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772B1 -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 Google Patents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772B1
KR102282772B1 KR1020200087874A KR20200087874A KR102282772B1 KR 102282772 B1 KR102282772 B1 KR 102282772B1 KR 1020200087874 A KR1020200087874 A KR 1020200087874A KR 20200087874 A KR20200087874 A KR 20200087874A KR 102282772 B1 KR102282772 B1 KR 10228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eight
sandwich panel
combustibl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동
Original Assignee
(주)티엔팀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엔팀버 filed Critical (주)티엔팀버
Priority to KR102020008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6Forming foamed products using b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6Walls, e.g. buildin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은 상기 발포체의 표면을 불연성의 패널조성물이 완전히 감쌈에 따라 고온의 화염에 노출되어도 발포체의 표면에서 화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배출되는 유독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천연 또는 인공의 석재패널을 접합함으로써 동일한 크기 또는 두께의 일반 석재패널에 비해 가볍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심미감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Manufacturing method of sandwich panel of fire-resistant and stone panel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포체에 마그네슘화합물, 세라믹스, 충전재 및 접착제를 포함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함으로써 패널의 내화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킨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스티렌(EPS;expanded polystyrene) 입자로 제조된 패널 제품은 주택, 빌딩, 공장 등의 건축물의 벽 및 천장 등에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 폴리스티렌(EPS;expanded polystyrene)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공정은, 폴리스티렌 입자(polystyrene beads)를 소정의 발포 비율로 발포한 후, 사일로(silo)에서 건조 숙성시킨 후 성형기에서 연화할 때까지 가열 후 냉각시켜서 성형체를 성형하고, 소정의 양생과정을 거쳐 열선을 이용하여 규격대로 절단하여 제작되는 비난연 EPS 패널을 강판(아연도강판, 갈바늄강판, 알루미늄강판, 칼라강판 등)이나 석재 패널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후 규격대로 재단하여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EPS 샌드위치 패널은 높은 단열 효과와 경제성, 방음성, 경량성, 기계강도, 인체 무해성 등의 이유로 공장, 축사 등의 단열재로 폭넓게 사용된다. 반면에 화재 발생시 인화성 및 유독가스 배출 등으로 인해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노출되므로 EPS 샌드위치 패널의 난연화는 매우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정된 건축법시행령 제61조 규정에 의하면, 일정규모 이상의 다중이용시설물, 공동주택, 생활권수련시설물, 자연수련시설물 등의 벽, 천장, 복도, 계단 등의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또는 난연재료를 사용하도록 개정함에 따라, 이전에는 내부 마감재료에 한하여 실시되는 불연성능시험(KS F 2271)을 내부 마감재료인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 등에 대하여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중이용시설물 등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EPS, 폴리우레탄 등은 연소 시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또한 글라스울의 경우 준 발암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를 특별한 조치 없이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 마감재료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준불연 또는 불연 샌드위치 패널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4972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에서는 소정크기로 절단된 블록을 난연재에 함침시키거나 또는 스프레이 분사시키는 경우 난연재가 블록의 모든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처리 되지 않아 화재 발생 시 난연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블록의 연소로 인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189호에는 난연화 도포제로 물유리를 주재료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물유리는 스티로폼 발포 시 스티로폼 발포를 위해 진행하는 고압의 스팀압에 의해 물유리가 스티로폼 알갱이에 코팅되지 못하고 씻김으로써 난연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4972호 (2009년 11월 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189호 (2010년 10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포체에 마그네슘화합물, 세라믹스, 충전재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널조성물을 혼합하고 이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발포체의 표면을 불연성의 패널조성물이 완전히 감쌈에 따라 불연성을 발현할 수 있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및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발포체에 마그네슘화합물, 세라믹스, 충전재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조성물을 혼합하여 패널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주형 내부에 유리섬유 망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주형에 패널조성물을 투입하고 경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된 패널조성물을 후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과산화마그네슘 및 질산마그네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스는 탄화규소, 질화규소, 알루미나, 토르말린,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갈륨,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구리, 산화니켈, 탄산칼슘, 티타늄산바륨 및 티타늄산칼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목분, 황토, 물유리, 플라이애시 및 질석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에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석재 패널은,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과 접합된 천연 또는 인공 석재를 포함하는 표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은 상기 발포체의 표면을 불연성의 패널조성물이 완전히 감쌈에 따라 고온의 화염에 노출되어도 발포체의 표면에서 화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배출되는 유독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천연 또는 인공의 석재패널을 접합함으로써 동일한 크기 또는 두께의 일반 석재패널에 비해 가볍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심미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석재 패널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우측) 및 비교예 1(좌측)에 따라 제조한 시편에 화염을 10분간 가한 후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은,
