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834B1 - Egr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Egr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834B1
KR101261834B1 KR1020100130613A KR20100130613A KR101261834B1 KR 101261834 B1 KR101261834 B1 KR 101261834B1 KR 1020100130613 A KR1020100130613 A KR 1020100130613A KR 20100130613 A KR20100130613 A KR 20100130613A KR 101261834 B1 KR101261834 B1 KR 10126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xhaust gas
motor
egr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182A (ko
Inventor
강명권
유해찬
박명수
전완재
정병선
지우정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10013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8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8Closing members; Valve seats; Flow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는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 사이를 개폐하는 EGR 밸브 및 상기 하우징과 EGR 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EGR 밸브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기초하여 정역 회전운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승강 동작하는 밸브 로드 및 상기 밸브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출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시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로드의 일부분은 상기 모터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EGR 밸브 조립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직접 밸브 로드를 승강 동작시켜 EGR 밸브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밸브 결합부재와 하우징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EGR 밸브 조립체{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감소시키는 EGR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팽창된 다음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대기 속으로 배출되는 가스이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대부분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이며, 그밖에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로 다시 돌려보내어 혼합기가 연소될 때 연소 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NOx)의 생성량을 저감시킨다.
즉, 상기 질소산화물(Nox)은 연소온도를 저하시켜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연소온도는 연소속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이므로 실린더 혼합기 자체의 공연비를 변화시키지 않고 밀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연소속도가 저하되고 연소온도의 상승이 억제되면, 결과적으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가스 재순환밸브(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이하 'EGR 밸브'라 함)는 배기 매니폴드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설치되어 공전 및 워밍업 이외의 회전에서만 EGR 밸브의 제어에 의해 통로를 개폐한다.
공전 및 워밍업 전에는 작동되지 않다가 공전 및 워밍업 이외의 회전에서 스로틀 밸브가 열리는 양에 따라 EGR밸브를 열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가능한 한 엔진 출력의 감소를 최소로 하면서 연소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Nox)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GR 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이다.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엔진(102)에서 연소된 후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 매니폴드(104)와 엔진(102)으로 흡기가 공급되는 흡기 매니폴드(106) 사이에 연결되어 배기 매니폴드(104)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를 상기 흡입 매니폴드(106)로 재순환시키는 EGR 파이프(108), EGR 파이프(108) 상에 설치되어 상기 EGR 파이프(108)의 개폐 작용을 하는 EGR 밸브조립체(110) 및 EGR 파이프(108) 상에 설치되어 EGR 파이프(108)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하는 EGR 쿨러(112)로 구성된다.
EGR 밸브조립체(110)는 흡기 매니폴드(106)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개폐되어서 흡입 매니폴드(106)로 재순환되는 배기 가스량을 조절한다.
EGR 쿨러(112)는 EGR 파이프(108)가 양단에 연결되고, 그 일측에는 엔진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EGR 쿨러(112)를 통과하면서 냉각작용을 완료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흡기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상기 EGR 밸브조립체(110)가 작동되면서 EGR 파이프(108)를 개방하면 배기 매니폴드(104)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가 EGR 파이프(108)를 통해 흡입 매니폴드(106)로 공급되어 흡기와 함께 엔진(102)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때, EGR 파이프(108)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EGR 클러(112)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EGR 밸브 조립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 파이프(108)에 설치되는 관체(130)와 관체(130)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EGR 밸브(140) 및 관체(130)와 EGR 밸브(14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150)을 포함한다.
이때, EGR 밸브(140)에는 전자제어유닛에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141)가 내장된다.
하지만, 종래의 EGR 밸브조립체(110)에 내장되는 모터(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30)의 배기가스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하 운동하는 샤프트(142)와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EGR 밸브조립체(110)는 모터(141)의 회전시 회전량을 조절하는 감속기어, 감속기어에 연결된 레버 및 레버의 선단에 결합되는 캠과 같은 기구를 포함하는 별도의 운동전달기구를 이용하여 모터(141)의 회전운동을 모터축과 수직 방향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샤프트(142)로 전달한다.
