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974B1 - 역류방지 밸브 - Google Patents

역류방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974B1
KR101261974B1 KR1020110009918A KR20110009918A KR101261974B1 KR 101261974 B1 KR101261974 B1 KR 101261974B1 KR 1020110009918 A KR1020110009918 A KR 1020110009918A KR 20110009918 A KR20110009918 A KR 20110009918A KR 101261974 B1 KR101261974 B1 KR 10126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lastic member
inlet
blocking plate
retur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932A (ko
Inventor
서준영
Original Assignee
(주) 유앤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앤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유앤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0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및 LCD 등의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화학제품 제조 공정 및 기계를 포함한 일반산업 시설 등에 적용되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가스 등의 유체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수직 방향 이외(수평 또는 경사 방향)의 설치 환경에서도 압력 차단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하게 하여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역류방지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 또는 유체 유입부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탄성부재의 부세없이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부세하여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의 유체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 밸브 {Back Stream Protection Valve}
본 발명은 반도체 및 LCD 등의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화학제품 제조 공정 등에 적용되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가스 등의 유체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수직 방향 이외(수평 또는 경사 방향)의 설치 환경에서도 압력 차단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기존 가스 배관에서 역압 방지용으로 사용되던 체크 밸브를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하게 하여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역류방지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LCD 등의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화학제품 제조 공정 및 기계를 포함한 일반적인 산업 등에 적용되는 역류방지 밸브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가스 등의 유체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 하였을 때 차단판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역류방지 밸브는 특허등록 제7066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를 위한 차단판이 중력에 의하여 작용되도록 하고 있어 중력 방향 즉 수직 방향의 배관에 국한되어 사용되었고, 그 내부구조 또한 복잡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종래의 역류방지 밸브는 주로 진공 펌프 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며 그 사용 범위가 극히 제한되었고, 차단판이 부양하여 차단하는 압력의 인위적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체크 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차단판이 고정 차단되기 때문에 유체 흐름이 순 방향일 때 항상 스프링을 반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 과정에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로 인하여 차단성이 떨어져 역압방지를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반도체 및 LCD 등의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화학제품 제조 공정 및 기계를 포함한 산업시설 등에 적용되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가스 등의 유체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 하였을 때 신속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수직 방향 이외(수평 또는 경사 방향)의 설치 환경에서도 압력 차단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하게 하여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역류방지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가 형성된 유입부 커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가 형성된 유출부 커버와, 상기 유입부 커버와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벽부로 구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의 내경부에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판상의 차단판을 상기 유입부 커버와 간격을 두어 유체 통로를 형성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유체 유입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부세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부세가 풀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출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차단판과 상기 유입부 커버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간격에 의하여 유체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삽입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상기 돌기를 통과한 뒤 상기 돌기의 단턱에 걸려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차단판를 접착제, 고리,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벨로우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 커버에서 상기 차단판과 맞닿는 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를 폐쇄할 때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가 형성된 유입부 커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가 형성된 유출부 커버와, 상기 유입부 커버와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벽부로 구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의 내경부에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유체 유출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판상의 차단판을 상기 유출부 커버와 간격을 두어 유체 통로를 형성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출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유체 유출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부세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부세가 풀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차단판과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간격에 의하여 유체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역류방지 밸브에 반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며, 다양한 배관구조(다양한 규격, 수평, 기울기)에 손쉽게 적용 하여 장착범위의 확대와 차단 압력을 조절해 사용 범위를 확대하여 그 적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탄성부재의 부세없이 유체통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하여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압력이 탄성부재에 부착된 차단판의 무게 또는/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단 압력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 밸브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 히팅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정 시 발생되는 파티클을 히팅하여 기화시켜 밸브내 파티클 적재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1 실시예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류방지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류방지 밸브의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도 3에서의 유체 흐름도
