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510B1 -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510B1
KR101262510B1 KR1020117006629A KR20117006629A KR101262510B1 KR 101262510 B1 KR101262510 B1 KR 101262510B1 KR 1020117006629 A KR1020117006629 A KR 1020117006629A KR 20117006629 A KR20117006629 A KR 20117006629A KR 101262510 B1 KR101262510 B1 KR 10126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nent
bonding material
glove
layer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833A (ko
Inventor
알렉산데르 자글
홀게르 조우들리크
헬무트 클루크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5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4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a 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5Particulat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7Polyolefin particles, e.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omopolymers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loves (AREA)

Abstract

특히 장갑 또는 머리쓰개와 같은 의류(50, 70)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 구조체(1), 적어도 제1 층(10)과 제2 층(20, 22)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며, 이 배리어층(20)과 제1층(10) 사이에 접합 물질(10)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한다. 접합 물질(30)은, 힘 작용 영역(A1)에서 제1 및 제2 층(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는 제1층(10)과 제2 층(10) 사이의 힘(F)이 힘 작용 영역(A1)보다 큰 영역(A2) 상으로 소성 유동에 의해 분배되도록 낮은 점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 물질(30)은 25℃에서 달퀴스트 기준에 따른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LAYERED STRUCTURE WITH BARRIER LAYER, APPAREL PIECE WITH SUCH A LAYERED STRUCTURE AND PRODUCTION OF SUCH A 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은, 특히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에는 적어도 배리어층이 있고, 배리어층과 제1층 사이에 접합 물질이 배치되어,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는, 층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층상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품, 특히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층상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 의류, 특히 방수 장갑의 제조에 대해서는 이미 종래 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하나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자면 장갑의 외부 재료 내에 방수 라이닝을 삽입하거나 방수 내부 장갑 또는 내부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방수성을 갖지만 여전히 수증기 투과성, 즉 통기성을 갖는 내부 재료가 추가적인 착용감을 보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방수성 내부 재료는 일반적으로 배리어층, 기능성층, 혹은 기능성 재료로도 불리고 있다. 그 내부 재료는 예를 들면 배리어층만으로 제조되거나, 배리어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을 포함한 다층 라미네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피부에서 편안한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갑의 내부를 일반적으로 라이닝에 의해 라이닝하거나, 라미네이트의 내부 직물층이 그러한 라이닝 재료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제조를 달성하기 위해, 그 내부 부분은 배리어 재료 또는 라미네이트의 2개의 동일하고 편평하며 서로 매칭되는 조각들을 이들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되게 함께 접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내부 부분은 통상 손의 치수에다 얼마의 여분을 더한 2차원 형상의 손 모양을 갖는다.
그러한 방수 및 수증기 투과성 기능성층이 구비된 장갑의 제조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 5 442818 A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 배리어층은 장갑의 외측 재료에 균일하지만 반투과성(semipermeable)으로 부착되어, 촉각적인 장갑이 얻어지도록 된다. 그러나, 배리어층이 외측 재료에 균일하게 부착된다는 점은 장갑의 그 부분에서의 어느 정도의 강성(stiffness)에 책임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6/0156451에서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로서도 지칭되는 미끄럼 방지 물질이 외측 재료 및 내부 부분의 층들 사이에 이들 층들을 함께 접합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개재되는 장갑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장갑의 사용 시에 그 층들에 통상의 힘(예를 들면, 착용시에 생성되는 힘)이 가해져 미끄럼 방지 물질에 작용하는 경우에 층들 간의 미끄럼이 방지된다. 그에 따른 장갑의 착용 시의 층들 사이의 증가된 고착 마찰은 층간 미끄럼을 방지한다. 여기서, 그 이점은 장갑의 가요성이 증가, 다시 말해 그 강성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촉각 및 층간 고정과 결합된 비교적 높은 가요성에 대해 주목할 만한 특히 의류용의 전술한 형태의 층상 구조체, 및 의류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2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층상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9 및 20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장갑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 28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의류품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청구항 32의 특징적 구성에 따른 층상 구조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 구조체로서, 적어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을 포함하며, 배리어층과 제1층 사이에 접합 물질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는, 층상 구조체를 포함한다. 접합 물질은 힘 작용 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는 제1층과 제2 층 사이의 힘, 특히 전단력이 힘 작용 영역보다 큰 영역 상으로 소성 유동에 의해 분배되도록 낮은 점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 구조체로서, 적어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에는 적어도 배리어층이 있고, 배리어층과 제1층 사이에 접합 물질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는, 층상 구조체를 포함한다. 접합 물질은 25℃에서 달퀴스트 기준(Dahlquist criterion)에 따른 3×105 ㎩보다 본질적으로 크지 않는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적어도 1종의 성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1종의 성분은 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는다.
접합 물질의 비교적 낮은 전단 계수를 갖는 저점도 성분은, 층상 구조체의 제1 층과 배리어층 사이에서 사용중에 발생하는 힘이 접착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되기 때문에, 제1층과 제2층 간의 장기간 지속되는 내구성 접합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의 하나의 특성은 층들의 양호한 고정을 달성하도록 층들 간에 적절한 점착적 유지(cohesive hold)를 생성하는 데에 있다. 동시에, 저점도 성분은 사용 중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소성 유동을 통해 흡수하여 접착 가장자리에서 배리어층에 대한 손상(이러한 손상은 예를 들면 접착 가장자리에서 배리어층이 찢어지게 함으로써 배리어 기능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게 할 수 있음)을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접합 물질의 부분적인 제공은 또한 균일한 접착제 접합에 비해 층상 구조체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 물질의 점탄성 특성은 변형에 필요한 힘이 접합된 배리어층을 파괴시키는 힘보다 작도록 선택된다.
여기서, "부분적"이란 용어는 접합 물질이 제1 및/또는 제2 층의 전체 표면적을 덮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접합 물질은 제1 및/또는 제2 층의 표면 상의 특정 위치에만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은, 상기한 적어도 1종의 성분 외에도, 이 적어도 1종의 성분과는 다른 접착 특성을 갖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한다. 이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의류품의 제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있다하더라도 적어도 제조 과정 중에는 접착 효과가 거의 없는 그러한 추가의 성분은, 예를 들면 외부 장갑의 층을 배리어층 위에 씌울 때에 그 외부 장갑을 뒤집을 필요가 없도록 제조 과정 중에 초기에는 접착 특성과 관련하여 저점도 성분을 비활성화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의류품의 제조 중에 저점도 성분을 비활성화시키면, 외부 장갑을 배리어층에 씌울 때에 그 외부 장갑이 배리어층에 접착되거나 들러붙지 않도록 보장된다.
각 성분의 접착 특성은 특히 초기 접착력(initial tack)에서 분명해 진다. 초기 접착력은 접착성 피복 물질을 매우 짧게 접촉시킨 후에 기재로부터 제거하는 데에 필요한 힘이다. 보다 낮은 전단 계수를 갖는 보다 연질의 감압 접착제는 보다 신속하게 기재에 젖어(wetting), 보다 큰 초기 접착력을 갖는다. 그 반대로, 보다 높은 전단 계수를 갖는 감압 접착제는 낮은 초기 접착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성분은 저점도 성분보다 낮은 초기 접착력을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성분의 전단 계수는 저점도 성분보다 크다(구체적으로, 달퀴스트 기준에 따른 3×105 ㎩보다 큰 전단 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개선예에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성분과 추가의 성분의 접착 특성들은 상이한 활성화 에너지의 적용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의 성분은 압력 및/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한편, 저점도 성분은 압력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활성화"는 저점도 성분에 대해서는 접착 효과가 활성화됨을 의미하지만, 추가의 성분에 관해서는 2가지 가능한 의미가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첫 번째 관점에서, 추가의 성분은 그 농도를 변경하여 예를 들면 제1 층 및/또는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저점도 성분은 그 접착 효과와 관련하여 제1 층에서의 다른쪽 면의 방향으로도 공공연하게 작용하게 된다. 두 번째 관점에서, 추가의 성분의 활성화는 이 성분의 제1 층을 향한 접착 효과를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저점도 성분이 배리어층 쪽에서 접착성을 갖고 작용하는 한편, 추가의 성분은 제1 층 쪽에서 접착성을 갖고 작용하게 된다.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은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 성분이다. 감압 접착제 성분은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의 성분은 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며, 접합 물질에서 배리어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도포된다. 추가의 성분은 광의의 의미에서, 활성화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액상, 분말, 필름, 또는 기타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이룰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추가의 성분은 핫-멜트 접착제 또는 왁스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며, 분말형, 필름형 및/또는 액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리어층은 제1 층에 면하는 제2 층의 외층을 형성한다. 특히, 이 경우에 저점도 성분은 배리어층에 직접적으로, 즉 그에 바로 도포된다.
