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452A -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452A
KR20180034452A KR1020187002762A KR20187002762A KR20180034452A KR 20180034452 A KR20180034452 A KR 20180034452A KR 1020187002762 A KR1020187002762 A KR 1020187002762A KR 20187002762 A KR20187002762 A KR 20187002762A KR 20180034452 A KR20180034452 A KR 20180034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kin
backing
resin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노리 이카이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 A61F2013/00455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for protection of suture st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82Properties of backing
    • A61F2013/00591Properties of backing breaking stress 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61F2013/00608Multilayer with reinforcing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적어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과, 그 백킹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로서, 그 백킹의 타방측의 면 또는/및 일방측의 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한 테이프.

Description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SKIN-SUTURING TAPE OR REINFORCING TAPE USED AFTER SUTUR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클로저 테이프 (skin closure tape)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용 테이프의 일부에 있어서는,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고, 또한 투습성이 높은 기재로서,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부직포는 하중을 가했을 때에 연신되기 쉽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창부 (創部) 의 보다 강한 고정이 요구되는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의 기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력이 충분하지 않은 점에서 부직포는 불리하였다.
그래서, 고정력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테이프로서,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 에는, 부직포의 기체 (基體) 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체의 편면에 걸쳐서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외과용 창상 폐쇄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 그 외과용 창상 폐쇄 테이프는, 기체의 표면 상에 복수의 오목부를 배치함으로써, 그 테이프가 부착되는 구역에 대해 쾌적함을 가져온다는 피복성과, 창상을 어떠한 방법에 있어서도 벌어지게 할 수 없는 탄성을 갖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 편포나 직포를 잘 연신되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인용 문헌 2 에는, 다축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포백을 수지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435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33265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외과용 창상 폐쇄 테이프는, 약한 힘으로도 테이프가 전방향으로 연신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편포나 직포를 잘 연신되지 않게 하는 처리가 행해진 수지 처리 포백은, 전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지 않고, 게다가, 부직포 전체면을 피복하는 수지의 영향으로 투습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런데,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피부 봉합 후의 창부의 고정에 사용된다. 그 한편, 피부 클로저 테이프는, 봉합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의 베인 상처나 찔린 상처 등의 창부를 폐쇄할 때에 피부를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리고,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접합하는 창부나 봉합된 창부의 절개흔 (痕) 에 대해, 거의 직각의 방향으로 첩부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그 길이 방향으로 가능한 한 잘 연신되지 않는다는 성능이 요구된다. 그 한편, 그 테이프는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높여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서, 그 폭 방향으로 어느 정도 연신할 수 있다는 성능이 요구된다. 또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첩부한 피부에 대한 축축함·발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이 높은 것도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즉, 창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이하,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라고도 칭한다) 이 양호하며, 그리고, 첩부한 피부에 대한 스트레스나 축축함·발진 등의 피부 자극 (이하, 「피부 자극성」이라고도 칭한다) 이 적은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부직포를 주체에 포함하는 백킹 (backing) 의 면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수지 줄무늬를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그 백킹이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한편, 수지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폭 방향으로는 연신될 수 있어,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적합한 것이 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과, 그 백킹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로서,
그 백킹의 타방측의 면 또는/및 일방측의 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한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로, 이하의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1)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는 일정한 폭을 갖는 줄무늬로서, 백킹의 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2)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의 피치 간격은 등 피치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3)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의 피치 간격이 0.1 ㎜ 내지 4.0 ㎜ 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4) 상기 수지 줄무늬는 직선상 또는 대략 직선상의 줄무늬 모양을 이루는,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5) 상기 부직포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6)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10 g/㎡ 내지 100 g/㎡ 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7) 상기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그 테이프와는 상이한 테이프의 백킹의 표면에 첩부했을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자배면 (自背面) 점착력 시험에 있어서, 자배면 점착력이 3.0 N/6 ㎜ 내지 4.5 N/6 ㎜ 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8) 상기 수지 줄무늬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수지 줄무늬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9) 상기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이 수지 줄무늬의 면적당, 10 g/㎡ 내지 100 g/㎡ 의 양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10)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4.0 N/6 ㎜ 내지 15.0 N/6 ㎜ 이고, 또한 테이프의 폭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0.1 N/6 ㎜ 내지 3.0 N/6 ㎜ 인,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11) 상기 수지 줄무늬가 백킹의 점착제층측에 형성된, 상기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그 폭 방향으로 연신되므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0.1 % GL 내지 2.7 % GL (6 ㎜ 폭 25 ㎜ 척)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20 % GL 내지 70 % GL (6 ㎜ 폭 25 ㎜ 척) 이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그 테이프를 구성하는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된 수지 줄무늬의 폭, 배열 및 피치 간격 등을 조정함으로써,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한 연신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백킹의 면 상에 수지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존재하므로, 투습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나 투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성이 적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인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인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인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정」이란, 본 발명의 테이프를 첩부한,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일상 생활 중에서 개구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는 것을 가리키고, 구체적으로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유포지에 대한 점착력이, 1.0 N/6 ㎜ 내지 3.0 N/6 ㎜ 정도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N 하중시의 연신」이란, 일반적으로, 피부를 봉합하기 위해서 피부를 가까이 붙여대는 힘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2 N 하중시의 연신은, 0.1 % GL 내지 2.7 % GL (6 ㎜ 폭 25 ㎜ 척) 정도이다. 또 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한 2 N 하중시의 연신은, 20 % GL 내지 70 % GL (6 ㎜ 폭 25 ㎜ 척)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습성 등의 테이프의 특성은, 백킹과, 그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된 수지 줄무늬와,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체에 관한 특성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적어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과, 그 백킹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고, 그 백킹의 타방측의 면 또는/및 일방측의 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수지 줄무늬]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백킹 (2) 의 타방측의 면 또는/및 일방측의 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 (3)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1) 는, 백킹 (2) 의 면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수지 줄무늬 (3) 를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그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므로,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수지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폭 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연신되므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진다.
즉, 본 발명의 테이프 (1) 는, 그 테이프를 구성하는 백킹 (2) 의 면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수지 줄무늬 (3) 를 복수 개 형성한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수지 줄무늬의 폭, 배열 및 피치 간격 등을 조정함으로써, 테이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한 연신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성능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질 정도로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성능이 보다 발현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 줄무늬는 일정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으로는, 지나치게 가늘면,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커져,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굵으면, 수지 줄무늬가 백킹의 면 상의 대부분을 덮어 버려,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작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한 연신도 작아지며, 또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수지 줄무늬의 폭으로는, 백킹의 폭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어, 0.1 ㎜ 내지 3.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15 ㎜ 내지 2.5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내지 2.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내지 1.0 ㎜ 이다. 수지 줄무늬가 0.1 ㎜ 미만인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창부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수지 줄무늬가 3.0 ㎜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지나치게 작아지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한 연신도 작아지며, 또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백킹의 면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수지 줄무늬 (3) 를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한편, 폭 방향으로는 연신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수지 줄무늬는 상기 범위의 폭을 갖고, 또한 백킹의 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지 줄무늬는 등 피치의 피치 간격으로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 간격이란, 수지 줄무늬와 수지 줄무늬 사이의, 수지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폭 (길이) 을 말한다. 이로써, 수지 줄무늬가 백킹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성능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질 정도로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성능이 보다 발현되기 쉬워진다.