도 5는 도 1의 역류방지 밸브가 적용된 시스템 외관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2 실시예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3 실시예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4 실시예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5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기술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는 반도체 및 LCD 등의 반도체 제조공정 또는 화학제품 제조 공정 등에 적용되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거나 가스 등의 유체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 하였을 때 신속하게 차단하여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 밸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펌프(60)에 연결된 배관(61)과 제조 공정에 연결된 배관(62)사이에 설치되어 유체가 역방향으로 작용될 때 차단하는 역류방지 밸브(100)이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부(10)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체 유출부(20)와,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유체 유출부(20) 사이에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 공간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탄성부재(40)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30)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차단판(50)을 상기 유체 유입부와 간격을 두어 유체 통로를 형성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10)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체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배관(62)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유출부(20)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출될 수 있는 유체 유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배관(61)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30)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10)가 형성된 유입부 커버(31)와,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20)가 형성된 유출부 커버(32)와, 상기 유입부 커버(31)와 상기 유출부 커버(32) 사이에 측벽부(33)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원통형 밸브 형상을 가질 경우 외부 히팅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정 시 발생되는 파티클을 히팅하여 기화시켜 밸브 내 파티클 적재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30)는 조립의 용이 및 부품을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 커버(31)는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33)와 유출부 커버(32)는 상기 유체 유출부(2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 커버(31)와 상기 유체 유입부(10)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과, 상기 측벽부(33)와 유출부 커버(32) 및 상기 유체 유출부(20)가 일체로 형성된 부품을 나사(34)에 의하여 조립된다. 이 때 긴밀한 기밀을 위하여 오링(36)을 설치한다.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4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12)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40)를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삽입할 때 상기 탄성부재(40)의 단부가 상기 돌기(12)를 통과한 뒤 상기 돌기(12)의 단턱에 걸려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게 한다. 상기 돌기(12)는 상기 탄성부재(40)를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삽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역삼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를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12)를 형성하지 않고 용접 또는 본딩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게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도면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직선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벨로우즈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부에 상기 차단판(5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접착제, 고리,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게 한다.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부세하여 상기 차단판(50)이 상기 유체 유입부의 유체 유입구를 폐쇄될 때 보다 긴밀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30)에서 상기 차단판(40)이 설치된 부분의 외주연에 오링(3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부세없이 상기 간격에 의하여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한편,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40)를 부세하여 상기 차단판(50)이 상기 유체 유입부(10)의 유체 유입구(11)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인 대부분의 경우 상기 탄성부재(40)가 부세가 되지 않으므로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차단판(50)이 상기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압력은 상기 차단판(50)의 두께 또는 직경의 크기, 즉 상기 차단판(50)의 무게로 조정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상기 유체 유출부(20)를 나사 결합에 의하여 조립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상기 유체 유출부(20) 사이에 공간부(30)을 형성하게 한 것이다. 도 6 (a)는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b)는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공간부의 구조만 상이할 뿐 그 외에 상기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유입부(10)에 설치되는 차단판(5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유체 유출부(20)에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상기 유체 유입부(10), 유체 유출부(20), 공간부(30), 탄성부재(40) 및 차단판(50)을 더 부가하여 설치한 것이다. 도 7 (a)는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b)는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유입부(10)에 설치되는 상기 차단판(5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유체 유출부(20)의 내부에 탄성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부에 차단판(50)를 설치한 것이다. 도 8 (a)는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8 (b)는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는 상기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유출부(20)에 상기 차단판(50)을 설치한 것 이외에 상기 차단판(5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상기 유체 유출부(20)를 나사 결합에 의하여 조립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10)와 상기 유체 유출부(20) 사이에 공간부(30)을 형성하게 하며, 유체 유출부(20)의 내부에 탄성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부에 차단판(50)를 설치한 것이다. 도 9 (a)는 상기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평상시) 또는 상기 유체 유입부(10)로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9 (b)는 배관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대기 유입이나 유체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제5 실시예는 상기 유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유출부(20)에 상기 차단판(50)을 설치한 것과 공간부의 구조가 상이할 뿐 그 외에 상기 차단판(5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에 대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모두는 그 내부 구조를 간단하고, 수직 방향 이외(수평 또는 경사 방향)의 설치 환경에서도 압력 차단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시 탄성부재의 탄성피로로 인한 탄성력 저하를 최소화하게 하여 보다 확실한 역류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유체 유입부 11: 유체 유입구
12: 돌기 20: 유체 유출부
21: 유체 유출구 30: 공간부.
31: 유입부 커버 32: 유출부 커버
33: 측벽부 34: 나사
35, 36: 오링 40: 탄성부재
50: 차단판 60: 진공 펌프
61, 62: 배관 100: 역류방지 밸브

