다. 길이 2 mm로 절단한 모양체 동맥을 미소 혈관 장력 측정 장치(대니쉬 멀티 미오그래프 시스템(Danish Multi Myograph System) 610M, 대니쉬 미오 테크놀로지(Danish Myo Technology))에 세팅하였다. 산소화한 크레브스 용액(kreb's solution)을 이용하여 37 ℃, 95 % O2ㆍ5 % CO2 조건하에서 정치하였다.
혈관 내피 손상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100 μM 카르바콜에 의한 모양체 동맥의 혈관 확장 작용을 관찰하였다. 카르바콜에 의한 혈관 확장이 30 % 이상인 혈관을 내피가 손상을 받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후, 고 K+-크레브스 용액으로 모양체 동맥을 수축시킨 후, 실시예 1의 화합물을 0.3 μM으로부터 300 μM까지 단계적으로 투여하고, 그의 장력을 미오다크(Myodaq; ver 2.01, 대니쉬 미오 테크놀로지)로 측정하였다.
<결과>
결과를 하기 표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집토끼에 있어서 농도 의존적인 모양체 동맥 확장 작용을 나타내고, 그 EC50은 17.0 μM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모양체 동맥에 대하여 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해졌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5
시험 4: 신경 보호 작용
실명에 이르는 안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은 망막 신경절 세포(RGC)가 선택적으로 장해를 받고, 시신경 장해를 야기하여 시야 장해로 진행되는 병이다. 그 외에 눈 신경 장해가 관련되는 병으로서는, 망막 동맥 폐색, 망막 정맥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이 있다. 또한 황반 변성증, 망막 색소 변성증, 레버(Leber) 유전성 시신경증도 망막 신경 세포의 장해에 관련된 시질환이다.
망막 신경절 세포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망막 동맥 폐색, 망막 정맥 폐색증, 당뇨병 망막증, 허혈성 시신경증, 황반 변성증, 망막 색소 변성증, 레버 유전성 시신경증 등의 시질환 치료에 이용되는 시신경 보호제로서 기대된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문헌[Otori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39: 972-981, 199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행하였다.
생후 7 일령의 롱 에반스(Long Evans) 래트로부터 안구를 적출하였다. 망막을 안구로부터 단리하였다. 망막을 15 U/mL 파파인을 포함하는 신경 기저 배지에서 37 ℃, 30 분간 인큐베이팅하였다. 망막 세포 분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망막 세포 분산 용액을 항 SIRP 항체(케미콘; Chemicon)로 코팅한 배양 플라스크 중, 실온하에서 30 분 인큐베이팅하였다. 상청을 채취하여 항 thy-1 항체(케미콘)로 코팅한 배양 플라스크로 옮기고, 실온하에서 30 분 인큐베이팅하였다. 마지막으로 플라스크 내의 점착 세포를 신경 기저 배지로 세정하였다. 800 rpm에서 5 분간 원심 분리한 후, 정제된 RGC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세포를, 폴리-L-리신 및 라미닌으로 코팅한 커버 유리에 파종하였다. 정제된 RGC는, 배지 B-27 보조제, 1 mM L-글루타민, 50 ng/mL CNTF, 10 μM 포스콜린(forskolin)을 포함하는 신경 기저 배지 중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은 5 % CO2 및 95 % 공기를 포함하는 습한 분위기하에 37 ℃에서 행하였다. BDNF 50 ng/mL 또는 최종 농도가 0 nM(대조), 3 nM, 10 nM 및 30 nM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세포 파종 후 즉시 투여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염색된 RGC를 카운팅하여 산출하였다. 배양 개시 5 일 후에, RGC를 1 μM 칼세인-AM(Molecular Probe)으로 염색하였다. RGC의 수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카운팅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을 0 %, BDNF 첨가군을 100 %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결과를 하기 표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의 증가를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망막 신경절 세포에 대하여 신경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해졌다.