배리어층은 적어도 그 층을 통한 공기의 통과에 대해, 이상적으로는 예를 들면 화학적 유독성 가스와 같은 다른 가스에 관해서도 배리어를 형성하는 특히 필름, 맴브레인, 또는 코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배리어층은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을 갖지만, 공기 불투과성 및/또는 가스 불투과성이다. 배리어층은 25 l/㎡ 미만의 공기 전달 속도를 갖는 경우, 특정 실시예에서는 5 l/㎡미만의 공기 전달 속도를 갖는 경우에 공기 불투과성이라 부른다(EN ISO 9237, 1995).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층은 추가로 물의 통과에 대해, 이상적으로는 다른 액체들에 대해서도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기능을 포함한다. 배리어층은 적어도 0.13 바아의 압력에서 물의 통과를 방지하는 경우에 액체 불투과성이다(ISO 811).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리어층은 적어도 하나의 수증기 투과성 및 공기 불투과성 맴브레인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 맴브레인은 또한 액체 불투과성, 적어도 물 불투과성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물 불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의 가요성 맴브레인은 다공성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재료를 개시하는 미국 특허 US 3,953,566 A에 개시되어 있다. 다공성 팽창 PTFE 재료는 상호 연결된 노드(nodes)와 미소 섬유(fibrils)의 특성 미소구조를 갖는다. 그 맴브레인의 물 불투과성은 팽창 PTFE 재료가 소수성 및/또는 소유성 코팅 재료로 코팅되는 경우에 개선될 수 있다.
물 불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 맴브레인은 또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미공성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미공성 재료나,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친수성 모놀리틱 폴리머(hydrophilic monolithic polyme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방수 및 수증기 투과성 배리어층에 적합한 재료는 미국 특허 US-A-4,725,481 및 US-A-4,493,870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히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를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및 그 라미네이트이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A-3,953,566 및 US-A-4,187,390에 개시된 바와 같은 미공성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및 친수성 함침제 및/또는 친수성 층이 제공된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A-4,194,041 참조)이다. 미공성 배리어층은 약 0.2 ㎛ 내지 약 0.3 ㎛의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다.
기공 크기는 미국 플로리다주 히알레스에 소재한 Coulter Electronics, Inc.의 Coulter Porometer(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배리어층은 150 ㎡×㎩×W-1 미만의 수증기 투과성 수 Ret를 갖는 경우에 수증기 투과성으로 간주된다. 수증기 투과성은 Hohenstein skin 모델에 따라 테스트된다. 이 테스트법은 DIN EN 31092 (02/94) 또는 ISO 11092 (199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층상 구조는 장갑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그 경우에, 그 층상 구조의 유리한 특성은, 예를 들면 배리어층의 맴브레인 재료에 대한 외부 장갑과 내부 장갑 사이에서의 양호한 층 고정이 이루어지더라도 부분적 층 고정으로 인한 낮은 강성과 결합되어, 높은 촉각을 갖는 방수 장갑을 제공하는 데에 특히 유리하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제1 층이 외층을 형성하고, 제2 층이 장갑의 내부 라이닝을 형성한다. 한편, 제1 층이 내부 라이닝층을 형성하고 제2 층이 장갑의 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 및 제2 층 각각이 장갑의 내부 라이닝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층이 특히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층을 형성하고, 제2 층이 장갑의 내부 라이닝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층뿐만 아니라 제2 층이 내부 라이너층을 포함하고, 배리어층은 외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서 수증기 투과 가능한 방식(불연속 방식)으로 그 라이너층에 대체로 그 전체 표면적에 걸쳐 접합된다.
본 발명의 장갑의 다른 개선예에서, 그 장갑은 손가락 영역 및 엄지 영역을 포함하며, 접합 물질은 적어도 손가락 영역 및/또는 엄지 영역에, 특히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 및/또는 엄지 끝 영역에 배치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물질이 장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에서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 물질은 손 영역에, 특히 주먹 결절(knuckle) 영역에 배치되고, 특히 스트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 물질은 적어도 손가락 영역 및/또는 엄지 영역에서, 장갑에서의 접힘 선을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된다. 접합 물질은 장갑에 걸쳐 예를 들면 도트 형태로 불연속적으로 분포되어, 특히 장갑의 내부 면적 또는 장갑의 외부 면적의 절반 미만의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장갑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들은 대체로 예를 들면 머리쓰개(head covering), 신발, 바지 또는 겉옷과 같은 임의의 의류품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층은 배리어층 외에도, 내부 라이너와 같은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배리어층은 실질적으로 균일하지만 수증기 투과 가능한 방식으로 그 추가의 층에 부착된다. 이 경우, 제1 층이 예를 들면 외층일 수 있고 그 추가의 층은 그러한 의류품의 내층의 일부분일 수 있다.
그 의류품이 머리쓰개로서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은 머리쓰개의 꼭대기 부분에 도트로 배치된다. 그러나, 고정 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접합 물질을 머리쓰개의 둘레를 따라 2개의 이상의 스트라이프로 스트라이프 형태로, 특히 머리쓰개의 평면도에서 고려할 때에 그 둘레를 따라 별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든 다른 고정 형태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특히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층, 및 배리어층을 적어도 포함한 제2 층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제1 측부에 제1 성분을 포함하고 제1 측부와는 반대쪽의 제2 측부에 제2 성분을 포함하는 접합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성분은 25℃에서 달퀴스트 기준에 따른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단계에서, 접합 물질을 제1 층의 제1 면에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접합 물질의 제1 측부 상에서 제1 성분이 제2 층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활성화 에너지를 가한다. 추가의 단계에서, 제1 층 및 제2 층을 각 최종 위치로 함께 합쳐, 이들 제1 층과 제2층 사이에 접합 물질이 배치되게 한다. 추가의 단계에서, 제2 성분이 제1 층 내로 및/또는 접합 물질 내로 침투하여, 접합 물질의 제2 측부 상에서 제1 성분이 제1 층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활성화 에너지를 접합 물질의 제2 측부에 가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제2 활성화 에너지는 제2 성분이 제1 층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합 물질의 제2 측부 상에 가해질 수 있다.
특히, 제2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기 전에 제2 성분이 접합 물질의 제2 측부 상에서 제1 성분의 임의의 접착 효과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켜, 제1 층과 제2 층을 보다 용이하게 함께 합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성분은 감압 접착제 성분이고, 제1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는 접합 물질의 제1 측부 상에서 감압 접착제 성분이 제2 층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합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성분은 감열 접착제, 특히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 성분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2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는 것은 감열 접착제에 열(예를 들면, 압력과 함께)을 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형태의 제2 성분은 제2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기 전에 접합 물질의 제2 측부 상에 분말형, 필름형 및/또는 액상형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한다. 제2 성분의 활성화시에, 핫-멜트 접착제는 저점도 성분 및/또는 제1 층 내로 침투하거나 그 농도를 떨어뜨려, 층들을 함께 합칠 때에 저점도 성분이 제1 층과 접합을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층을 둘러싸는 외부 장갑의 복잡한 뒤집기 작업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명의 다른 개량 및 개선점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상 구조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는 층들 간에 소정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도 1에 따른 층상 구조체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층들 사이에 배치된 접합 물질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접합 물질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내부 장갑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층상 구조체에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층을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층상 구조체에서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층을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구조체의 2개의 층들 사이에 배치된 접합 물질의 기능 및 작용 방식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복수의 제조 단계에 관한 개략적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갑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장갑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층상 구조체를 포함하는 머리쓰개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접합 물질에 추가의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도 13a)와 추가의 접합 물질을 사용한 상태(도 13b)에서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 및 도 15는 상이한 크기의 가요성을 갖는 예시적인 층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장갑에서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플렉스 존(flex zone)"이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배리어층으로부터 외층을 분리하려 하고 있는 상태로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접합 물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크리프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은 원리에 따른 테스트 방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예를 들면 장갑 형태의 의류품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상 구조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층상 구조체(1)는 제1 층(10) 및 제2 층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거나 그 배리어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층은 맴브레인(예를 들면, ePTFE 맴브레인) 형태 또는 맴브레인을 갖는 다층 라미네이트 형태의 배리어층(20)으로서만 도시하며, 이 층은 성능 요건 및 의도한 용도에 따라 예를 들면 직물층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에 균일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층은 배리어층(20)만을 포함하거나, 2개 이상의 층들의 층상 복합재를 포함하며, 그 층들 중 하나는 배리어층(20)을 형성하는 한편, 그 층들 중 다른 하나의 층은 예를 들면 배리어층의 배면 상의 예를 들면 직물층일 수 있다. 제1 층(10)은 예를 들면 한 장의 가죽 형태 또는 직물 층 형태의 예를 들면 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0)은 단일 층을 갖는 층이나, 다층의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은 단일 피스로 또는 복수의 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층(10)은 장갑의 외층 또는 외부 재료를 형성하는 한편, 예를 들어 내부 직물층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배리어층(20)은 장갑의 내부 재료 또는 라이닝을 형성한다.