상기 피치 간격으로는, 지나치게 좁으면,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되는 수지 줄무늬의 개수가 많아져, 백킹의 면 상의 대부분을 덮어 버려, 이로써,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작아지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한 연신도 작아지며, 또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넓으면,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되는 수지 줄무늬의 개수가 적어지고,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커져,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피치 간격으로는, 백킹의 폭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어, 0.1 ㎜ 내지 4.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15 ㎜ 내지 3.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내지 2.0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내지 1.0 ㎜ 이다. 피치 간격이, 0.1 ㎜ 미만인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지나치게 작아지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한 연신도 작아지며, 또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4.0 ㎜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의 개수가 지나치게 적어, 테이프가 창부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 (3) 는 백킹 (2) 의 점착제층 (4) 측의 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 (3) 는 백킹 (2) 의 점착제층 (4) 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도 되며,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 (3) 는 백킹 (2) 의 점착제층 (4) 측의 면과, 그 점착제층 (4) 과 반대측의 면의 양방에 형성되어도 되는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 (3) 는 백킹 (2) 의 점착제층 (4) 측의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에 있어서, 수지 줄무늬 (3) 가 백킹 (2) 의 점착제층 (4) 측의 면에 형성되는 구성은, 수지 줄무늬 (3) 가 백킹 (2) 의 점착제층 (4) 측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수지 줄무늬 (3) 가 창부에 가깝기 때문에,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에 대한 고정 효과가 보다 높아지고, 피부에 대한 추종성도 보다 향상된다. 또 점착제층 (4) 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백킹 (2) 에 대한 침입, 낙합 및 밀착 정도 등이 높아져, 점착제의 백킹에 대한 투묘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수지 줄무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수지 줄무늬나 에틸렌·아세트산 공중합체의 수지 줄무늬가 바람직하다.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으로는, 수지 줄무늬의 면적당, 10 g/㎡ 내지 100 g/㎡ 가 바람직하고, 15 g/㎡ 내지 70 g/㎡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g/㎡ 내지 50 g/㎡ 가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이 10 g/㎡ 미만인 경우,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되는 수지 줄무늬의 양이 지나치게 적어, 수지 줄무늬가 백킹에 충분히 작용할 수 없고, 이로써,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커져,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이 100 g/㎡ 를 초과하는 경우, 백킹의 면 상에 형성되는 수지 줄무늬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서,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에 요구되는 이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작아지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한 연신도 작아지며, 또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수지 줄무늬로는, 예를 들어, 직선상, 대략 직선상, 물결선상 및 파선 (破線) 상 등의 선조 (線條) 에 한정되지 않고, 번개형의 선상의 선조나, 굵기가 균일하지 않은, 직선상, 대략 직선상, 물결선상 및 파선상 등의 선조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수지 줄무늬가 백킹에 균일하게 작용하고,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성능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질 정도로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성능을 보다 발현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수지 줄무늬는 직선상 또는 대략 직선상의 줄무늬 모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킹]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킹은, 적어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지는 백킹뿐만 아니라, 부직포에 필름을 첩합한 것,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의 면 상에 캐리어 필름을 형성한 것 등도 백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로는, 예를 들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및 이것들의 적절한 조합 등 각종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섬유 부직포, 나일론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아미드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폴리우레탄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에 젖었을 때에 강도를 유지하기 쉽고, 자배면 접착력이 보다 강해지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의 평량으로는, 통상, 10 g/㎡ 내지 100 g/㎡ 이고, 테이프의 투습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또한 붙이기 쉬운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g/㎡ 내지 80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 내지 60 g/㎡ 이다. 부직포의 평량이 10 g/㎡ 미만인 경우, 부직포의 신축성이 지나치게 커, 수지 줄무늬의 폭이나 피치 간격 등을 조정했다고 해도,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게 되는 성능과,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질 정도로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성능을 발현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는 것에 더하여, 점착제가 부직포의 점착제를 도포하고 있지 않는 면으로 스며 나와 버릴 가능성, 테이프에 탄성이 없어 붙이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또 부직포의 평량이 100 g/㎡ 를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의 신축성이 지나치게 작아, 수지 줄무늬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을 조정하기 어렵고, 또한 테이프의 투습성이 저하되어, 피부 자극성이 커질 가능성이나, 첩부시에 위화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질지를 사용한 글라신지나 상질지에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한 폴리라미네이트지, 플라스틱 필름 등의 표면에 실리콘 수지의 도포 등에 의해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그 상한치는 통상 500 ㎛, 바람직하게는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테이프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층으로 하여 형성해도 되고, 또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형성해도 된다. 