따라서 종래의 EGR 밸브조립체(110)는 모터(141)의 회전운동을 별도의 운동전달기구를 이용해 샤프트(142)에 전달하기 때문에 샤프트(142)의 응답 속도가 느려 EGR 밸브(140)의 응답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EGR 밸브(140)는 배기가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EGR 밸브(140)는 모터(141)의 회전운동을 샤프트(142)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운동전달기구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배기가스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 EGR 쿨러(112)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경우, 배압이 상승하게 되고 무게 및 크기가 증가하여 설치 공간이 커지고 설계상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EGR 쿨러(112)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어주기는 하지만, 고온의 배기가스가 통과되는 EGR 밸브(140) 자체는 냉각되지 못하여 EGR 밸브(140)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시 EGR 밸브에 구비된 샤프트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를 통해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EGR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는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 사이를 개폐하는 EGR 밸브 및 상기 하우징과 EGR 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EGR 밸브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기초하여 정역 회전운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승강 동작하는 밸브 로드 및 상기 밸브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출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시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로드의 일부분은 상기 모터의 내부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모터는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로드의 나사부 하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리브를 고정하도록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밸브 로드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GR 밸브는 상기 밸브 로드의 하강 동작시 상기 밸브 로드에 결합된 스프링 홀더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모터의 역회전 이상 시 또는 상기 밸브 로드의 상승 동작시 밸브 로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GR 밸브는 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밸브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결합부재의 내부에는 일측에 결합된 냉각수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하는 순환유로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직접 밸브 로드를 승강 동작시켜 EGR 밸브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밸브 로드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운동전달기구를 제거하여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재순환되는 배기가스 량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밸브 결합부재에 냉각수의 유입구와 유입유로, 배출유로 및 배출구를 형성하여 밸브 결합부재와 하우징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적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질소산화물 발생을 억제하고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자체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다이캐스팅 작업에 의해 하우징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GR 밸브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과 밸브 결합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부분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구성을 원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의 명칭 및 도면부호는 도 1에 도시된 명칭 및 도면부호의 일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과 밸브 결합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 파이프(108)에 설치되는 하우징(10), 하우징(10)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EGR 밸브(20) 및 하우징(10)과 EGR 밸브(20) 사이에 설치되는 개스킷(5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R 파이프(108) 상에 설치되고, EGR 파이프(108)는 배기 매니폴드(104)와 흡기 매니폴드(106)에 각각 연결되며, 배기 매니폴드(104)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는 EGR 파이프(108)를 거쳐 흡기 매니폴드(106)로 이동된다.
이러한 배기가스의 이동은 엔진(102)의 부압에 의해 배기 매니폴드(104)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부압식 또는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제어식이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제어식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부압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유입구(11)와 배출구(12)에는 EGR 파이프(108)와 연결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와 배출구(12)를 연결하는 제 1배기가스 유로(13) 및 제 2배기가스 유로(14)가 형성된다.
제 2배기가스(14) 유로의 하단은 EGR 밸브(20)에 구비된 밸브시트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제 1배기가스 유로(13)의 상단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중앙부분에는 밸브 로드(43)가 승강 동작하도록 제 2배기가스 유로(14)의 상단과 연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된다.
관통공(15)에는 제 1 및 제 2배기가스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EGR 밸브(2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템 실(stem seal), 스템 실의 상하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배기가스에 포함된 카본이 모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 필터부재를 고정하는 필터홀더 및 승강 동작하는 밸브 로드(43)를 가이드하는 부시가 설치된다.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5)의 외측에 EGR 밸브(20)에 구비된 스프링(45)이 결합되는 결합홈(16)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하우징(10) 자체에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제 2배기가스 유로(14)의 바깥쪽에 일정 깊이로 요입된 순환유로(17)가 형성되고, 유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는 EGR 밸브(20)가 설치되는 플랜지(18)가 형성된다.
순환유로(17)는 도 4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순환유로(17)의 일측 상부에는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밸브 연결부재(30)에 형성된 공급유로(34)가 연결되며, 타측 상부에는 순환유로(17)를 통해 순환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밸브 결합부재(30)에 형성된 배출유로(35)가 연결된다.
플랜지(18)는 도 4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세 변이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18)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EGR 밸브(20)가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공(19)이 형성된다.
EGR 밸브(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결합부재(30)와 모터(41)가 내장된 밸브 본체(40)를 포함한다.