배리어층(20)은 특히 공기 불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맴브레인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공기 불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맴브레인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불투과성 수증기 투과성 맴브레인은 역시 방수성을 갖는다.
배리어층(20)을 마련하면 층상 구조체(1)에 대해 폭넓은 보호 기능을 달성할 수 있어, 그 층상 구조체가 예를 들면 그 수증기 투과성으로 인해 높은 착용감을 갖는 방수 의류를 제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제1 층(10)과 배리어층 사이에는, 이들 배리어층(20)과 제1 층(10) 사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즉 제1 층(10)과 배리어층(20)에서 균일하지 않게 접합 물질(30)이 배치된다.
본 맥락에서, 균일하게 배치된다고 하면, 특히 전체 표면적 또는 거의 전체 표면적에 걸쳐 접합 물질이 배치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접합 물질(수증기 투과성이 있을 수 있음)이 전체 표면적 또는 거의 전체 표면적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층상 형태로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따르면, 접합 물질이 불연속적(수증기 투과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분포(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도트 형태로)되지만, 전체 표면적 또는 거의 전체 표면적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면서 클로즈 메쉬 형태(close-meshed : 눈이 가는 체 형태)로 분포됨을 의미한다. 평면 클로즈 메쉬형 구조에 기초한 그러한 종류의 불연속 접착제 접합은 접착의 측면에서는 연속하는 층상 접착제 접합에 필적하지만, 통상의 접착제가 이용되는 경우더라도 접착제가 없는 공간을 가져 소정의 수증기 투과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본 맥락에서 부분적으로라는 표현은 접합 물질이 표면 상에서의 밀집된 별개의 지점들에만 배치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말해, 그 표면에서 특히 비교적 큰 면적의 나머지 일관된 영역은 접합 물질로 덮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접합 물질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도트(비교적 큰 도트), 또는 몇몇 다른 형태로 도포되어, 접합 물질이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의 표면 영역을 균일하게 덮지 않도록 된다. 접합 물질은 제1 및/또는 제2 층의 표면 영역에서 특정 위치, 특히 전략적 위치에만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접합 물질은 전체 표면적의 절반미만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분 접착제 접합의 경우에, 접합 물질은 특히 접착제를 불연속적으로 도포한 전술한 균일 접착제 접합과 비교할 때에 그 표면적에 걸쳐 불균일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도포된 접합 물질은 예를 들면 작은 도트나 망 형태와 같이 전략적 위치에 국부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분리된 채로 분포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접합 물질은 전략적 위치들에 분리된 분포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국부적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도트가 함께 도트형 클러스터 또는 기타 형태의 클러스터 형태의 전략적 접착제 접합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부분 접착제 접합의 경우에, 접합 물질은 또한 그 표면적에 걸쳐 상당히 균일하게 분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그 접착제 접합 위치 또는 접착제 접합 클러스터들은, 접착제를 불연속적으로 도포한 균일 접착제 접합과 비교할 때에 실질적으로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접합 물질로 덮이지 않은 비교적 큰 일관된 영역을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치수를 갖는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도트형 배치의 경우에는 접착제 접합 위치 또는 접착제 접합 클러스터마다 2 ㎜ 이상의 직경을 갖거나, 스트라이프 또는 직사각형 배치의 경우에는 2 ㎜ 이상의 길이 및/또는 폭을 갖는다.
접합 물질(30)은 층상 구조체의 특정 위치에서 배리어층(20)과 제1 층(10) 간에 접합을 생성하여, 배리어층(20)과 제1 층(10)을 함께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기능을 한다. 접합 물질(30)은 저점도 성분을 포함하며, 이 저점도 성분은 도 3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는 저점도 접착제 성분(32)으로서 구현되어 배리어층(20)에 면하고 있다. 저점도 접착제(32)는, 층상 구조체(1)의 제1 층(10)과 배리어층(20) 사이에서 사용중에 발생하는 힘이 접착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떨어져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되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되는 내구성 접합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저점도 접착제(32)의 하나의 특성은 고정되는 층들의 상호간 접합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점착적 유지를 생성하는 데에 있다. 동시에, 접착제(32)는 사용 중에 소성 유동을 통해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흡수하여, 접착 가장자리의 파괴를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장갑의 착용 중에 배리어층(20)과 제1 층(10)에 힘 F(전단력 F)가 어떠한 식으로 작용하는 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장갑 내로 넣어지는 손은 그 손가락들에 의해 개개의 위치에서 배리어층에 걸리게 되고, 이 경우에 힘 F가 배리어층(20)에 작용하여 이 배리어층(20)을 제1 층(10)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배리어층(20)으로부터 제1 층(10)을 분리하려 하고 있는 상응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따르면, 제1 층(10)과 배리어층(20)은 접합 물질(30)을 통해 특히 접착에 의해 서로에 접합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10)에 작용하는 힘 F는 층(10)이 배리어층(2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한다. 그러나, 접합 물질(30)은 힘 F가 층(10)에 생성하는 스트레인을 소성 유동을 통해 흡수하여 접착 가장자리에서 어떠한 손상도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장갑에 넣어지는 손에 의해 부여된 스트레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힘 F는 층(10)에서 비교적 작은 힘 작용 면적(A1)에 걸쳐 작용한다. 그러나, 저점도 접착제(32)는 층(10)에서의 힘 작용 면적(A1)을 통해 작용하는 층(10)과 배리어층(20) 사이의 힘 F를 접착제(32)의 소성 유동을 통해 힘 작용 면적(A1)보다 큰 면적(A2)에 걸쳐 분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식으로, 예를 들면 배리어층(20)의 파열이나 접착제의 분리와 같은 손상이 방지된다. 게다가, 그러한 소성 변형은 에너지를 흡수하여 배리어층에서의 임의의 스트레인을 감소시킨다.
도 16에서, 배리어층(20)으로부터 제1 층(10)을 분리하려 하고 있는 다른 예의 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그 과정을 보다 실질적인 묘사로 나타내는 것으로, 층(10)에 분리 힘을 생성하는 스트레인을 소성 유동(크리프)을 통해 흡수하여 접착 가장자리에서의 임의의 손상을 방지하는 특성을 접합 물질이 갖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크리프(creep)는 탄성 한계보다 낮은 응력을 장시간 인가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영구 변형으로서 정의한다(ASTM D2900). 크리프는 하중의 크기, 이 하중이 적용되는 시간, 및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저점도 접착제(32)는 층(10)과 배리어층(20) 사이의 분리 힘을 접착제(32)의 소성 유동을 통해 그 분리 힘의 힘 작용 면적보다 큰 면적에 걸쳐 분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달리, 고점도 접착제가 이용되는 경우에 층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은 접착 가장자리에 힘을 직접적으로 도입하여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배리어층(20)의 파열을 초래하거나 특히 배리어층(20)에 대한 층(10)의 단지 부분적인 접착의 경우에 그 접착제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균일한 접착의 경우에, 그 힘은 보다 큰 면적에 걸쳐 분배시켜 최소화한다. 그러나, 배리어층(20)에 대한 층(10)의 균일한 접착은 층상 구조체의 강성을 상당히 증가시켜 장갑의 착용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부분적인 접착이 층상 구조체의 강성을 현저히 감소시키지만, 한편으로는 층들 사이에 저점도 접착제의 사용이 그러한 층들의 단지 부분적인 접착과 결합하여 장기간 지속되는 내구성 접합을 생성하고 사용 중에 예를 들면 배리어층의 파열과 같은 임의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특히 가요성을 갖는 높은 촉각의 장갑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은 25℃에서 달퀴스트 기준에 따른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저점도 성분은 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는다. 그러한 전단 계수가 반영된 물질의 하나의 특성은 고정되는 층들의 상호간 접합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점착 강도이다. 동시에, 그 접합 물질은 사용 시에 스트레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 스파이크(force spikes)를 변형을 통한 소성 유동 및 캐비테이션을 통해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저점도 성분은 접착제로서 구현되어, 특정 용도에서 목표로 하는 온도 범위와, 특히 층들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응답한 관련 스트레인에서, 의류품의 층들을 함께 장기간 지속되게 접합하기에 적합한 점착 강도를 보장한다. 동시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발생하는 온도 범위에서 특정 용도에 따라 발생하는 힘에 응답한 전단력의 결과로서 층들 사이에 주로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 접착제는 낮은 전단 계수로 인해 소성 유동 특성을 가지며, 이에 의해 어느 한 층 또는 두 층 모두에서 스트레인에 의해 야기되는 힘은 흡수되어 보다 큰 면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배리어층에 대한 임의의 손상 및 층들의 임의의 박리가 장기간 동안 방지될 수 있다. 달퀴스트 기준에 따르면,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는 재료는 전술한 특정한 특성을 갖는다고 한다.
