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967B1 -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967B1
KR101262967B1 KR1020110048572A KR20110048572A KR101262967B1 KR 101262967 B1 KR101262967 B1 KR 101262967B1 KR 1020110048572 A KR1020110048572 A KR 1020110048572A KR 20110048572 A KR20110048572 A KR 20110048572A KR 101262967 B1 KR101262967 B1 KR 10126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ite
dispersibility
parts
reac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558A (ko
Inventor
이영석
김진훈
정의경
이창호
서경원
지주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창호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03Mon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은, (1) 용매에 아민계 화합물과 산을 가하여 복합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복합용액에 일라이트를 가하고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3)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복합용액과 반응된 일라이트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Method for improving dispersibility of illite in polymer}
본 발명은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분자에 혼합되는 일라이트에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용액과의 반응 및 불산용액과의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내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다. 제조되는 제품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이 결정되며, 상기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분자 내에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상기 기능성은 난연성 부여, 항균 효과 부여, 원적외선 방출 기능, 물성 보강 효과 등을 들 수 있는데, 최종 목적하는 제품의 용도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첨가물이 활용된다.
일라이트(illite)는 국내 매장량이 많고, aspect ratio도 크며, 항균 효과,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알려진 방식으로 일라이트를 고분자 내에 첨가하여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일라이트가 고분자 내에서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일라이트를 고분자에 혼합하여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기능성의 부여 이외에도 물성, 성형가공성 등을 충족하여야 하지만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능성 부여 효과가 떨어짐은 물론 물성 및 성형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분자에 혼합되는 일라이트에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용액과의 반응 및 불산용액과의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은,
(1) 용매에 아민계 화합물과 산을 가하여 복합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복합용액에 일라이트를 가하고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3)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복합용액과 반응된 일라이트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단계 이후에 (4) 상기 제3단계를 통하여 세척 및 건조된 일라이트에 불산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키는 제4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일라이트를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용액과의 반응 및 불산용액과 반응시킴으로서 고분자 내에서 분산성이 향상된 일라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산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기능성 및 물성이 저하되던 종래와 달리 다양한 기능성 부여가 가능하면서도 물성도 보강된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분산성이 향상된 일라이트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습식 볼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편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편의 TEM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편의 인장강도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은,
(1) 용매에 아민계 화합물과 산을 가하여 복합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복합용액에 일라이트를 가하고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3)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복합용액과 반응된 일라이트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은, 상기 제3단계 이후에 (4) 상기 제3단계를 통하여 세척 및 건조된 일라이트에 불산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키는 제4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아민계 화합물과 산을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공정의 예측 및 안정을 고려할 때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산과 함께 작용하여 일라이트를 개질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도데실아민하드로클로라이드, 옥타데실아민,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아민, 모노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탄소수 8~127)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상기 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아민계 화합물의 혼합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일라이트의 유기화 개질 및 층간 거리 증가가 충분하지 못하여 개질 후에도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이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아민계 화합물의 혼합비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라이트의 표면에 긴 알킬 사슬을 가지는 아민계 화합물이 과도하게 도입되어 오히려 제조되는 고분자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산은 아민계 화합물과 함께 작용하여 일라이트를 개질시키게 되며, 또한 아민계 화합물을 용매에 쉽게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산은 상기 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산의 혼합비가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아민계 화합물이 용매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한치와 비교하여 더 이 이상의 분산 또는 용해 효과의 향상이 없이 강산성 용액의 제조로 인한 처리용액의 위험성만 향상되어 실익이 없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복합용액은 다음 단계를 통하여 일라이트와 반응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복합용액과 일라이트를 반응시키게 되는데, 이때 복합용액과 일라이트의 혼합비는 상기 복합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라이트 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라이트의 혼합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일라이트의 표면에 긴 알킬 사슬을 가지는 아민계 화합물이 과도하게 도입되어 오히려 제조되는 고분자의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일라이트의 혼합비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복합용액으로 인하여 일라이트의 유기화 개질 및 층간 거리 증가가 충분하지 못하여 개질 후에도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이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반응은 15 내지 10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복합용액과 일라이트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온도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매의 휘발로 인하여 반응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효과도 상한치의 경우와 별반 차이가 없어 에너지만 낭비할 뿐 실익이 없다. 또한 반응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복합용액과 일라이트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반응시간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한치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면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어 에너지만 낭비할 뿐 실익이 없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복합용액과 반응이 이루어진 일라이트는 다음 단계에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세척 및 건조 공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세척 및 건조가 된 일라이트는 다음 단계에서 불산용액과 반응이 이루어진다.