a) 발포체에 마그네슘화합물, 세라믹스, 충전재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조성물을 혼합하여 패널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주형 내부에 유리섬유 망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주형에 패널조성물을 투입하고 경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된 패널조성물을 후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발포체 입자의 표면에 접착력 및 불연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표면에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체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열에 연화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입자를 형성하여 발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발포제 및 발포방법 또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서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방향족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가 있으며 단독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혼성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α-올레핀 중합체는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1-헥센(1-hexene) 및 1-옥텐(1-octene) 등이 있으며, 에틸렌-프로필렌 혼성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혼성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등이 있다. 아크릴산과 -방향족비닐계의 혼성 중합체로는 스티렌-(메타)아크릴산 혼성 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혼성 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인산 혼성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혼성 중합체가 있으며,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벤질과 방향족 비닐계 모노마인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pn-부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2,4,6-트리브로모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스티렌술폰산,스티렌술폰산나트륨,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과의 혼성 중합체와, 염화 비닐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서 초산비닐, 카프론산 비닐 등의 탄소수 2 내지 8의 비닐계에, 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리르산 메틸 아크릴산등, 에틸렌, 1-펜텐 등의 올레핀류, 아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부틸 비닐, 옥틸 비닐 등의 단독 중합체와 혼성 중합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포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이외에도 공지의 난연제를 더 포함하여 난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난연제의 예를 들면, 할로겐계 화합물, 안티몬계 산화물, 인계 화합물, 염소계 화합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발포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중합법 또는 압출법 등으로 입자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입자의 크기는 0.1 내지 5㎜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원하는 배율로 다시 발포하여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10 내지 50배로 1차 발포한 후, 이를 다시 원하는 배율로 2차 발포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연소과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열에너지를 소비시키거나 불연성 중질가스를 생성시켜 연소를 진행시키는 가스들끼리의 반응을 억제시키는 방식으로 불연성이나 난연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발포체와 조성물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충격이나 외력에도 발포체와 조성물이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의 예를 들면,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과산화마그네슘 및 질산마그네슘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물질은 기본적으로 흡열량이 400kcal/㎏ 이상으로 높고, 고분자의 온도가 낮도록 유지시킴으로서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산화마그네슘은 내화성을 가져 다른 성분들의 난연성을 높임과 동시에 다른 무기물과 발포체 간의 접착작용을 촉진하며, 황산마그네슘은 분해 시 생성되는 황산라디칼(SO4·)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가 급격하게 발생하여 이들에 의한 산소 차단과 흡열에 의해 연소를 지연하고 저지하며, 염화마그네슘은 가스 상에서 라디칼 트랩 효과에 의해 활성 상태의 OH 라디칼을 안정화시키게 되어 연소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슘화합물은 전체 결합조성물 100 중량% 중 55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경우 산화마그네슘 40 내지 50 중량%, 황산마그네슘 20 내지 30 중량% 및 염화마그네슘 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 화합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패널의 기계적 물성과 불연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 상태의 발포체 간의 접착력 부족으로 인해 패널의 기계적 물성이 하락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화합물을 상기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황산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을 상기 범위로 유지하지 않는 경우 부식성의 증가로 인해 패널의 수명이 저하하거나, 불연성이 떨어져 화재의 확산을 막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믹스는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결합하여 불연, 내화, 흡음, 단열 등의 효과를 높이는 물질들로, 특히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스의 예를 들면, 탄화규소, 질화규소, 알루미나, 토르말린,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갈륨,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구리, 산화니켈, 탄산칼슘, 티타늄산바륨 및 티타늄산칼륨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믹스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화규소(carborundum)를 들 수 있다. 상기 탄화규소는 강도가 강하여 마찰재로 주요 쓰이며, 화염에 강해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혼합 시 화재 발생을 더욱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이외에도 원적외선을 발생하거나 음이온 수분의 조절까지 하여 인체 친화적인 성분이다.