전단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 및 주변 영향을 포함한다.
장비 : TA Instrument ARES LS-2, 모델명 # 4X517212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에 소재한 TA Instruments, www.tainstruments.com).
방법 : 8 ㎜ 디스크들을 접착제의 층들로부터 다이 커팅한다. Gerband 접착제의 경우, 그 접착제는 스트립 또는 테이프로부터 제거하여, 보강 요소로부터 임의의 오염을 방지하였다.
평행 플레이트 직경 = 8.00 ㎜
동적 온도 램프(Dynamic temperature ramp)
주파수 = 10.0 rad/s
초기 온도 = 25℃
종료 온도 = -100.0℃
램프 비율 = 5.0℃/min
스트레인 = 0.1 %
자동 텐션 조절 = 온(on)
모드 = 일정한 정적 힘의 인가
자동 텐션 방향 = 압축
초기 정적 하중 = 1.0 g
자동 텐션 감도 = 10.0 g
샘플의 전단 계수가 <= 1.00e+06 ㎩인 경우
자동 스트레인 = 온
최대 인가 텐션 = 20.0%
최대 허용 모멘트 = 1000.0 g-cm
최초 허용 모멘트 = 1.0 g-cm
스트레인 조절 = 현재 스트레인의 20.0%
특히, 저전단 계수를 갖는 이하의 접착제가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으로서 유용하다(표 1 참조).
품명 타입 두께(㎜) 주성분 전단 계수(Pa) 데이터 시트에 따른 사용 범위
(℃)
-20℃ 0℃ 25℃
Peka 500 테이프 0.25 SIS(합성 고무) 1.57×107 5.25×105 8.20×104 -20 내지 60
3M 950 테이프 0.13 개질 아크릴레이트 1.82×108 1.16×106 6.51×104 /
Gerband 970 테이프 0.25 에멀젼 아크릴레이트 1.50×107 2.60×105 4.24×104 -30 내지 100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배리어층(20)과 층(10) 간에 접합을 생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감압 접착제 성분[도 3의 접합 물질(30)의 성분(32)]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 재료가 유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압 접착제 성분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갑의 일부를 형성하는 배리어층(20)을 포함한 내부 장갑(5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장갑(도 4에서는 도시 생략)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층 또는 외부 장갑은 도시한 내부 장갑 위에 씌워진다.
도 5에서는 배리어층(20)을 갖는 예시적인 내부 라이닝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배리어층(20)은 2개의 직물층(22, 24)들 사이에 끼여 그들에 접합됨으로써 다층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하나의 직물층(22)은 내부 라이너층을 형성하고, 다른 직물층(24)은 특히 배리어층이 멤브레인인 경우에 배리어층의 보호층을 형성한다
도 6에서는 배리어층(20)을 갖는 예시적인 내부 라이닝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배리어층(20)은 라미네이트의 일부로서, 수증기 투과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직물층(22)에 접합, 예를 들면 접착된다. 직물층(22)은 장갑의 내부 라이너층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는 추가적인 절연체가 구비되거나 그에 연결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10)이 내부 라이닝층을 형성하고, 제2 층이 배리어층(20)과 함께 장갑의 외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 배리어층(20)은 층(10)의 내측에 접합된다. 그러면, 제2 층은 도 5 또는 도 6에 따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배리어층(20)에 예를 들면 균일하게 접착된 직물 또는 가죽층(22)이 장갑의 외부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10), 배리어층(20)과 조합된 제2 층, 그리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22) 각각이 장갑의 내부 라이닝의 일부이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장갑(51)은 손가락 영역(52)과 엄지 영역(54)을 포함한다. 접합 물질(30)은 적어도 손가락 영역(52) 및/또는 엄지 영역(54)에서, 특히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 영역 및/또는 엄지 끝 영역에 배치된다. 이는 외층(10)에서 배리어층(20)을 갖는 내부 라이닝을 충분히 고정시키는 동시에, 촉각이 양호하고 강성을 상당히 감소시킨 장갑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특별히 계획된 용도를 위해 중요한 다른 위치에도 그 사용 계획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물질(30)이 마찬가지로 마련되어, 외층(10)이 내부 라이닝의 배리어층(20)에 접합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장갑의 손가락 끝 영역만은 접합 물질(30)로 마감되지만 다른 영역은 배리어층(20)을 갖는 내부 라이닝과 외층(10) 사이에 배치된 미끄럼 방지 물질(40)로 마감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물질은 예들 들면 그 층들 중 하나에 접착되거나 기타 방식으로 접합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물질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6/0156451 A1에 개시한 바와 같은 조성 및 특성을 갖는다. 미끄럼 방지 물질은 서로 인접하는 두 층들을 서로 접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층들이 서로에 대해 압박될 때(예를 들면, 장갑을 낄 때에 그 층들 중 하나의 수직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본질적으로 두 층들 간의 고착 마찰만을 상승시킨다. 외층(10)과 배리어층(20) 사이에 미끄럼 방지 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 이에 의해 장갑을 끼는 동안에 그 층들 간의 상대 이동이 제어되어 장갑의 촉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6/0156451 A1의 표 1 내지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재료가 그러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대체로, 도 4에 따라 예를 들면 손의 표면 영역(56)에 미끄럼 방지 재료의 스트립(40)이 마련된 내부 장갑(51)을 갖는 장갑은 실질적으로 감소된 강성과 결합된 양호한 촉각을 소유할 수 있다.
이하, 층상 구조(1)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 프로세스가 특히 장갑(50)을 제조하는 데에 어떠한 식으로 이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접합 물질이 마련된 층상 구조를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32)은 도 3의 단면도 및 도 8a의 사시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에 도포되는 추가의 성분(34)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도 8a에 따르면, 저점도 성분(320은 감압 접착제(PSA)로서 구현되어, 접합 물질(30)의 제1 측부(301)에 배치되는 한편, 추가의 성분(34)은 핫-멜트 접착제(HMA)로서, 접합 물질(30)에서 제1 측부(301)와는 반대측의 제2 측부(302) 상에 도포된다.
저점도 성분(32)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농도 및 특성을 갖는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물질(30)은 제1 측부(301)에서 배리어층(20) 상에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배리어층은 예를 들면 ePTFE 맴브레인, 또는 이 ePTFE 멤브레인을 갖는 다층 라미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에서, 접합 물질(30)은 저점도 접착제(32)에 의해 맴브레인(20)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여, 접착제(32)가 접합 물질(30)의 제1 측부(301)에서 맴브레인(20)과 접합을 형성하도록 한다. 감압 접착제(32)가 이용되는 경우, 특히 압력(91)이 접착제(32)에 가해져 이 접착제가 멤브레인(20)에 접착될 수 있게 한다.
