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657A -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657A
KR20140072657A KR1020120140419A KR20120140419A KR20140072657A KR 20140072657 A KR20140072657 A KR 20140072657A KR 1020120140419 A KR1020120140419 A KR 1020120140419A KR 20120140419 A KR20120140419 A KR 20120140419A KR 20140072657 A KR20140072657 A KR 2014007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d graphite
acid
silane
weight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098B1 (ko
Inventor
오해선
이진환
이재연
서석훈
최필준
Original Assignee
진양화학 주식회사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양화학 주식회사,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진양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0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시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등이 배출되지 않으며, 유연함과 동시에 성형관련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장판 및 바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 실란처리된 팽창흑연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흑연을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진 팽창흑연이며,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RMOPLAS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소시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등이 배출되지 않으며, 유연함과 동시에 성형관련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장판 및 바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물의 바닥면에 원목인 무늬목으로 구성된 바닥재 또는 가공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수지(PVC) 재질의 합성수지층으로 구성된 바닥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PVC)는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상기 염화비닐 수지(PVC)는 염소(Cl)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 염소가스와 연기가 다량 발생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동시에, 바닥재를 설치 완료 후 실제 사용시에 환경호르몬이 발생되고, 소각시에 다이옥신인 유해물질 등이 발생되며, 또한, 염화비닐 수지(PVC)재질의 바닥재 가공을 위하여 바닥재에 첨가된 가소제(DOP)에 의하여 새집중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는 유독물질인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와 HCHO(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상기 염화비닐 수지(PVC)의 고유물성에 의한 내후성과 굴곡강도 물성이 저하되어 제품 사용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물성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능 등에서 뛰어나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난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난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43291호(2003.06.02 공개), 제2002-0000934호(2002.01.09 공개)에는 수산화 알루미늄, 훈타이트, 하이드로 마그네시아트, 또는 적인 등의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의해 제조된 난연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함량이 높아 기계적 강도와 표면경도가 높아져 연질시트의 특성인 부드러운 터치감이 없어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염화비닐수지 소재의 바닥재에 비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독성물질을 대폭 감소시키며,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난연제의 함량을 최소화시켜 기계적 물성을 높임과 동시에 연질의 시트를 제작하여 경량화를 구현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 실란처리된 팽창흑연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863 g/cm3이며, 유동지수(MI) 2이며,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팽창흑연을 산처리하고,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진 팽창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흑연을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진 팽창흑연이며,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염화비닐수지 소재의 바닥재에 비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독성물질을 대폭 감소시키며,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난연제의 함량을 최소화시켜 기계적 물성을 높임과 동시에 연질의 시트를 제작하여 경량화를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이 폴리올레핀 수지 등과의 결합력을 높여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소재로 한 시트에 불이 붙을 경우 수백 배로 부피 팽창하는 팽창흑연의 작용에 의해 산소 유입이 차단되어 소화되면서 고도의 난연성이 달성되고 매연발생 등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제조되는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의 표면을 찍은 전자현미경 사진(500배 확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불에 탄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대조되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불에 탄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제조되는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의 표면을 찍은 전자현미경 사진(500배 확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불에 탄 모습을 찍은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대조되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불에 탄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단계로 팽창흑연을 산처리하는 단계이다(S110). 상기 팽창흑연(expanded graphite)은 밀도가 1.5 ~ 2.3g/㎤이고, 입경이 30 ~ 200㎛이며,20 ~ 350배의 팽창율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팽창 흑연은 강철주조에서 절연제, 주괴를 덥기 위한 덥개, 가구 및 매트리스의 고탄력 내화재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방열재료, 열전도 시트, 난연제, 전도성 필러(filler), 반도체 부품, 디스플레이(LED) 등의 부품 및 전계방출소재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H2SO4), 질산(HNO3), 염산(HCl) 및 아세트산(CH3COOH)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지는 팽창흑연을 말한다. 