상기 세라믹스는 전체 결합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패널의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조성물의 첨가량이 감소하여 특히 발포체와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발포체의 첨가에 의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상기 세라믹스 또는 마그네슘화합물과의 결합력이 높으면서도 입자 형태를 가지는 상기 물질들의 응집을 돕기 위해 섬유상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충전재의 예를 들면 목분, 황토, 물유리, 플라이애시 및 질석 등이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섬유상 충전재로 폴리비닐알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 셀룰로스, 마 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재는 전체 결합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균일한 분산을 달성함과 동시에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 충전재, 세라믹스 등의 입자들을 혼합하여 상기 발포체의 표면에 상기 입자들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베이스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당업계에서 무기물들을 결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산무수물 경화제를 함께 혼합할 경우 급격히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Bisphenol A type Epoxy resin),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Bisphenol F type Epoxy resin), 노볼락 에폭시 수지(Novolac Epoxy resin), 변성 다이머산 에폭시 수지(Dimer Acid Modified Epoxy resin), 변성 고무 에폭시 수지(Rubber Modified Epoxy resin) 변성 우레탄 에폭시 수지(Urethane Modified Epoxy resin)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액상 에폭시 수지로 뛰어난 접착력, 내약품성, 내열성 등 경화물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되는 범용 에폭시 수지로서, 반응수축이 매우 작고 휘발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치수안정성, 강근성, 고온특성, 내마모성이 좋아 기계적 가공성이 높다.
상기 산무수물 경화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의 예를 들면 도데실 석신 안하이드라이드(Dodecenyl succinic anhydride), 헥사히드로-4-메틸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Hexahydro-4-Methylphthalic anhydride), 메틸부테닐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안하아드라이드(Methylbutenyl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메틸렌도메틸렌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Methylendomethylene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안하아이드라이드(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메틸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릭 안하이드라이드(Methylcyclohexene dicarboxylic anhydride), 석신 안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Tetrahydrophthalic anhydride),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anhydride),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Hexahydrophthalic anhydride), 벤조페논 트라카르복실릭 안하이드라이드(Benzophenone tracarboxylic anhydride) 등이 있으며, 이들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2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고 발포체와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에폭시 수지에 증점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증점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의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 우레탄계 증점제, 셀룰로스계 증점제, 천연고분자계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폴리(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상기 폴리아크릴산을 중화한 중화물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중화물로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칼륨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폴리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 일부를 스티렌기나 알킬기 등 소수성기로 치환한 변성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도 역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우레탄계 증점제의 예를 들면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과 폴리에테르쇄를 갖는 우레탄 화합물이며, 수중에서 우레탄 결합끼리가 회합함으로써, 증점 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 우레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스계 증점제의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계 증점제의 예를 들면 크산탄검, 겔란검, 구아검,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펙틴 등이 있다.
상기 증점제는 상기 성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메틸셀룰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증점제를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발포체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패널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유동성이 떨어져 발포체의 접착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 상기 결합조성물은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상기 마그네슘화합물과 혼합 시 기체 상태의 염산이나 황산, 마그네슘 산화물, 마그네슘 염화물 등을 생성시키는데, 이들 물질이 라디칼 트랩 효과 및 산소의 차폐효과를 극대화하여 불연성을 높인다. 특히 상기 마그네슘 산화물의 경우 분자량이 높고 무겁기 때문에 산소의 차단효과가 높다.