핫-멜트 접착제(34) 형태의 접합 물질의 제2 성분은 초기에는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서 저점도 접착제(32)의 임의의 접착 효과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접착 효과가 봉쇄된다). 이는 접합 물질(30)이 이미 도포된 상태에서 층(10)과 배리어층(20)을 비교적 간단히 합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저점도 접착제에 도포되는 제2 성분은 처리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예를 들면 외부 장갑 형태의 층(10)을 배리어층(20) 위에 씌우는 경우에 저점도 접착제(32)가 부적절한 위치에서 층(10)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 성분은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층상 형태)으로 도포될 수 있고, 핫-멜트 접착제 또는 왁스와 같은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성분(34)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성분(34)은 분말형, 필름형 및/또는 액상형으로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접착제(32)의 점착성 표면에 얇게 도포되는 매우 미세한 입상 분말을 이용한다. 이는 초기에는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서 저점도 접착제(32)의 임의의 접착 효과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확실하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2 측부(302)를 지나 이동하게 되는 층은 접합 물질에 걸린다거나 그에 들러붙어 유지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제2 성분(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갑을 제조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층들 간의 최종 접합 연결에는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희생 성분 또는 처리 보조제로서 볼 수도 있다.
도 8c에 따른 후속 제조 단계에서, 층(10)과 배리어층(20)은 사이에 개재되는 접합 물질(30)이 배리어층(20)에 접착된 상태로 서로에 대한 각각의 최종 위치로 된다. 그 후에, 적어도 하나의 제2 활성화 에너지를 접합 물질(30)의 제2 측면(302) 상에 가한다.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가 제2 성분(34)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압력 및 열(92)이 접합 물질(30) 상에 가해진다. 열(92)은 핫-멜트 접착제(34)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그 결과, 핫-멜트 접착제(34)는 제1 층(10) 내로 및/또는 접합 물질(30), 즉 저점도 접착제(32) 내로 침투하여, 이 저점도 접착제(32)가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서 층(10)과 접합을 형성하게 한다. 다시 말해, 그 경우에 제2 성분(34)은 층(10)이 배리어층(20)과 함께 합쳐질 수 있고 제2 성분(34)의 활성화(열 및 압력의 인가) 후에 저점도 접착제(32)에 접착될 수 있게 하는 처리 보조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절한 활성화는 처리 보조제의 농도를 변화시켜(핫-멜트 접착제를 액화시키기 때문), 층(10)이 배리어층(20)에 접합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용되는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핫-멜트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가열에 의해 분말의 점도가 낮아지면, 층(10) 내로 침투하거나, 및/또는 저점도 접착제(32)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그 접착제 접합에서의 압력의 이용은 저점도 접착제(32)를 층(10) 내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한다. 활성화 후에, 접착제 접합에는 저점도 접착제(32)만이 여전히 작용 가능하게 관여한다.
저점도 접착제(32)와 같은 접착제에 짧은 시간 동안 비점착성을 부여하는 데에 가능한 처리 보조제는 아래와 같다(표 2 참조).
품명 타입 주성분 두께/입자 크기
(㎛)
용융점, 용융 범위 (℃)
Peka 23877 필름 폴리올레핀 60 150
Peka 핫-멜트 필름 EVA / 80
abifor 1646 분말 TPU계 0-125 62-68
다른 실시예에서는 층(10) 내로 침투하는 대신에 층(10)에 접합을 형성하는 성분(34)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핫-멜트 접착제 필름이 이용되는 경우, 압력 및 열(92)이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에 가해져, 이러한 실시예의 핫-멜트 접착제 필름(34)이 층(10)과 접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저점도 접착제(32)는 단지 제1 측부(301)에서 배리어층(20)에 접합된다.
도 9에서는 장갑(50)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배리어층(20)은 사용 시에 손에 면하는 내부 라이너층(22)과 조합되어, 장갑을 위한 내부 라이닝[예를 들면, 도 4의 내부 장갑 형태의 내부 장갑(51)]을 형성하는 한편, 층(10)은 장갑을 위한 외층(외부 장갑)을 형성한다. 처음에는 내부 장갑이 손형상 틀(200)(대안적으로는 사람의 손이 그 내부 장갑 내에 넣어질 수 있음)에 배치되고, 접합 물질(30)이 부분적 위치에서 배리어층(20)에 도포된다. 이 프로세스 단계는 저점도 접착제(32)의 점착성을 차단(봉쇄)하도록 예를 들면 분말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34)를 접합 물질(30)의 저점도 접착제(32)에 도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34)가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 장갑이 원하지 않는 위치에서 내부 장갑에 들러붙는 일 없이 그 외부 장갑을 간단히 내부 장갑 위에 씌울 수 있게 된다. 불편하고 시간 소모적인 외부 장갑의 뒤집기가 불필요하다. 외부 장갑과 내부 장갑이 서로에 대한 각각의 최종 위치에 배치된 경우, 가열 장치(예를 들면, 고온 프레스)(210)를 이용하여 핫-멜트 접착제(23)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접합 물질이 배치된 지점에서 내부 장갑이 외부 장갑에 접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장갑(50)은 그 후에 손형상 틀(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다양한 용례에 대한 내부 장갑의 가능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경우에 그 목적은 의도한 특정 용도에 대해 가능한 최선의 특성을 갖는 장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접합 물질(30)은 사용 시에 층간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도포한다. 강성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접착제 접합의 최소화를 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트립 형상의 접합 물질(30)이 검지, 중지 및 주먹 결절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한편, 다른 손가락 및 엄지에서는 그 끝 영역에 도트 형식으로만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지 영역에는 가로로 배치된 스트립 형상의 접합 물질(30)이 배치되는 한편, 다른 손가락 및 엄지에서는 그 끝 영역에 도트 형식으로만 접착될 수 있다. 손가락 및/또는 엄지 영역에서 손가락 또는 엄지의 굽힘선에 대해 평행한 그러한 가로 방향 배치는 굽힘 강성에 대해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엄지 및 손바닥 영역에는 가로 및/또는 세로로 연장하는 스트립 형상의 접합 물질(30)이 배치되는 한편, 다른 손가락에서는 그 끝 영역에 도트 형식으로만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30)은 손가락 영역 및 엄지 영역에서 장갑에서의 굽힘선(62)을 가로지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치된다. 특히, 도시한 예시적인 굽힘선(62)에서 해당 손가락이 굽혀진다. 이와 같은 고정 요소의 배치는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장갑에서, 접합 물질(30)이 장갑의 내부 면적 또는 장갑의 외부 면적의 절반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접합 물질(30)은 장갑에 걸쳐 비교적 큰 도트 형태로 불연속적으로 분포된다. 큰 이격 및 작은 접착 면적과 관련하는 그러한 배치는 양호한 촉각과 결합된 최종적으로 삽입된 패드 느낌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의 내부 장갑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의 접합 물질(30)의 실시예들이 특정 특성을 달성하고 외부 장갑에 대한 배리어층을 갖는 내부 장갑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데에 어떠한 식으로 조합될 수 있는 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맴브레인의 손가락 끝 부분을 외부 장갑에 바느질에 의해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보강 요소를 그 손가락 끝 부분에 부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대신에,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맴브레인의 손가락 끝 부분들은, 외부 장갑을 뒤집은 상태로 맴브레인의 보강 요소를 외부 장갑에 바느질할 필요 없이 비교적 큰 도트 형태로 도포한 접합 물질에 의해 외부 장갑에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보강 요소가 흔히 맴브레인측에 핫-멜트 접착제를 갖는 직물 테이프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러한 직물 테이프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외부 장갑에 대한 바느질 부착부로서 기능하여 외부 장갑에 바느질함으로써 맴브레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장갑은 물론 기타 의류품의 제조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마련될 수 있는 의류품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캡(cap)이나 햇(hat)과 같은 머리쓰개, 바지, 재킷, 베스트, 및 코트는 물론 신발류가 있다.