Figure 112010044670691-pct00046
데이터=평균±SE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을 0 %, BDNF 첨가군을 100 %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Claims (15)

  1.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시아노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I>
    Figure 112012080130403-pct00051
  2. N-(4-(6-아미노-5-시아노-2-((6-(3-옥소-3-(4-(피페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피리딘-2-일)메틸티오)피리미딘-4-일)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그의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녹내장, 고안압증, 당뇨병성 망막증, 가령성(加齡性) 황반 변성(ARDM), 색소성 망막염(RP), 및 녹내장에 의한 망막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질환;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관상 동맥 질환; 협심증;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 허혈; 재환류 장해; 혈전증; 간질; 비염; 부비강염; 기종(氣腫);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 천식; 기관지염; 호흡기 질환; 호흡 부전 증후군; 감염성 쇼크; 폐섬유증; 위염; 전이 위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씨병(Crohn's disease); 염증성 대장 질환; 창상 치유; 습진; 피부 알레르기; 피부염; 건선; 만성 관절 류마티즘;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또는 자기 면역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안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녹내장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정상 안압 녹내장, 고안압 녹내장, 또는 수술에 따른 속발 녹내장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녹내장, 고안압증, 당뇨병성 망막증, 가령성(加齡性) 황반 변성(ARDM), 색소성 망막염(RP), 및 녹내장에 의한 망막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질환;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관상 동맥 질환; 협심증;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 허혈; 재환류 장해; 혈전증; 간질; 비염; 부비강염; 기종(氣腫);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 천식; 기관지염; 호흡기 질환; 호흡 부전 증후군; 감염성 쇼크; 폐섬유증; 위염; 전이 위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씨병(Crohn's disease); 염증성 대장 질환; 창상 치유; 습진; 피부 알레르기; 피부염; 건선; 만성 관절 류마티즘;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또는 자기 면역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8. 제3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성 액제.
  9. 제8항에 있어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용해 보조제 및 pH 조정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수성 액제.
  10. 제9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숙신산, 붕산, 인산, 아미노산 및 그의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액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숙신산인 수성 액제.
  12. 제9항에 있어서, 등장화제가 포도당, 소르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의 등장화제인 수성 액제.
  13. 제9항에 있어서, 방부제가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브롬화벤조도데시늄,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클로로부탄올 및 벤질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수성 액제.
  14. 제8항에 있어서, pH가 5.0 내지 9.0인 수성 액제.
  15. 제7항에 있어서, 정상 안압 녹내장, 고안압 녹내장, 또는 수술에 따른 속발 녹내장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KR1020107015332A 2009-02-03 2010-02-02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KR101263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2339 2009-02-03
JP2009022339 2009-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87A KR20100111687A (ko) 2010-10-15
KR101263074B1 true KR101263074B1 (ko) 2013-05-09

Family

ID=4211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332A KR101263074B1 (ko) 2009-02-03 2010-02-02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708292B2 (ko)
EP (1) EP2393552B1 (ko)
JP (1) JP5145422B2 (ko)
KR (1) KR101263074B1 (ko)
CN (1) CN102307621B (ko)
AR (1) AR075196A1 (ko)
AU (1) AU2010211594B2 (ko)
BR (1) BRPI1007893A2 (ko)
CA (1) CA2749358C (ko)
CO (1) CO6420321A2 (ko)
DK (1) DK2393552T3 (ko)
ES (1) ES2661047T3 (ko)
IL (1) IL214028A (ko)
MX (1) MX2011008149A (ko)
MY (1) MY165572A (ko)
NO (1) NO2393552T3 (ko)
NZ (1) NZ593975A (ko)
RU (1) RU2533115C2 (ko)
SG (1) SG173093A1 (ko)
TR (1) TR201802626T4 (ko)
TW (1) TWI537260B (ko)
UA (1) UA105919C2 (ko)