또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고분자와 혼합 시 압축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나,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성물은 함께 혼합되는 증점제, 특히 셀룰로스 계열의 증점제와 상용 블렌드(miscible blend)를 형성하게 되어 경화된 결합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예를 들면, 비스페놀 A-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DP), 트리아릴 포스페이트이소프로필레이트(TIPP 65),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DMMP), 테트라페닐 m-페닐렌 비스(포스페이트)(RD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EP),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 트리스(1,3-디클로로-2-프로필)포스페이트(TDCPP),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및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TCPP)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 첨가되는 경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첨가에 따른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범위 초과 첨가하는 경우 결합조성물 내에서 상기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이 결점으로 작용하여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발포체에 결합조성물을 혼합하여 패널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발포체와 결합조성물의 조성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발포체 100 중량부 대비 결합조성물 50 내지 10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은 일반적인 교반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교반 온도 및 교반 속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b), c) 단계와 같이 주형 내부에 유리섬유 망을 부착한 후, 상기 주형에 완성된 패널 조성물을 투입하고 경화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망(glass fiber net)은 상기 샌드위치 패널과 후술할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메시(mesh) 형태의 섬유망으로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표면에 일종의 막을 형성하여 접착층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 기포를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시켜 조성물의 들뜸 현상과 부서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망은 접착층에 의해 파묻힌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인장 강도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고유의 물리·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균열 방지 및 내충격성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샌드위치 패널과 접착층 간의 접착력과 견고성이 크게 강화되어 전체적인 내구성 및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망은 상기 접착층의 가스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일정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섬유 망의 조직은 평사(plain gauz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KS K 0511:2009)는 경사 9 내지 10올/inch이고 위사 8 내지 10올/inch이며, 섬도(KS K ISO 5084:2011)는 0.4 내지 0.6mm이고, 중량(KS K 0514:2011)은 65 내지 75g/㎡ 범위 내인 것을 채용함으로써 열압 성형과정에서 샌드위치 패널의 표면으로 유리섬유 망이 갖는 격자형이나 망사형 무늬 및 모양이 도드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층이 발생시키는 가스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주형의 내부, 정확하게는 주형의 내면에 부착하여 주형에 패널조성물이 투입되어 경화될 때 자연스럽게 상기 유리섬유 망이 성형되는 샌드위치 패널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패널조성물을 일정 온도(60 내지 70℃)로 설정된 금형에 투입한 후 열압프레스에 압축한 후 탈형함으로써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은 상기 d) 단계와 같이 후가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가공은 건조, 표면 연마, 재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100 내지 150℃의 온도로 설정된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에 투입하여 일정 시간 건조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가 끝난 패널은 필요한 크기로 재단한 후, 디스크 또는 드럼 등을 이용한 샌딩 연마법으로 표면을 연마하여 버(burr)의 발생을 억제(deburring)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석재 패널은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과,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샌드위치 패널과 접합된 천연 또는 인공 석재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패널의 외측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석재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패널을 보호함과 동시에 재질에 의한 표현효과로 외관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을 구성하는 석재 패널은 당업계에서 건축용 골재, 조적재 또는 마감재, 바닥재,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장재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대리석(marble), 화강석, 현무암 등과 같이 아름다운 무늬를 가진 천연 석재나 이를 모사(模寫)한 인공석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상기 대리석은 색과 무늬가 아름답고, 결이 고우므로, 연마하면 아름다운 광택이 나므로, 건축석재로 많이 사용하며, 색조나 무늬는 투휘석, 녹니석, 녹렴석 등의 광물이나 산화철, 탄질물, 점토질물 등 각종 불순물의 함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화강암(granite)은 견고하고, 내마모성 내구성이 강하고, 외관이 아름답고 조직에 방향성이 없고 균열이 작아 대형 패널로 가공이 하며, 석재 중에는 산출량이 많고 가공성이 높아 외벽 또는 바닥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상기 현무암(basalt)은 입자가 잘거나 치밀하여, 비중이 2.9 내지 3.1 이며, 색은 검은색 또는 암회색이며 석질이 견고한 특징이 있다
상기 석재 패널은 미감, 내구성 등이 매우 우수하기는 하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구조체에 큰 부담을 주고, 가격이 높으므로 그 두께를 일정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재 패널은 두께를 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샌드위치 패널과 상기 표면층을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불연성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에폭시 수지에 염화파라핀, 활성탄, 인산, 탄산칼슘, 산화티타늄, 레벨링제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novolac)형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혼화성 및 접착강도 등을 고려할때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30 내지 40 중량%인 것인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은 경우 접착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기능성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충분한 불연효과를 가지기 어렵다.