머리쓰개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은 배리어층을 갖는 내부 라이닝을 외층에, 그리고 다른 한쪽에서는 내부 라이너에 바느질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보강 요소도 또한 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리어층 및 내부 라이너를 갖는 라미네이트로 이루어진 내부 라이닝을 본 발명의 접합 물질에 의해 외층에 접합하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층상 구조체를 포함하는 머리쓰개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캡 형태의 머리쓰개(70)는 외층(71)을 포함하고, 이 외층(71)에는 내부 배리어층(보이지 않음)이 머리쓰개(70)의 꼭대기 영역(82)에서 접합 물질(30)에 의해 도트 형태로 고정되어, 최소한의 고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30)은 머리쓰개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스트립 형태로, 특히 머리쓰개의 평면도에서 고려할 때에 그 둘레를 따라 별 모양으로 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포옴 재료 또는 단열 재료와 같은 추가의 층 또는 추가의 재료가 접합 물질의 저점도 성분과 추가의 성분 사이에 통합된다. 이는 그러한 추가의 재료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쥘 때에 따뜻함 또는 단열의 느낌을 향상시킨다. 쥘 때에, 그 추가의 재료는 압착되어 장갑의 촉각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장갑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 분말형 처리 보조제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3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보조제[추가의 성분(34)]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도 13a)와 처리 보조제[추가의 성분(34)]를 사용한 상태(도 13b)에서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에 따르면, 외층(10)(예를 들면, 손바닥 부분의 가죽 및 손등 부분의 직물을 포함), 배리어층(20), 및 내부 장갑(51)을 형성하는 내부 직물 라이너(22)를 포함하는 장갑(도 5, 도 6 및 도 9 참조)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라이너(22)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배리어층(20)에 접합된다. 내부 장갑(51)을 외층(10)(외부 장갑)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 형태로 부착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접착제(30)가 내부 장갑(51)의 외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그 후에 내부 장갑(51)을 작업자의 손에 끼고, 이어서 내부 장갑(51) 위에 외층(10)를 씌우게 된다. 이렇게 하려고 할 때에, 전술한 접착제(30)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제(30)의 점착성과 관련하여, 내부 장갑(51)을 외층(10)의 내부 공간 내로 넣을 수 있기 전에, 내부 장갑(51)은 접착제(30)에 의해 외층(10)에 들러붙는다. 따라서, 그러한 작업은 매우 어렵고, 때로는 본 발명의 접착제의 점착성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13b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의 성분(34)을 이용하는 다른 제조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점착성 접착제(30)가 추가의 성분(34)으로, 본 예의 경우에는 핫-멜트 분말로 덮여, 비활성 상태의 접착제를 형성하도록 된다. 내부 장갑(51)은 작업자의 손에 끼워진다. 이제는, 내부 장갑(51)은 외층(10)에 면하는 쪽의 접착제(30)의 점착성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외층(10) 내로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내부 장갑(51)에서의 비활성 상태의 접착제는 더 이상 외층(10)에 들러붙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장갑(51)은 외부 장갑(10)에 들러붙는 일 없이 외층(10) 내로 넣어질 수 있다. 내부 장갑(51)을 외층(10)의 내부 공간 내로 넣은 후에, 핫-멜트 분말(34)을 "비활성화"시키는 데에 열 및 압력이 이용될 수 있다. 외측 및/또는 내측에서 열 및 압력을 이용하게 되면, 핫-멜트 분말(34)이 용융되어 외층(10) 내로 침투하거나, 점착성 접착제(30)의 증가된 점도를 통해 접착제(30)가 분말(34)을 통과해 스며 나올 수 있게 된다. 이는 두 현상의 모두의 복합적 메커니즘일 수도 있다. 그 결과, 접착제(30)는 이제 외층(10)의 내측에 접합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가요성(접착제의 구성과는 무관)을 갖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층 구성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에 도시한 층 구성에서, 배리어층(20)은 본 예에서는 가죽 형태의 외층(10)에, 배리어층(20)과 가죽층(10) 사이에서 연속 영역에 걸쳐 도포된 접착제(30)에 의해 접합된다. 한편, 도 14b에 도시한 층 구성에서, 배리어층(20)은 배리어층(20)과 가죽층(10) 사이에서 연속 영역에 걸쳐서는 도포되지 않은 접착제(30)에 의해 외층(10)에 접합된다. 오히려, 장갑의 플렉스 존(flex zone)(64)에서는, 예를 들면 손가락 끝 영역이나 손바닥과 손가락 사이의 영역과 같이 손가락 또는 엄지가 구부려지는 임의의 굽힘선일 수 있는 손가락 또는 엄지의 굽힘선(63) 영역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 장갑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4b의 층 구성은 도 14a의 층 구성의 강성에 비해 상당히 감소된 강성(도 15에서의 오른쪽)을 갖는다. 도 15의 결과를 얻는 데에는 아래와 같은 테스트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였다.
장치 :
100 그램의 비임, 400 그램의 캘리브레이션 중량, 40 그램의 캘리브레이션 중량, 1000 그램의 비임을 갖는 ASTM D6828에 따른 Thwing Albert Handle-O-Meter.
테스트 시편:
1. 시편 크기 : 절단 지침에 규정된 바와 같은 4"x4"
2. 샘플 당 시편 개수 : 날실 방향(warp) 3개, 씨실 방향(fill) 3개씩 절단
컨디셔닝 : 테스트에 앞서 시편들을 70±2℉, 65±2% RH에서 컨디셔닝하였다.
도 17에는, 예시적인 샘플 장갑의 배리어층(20)과 외층(10) 사이에 접착제(30)를 도포한 경우에 접착제 성분(32)의 "T" 박리(peel) 테스트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크리프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테스트 구성은 20℃/ 65% 습도의 실험실 조건하에서 이용되었다. 의류품으로부터 절단된 테스트 시편을 이용하였는데, 그 시편들은 도 17의 우측편 그림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의 대략 절반정도 함께 접합한 2개의 층을 포함하였다. 특히, 접합된 면적, 즉 접착제(30)로 도포된 샘플의 면적은 길이와 폭이 각각 10 ㎜이다. 이러한 테스트에 이용된 테스트 시편 또는 샘플은 도 9에 도시한 장갑(50)과 같은 장갑 또는 의류품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층[본 예에서는 배리어층(20)]이 클램프를 갖는 정지 프레임에 고정된다. 다른 층[본 예에서는 외층(10)]에는 추[본 예에서의 300g의 추]가 부착되었다. 그 추는 피크 힘을 방지하도록 서서히 부착되었다. 그 결과, 추는 그 층 구성의 접합 영역에 정해진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층들을 서로 분리시켰다. 도 17a에서, 추의 분리력에 의해 그 층 구성에서 생성되는 스트레인이 접착제 성분(32)의 소성 유동(크리프)을 통해 층 표면의 보다 큰 면적에 걸쳐 분포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이는 그 층 구성에 이용된 접착제의 타입에도 좌우됨),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시작시부터 층들이 완전히 분리될 때(끊어진 후)까지 층들이 서로 분리됨에 따라 소성 유동(크리프)의 위치는 이동하는 한편, 소성 유동(크리프) 스레드는 시간의 경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층들이 서로 분리되어 멀어짐에 따라 갈라지거나 끊어지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에 따른 테스트 방법의 결과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상이한 타입의 접착제에 대해 도 18의 표에 제시되어 있다.
추가로, 도 18에서는 표에 기재한 다른 타입과 같은 거동을 갖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핫-멜트인 Peka 23877 접착제의 거동도 제시하고 있다. 오히려, 그 접착제는 표에 기재한 다른 타입과 같은 소성 유동 능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기재로부터 빨리 분리되거나 그 기재를 손상시킨다.
도 18에 따르면, 각각의 이용된 접착제 타입 및 그 전단 계수에 대해 끊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초단위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물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끊어질 때까지의 시간은 5초 내지 24시간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물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끊어질 때까지의 시간은 10초 내지 10시간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물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끊어질 때까지의 시간은 20초 내지 5시간 범위이다.

Claims (43)

  1. 층상 구조체(1)로서,
    - 적어도 제1 층(10)과 제2 층(20, 22)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며,
    - 상기 배리어층(20)과 제1층(10) 사이에 접합 물질(30)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며,
    - 상기 접합 물질(30)은, 힘 작용 영역(A1)에서 제1 및 제2 층(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는 제1층(10)과 제2 층(20) 사이의 힘(F)이 힘 작용 영역(A1)보다 큰 영역(A2) 상으로 소성 유동(plastic flow)에 의해 분배되도록 낮은 점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2. 층상 구조체(1)로서,
    - 적어도 제1 층(10)과 제2 층(20, 22)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며,
    - 상기 배리어층(20)과 제1층(10) 사이에 접합 물질(30)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며,
    - 상기 접합 물질(30)은 25℃에서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은 25℃에서 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층상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외에도, 이 적어도 1종의 성분(32)과는 다른 접착 특성을 갖는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외에도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및 상기 추가의 성분(34)의 접착 특성은 상이한 활성화 에너지의 적용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인 층상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의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은 감압 접착제 성분인 것인 층상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접착제 성분(32)은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의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은 감압 접착제 성분이고, 상기 접합 물질(30)은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 성분인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은 상기 배리어층(20)과 접합을 형성하며, 상기 접합 물질(30)은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외에도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며, 이 추가의 성분(34)이 제1 층(10)과 접합을 형성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은 상기 배리어층(20) 및 상기 제1 층(10)과 접합을 형성하며, 상기 접합 물질(30)은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외에도 추가의 성분(34)을 포함하며, 이 추가의 성분(34)은 상기 적어도 1종의 성분(32) 및 제1 층(10) 중 하나 이상의 내로 침투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성분(34)은 핫-멜트 접착제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제1 층에 면하는 제2 층의 외층을 형성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수증기 투과성인 것인 층상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가스 불투과성인 것인 층상 구조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공기 불투과성인 것인 층상 구조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액체 불투과성인 것인 층상 구조체.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20)은 액체 불투과성, 공기 불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의 맴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19. 장갑(50)으로서,
    - 적어도 제1 층(10)과 제2 층(20, 22)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며,
    - 상기 배리어층(20)과 제1층(10) 사이에 접합 물질(30)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며,
    - 상기 접합 물질(30)은, 힘 작용 영역(A1)에서 제1 및 제2 층(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는 제1층(10)과 제2 층(20) 사이의 힘이 힘 작용 영역(A1)보다 큰 영역(A2) 상으로 소성 유동에 의해 분배되도록 낮은 점도를 갖는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하는 것인 장갑.