WO (1) WO2010090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3766B2 (ja) * 2010-07-30 2015-11-25 大塚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JP5574294B2 (ja) * 2010-11-04 2014-08-20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光磁気記録媒体及び光磁気記録方法
CN106588696B (zh) * 2016-12-08 2018-12-25 西北师范大学 一种反式α,β-不饱和腈类化合物的制备方法
KR102316819B1 (ko) * 2018-04-20 2021-10-25 한미약품 주식회사 카라기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존성이 개선된 액상 제제
CN110950774B (zh) * 2019-11-04 2021-04-13 北京大学 蛋白质定量标记试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5778A2 (en) * 2004-04-30 2005-11-1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4-amino-5-cyanopyrimid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421B2 (ja) * 1999-12-27 2005-08-03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涙液分泌促進組成物
DE10110754A1 (de) 2001-03-07 2002-09-19 Bayer Ag Substituierte 2-Thio-3,5-dicyano-4-aryl-6-aminopyridine und ihre Verwendung
DE10134481A1 (de) 2001-07-16 2003-01-30 Bayer Ag Substituierte 2-Thio-3,5-dicyano-4-phenyl-6-aminopyridine und ihre Verwendung
AU2004253962A1 (en) 2003-07-02 2005-01-13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yrimidines useful as modulators of voltage-gated ion channels
JP4794200B2 (ja) * 2004-04-30 2011-10-19 大塚製薬株式会社 4−アミノ−5−シアノピリミジン誘導体
JP5201817B2 (ja) * 2005-10-28 2013-06-05 大塚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US20070140897A1 (en) 2005-12-21 2007-06-21 Hongna Wang Ph stable biguan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5778A2 (en) * 2004-04-30 2005-11-1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4-amino-5-cyanopyrimid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8292B2 (en) 2017-07-18
DK2393552T3 (en) 2018-03-05
CN102307621A (zh) 2012-01-04
IL214028A (en) 2015-11-30
TWI537260B (zh) 2016-06-11
RU2533115C2 (ru) 2014-11-20
US20120022077A1 (en) 2012-01-26
NO2393552T3 (ko) 2018-05-19
SG173093A1 (en) 2011-08-29
AU2010211594A1 (en) 2011-07-28
UA105919C2 (uk) 2014-07-10
WO2010090299A1 (en) 2010-08-12
JP2011509924A (ja) 2011-03-31
CA2749358A1 (en) 2010-08-12
BRPI1007893A2 (pt) 2016-02-16
MX2011008149A (es) 2011-08-17
ES2661047T3 (es) 2018-03-27
JP5145422B2 (ja) 2013-02-20
MY165572A (en) 2018-04-05
NZ593975A (en) 2012-10-26
CN102307621B (zh) 2014-10-01
CA2749358C (en) 2016-07-26
TR201802626T4 (tr) 2018-03-21
IL214028A0 (en) 2011-08-31
AR075196A1 (es) 2011-03-16
AU2010211594B2 (en) 2016-05-12
RU2011136648A (ru) 2013-03-10
KR20100111687A (ko) 2010-10-15
EP2393552B1 (en) 2017-12-20
TW201033192A (en) 2010-09-16
EP2393552A1 (en) 2011-12-14
CO6420321A2 (es)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9769B2 (en) Glucosylceramide synth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U2017272151B2 (en) Benzylideneguanidine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 for the treatment of protein misfolding diseases
AU2011279909A1 (en) Bifunctional rho kinase inhibitor compounds, composition and use
RU2600928C2 (ru) Цианохинол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KR20080114711A (ko) 17β HSD 타입 5 저해제
KR101263074B1 (ko) 신규한 시아노피리미딘 유도체
UA127346C2 (uk) Модулятори соматостатину та їх застосування
BR112021005513A2 (pt) derivados de quinazolina como inibidor de tirosina quinase, composições, métodos de fabricação e uso dos mesmos
WO2006077851A1 (ja) キノロン誘導体又はその塩
KR101278383B1 (ko) 퀴놀론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
WO2019050794A1 (en) IMIDAZOLIDINE COMPOUNDS
JP2013523846A (ja) タンパク質チロシンキナーゼ活性の阻害剤および眼部の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BR112016018371B1 (pt) Derivados de indolona substituídos com pirrol, composição os compreendendo e uso dos mesmos
CA2841897A1 (en) Novel compound having parp inhibitory activity
WO2019001307A1 (zh) 一种酰胺类化合物及包含该化合物的组合物及其用途
JP5823766B2 (ja) 医薬組成物
TW201726141A (zh) 嘧啶并嗒酮之治療癌症的用途
TW201329084A (zh) 蛋白酪氨酸激酶活性選擇的抑制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