밸브 결합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밸브 본체(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중앙에는 밸브 본체(40)의 밸브 로드(43) 및 스프링(45)이 결합되도록 결합공(3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일측에는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급 파이프(32) 및 배출 파이프(33)가 연결된다.
그리고 밸브 결합부재(30)의 내부에는 공급 파이프(32)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를 하우징(10)의 순환유로(17)로 전달하는 공급유로(34) 및 순환유로(17)를 통해 순환된 냉각수를 배출 파이프(33)로 전달하는 배출유로(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는 하우징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고 밸브 결합부재에 냉각수의 유입구와 유입유로, 배출유로 및 배출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우징 자체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다이캐스팅 작업에 의해 하우징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밸브 본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유닛(미도시, ECU)에 의해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41), 모터(41)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42), 모터(4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하는 밸브 로드(43), 밸브 로드(43)의 선단에 설치되는 밸브시트 플레이트(44) 및 밸브 로드(4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45)을 포함한다.
모터(41)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직류모터(Direct Current Motor)를 사용하고, 모터(41) 내부에는 모터(4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411)가 구비된다.
회전부재(411)는 중앙부분에 밸브 로드(43)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431)가 결합되도록 결합공간(412)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회전부재(412)의 내주면에는 밸브 로드(43)의 나사부와 1:1로 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밸브 로드(43)는 모터(4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재(412)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 동작하도록 상부에 모터(41)의 회전부재(412)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31)를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 로드(4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31)의 하부에 밸브 로드(43)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단면이 십자 형상이 되도록 돌출리브(432)가 형성된다.
물론, 돌출리브(432)는 하나 이상의 돌기(도면 미도시)로 변경 가능하고, 모터(41)의 하단부에는 돌출리브(432)나 상기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홈(413)이 형성된다.
스프링(45)은 모터(41)가 구동되기 이전 또는 EGR 밸브(20)가 개방된 후 폐쇄하기 위한 모터(41)의 역회전 동작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EGR 밸브(20)를 차단하도록 밸브 로드(4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5)의 상단과 밸브본체(40) 하단 사이에는 스프링 홀더(451)가 설치된다.
스프링홀더(451)는 밸브 로드(43)에 결합되어 밸브 로드(43)의 하강동작 시 스프링(45)을 압축하고, 밸브 로드(43)의 상승 동작시 스프링(45)의 탄성력을 밸브 로드(43)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의 내주면 및 밸브 로드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시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접 밸브 로드의 승강 동작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밸브 결합부재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를 설치하고, 하우징에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EGR 밸브 조립체 내부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GR 밸브 조립체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엔진 구동에 의해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기 매니폴드(104)로 배출되는데, 이때 전자제어유닛은 배기 매니폴드(104)를 지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106)로 유입되도록 EGR 밸브(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즉, 전자제어유닛은 EGR 밸브(20)에 설치된 모터(41)를 구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모터(41)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회전부재(41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부재(411)와 나사 결합된 밸브 로드(43)가 회전부재(411)의 회전운동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하면서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배기가스 유로(14)의 하단을 차단하고 있던 밸브시트 플레이트(44)가 하강하여 제 2배기가스 유로(14)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EGR 파이프(108)로부터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는 제 1 및 제 2배기가스 유로(13,14)와 배출구(12)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106)로 유입된다.
한편, EGR 밸브(20)의 밸브 로드(43)가 하강할 때 스프링(45)은 하강하는 스프링 홀더(451)에 의해 하부측으로 압축된다.