상기 염화 파라핀과 인산은 수지에 가소성 및 불연성을 부과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함께 사용하면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인산은 고온에서 섬유나 패널 중의 탄수화물을 수분과 탄소로 분해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염화 파라핀과 인산의 함량은 각각 5 내지 10 중량% 및 2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은 경우 가소성 및 불연성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산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 및 작업성을 높이고 가소성 및 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인 함유 유기 난연제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인산과 인 함유 난연제의 혼합비율은 1 내지 2 : 1(w/w)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인 함유 유기 난연제는 시중의 다양한 인 함유 난연제가 사용될 수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핀, 테트라키스-(2,6-크실릴)레조르시놀 비스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포스파젠 난연제, 10-(2,5-디히드록시페닐)-10-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10-(2,5-디히드록시나프틸)-10-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또는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난연제 중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1종 또는 적어도 2종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수지의 강성을 높이고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5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은 경우 활성탄의 기능적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전체적인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을 높이고 불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활성탄은 아연-활성탄 복합체가 사용될수 있다. 상기 아연-활성탄 복합체는 수계 매질에 유기금속계 커플링제 및 활성탄을 분산시키고, 상기 분산액에 염화아연 또는 요오드화아연을 첨가한 후 건조하여 아연/커플링제/활성탄 복합체를 수득한 후, 상기 건조된 복합체를 소성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표면 산화 개질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 수증기, 이산화탄소, 산소 및 오존과 같은 산화제 기체를 높은 온도에서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건식 산화 방법과, 2) 활성탄과 산화제(예. 과산화수소, 질산, 황산 등) 시약 용액이 반응하는 습식 산화가 있다. 이 외에 전기화학적 산화, 오존처리, 어닐링, 마이크로파 냉각 플라즈마 열처리 등이 있다.
상기 유기금속계 커플링제는 알루미늄, 실리콘, 티타늄, 아연 및 지르코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을 가지는 지방족, 나프텐계 또는 방향족의 열가소성 관능기와 비닐, 알릴,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의 열반응성 또는 열경화선 관능기를 가지는 것으로 활성탄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보강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량은 40 내지 50 중량%인 것인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은 경우 강도 및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기능성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충분한 불연효과 및 접착성을 가지기 어렵다.