점착제층이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경우,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피부 표면에 대해 충분한 접착성을 갖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으며, 또한 투습성이 높은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발포된 아크릴계 점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와, (메트)아크릴산,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1 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임의 성분으로서 연화제, 점착 부여제, pH 조정제, 약효 성분, 충전제, 산화 방지제 (항산화제, 방부제), 착색료, 및 향료 등을 함유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0 ㎛ 내지 2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00 ㎛ 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체를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그 길이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4.0 N/6 ㎜ 내지 15.0 N/6 ㎜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0.1 N/6 ㎜ 내지 3.0 N/6 ㎜ 이며, 그 길이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4.5 N/6 ㎜ 내지 13.0 N/6 ㎜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0.1 N/6 ㎜ 내지 2.5 N/6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길이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5.0 N/6 ㎜ 내지 11.0 N/6 ㎜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0.1 N/6 ㎜ 내지 2.0 N/6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그 길이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0.1 % GL 내지 2.7 % GL (6 ㎜ 폭 25 ㎜ 척)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20 % GL 내지 70 % GL (6 ㎜ 폭 25 ㎜ 척) 이며, 그 길이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0.1 % GL 내지 2.0 % GL (6 ㎜ 폭 25 ㎜ 척) 이고, 또한 그 폭 방향의 2 N 하중시의 연신이, 30 % GL 내지 70 % GL (6 ㎜ 폭 25 ㎜ 척)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는,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그 테이프와는 상이한 테이프의 백킹의 표면에 첩부했을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자배면 점착력 시험에 있어서, 자배면 점착력이 3.0 N/6 ㎜ 내지 4.5 N/6 ㎜ 이고, 3.3 N/6 ㎜ 내지 4.5 N/6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N/6 ㎜ 내지 4.5 N/6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테이프는, 테이프에 대해 점착력이 있고, 테이프의 표면에 붙여도 잘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 장의 테이프를 겹쳐 첩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자배면 점착력이 3.5 N/6 ㎜ 내지 4.5 N/6 ㎜ 인 경우, 본 발명의 테이프는, 테이프 상에 강고하게 첩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는 롤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테이프보다 큰 면적의 박리체 상에 본 발명의 테이프를 적층한 시트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를 롤상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박리체가 점착제층 상에 적층되고, 권회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첩부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수지 줄무늬는, 백킹의 면 상에,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나 에틸렌·아세트산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백킹 또는 박리체의 일방의 상면에 점착제를 코팅법, 압출 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공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백킹과 박리체 사이에 점착제를 공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백킹과 점착제층을 공압출 성형할 수도 있다.
안정적인 품질의 첩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박리체의 상면에 점착제를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첩부재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도공 방법은, 용전 (溶展) 도공, 핫멜트 도공, 에멀션 도공 등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특히, 두께 50 ㎛ 이하의 얇은 점착제층을 얻는 경우에는 용전 도공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형성한 박리체를 일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그 상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를 도공하고,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이 박리체와 대향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한 백킹을 적층함으로써, 그 백킹, 점착제층 및 박리체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도공 패턴으로는, 상기 백킹의 표면을 전면적으로 피복 해도 되지만,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경우에는, 격자상, 네트상, 입상, 당초 (唐草) 모양 등의 임의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백킹의 편면에 부분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통기성, 투습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고, 또, 피부로부터의 박리시의 자극을 보다 경감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의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유포지에 대한 점착력 측정]
온도 23 ℃, 50 %RH 의 분위기 하에서, 유포지 (등록 상표) 에, 길이 50 ㎜ 및 폭 6 ㎜ 로 잘라내서 조제한 테이프의 시험편을 첩부하고, 1 ㎏ 의 고무 롤로 600 ㎜/분의 속도로 2 왕복시켜 압착하였다. 압착 후 1 분 이내에, 박리 각도 180 도 및 박리 속도 300 ㎜/분의 조건에서 박리력을 측정하여, 시험편의 유포지에 대한 점착력을 구하였다. 측정은 3 회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테이프의 유포지에 대한 점착력 (단위 : N/6 ㎜) 으로 하였다.
테이프의 유포지에 대한 점착력이 1.0 N/6 ㎜ 내지 3.0 N/6 ㎜ 이면, 테이프는 고정에 필요한 점착력을 갖는다.