이때, 하우징(10)에는 밸브 결합부재(30)의 공급 파이프(32)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냉각수는 공급유로(34) 및 순환유로(17)를 따라 하우징(10) 내부를 순환한 뒤 배출유로(35) 및 배출 파이프(33)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적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여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함에 따라 스로틀 밸브를 통해 유입된 외기와 재순환된 배기가스가 혼합된 혼합기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질소산화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공회전 또는 엔진이 정지하면, 전자제어유닛은 흡기 매니폴드(106)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기 위해 EGR 밸브(20)를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즉, 전자제어유닛은 EGR 밸브(20)에 설치된 모터(4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모터(41)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회전부재(41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부재(411)와 나사 결합된 밸브 로드(43)는 회전부재(41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제 2배기가스 유로(14)를 개방하고 있던 밸브시트 플레이트(44)도 상승하여 제 2배기가스 유로(14)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EGR 파이프(108)로부터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제 1배기가스 유로(13)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더 이상 제2배기가스 유로(14)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때, 모터(41)에 이상이 발생하여 회전부재(411)가 회전하지 않더라도, 밸브 로드(43)는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 동작하여 EGR 밸브(20)를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직접 밸브 로드를 승강 동작시켜 EGR 밸브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밸브 결합부재와 하우징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제 1배기가스 유로
14: 제 2배기가스 유로 15: 관통공
16: 결합홈 17: 순환유로
18: 플랜지 19: 체결공
20: EGR 밸브 30: 밸브 결합부재
31: 결합공 32: 공급 파이프
33: 배출 파이프 34: 공급유로
35: 배출유로 40: 밸브 본체
41: 모터 411: 회전부재
412: 결합공간 413: 고정홈
42: 커넥터 43: 밸브 로드
431: 나사부 432: 돌출리브
44: 밸브시트 플레이트 45: 스프링
451: 스프링 홀더 50: 개스킷

Claims (6)

  1. 하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는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배출가스 유로 사이를 개폐하는 EGR 밸브 및
    상기 하우징과 EGR 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EGR 밸브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기초하여 정역 회전운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승강 동작하는 밸브 로드 및
    상기 밸브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출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시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 로드의 일부분이 상기 모터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로드의 나사부 하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리브를 고정하도록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밸브 로드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GR 밸브는
    상기 밸브 로드의 하강 동작시 상기 밸브 로드에 결합된 스프링 홀더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모터의 역회전 이상 시 또는 상기 밸브 로드의 상승 동작시 밸브 로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5.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GR 밸브는
    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밸브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결합부재의 내부에는 일측에 결합된 냉각수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하는 순환유로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조립체.
KR1020100130613A 2010-12-20 2010-12-20 Egr 밸브 조립체 KR10126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13A KR101261834B1 (ko) 2010-12-20 2010-12-20 Egr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13A KR101261834B1 (ko) 2010-12-20 2010-12-20 Egr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182A KR20120069182A (ko) 2012-06-28
KR101261834B1 true KR101261834B1 (ko) 2013-05-08

Family

ID=4668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613A KR101261834B1 (ko) 2010-12-20 2010-12-20 Egr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5609B2 (en) 2021-07-08 2024-04-23 Kamtec Inc.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and valve module
KR102514639B1 (ko) * 2021-07-08 2023-03-27 캄텍주식회사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공기공급용 밸브모듈
KR102513038B1 (ko) * 2021-07-08 2023-03-22 캄텍주식회사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공기공급용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406B1 (ko) * 2008-04-07 2010-10-29 캄텍주식회사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406B1 (ko) * 2008-04-07 2010-10-29 캄텍주식회사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182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886B2 (en) Fluid control valve
EP1233170A2 (en) Recirculated exhaust gas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93454B2 (ja) 高圧egr装置
KR20060069485A (ko) 내연 기관용 공기 흡입관 시스템
KR20090132804A (ko) Egr 밸브 일체형 냉각장치
US6823854B2 (en) Device for preventing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from sticking after switching of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664342A (zh) 车用发动机电控egr系统
KR101307914B1 (ko) Egr 밸브 조립체
KR101261834B1 (ko) Egr 밸브 조립체
KR101542990B1 (ko) 이지알쿨러로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KR20080098843A (ko) 차량의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CA2932922C (en) Air intake structure for engine
JP2007132309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の排気ガス冷却装置
JP2007132305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の切替弁装置
US9784220B2 (en) Intake air control apparatus of engine
KR20070044870A (ko) 위치가변식 인터쿨러의 구조
JP2007040488A (ja) 流量制御弁
CN113217166A (zh) 发动机装置
JP4719142B2 (ja) 内部egrシステム付き多シリンダ4サイクルエンジン
KR101889040B1 (ko) 차량용 흡기 통합 egr 밸브
JPH1054474A (ja) 排ガス還流弁
JP4172405B2 (ja) 圧縮着火内燃機関のegrガス冷却システム
KR101262035B1 (ko) 내연기관의 배기압 자동조절 장치
JP2008163750A (ja) エンジン
KR101403309B1 (ko) 자동차용 이지알 유량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