상기 산화티타늄은 융점에 의해 불연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함량은 4 내지 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은 경우 불연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전체적인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수지의 유동성을 개량하는 평활성 첨가제로서, 건조과정에서 수지의 표면에 결함이 생기고 보강재와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벨링제의 함량은 0.1 내지 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은 경우 유동성 개량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다른 기능성 성분들의 함량이 낮아져 전체적인 물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실리콘계, 불소계 등 다양한 레벨링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수지 내 다른 성분들과의 혼화성 및 평활 효과 등을 고려할 때 폴리에터 변성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다양한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 내지 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은 경우 분산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다른 기능성 성분들의 함량이낮아져 전체적인 물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연성 에폭시 접착제는 i) 에폭시 수지, 활성탄, 염화 파라핀, 인산 및 탄산칼슘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액을 8 내지 12℃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고속 교반하는 제1 고속교반 단계, ii) 상기 혼합액에 산화티타늄을 첨가한 후, 15 내지 20℃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고속 교반하는 제2 고속교반 단계, 및 iii) 상기 산화티타늄이 첨가된 혼합액에 레벨링제와 분산제를 첨가한 후, 13 내지 17℃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저속 교반하는 저속교반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 패널은 먼저 1) 일정 규격의 두께를 가지는 천연 또는 인공의 석재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재단한 후, 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불연성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3)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샌드위치 패널에 표면층을 올린 후 프레싱하고 이를 별도의 치구에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할 때까지 적재한다. 그리고 4) 경화된 패널을 치구에서 해체한 후 규격에 맞게 재단하거나 버(burr)를 제거하는 후가공을 진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압축 시험기로 시편의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파괴 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휨강도)
KS F 2408(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의 3등분점 재하법에 의거하여 실시하되,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휨강도를 얻었다.
[식 1]
휨강도(MPa) = P × I/bh2
(상기 식 1에서 P는 시험기가 기록한 최대하중(N)이며, I는 지간(㎜), b는 파괴 단면의 너비(㎜), h는 파괴단면의 높이(㎜)를 뜻한다.)
(불연성)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시험하여 가열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이 발생하였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KS F 2271(건축물 마감재료의 가스유해성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연소된 가스를 실험용 쥐에 공급하였을 때 쥐의 평균적인 행동이 정지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 : 표면에 그을음이 발생하였을 뿐, 시험체를 관통하는 구멍이나 균열 및 용융이 발생하지 않았다.
○ : 시험체 표면에 관통하는 구멍이나 균열 및 용융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였다.
△ : 시험체 표면에 관통하는 구멍이나 균열 및 용융 중 둘 이상이 발생하였다.
× : 시험체 표면에 관통하는 구멍이나 균열 및 용융 모두가 발생하였으며, 용융된 시험체 일부가 시험체로부터 떨어져나갔다.
(실시예 1)
마그네슘 화합물로 산화마그네슘 46 중량%, 황산마그네슘 28 중량%, 염화마그네슘을 7 중량% 준비하였으며, 여기에 탄화규소 4 중량%, 목분 4 중량%,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2 중량%, 메틸셀룰로스 2 중량%를 혼합하여 결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결합조성물에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혼합하되, 발포체 100 중량부 대비 결합조성물 6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였으며, 이때 산무수물 경화제를 3 중량%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결합조성물을 4 중량%의 유리섬유가 내면에 부착된 주형에 투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두께 5㎝의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에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0.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1㎝ 두께의 대리석 천연석재를 접합하고 가압하여 접착제를 경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재단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결합조성물 제조 시 인산에스테르로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를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결합조성물 제조 시 인산에스테르를 15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결합조성물 제조 시 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하지 않고 염화마그네슘을 53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결합조성물 제조 시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지 않고 염화마그네슘을 3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결합조성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을 첨가하지 않고 황산마그네슘을 3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샌드위치 패널을 대신하여 두께 6㎝의 일반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준비한 후, 상기 발포체의 양면에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0.5㎝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1㎝ 두께의 대리석 천연석재를 접합하고 가압하여 접착제를 경화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73916866-pat00001