  20. 장갑(50)으로서,
    - 적어도 제1 층(10)과 제2 층(20, 22)을 포함하고, 이 제2 층은 적어도 배리어층(20)을 포함하며,
    - 상기 배리어층(20)과 제1층(10) 사이에 접합 물질(30)이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리어층과 제1 층 간에 접합을 생성하며,
    - 상기 접합 물질(30)은 25℃에서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된 적어도 1종의 성분(32)을 포함하는 것인 장갑.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은 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층(20, 22)은 장갑의 내부 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인 장갑.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은 내부 라이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층(20, 22)은 장갑의 외층을 형성하는 것인 장갑.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 및 상기 제2 층(20, 22)이 각각 장갑의 내부 라이닝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장갑.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50)은 손가락 영역(52) 및 엄지 영역(54)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 물질(30)은 적어도 손가락 영역(52) 및 엄지 영역(54)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것인 장갑.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과 상기 제2 층(20, 22) 사이에서 장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역(56)에 미끄럼 방지 물질(40)이 배치되는 것인 장갑.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또한 손 영역(56)에 배치되는 것인 장갑.
  27.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장갑(50)에 걸쳐 불연속적으로 분포되는 것인 장갑.
  2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층상 구조체(1)를 포함하는 의류품(50, 70).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은 외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층(20, 22)은 의류품의 내층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의류품.
  30. 제28항에 있어서, 장갑(50), 신발, 재킷, 바지, 또는 머리쓰개(head covering)(70)로서 구성되는 것인 의류품.
  31. 제30항에 있어서, 접합 물질(30)은 머리쓰개(70)의 꼭대기 영역(82)에 도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인 의류품.
  32. 층상 구조체(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제1 층(10), 및 배리어층(20)을 적어도 포함한 제2 층(20, 22)을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제1 측부(301)에 제1 성분(32)을 포함하고 제1 측부(301)와는 반대쪽의 제2 측부(302)에 제2 성분(34)을 포함하는 접합 물질(30)을 제공하되, 상기 제1 성분(32)은 25℃에서 3×105 ㎩ 이하의 전단 계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인 접합 물질(30)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접합 물질(30)의 제1 측부(301) 상에서 제1 성분(32)이 제2 층(20)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 물질(30)을 그 제1 측부(301)에서 상기 제2 층(20)에 부분적으로 부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활성화 에너지(91)를 가하는 단계;
    - 상기 제1 층(10)과 제2 층(20) 사이에 접합 물질(30)이 배치되게 제1 층(10)과 제2 층(20)을 이들의 최종 위치로 함께 합치는 단계;
    - 상기 제2 성분(34)이 제1 층(10) 및 접합 물질(30, 32) 중 하나 이상의 내로 침투하여, 상기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서 제1 성분(32)이 제1 층(10)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활성화 에너지(92)를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에 가하거나, 상기 제2 성분(34)이 제1 층(10)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활성화 에너지(92)를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과 제2 층(20)을 함께 합칠 수 있도록, 상기 제2 성분(34)은 상기 제2 활성화 에너지(92)를 가하기 전에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서 제1 성분(32)의 임의의 접착 효과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32)은 감압 접착제 성분이고, 제1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는 접합 물질(30)의 제1 측부(301) 상에서 감압 접착제 성분(32)이 제2 층(20)과 접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 물질(30)에 압력(91)을 가하는 것을 수반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35.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34)은 감열 성분이며, 제2 활성화 에너지를 가하는 것은 감열 성분(34)에 열(92)을 가하는 것을 수반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36.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34)은 제2 활성화 에너지(92)를 가하기 전에 접합 물질(30)의 제2 측부(302) 상에 분말형, 필름형 및 액상형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3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성분(34)은 상기 접합 물질(30)에서 배리어층(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도포되는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3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성분(34)은 핫-멜트 접착제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것인 층상 구조체.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 및 엄지 끝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것인 장갑.
  4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주먹 결절(knuckle) 영역(56)에 배치되는 것인 장갑.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스트립 형태로 구성되는 것인 장갑.
  4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물질(30)은 장갑의 내부 면적 또는 장갑의 외부 면적의 절반 미만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인 장갑.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 성분은 열 활성화 핫-멜트 접착제 성분인 것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17006629A 2008-08-29 2009-08-28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262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810044982 DE102008044982B4 (de) 2008-08-29 2008-08-29 Lagenstruktur mit einer Barrierelage, Bekleidungsstück mit einer solchen Lagenstruktu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Lagenstruktur
DE102008044982.2 2008-08-29
PCT/EP2009/006254 WO2010022968A1 (en) 2008-08-29 2009-08-28 Layered structure with barrier layer, apparel piece with such a layered structure and production of such a layere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833A KR20110058833A (ko) 2011-06-01
KR101262510B1 true KR101262510B1 (ko) 2013-05-08

Family

ID=412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29A KR101262510B1 (ko) 2008-08-29 2009-08-28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05258B2 (ko)
EP (1) EP2334207B1 (ko)
JP (1) JP5174243B2 (ko)
KR (1) KR101262510B1 (ko)
CN (1) CN102131413B (ko)
CA (1) CA2732904C (ko)
DE (1) DE102008044982B4 (ko)
HK (1) HK1159439A1 (ko)
RU (1) RU2462966C1 (ko)
WO (1) WO2010022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0628B2 (en) * 2013-03-15 2016-12-06 Shelby Group International, Inc. Glove thermal protection system
WO2014167289A1 (en) * 2013-04-10 2014-10-16 Sealskinz Limited Glove
US20150230543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Footwear Assemblies Made Therewith,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US20150230545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Containing an Integrally Joined Interface
US20150230541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Footwear Assemblies Made Therewith,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US20150230542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Footwear Assemblies Made Therewith,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US20150230563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Methods for Forming Seamless Shoe Inserts
US20150230550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Methods for Forming Seamless Conformable Booties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US20150230544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Containing An Integrally Joined Interface
US20170142931A1 (en) * 2014-05-28 2017-05-25 Jay Michaelson Ergonomic, anatomically-shaped, textured palmar surfaced glove with a comb-like, raised nodule palm-pattern for grooming and bathing domesticated animals
KR101589573B1 (ko) * 2014-07-07 2016-01-28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투습과 방수 기능을 갖고 외피와 내피에 동시에 결합하기 위한 장갑용 중간피와 이를 이용한 장갑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6572717B (zh) * 2014-07-11 2021-06-29 健乐士股份公司 用于提供防水透气鞋的部件的方法、以所述方法所提供的防水透气鞋的部件、及具备所述鞋的部件的防水透气鞋底
RU2586822C2 (ru) * 2014-09-22 2016-06-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ОВОТЕХ" Защитная трикотажная перчат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3271167B1 (en) 2015-03-18 2021-08-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unting system
KR101663703B1 (ko) * 2015-04-15 2016-10-07 이주용 방수용 장갑 제조방법
WO2017027826A2 (en) 2015-08-13 2017-02-16 W. L. Gore & Associates, Inc. Booties and footwear assemblies comprising seamless extensible film, and methods therefor
CN108135302A (zh) * 2015-08-19 2018-06-08 W.L.戈尔及同仁股份有限公司 顺应性无缝三维制品及用于该制品的方法
US11229248B2 (en) * 2015-12-02 2022-01-25 Showa Glove Co. Supporting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pporting glove
US20190048233A1 (en) 2016-02-01 2019-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peelable adhesive articles