팽창흑연을 산처리하는 과정은 실란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처리단계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산처리시 팽창흑연의 침적은 60 ~ 120℃에서 10분 내지 24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의 온도 및 시간 이하에서 침적시키는 경우에는 이후에 진행 될 실란처리시 관능기에 붙는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관능기에 붙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온도 및 시간 이상에서 침적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의 위험성이 증대되거나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산처리가 끝난 팽창흑연은 건조시키는데, 건조시키기 전에 증류수로 2회 내지 3회 정도 세척한 후, pH 6 ~ 7로 맞추고 80 ~ 120℃에서 12시간 이상 동안 완전히 건조시켜 표면이 산처리된 팽창흑연 파우더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단계로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단계이다(S120).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켜 완성된 팽창흑연을 말한다. 표면이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는 방법은 건식처리법과 습식처리법이 있다. 건식처리법은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고속교반기(헨셀믹서, 슈퍼믹서 등)에 넣어서 고속 교반시키면서 실란 또는 실란용액 0.5 ~ 2.0%를 적하 또는 스프레이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때의 온도는 60℃가 적정하다. 상기 실란용액의 희석제로는 탄화수소계,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에스터류, 케톤류 또는 글리콜에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습식처리법은 처리효율이 높고 균일한 처리가 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많이 이용하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유기용제에 넣고 분산시켜 슬러지화하여 교반하면서 0.5 ~ 2.0%의 실란커플링제를 가하는 방법이다. 실란처리 후 건조시켜 최종 실란처리 팽창흑연 파우더 제조를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장치가 단순하기 때문에 작은 스케일의 제조에 적합하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실란계, 티타산염계, 크롬계 커플링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 3단계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이다(S130).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863 g/cm3이며, 유동지수(MI) 2이며,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제조
(1) 팽창흑연 표면 산처리
입자크기가 평균 50~200㎛의 팽창흑연을 묽은초산(물 50%, 초산 50%) 용액에 넣고, 온도를 60℃에서 6시간 표면 산처리 한 다음 증류수로 수세시키고 이때 pH 6 ~ 7 사이로 맞추고 24시간 건조하여 표면산처리된 팽창흑연 파우더를 제조한다.
(2) 팽창흑연 표면 실란처리
표면이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는 방법은 건식처리법과 습식처리법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중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의 제조는 건식처리법과 습식처리법 중 건식처리법을 택해서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고속교반기(헨셀믹서, 슈퍼믹서 등)에 넣어서 고속 교반시키면서 실란 또는 실란용액 0.5 ~ 2.0%를 적하 또는 스프레이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데, 이때의 온도는 60℃가 적정하다. 도 2에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의 표면의 상태가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화재시 쉽게 팽창하여 산소공급을 차단시켜 인명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2.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밀도가 0.863 g/㎤이며 유동지수(MI)가 2이며 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수지가 70중량부에 대하여,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20 ~ 30중량부와,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소량을 혼합한 후,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용융 분산(온도는 120℃)시키며 믹싱 롤에서 2차 분산(온도는 120~130℃)시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형성시킨 후, 최종 캘린더 롤에 의한 시트 성형(온도는 130~150℃)을 한다.
3.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밀도가 0.863 g/㎤이며 유동지수(MI)가 2이며 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 수지가 7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3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30중량부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 3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및 산화방지제 소량을 혼합한 후,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용융 분산(온도는 120℃)시키며 믹싱 롤에서 2차 분산(온도는 120~130℃)시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형성시킨 후, 최종 캘린더 롤에 의한 시트 성형(온도는 130~150℃)을 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표 1을 통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폴리올레핀 수지 70 70 70 70 70 70
수산화알루미늄 난연제 30 - - - - -
수산화마그네슘
난연제
- 30 - - - -
멜라민계 난연제 - - 30 - 5 10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 - - 30 25 20
산화방지제 0.3 0.3 0.3 0.3 0.3 0.3
3.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분석
(1) 평가항목
1) 난연성(HB) : 0.3mm 두께의 시편으로 UL 94 HB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비중(g/㎤) : ASTM D792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표면경도(shore A) : ASTM D 224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열전도도(W/m.k) : ASTM E 1461, Laser flash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분석결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도 4 참조)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도 3 참조)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난연성(0.3mm) ◎(자소성) ◎(자소성) ◎(자소성) X X
인장강도(/) 122 124 136 132 138 135
비중(g/cm3) 1.11 1.14 1.16 1.25 1.23 1.21
표면경도(shore A) 82 82 83 86 85 85
열전도도(W/m.k) 1.5 1.31 1.1 0.42 0.43 0.42
여기서, 난연성 항목에서 60초 동안 75mm이상 타들어 간 것을 X , 60초 안에 75mm이하 타들어 간 것을 ○, 60초 안에 75mm이하에서 불꽃이 꺼진 것을 ◎(자소성)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난연성은 팽창흑연이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자소성을 나타내 난연성이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비중은 팽창흑연이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일반 무기계 난연제가 함유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보다 낮아 경량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경도는 팽창흑연이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판상구조와 플렉시블하여 일반 무기계 난연제가 함유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보다 표면경도가 낮아 부드러운 시트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열전도도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경우 0.42 ~ 0.43 W/m.k로 낮으며 팽창흑연이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바닥재 사용시 난방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는 기존의 염화비닐수지 소재의 바닥재에 비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독성물질을 대폭 감소시키며,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난연제의 함량을 최소화시켜 기계적 물성을 높임과 동시에 연질의 시트를 제작하여 경량화를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이 폴리올레핀 수지 등과의 결합력을 높여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을 소재로 한 시트에 불이 붙을 경우 수백 배로 부피 팽창하는 팽창흑연의 작용에 의해 산소 유입이 차단되어 소화되면서 고도의 난연성이 달성되고 매연발생 등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863 g/cm3이며, 유동지수(MI) 2이며,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팽창흑연을 산처리하고,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진 팽창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6. 