[자배면 점착력 측정]
JIS Z 0237 에 규정되어 있는 180 도 박리법에 준하여, 테이프의 자배면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폭 6 ㎜ 로 재단한 테이프 (시험편) 를, 점착제층을 하측으로 하고, 동일한 테이프의 배면 (백킹 표면) 에 대해 1 ㎏ 의 고무 롤로 600 ㎜/분의 속도로 2 왕복시켜 압착시키고, 그 시험편의 여유 부분을 180 도로 되접어, 압착 후 1 분 이내에, 박리 속도 300 ㎜/분으로, 180 도 박리 점착력 (자배면 점착력) 을 측정하였다. 측정 분위기는, 온도 23 ± 2 ℃, 상대 습도 50 ± 5 % 로 하였다. 자배면 점착력이 3.0 N/6 ㎜ 이상이면, 테이프의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 테이프끼리의 겹쳐 붙인 부분이 몸에 걸치고 있는 의류와의 스침 등에 의해 박리되거나, 겹쳐 붙인 부분의 단부에 들뜸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5 % 인장 하중, 최대점 하중, 2 N 하중시의 연신, 및 3 N 하중시의 연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테이프에 대해서는, 각각 JIS K 7113 에 준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5 % 인장 하중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 테이프의 시험편은, 폭 (CD) 방향, 길이 (MD) 방향 각각에 대해, 폭 6 ㎜, 길이 100 ㎜ 의 단책 (短冊) 을 재단한 것을 사용하였다. 척 사이가 25 ㎜ 가 되도록 양단에 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천 점착 테이프 <LS> No.123 을 첩부하고, 인장 강도 측정용의 시험편을 제작하여, 텐실론형 인장 시험기의 크로스 헤드에 상기 25 ㎜ 의 그립 간격으로 장착하였다. 상부 크로스 헤드를 300 ㎜/분의 속도로 올려, 상기 시험편을 인장하고, 시험을 실시하여, 5 % 인장 하중, 최대점 하중, 2 N 하중시의 연신, 및 3 N 하중시의 연신을 각각 산출하였다.
인장 길이가 원래의 시험편을 기준으로 하여, 5 % 연신에 이르렀을 때의 하중을 5 % 인장 하중으로 하였다. 인장 하중의 단위는, 뉴턴 (N)/6 ㎜ 로 나타냈다.
하중이 최대가 된 점을, 최대점 하중으로 하고, 단위는 뉴턴 (N)/6 ㎜ 로 나타냈다.
2 N 또는 3 N 가중시의 연신을 산출하여, 각각 2 N 하중시의 연신 또는 3 N 하중시의 연신으로 하였다. 하중시의 연신의 단위는, % GL 로 하였다.
또 각 테이프의 폭 (CD) 방향, 길이 (MD) 방향 각각에 대해 3 장씩 시험편을 재단하고, 3 장 모두에 대해 상기 측정을 실시하였다. 3 장의 평균치를 CD 방향, MD 방향 각각의 인장 하중의 측정치로 하였다. 측정의 조건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시험기 : 텐실론형 인장 시험기
시험편 : 폭 6 ㎜, 길이 100 ㎜
그립 간격 : 25 ㎜
크로스 헤드 이동 속도 (인장 속도) : 300 ㎜/분
반복 시험 수 : n = 3
측정 분위기 : 23 ℃, 50 %RH
[투습도 측정]
일정 시간에 단위 면적의 시험 재료 (막상 (膜狀) 물질) 를 통과하는 수증기의 양으로서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40 ℃ 분위기 하, 시험편의 테이프에 의해 가로막힌 일방측의 공간의 상대 습도를 90 % 로 하고, 타방측의 공간을 흡습제에 의해 건조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 24 시간에 시험편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질량 (g) 을 측정하여, 시험 재료 1 ㎡ 당으로 환산하였다.
측정은 JIS Z 0208 의 조건 B 에 준하여 다음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컵의 내경보다 약 10 ㎜ 큰 직경의 원형 시험편을 약 15 g 의 염화칼슘 흡습제를 넣은 컵에 씌우고, 추가로 시험편이 어긋나지 않도록 고무 패킹과 링을 씌워 나사 고정시켰다.
이 시험편의 총 질량을 측정한 후, 40 ℃, 90 %RH 분위기 하의 항온 항습조 안에 넣고, 일정 시간마다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이하의 식에 따라 투습도를 구하였다.
투습도 (g/㎡·24 hr) = W × 24000/S
[식 중, S 는 투습 면적 (㎠) 을, W 는 1 시간당의 질량 증가 (g/hr)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테이프의 투습도는, 1,000 (g/㎡·24 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테이프는, 투습도가 1,000 (g/㎡·24 h) 이상임으로써, 피부에 첩부했을 때의 축축함이 적고, 피부 자극이나 첩부 중의 가려움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의 첩부가 가능해진다. 당해 테이프의 투습도는, 2,000 (g/㎡·24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 (g/㎡·24 h)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습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투습도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통상 30,000 (g/㎡·24 h) 이하이다.