상기 표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석재 패널은 샌드위치 패널 제조 시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모두 포함함에 따라 불연성이 우수하고 압축강도 및 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결합조성물에 인산에스테르가 더 첨가된 실시예 2는 가스유해성이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불연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더 강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인산에스테르가 기준치 이상으로 더 첨가된 실시예 3의 경우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 내부에서 크랙으로 작용하여 외력에 취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기 결합조성물에서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마그네슘이 각각 첨가되지 않은 실시예 4 내지 6은 기계적 물성 및 내염성이 하락하였으며, 염소 및 황산기체의 발생 증가로 인해 가스유해성 또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a) 발포체에 산화마그네슘 40 내지 50 중량%, 황산마그네슘 20 내지 30 중량% 및 염화마그네슘 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마그네슘화합물, 세라믹스, 충전재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조성물을 혼합하여 패널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주형 내부에 유리섬유 망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주형에 패널조성물을 투입하고 경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된 패널조성물을 후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산무수물 경화제 50 내지 200 중량부, 메틸셀룰로스 1 내지 10 중량부 및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스는 탄화규소, 질화규소, 알루미나, 토르말린,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갈륨,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구리, 산화니켈, 탄산칼슘, 티타늄산바륨 및 티타늄산칼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목분, 황토, 물유리, 플라이애시 및 질석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패널은,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과 접합된 천연 또는 인공 석재를 포함하는 표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KR1020200087874A 2020-07-16 2020-07-16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KR10228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74A KR102282772B1 (ko) 2020-07-16 2020-07-16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74A KR102282772B1 (ko) 2020-07-16 2020-07-16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772B1 true KR102282772B1 (ko) 2021-07-30

Family

ID=7714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874A KR102282772B1 (ko) 2020-07-16 2020-07-16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7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275A (ja) * 1996-01-23 1997-07-29 Riboole:Kk 大理石調プラスチックパネルの製造方法
JP3042552U (ja) * 1997-04-15 1997-10-21 株式会社リボール 耐火パネル
KR20050071426A (ko) * 2005-06-15 2005-07-07 손진호 무기섬유를 이용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의 제작방법 및이에 따라 제작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
KR20090114972A (ko) 2008-04-30 200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레벨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100991189B1 (ko) 2008-09-06 2010-11-02 (주)에이스지앤월드 난연화 도포제, 이의 제조방법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 난연처리 방법
KR20170098758A (ko) * 2017-08-16 2017-08-30 주식회사 휴비스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4350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2946A (ko) * 2017-11-09 2019-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기능성 난연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275A (ja) * 1996-01-23 1997-07-29 Riboole:Kk 大理石調プラスチックパネルの製造方法
JP3042552U (ja) * 1997-04-15 1997-10-21 株式会社リボール 耐火パネル
KR20050071426A (ko) * 2005-06-15 2005-07-07 손진호 무기섬유를 이용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의 제작방법 및이에 따라 제작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
KR20090114972A (ko) 2008-04-30 200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레벨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100991189B1 (ko) 2008-09-06 2010-11-02 (주)에이스지앤월드 난연화 도포제, 이의 제조방법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 난연처리 방법
KR20180094350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8758A (ko) * 2017-08-16 2017-08-30 주식회사 휴비스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2946A (ko) * 2017-11-09 2019-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기능성 난연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626B1 (ko) 불연성과 단열성 막을 형성시킨 발포성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Natali Murri et al. Production and thermo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wool–geopolymer composites
TWI477552B (zh) 防火聚胺酯材料及防火結構
KR20160090404A (ko) 피복재
KR20190054891A (ko)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769145B1 (ko) 난연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소재의 난연 처리방법
KR101758308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재 제조용 다공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772B1 (ko)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상기 불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포함하는 석재 패널
KR100610059B1 (ko) 수용성 무기 발포 내화제 및 이를 이용한 내화보드
EP2423249B1 (en) Protected expanded polyalkylidene terephthalates
KR101068928B1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1758309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7794A (ko)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JP2007507579A (ja) 不燃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建築用不燃性成形品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101973186B1 (ko) 탄소섬유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고강도 산화마그네슘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4470B1 (ko) 내수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불연성 경량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89717A (ko) 장식시트용 난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식시트
KR101686447B1 (ko)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2172941B1 (ko) 경화층과 연화층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 무기질 내화단열보드
KR101137301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KR102364956B1 (ko) 조립식 단열 패널
KR102119860B1 (ko) 난연성 펄프보드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