팽창흑연을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을 실란처리하여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올레핀 수지 70 ~ 8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 10 ~ 30중량부 및 멜라민계 난연제 0 ~ 1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은 황산, 질산, 염산 및 아세트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성용액에 팽창흑연을 침적시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표면 산처리를 한 후, 건조시켜 이루어진 팽창흑연이며, 상기 실란처리된 팽창흑연은 상기 산처리된 팽창흑연에 실란 또는 실란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863 g/cm3이며, 유동지수(MI) 2이며,결정화도가 4%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140419A 2012-12-05 2012-12-05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9A KR101448098B1 (ko) 2012-12-05 2012-12-05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9A KR101448098B1 (ko) 2012-12-05 2012-12-05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657A true KR20140072657A (ko) 2014-06-13
KR101448098B1 KR101448098B1 (ko) 2014-10-08

Family

ID=5112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419A KR101448098B1 (ko) 2012-12-05 2012-12-05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0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33A (ko) *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78934A (ko) *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방화재용 실란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22139176A1 (ko) * 2020-12-24 2022-06-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233028A1 (zh) * 2021-05-07 2022-11-1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膨胀石墨热界面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53B1 (ko) 2023-05-31 2023-08-24 지엘기술주식회사 준불연성을 갖는 실리카-흑연 복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115A (en) * 1995-03-03 1998-06-02 Tosoh Corporation Fire-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KR101074309B1 (ko) * 2006-03-28 2011-10-17 제온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열전도성 감압 접착성 시트상 성형체
EP2196500B1 (en) * 2008-12-12 2013-04-10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33A (ko) *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실란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78934A (ko) * 2015-12-29 2017-07-10 (주)탑프라 방화재용 실란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22139176A1 (ko) * 2020-12-24 2022-06-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2233028A1 (zh) * 2021-05-07 2022-11-1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膨胀石墨热界面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098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98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1561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9181248B (zh) 一种聚磷酸铵包覆碳微球阻燃剂的制备方法
KR101665680B1 (ko) 표면에 인이 도핑된 산화 그래핀을 포함하는 난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2670806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6228658B1 (ja) 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材料及び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材料の製造方法
JP7157187B2 (ja) 熱膨張性耐火シート
WO2020211327A1 (zh) 一种遮阳面料及其制备方法
JP2006316168A (ja) 難燃剤及びそれを含む合成樹脂組成物
KR100681333B1 (ko) Wpc 환경친화적 폴리올레핀/목분 복합체
JP3921448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20190004470A (ko) 반도체 제조공장의 배기가스 덕트 및 배관용 다층 구조를 갖는 불연성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제조방법
KR101526565B1 (ko) 인조대리석 폐분말과 콜애시를 이용한 난연화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CN104829943A (zh) 一种含气相二氧化硅的膨胀型聚丙烯阻燃剂及其制备方法
KR100578598B1 (ko) 황토함유 난연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황토함유 난연마스터배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토함유 난연성 발포체
KR101607058B1 (ko) 친환경적인 고난연성 플라스틱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88487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シート状物及び壁装材
KR20080089717A (ko) 장식시트용 난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식시트
KR101711571B1 (ko)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101594845B1 (ko)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JP2018109137A (ja) 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材料及び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材料の製造方法
Li et al. Multifunctional Lightweight Guanidine Phosphate/Poly (Vinyl Alcohol) Melamine-Based Hybrid Foam for Superior Thermal Insulation and Flame Retardancy
JP3882583B2 (ja) 難燃助剤とそれを配合してなる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426279B1 (ko) 도전성 구리계 미립자가 코팅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772B1 (ko)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