[실시예 1]
박리체의 편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 질량비 85/11/4) 를 100 질량부, 에폭시계 수지 (테트라드 X,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를 0.04 질량부로 하여 반응시킨 것]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전체의 고형분은 약 40 질량%) 을, 건조 후의 두께가 40 g/㎡ 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평량 30 g/㎡) 로 이루어지는 백킹의 일방측의 면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를 도포하여, 복수 개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하였다 (그 수지 줄무늬의 폭은 0.5 ㎜ 이고, 그 수지 줄무늬의 피치 간격은 등간격으로서, 구체적으로는 0.5 ㎜ 이고, 그 수지 줄무늬는 직선상의 줄무늬 모양을 이루고, 그리고,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이 수지 줄무늬의 면적당, 20 g/㎡ 였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줄무늬가 백킹의 점착제층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박리체에 상기 백킹을 라미네이트하여,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의 테이프는, 각각,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을 표 1 에 기재된 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의 테이프는, 각각, 백킹에 수지 줄무늬를 형성하지 않고, 또한 백킹을 표 1 에 기재한 백킹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의 PET 부직포는, 수지 줄무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기재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01
표 1 의 결과로부터, PET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의 면 상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잘 연신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또는 봉합한 창부가 개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폭 방향으로 연신되므로,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고, 또 투습성도 양호하므로, 피부 자극성이 적다는 효과를 가졌다. 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를 피험자 20 명의 각 전완부 (前腕部) 피부에 48 시간 첩부하고, 48 시간 경과 후, 그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면적에 대한 피부에 부착된 면적의 비율을 피험자 각각에 대해 산출하고, 그 부착 면적 비율의 전원분의 평균치를 부착률로서 산출하였다. 그 결과, 48 시간 후의 부착률은, 첩부 당초 (100 %) 와 비교해도 97 % 로 높고, 또한 피부 자극도 볼 수 없었다.
이에 반해, PET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의 면 상에 수지 줄무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의 테이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보다,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한 연신이 큰 결과가 되었다.
레이온·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을 사용한 비교예 2 의 테이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보다, 폭 방향의 연신이 작고, 자배면 점착력이 열등한 결과가 되었다.
레이온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을 사용한 비교예 3 의 테이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보다,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큰 결과가 되었다.
PP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을 사용한 비교예 4 의 테이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의 테이프보다, 길이 방향에 대한 연신이 크고, 자배면 점착력이 커 열등한 결과가 되었다.
1 :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2 : 백킹
3 : 수지 줄무늬
4 : 점착제층

Claims (12)

  1. 적어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킹과, 그 백킹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피부 클로저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로서,
    그 백킹의 타방측의 면 또는/및 일방측의 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는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를 형성한,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는 일정한 폭을 갖는 줄무늬로서, 백킹의 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의 피치 간격은 등 피치인, 테이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지 줄무늬의 피치 간격이 0.1 ㎜ 내지 4.0 ㎜ 인, 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줄무늬는 직선상 또는 대략 직선상의 줄무늬 모양을 이루는, 테이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인, 테이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평량이 10 g/㎡ 내지 100 g/㎡ 인, 테이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그 테이프와는 상이한 테이프의 백킹의 표면에 첩부했을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자배면 점착력 시험에 있어서, 자배면 점착력이 3.0 N/6 ㎜ 내지 4.5 N/6 ㎜ 인, 테이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줄무늬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수지 줄무늬인, 테이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줄무늬의 도포량이 수지 줄무늬의 면적당, 10 g/㎡ 내지 100 g/㎡의 양인, 테이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4.0 N/6 ㎜ 내지 15.0 N/6 ㎜ 이고, 또한 테이프의 폭 방향의 5 % 인장 하중이 0.1 N/6 ㎜ 내지 3.0 N/6 ㎜ 인, 테이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줄무늬가 백킹의 점착제층측에 형성된, 테이프.