Claims (7)

  1.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가 형성된 유입부 커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가 형성된 유출부 커버와, 상기 유입부 커버와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벽부로 구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의 내경부에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판상의 차단판을 상기 유입부 커버와 간격을 두어 유체 통로를 형성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유체 유입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부세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부세가 풀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출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차단판과 상기 유입부 커버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간격에 의하여 유체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삽입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상기 돌기를 통과한 뒤 상기 돌기의 단턱에 걸려 상기 유체 유입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차단판를 접착제, 고리, 용접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벨로우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커버에서 상기 차단판과 맞닿는 부위에 오링을 설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를 폐쇄할 때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6.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입부가 형성된 유입부 커버와, 유체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가 형성된 유출부 커버와, 상기 유입부 커버와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벽부로 구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유체 유출부의 내경부에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유체 유출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판상의 차단판을 상기 유출부 커버와 간격을 두어 유체 통로를 형성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 역방향 유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출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유체 유출부를 폐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부세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흐를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부세가 풀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유체 유입부 방향으로 밀려 상기 차단판과 상기 유출부 커버 사이에 간격이 생겨 상기 간격에 의하여 유체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밸브.
  7. 삭제
KR1020110009918A 2011-02-01 2011-02-01 역류방지 밸브 KR10126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18A KR101261974B1 (ko) 2011-02-01 2011-02-01 역류방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18A KR101261974B1 (ko) 2011-02-01 2011-02-01 역류방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32A KR20120088932A (ko) 2012-08-09
KR101261974B1 true KR101261974B1 (ko) 2013-05-08

Family

ID=4687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918A KR101261974B1 (ko) 2011-02-01 2011-02-01 역류방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62B1 (ko) * 2013-08-26 2014-12-31 (주) 제이오 에어 타이트 댐퍼
KR101869970B1 (ko) 2017-01-18 2018-06-21 박용호 역압 대응식 게이트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96B1 (ko) * 2016-12-28 2017-03-02 (주)에스지유테크 반도체공정설비의 압력배관에 사용되는 역압방지밸브
KR102218020B1 (ko) * 2017-06-30 2021-02-19 한찬희 역압 차단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324A (ja) * 2001-07-13 2003-01-29 Tlv Co Ltd ばね付勢ディスク型逆止弁
JP2009257437A (ja) * 2008-04-15 2009-11-05 Tlv Co Ltd 逆止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324A (ja) * 2001-07-13 2003-01-29 Tlv Co Ltd ばね付勢ディスク型逆止弁
JP2009257437A (ja) * 2008-04-15 2009-11-05 Tlv Co Ltd 逆止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62B1 (ko) * 2013-08-26 2014-12-31 (주) 제이오 에어 타이트 댐퍼
KR101869970B1 (ko) 2017-01-18 2018-06-21 박용호 역압 대응식 게이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32A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951B1 (ko) 압력-평형 유압 조절기
US7784483B2 (en) Backflow preventer
JP5738769B2 (ja) 流体制御装置用の確実な保持を有する弁座装置
KR101261974B1 (ko) 역류방지 밸브
JP2003161375A (ja) バルブ
RU2526900C2 (ru) Встраиваемый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US10203061B2 (en)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CN103097785A (zh) 用于流体阀的阀座装置
JP6066987B2 (ja) 流体レギュレータ中の流体汚染を回避するための弁装置
JP6456071B2 (ja) 減圧弁
JP6174562B2 (ja) 流体レギュレータに用いられるボンネット部材
US9310811B2 (en) Self-aligning valve port
US8740173B2 (en) Base plate
KR20100084121A (ko) 배압제어밸브
US20240036592A1 (en)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an integral venturi
JP5688076B2 (ja) 自己整合式の軸方向に抑制された調整器弁アセンブリ
US20140174565A1 (en) Disc assembly with branch hole for fluid flow control device
WO2002012766A1 (fr) Dispositif de soupape et systeme de pipeline
US10018282B2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RU263982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лапане и клапан с таким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11493065B2 (en) Vent limiting device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CA3097290C (en) Check valve
KR101588961B1 (ko) 리프트형 체크밸브
CN202252200U (zh) 流体调节器
US10641407B2 (en) Flow rat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