불산용액과 일라이트를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불산용액과 일라이트의 혼합비는 불산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라이트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일라이트의 혼합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과도한 불산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라이트의 구조가 붕괴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즉, 일라이트는 실리카층 사이에 알루미나층이 샌드위치처럼 쌓여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일라이트의 혼합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과도한 불산의 작용으로 인하여 실리카층이 손상을 입어 제조되는 고분자 복합체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일라이트의 혼합비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불산으로 인하여 본 발명이 기대하는 효과, 즉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불산용액과 일라이트의 반응은 15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온도와 반응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이 기대하는 효과, 즉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온도와 반응시간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라이트의 구조 붕괴로 인하여 오히려 고분자 복합체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불산용액과 일라이트의 반응은 습식 볼밀 처리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불산용액과 일라이트의 반응을 습식 볼밀 처리와 동시에 수행하게 되면, 일라이트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져,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박리현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복합용액과 반응한 일라이트를 이용한 고분자 시편의 제조
증류수에 octadecylamine과 염산을 가하여 복합용액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혼합비는 증류수 : octadecylamine : 염산 = 100 : 3 : 1 이었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용액에 일라이트를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복합용액과 일라이트의 비율은 중량비로 100 : 5 이었다.
상기와 같이 복합용액과 반응이 이루어진 일라이트를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10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과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세척 및 건조된 일라이트가 혼합된 일라이트/폴리프로필렌 펠렛을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일라이트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00 : 1 이었다.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일라이트/폴리프로필렌 펠렛을 이용하여 판 형상의 시편(20cm x 20cm x 3mm)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복합용액 및 불산용액과 반응한 일라이트를 이용한 고분자 시편의 제조
불산용액과의 반응을 추가로 시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고분자 시편을 제조하였다.
즉, 복합용액과 반응 후에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진 일라이트를 추가로 불산과 반응시켰다. 불산용액과의 반응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였다.
10% 불산수용액에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진 일라이트를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불산수용액과 일라이트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00 : 5 이었으며, 도 1에 모식도를 나타낸 것과 같은 페인트쉐이커를 이용하여 습식 볼밀 과정을 병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불산용액과의 반응이 이루어진 일라이트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일라이트/폴리프로필렌 펠렛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판 형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미처리된 일라이트를 이용한 고분자 시편의 제조
일라이트를 복합용액과 반응시키고,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판 형상의 시편을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로 선정하였다.