KR1020187002762A 2015-07-24 2016-07-21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KR20180034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7235 2015-07-24
JP2015147235 2015-07-24
PCT/JP2016/071398 WO2017018315A1 (ja) 2015-07-24 2016-07-21 皮膚縫合用又は皮膚縫合後の補強用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452A true KR20180034452A (ko) 2018-04-04

Family

ID=5788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762A KR20180034452A (ko) 2015-07-24 2016-07-21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75415A1 (ko)
EP (1) EP3326593A4 (ko)
JP (1) JP6697463B2 (ko)
KR (1) KR20180034452A (ko)
CN (1) CN108024872A (ko)
TW (1) TWI702942B (ko)
WO (1) WO20170183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9113T2 (de) * 1987-05-12 1994-10-13 Conmed Inc Mit tinte verstärkte polyurethanfilme.
JPH0261933U (ko) * 1988-10-24 1990-05-09
DE19531291A1 (de) * 1995-08-25 1997-02-27 Beiersdorf Ag Trägermaterial für medizinische Zwecke
US6383958B1 (en) 1999-06-18 2002-05-07 David P. Swanson Nonwoven sheets,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30139697A1 (en) * 2002-01-24 2003-07-24 Gilman Thomas H. Wound closure dressing with controlled stretchability
US6838589B2 (en) * 2003-02-19 2005-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wound dressing
US20060265005A1 (en) * 2005-05-20 2006-11-23 Beese Stephen A Kit and a method for closing a wound
US20080014386A1 (en) * 2006-06-01 2008-01-17 Andover Healthcare, Inc. Cohesive articles with a foam layer
EP3421020B1 (en) * 2008-11-07 2022-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duced-pressure, wound-treatment dressings
FR2974004B1 (fr) * 2011-04-15 2014-05-02 Urgo Lab Pansement absorbant hydrocellulaire, ses utilisations pour le traitement des plaies chroniques et aigues
WO2014079459A1 (en) * 2012-11-21 2014-05-30 Coloplast A/S An adhesive dressing
JP5872657B1 (ja) * 2014-09-29 2016-03-01 シーベル産業株式会社 機能性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315A1 (ja) 2017-02-02
JPWO2017018315A1 (ja) 2018-05-10
TWI702942B (zh) 2020-09-01
EP3326593A1 (en) 2018-05-30
TW201711649A (zh) 2017-04-01
EP3326593A4 (en) 2019-03-13
US20190175415A1 (en) 2019-06-13
CN108024872A (zh) 2018-05-11
JP6697463B2 (ja)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8363A (en) First aid bandage
KR100355857B1 (ko) 접착성합성체드레싱및그제조방법
EP3085344B1 (en) A wound pad and a self-adhesive member comprising a wound pad
DK3054908T3 (en) CARRIER SYSTEM FOR A BODY-MOUNTED OBJECT AND PROCEDURE FOR PREPARING THEREOF
KR101168141B1 (ko) 파스닝 필름 시스템 및 파스닝 필름 시스템을 포함하는어셈블리 및 기재
EP1954229B1 (fr) Pansement comprenant un applicateur de film mince
US9393341B2 (en) Stiffening layer for facilitating application of a plastic film to skin
JP4823241B2 (ja) 改良された貼付手段を有するフォイル包帯
JP2004130079A (ja) 接着ガーゼ包帯
MX2015006159A (es) Articulo absorbente que incluye un laminado y metodo para elaborarlo.
JP6345882B2 (ja) 吸収性物品及び締結積層体
JP4823240B2 (ja) 貼用支援助具付き包帯絆
EP2180860B2 (en) Breathing sheet material having an adhesive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for
JP6034637B2 (ja) 窓付きカテーテル固定用貼付材
KR20180034452A (ko) 피부 클로저 테이프 또는 피부 봉합 후의 보강용 테이프
AU2001275223B2 (en) Breathable non-perforated bandage
AU2001275223A1 (en) Breathable non-perforated bandage
US20210038759A1 (en) Low trauma wound dressings and adhesives for same
CN210843803U (zh) 医用弹性胶带
CN210843802U (zh) 具有复合弹性层的医用弹性胶带
JP2008109989A (ja) 医療用貼付製品
JP2017038798A (ja) 二重瞼形成用粘着テープ及び付け睫毛用粘着テープ
JPH08183731A (ja) 貼付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