TWI722105B (zh) 2016-02-01 2021-03-21 美商3M新設資產公司 可適形、拉伸可離型黏著物品
USD795353S1 (en) * 2016-08-18 2017-08-22 Ogosport Llc Bubble wand
US10694795B2 (en) 2017-01-10 2020-06-30 Shelby Group International, Inc. Glove construction
US20180213867A1 (en) * 2017-01-29 2018-08-02 Colby Vavolotis Inverse Water Resistant Garment
US20200214374A1 (en) * 2017-12-12 2020-07-09 Vincent Chen Protective Glove for Athletes
US20210368899A1 (en) * 2018-06-15 2021-12-02 ALPINESTARS RESEARCH S.p.A Method for joining together two protective materials and protective garment comprising an article made using this method
USD860328S1 (en) 2018-06-20 2019-09-17 Ogosport Llc Bubble wand
US11963561B2 (en) * 2019-02-12 2024-04-23 Dashamerica, Inc. Waterproof glove with breathable sect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D902503S1 (en) 2019-03-01 2020-11-17 Bissell Inc. Pet grooming glove
DE102021115724A1 (de) 2021-06-17 2022-12-22 Hubert Schmitz Gmbh Schutzbekleidungsstü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988A1 (en) 2000-02-25 2001-10-25 Marc Husemann Structured UV-crosslink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20040098786A1 (en) 2000-02-02 2004-05-27 Martin Hottner Handcovering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7389A (en) * 1967-10-02 1972-04-18 Eastman Kodak Co Hot-melt adhesive polymer blends
CA962021A (en) 1970-05-21 1975-02-04 Robert W. Gore Porous products and process therefor
CA1137831A (en) * 1978-04-19 1982-12-21 Ramsis Gobran Pressure-sensitive tape having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US4430759A (en) * 1982-09-15 1984-02-14 Donald Jackrel Glove
US4520056A (en) * 1982-09-15 1985-05-28 Donald Jackrel Gas permeable-liquid impermeable membranes confined within a recess
US4545841A (en) * 1982-09-15 1985-10-08 Donald Jackrel Method for fabricating a glove with an intermediate membrane layer
US4514460A (en) * 1982-10-25 1985-04-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lip resistant surfaces
CA1191439A (en)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GB2176741A (en) * 1985-06-18 1987-01-07 Kede Manufacturing Limited Waterproofing stitched seams
US4725481A (en) 1986-10-31 1988-02-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Vapor-permeable, waterproof bicomponent structure
US4716072A (en) * 1986-12-29 1987-12-2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layer composite structure for smooth surfaces
US4865903A (en) * 1987-12-09 1989-09-12 Pall Corporation Chemically resistant composite structures and garments produced therefrom
ES2091457T3 (es) * 1991-03-27 1996-11-01 Paul Loos Revestimiento interior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US5260360A (en) * 1991-10-18 1993-11-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il, water and sweat repellent microporous membrane materials
US5655226A (en) * 1992-10-09 1997-08-12 Williams; Cole Article of waterproof, breathable apparel and the method of making same
US5628067A (en) * 1995-07-03 1997-05-13 Donald Guthri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Liquid impervious sleeve-glove interface for protective garment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FR2739103B1 (fr) * 1995-09-26 1998-08-28 Ceca Sa Composition thermofusible auto-adhesive a base de copolymere ethylene-acrylate d'alkyle et son utilisation dans le domaine de l'hygiene
ID17196A (id) * 1996-03-14 1997-12-11 Dow Chemical Co Bahan-bahan perekat yang mengandung polimer-polimer olefin
US5740551A (en) * 1996-06-10 1998-04-21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layered barrier glove
MY131797A (en) * 1996-07-15 2007-09-28 Kimberly Clark Co Film-nonwoven laminate containing an adhesively-reinforced stretch-thinned film
US5822795A (en) * 1996-11-15 1998-10-20 Gold; Danny Multi-layer glove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multi-layer gloves
US6214127B1 (en) * 1998-02-04 2001-04-1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processing electronic device workpieces and methods of positioning electronic device workpieces within a workpiece carrier
US6531419B1 (en) * 1999-07-01 2003-03-11 R. H. Wyner Associates, Inc. Multi-layer protective fabrics
AU8006200A (en) * 1999-10-08 2001-04-2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pplicator having a temperature changing element for distributing a product ontoa target surface
US6395383B1 (en) * 1999-12-13 2002-05-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hemical protective covering
DE10004355A1 (de) * 2000-02-02 2001-08-23 Gore W L & Ass Gmbh Handschuh
US20050106971A1 (en) * 2000-05-15 2005-05-19 Thomas Oomman P. Elastomeric laminate with film and strands suitable for a nonwoven garment
US6579941B1 (en) * 2000-06-12 2003-06-17 Avery Dennison Corporatoin Adhesive compositions and constructions with outstanding cutting performance
CA2385442C (en) * 2001-05-08 2007-07-03 Her Majesty The Queen As Representative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 Nce Of Her Majesty's Canadian Government Comfort liners for chemical protective and other impermeable polymer gloves
JP2003027316A (ja) * 2001-07-16 2003-01-29 Bannaka Shoji Kk グローブライニングとグローブインサートを縫製により接合できるように指先の内側に、別部材を取り付けたグローブインサート
CN1182293C (zh) * 2002-04-28 2004-12-29 杭州耀运布业有限公司 拒水透气薄膜复贴面料的制造方法
US20040010217A1 (en) * 2002-07-15 2004-01-15 Blette Russell E. Friction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of
US7178171B2 (en) * 2002-08-19 2007-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gloves having enhanced breathability
US7451497B2 (en) * 2003-10-14 2008-11-18 BLüCHER GMBH Protective handwear
DE10357323A1 (de) * 2003-12-05 2005-06-30 Tesa Ag Haftklebemasse
US7803438B2 (en) * 2004-09-30 2010-09-28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Polymeric shell adherently supported by a li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4807942B2 (ja) * 2004-10-13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
US7284283B2 (en) * 2004-10-18 2007-10-2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Integrated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087096B2 (en) * 2005-01-18 2012-01-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lip resistant multi-layered articles
US20070012397A1 (en) * 2005-07-14 2007-01-18 Waterskinz,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ayered fabric
US20070129697A1 (en) * 2005-12-02 2007-06-07 Soerens Dave A Articles comprising flexible superabsorbent binder polym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8786A1 (en) 2000-02-02 2004-05-27 Martin Hottner Handcovering
US20010033988A1 (en) 2000-02-25 2001-10-25 Marc Husemann Structured UV-crosslink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5258B2 (en) 2018-06-26
RU2462966C1 (ru) 2012-10-10
CN102131413B (zh) 2014-02-05
KR20110058833A (ko) 2011-06-01
CA2732904C (en) 2013-10-08
CA2732904A1 (en) 2010-03-04
EP2334207A1 (en) 2011-06-22
EP2334207B1 (en) 2018-03-21
US20110179549A1 (en) 2011-07-28
JP5174243B2 (ja) 2013-04-03
DE102008044982B4 (de) 2012-12-06
DE102008044982A1 (de) 2010-03-18
JP2012500907A (ja) 2012-01-12
HK1159439A1 (en) 2012-08-03
CN102131413A (zh) 2011-07-20
WO2010022968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510B1 (ko) 배리어층을 갖는 층상 구조체, 이 층상 구조체를 갖는 의류품, 및 그 층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
EP2117368B1 (en) Windproof waterproof breathable seamed articles
EP1817164B1 (en) Windproof waterproof breathable seamed articles
JP4271513B2 (ja) 接着性包帯
EP0907340B1 (en) Method of heat-sealing adhesive bandage and adhesive bandage made by using said method
EP0972458A1 (en) Glove insert
US9408752B2 (en) X-ray detectable adhesive band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X-ray detectable adhesive bandage
JP2004529790A (ja) 体の一部を保護するための積層材料およびこの積層材料からなる用具
JP2006305937A (ja) 複合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材料
WO2004081271A2 (en) Breathable blood and viral barrier fabric
AU780014B2 (en) Method of heat sealing adhesive bandage and adhesive bandage made by using said method
CN111093423A (zh) 化妆用片和化妆物品
KR20180034452A (ko)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