XRD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편의 XRD 분석을 하여,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2θ의 값이 작을 수록 일라이트의 층간거리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편의 경우 비교예보다 2θ의 값이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비교예의 경우 일라이트 고유의 층간거리와 별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부터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는 일라이트 관련된 피크가 약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일라이트의 층간거리가 증가하여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보다 피크가 더욱 약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복합용액과의 반응 후, 불산용액과의 반응 및 습식 볼밀 처리에 의하여 일라이트의 층간으로 고분자의 삽입과 일라이트 자체의 박리현상이 일어나 분산이 더욱 우수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EM 이미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일라이트 복합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TEM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처리된 일라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편의 경우 일라이트가 부분 부분 응집되어 있어 분산이 고르게 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경우는 상기 비교예에 비하여 일라이트의 응집이 적고,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분산이 비교적 고르게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경우는 일라이트의 응집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일라이트가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장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인장강도 값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는 비교예 보다 30% 이상 인장강도 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Claims (9)

  1. (1) 용매에 아민계 화합물과 산을 가하여 복합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복합용액에 일라이트를 가하고 반응시키는 제2단계;
    (3)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복합용액과 반응된 일라이트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제3단계; 및
    (4) 상기 제3단계를 통하여 세척 및 건조된 일라이트에 불산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아민계 화합물은 도데실아민하드로클로라이드, 옥타데실아민,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모노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복합용액은 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화합물 0.5 내지 10 중량부 및 산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은 복합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라이트 1 내지 50 중량부의 혼합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은 15 내지 10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라이트와 불산용액의 반응은 불산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라이트 10 내지 50 중량부의 혼합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은 15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은 습식 볼밀 처리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KR1020110048572A 2011-05-23 2011-05-23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KR10126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572A KR101262967B1 (ko) 2011-05-23 2011-05-23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572A KR101262967B1 (ko) 2011-05-23 2011-05-23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58A KR20120130558A (ko) 2012-12-03
KR101262967B1 true KR101262967B1 (ko) 2013-05-10

Family

ID=4751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572A KR101262967B1 (ko) 2011-05-23 2011-05-23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448A (ko) 2021-04-30 2022-11-11 한국세라믹기술원 수분산성이 향상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코팅 일라이트 마이크로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13B1 (ko) * 2014-10-17 2015-04-08 주식회사 명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457B1 (ko) * 2019-05-28 2021-01-12 주식회사 비전씨앤디 투수골재 포장재 조성물
KR102175287B1 (ko) * 2019-11-26 2020-11-06 주식회사 코뉴 알칼리성 성분의 침출이 저감된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옹벽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77B1 (ko) 2003-04-09 2006-01-24 한국화학연구원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2007176781A (ja) * 2005-12-27 2007-07-12 Ind Technol Res Inst 高靭性ナノコンポジッ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77B1 (ko) 2003-04-09 2006-01-24 한국화학연구원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2007176781A (ja) * 2005-12-27 2007-07-12 Ind Technol Res Inst 高靭性ナノコンポジッ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448A (ko) 2021-04-30 2022-11-11 한국세라믹기술원 수분산성이 향상된 폴리비닐파이롤리돈 코팅 일라이트 마이크로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58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967B1 (ko)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US20190177169A1 (en) Modified graphite intercalated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CN107236378A (zh) 太阳能电池背板用涂料组合物及其太阳能电池背板
CN100339007C (zh) 抗菌性组合物及抗菌性产品
KR20070003821A (ko) 난연제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
CN102634242A (zh) 埃洛石纳米管的改性处理及与水性聚氨酯复合制备复合材料的方法
DE102014104869A1 (de) Biomaterialverbundwerkstoff
El Mogy et al. Processing of polyurethane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nanosized zinc oxide: effect on mechanical and acoustic properties
CN102975453A (zh) 一种环保型耐高温pvc硬挺复合布及其生产工艺
KR20140072657A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12555A (zh) 一种高耐候性pvc墙板的制备方法
US20190009431A1 (en) Montmorillonite slurry, clay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montmorillonite slurry
KR20110045261A (ko) 수산화 마그네슘 입자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수산화 마그네슘 콜로이드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 난연성 코팅액과 난연성 코팅액이 코팅된 난연성 섬유
WO2008119646A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textil
Singh et al. Rapid fabrication and optimization of silk fibers supported and stabilized MnO 2 catalysts
KR101579478B1 (ko) 난연효율이 우수한 고분자수지용 무기수산화물―실리카하이브리드 복합 난연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난연제
KR101262966B1 (ko)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CN107573710A (zh) 一种防虫蛀且耐日晒的聚氯乙烯木塑强化地板及其制备方法
KR101426279B1 (ko) 도전성 구리계 미립자가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52395B1 (ko) 자외선에 안정한 폴리에스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E102009013884A1 (de) Antimikrobiell behandelte und/oder schmutzabweisende Textilmateriali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707732B1 (ko) 반응성 난연제를 첨가한 난연성 폴리푸로피렌섬유사
TWI406892B (zh) 樹脂組成物
CN104211989B (zh) 一种有机酸掺杂的疏水411型硼酸锌的制备方法
WO2018046761A1 (de) Dämm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