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702B1 -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702B1
KR101260702B1 KR1020100035459A KR20100035459A KR101260702B1 KR 101260702 B1 KR101260702 B1 KR 101260702B1 KR 1020100035459 A KR1020100035459 A KR 1020100035459A KR 20100035459 A KR20100035459 A KR 20100035459A KR 101260702 B1 KR101260702 B1 KR 10126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late
heating plate
cooking
pan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882A (ko
Inventor
김선종
Original Assignee
보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7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3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for baking pancak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21D15/02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by cooling, e.g. refrigeration,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케이크의 제조에서부터 팬케이크들의 사이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종래보다 빵의 식감을 좋게 하고 좁은 면적의 장소에 설치 가능한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반죽 공급수단;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1 가열판과 제 1 가열판의 내부에서 제 1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버너로 구성된 제 1 조리수단; 제 1 조리수단의 하부에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2 가열판과 제 2 가열판의 내부에서 제 2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버너로 구성된 제 2 조리수단; 제 2 조리수단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냉각판과 냉각판의 내부에서 냉각판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구성된 냉각수단; 제 1 조리수단과 제 2 조리수단의 단부에서 팬케이크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뒤집어 하부에 안착시키는 회전수단; 냉각수단의 단부에서 팬케이크의 상부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냉각수단의 단부로 배출되는 양측의 팬케이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고, 다단으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A manufacturing apparatus of bread with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두 개의 팬케이크 사이에 앙금, 크림, 쨈과 같은 내용물을 충진시킨 형태의 빵을 제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케이크의 제조에서부터 팬케이크들의 사이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종래보다 빵의 식감을 좋게 하고 좁은 면적의 장소에 설치 가능한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팬케이크 사이에 앙금, 크림, 쨈과 같은 반 고형의 내용물이 충진된 빵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팬케이크를 제작하는 공정과 제작된 팬케이크의 사이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공정 및 제작된 빵을 포장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을 사람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정마다 다수의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이러한 작업공정을 수행하면 빵의 형상이 일률적이지 못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빵을 생산하는 장로가 작업자의 출입에 의해 오염물질에 노출될 우려 또한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다수 투입되어 수작업에 의해 빵을 제작하기보다는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생산비용의 절감차원에서 더욱 경제적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이러한 팬케이크를 이용한 빵을 제작하는 경우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두 장의 팬케이크 사이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빵을 제조하는 장치는 팬케이크(A)를 굽는 조리기(10)와 팬케이크의 사이에 내용물을 첨가하고 빵을 제작하는 빵 제조기(20)로 구성된다.
이때 팬케이크를 굽는 조리기(10)에는 팬케이크를 제작하기 위한 반죽을 투입하는 반죽투입수단(11)과 팬케이크의 양면을 고르게 굽기 위한 반전수단(12)이 포함되어야 하고, 팬케이크에 내용물을 첨가 및 적층시키는 빵 제조기(20)에는 팬케이크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수단(21) 및 일측의 팬케이크를 대향되는 팬케이크의 상부로 적층시키는 척층수단(2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는 빵 제조장치는 지면에 일렬로 설치되는데, 이는 기계의 효율을 위해 일렬로 여러 개의 팬케이크를 동시에 굽기 때문이다. 즉 각 기기들이 일렬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팬케이크를 굽는 조리기(10)에서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빵 제조기(20)로 즉시 공급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팬케이크를 이단으로 적층시키고 그 내부에 팥앙금과 같은 내용물이 도포된 빵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장치들은 모두가 동일선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빵 제조장치는 팬케이크를 제작하는 단계에서부터 완성된 팬케이크의 사이에 첨가물을 도포하는 단계와 팬케이크를 이단으로 적층하는 전 과정이 연속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생산성이 높은 이점이 있으나, 모든 설비를 일렬로 배치시켜야 하므로 빵 제조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이는 결국 설비투자비용을 증가시켜 빵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또한, 조리기에서 배출된 팬케이크는 즉시 앙금과 같은 내용물이 도포된 뒤 이단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팬케이크의 표면은 내용물이 도포되는 순간에도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조리기에서 배출된 팬케이크의 표면온도는 대략 60 내지 70도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화 기계를 통해 제작되는 빵은 팬케이크의 사이에 도포할 수 있는 첨가물에 제약을 받게 된다. 즉, 팬케이크의 표면에서 분리되거나 고온에서 녹아 높은 유동성을 지니게 되어 팬케이크 외부로 흘러내릴 위험 있는 쨈과 같은 첨가물은 도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의 자동화 기계를 사용해 팬케이크를 제조하고 팬케이크의 사이에 첨가물을 도포하여 제작하는 빵의 경우에는 첨가물로 다소 높은 온도에서도 쉽게 액화되지 않는 팥앙금과 같은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조리기에서 구워져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자연 냉각시키는 경우에도 팬케이크 외부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되어 겉이 다소 뻑뻑한 느낌으로 인해 팬케이크의 식감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빵 제조장치를 다단으로 분리되게 구성하므로 종래에 비해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게 하여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제작된 팬케이크가 내용물이 도포되는 곳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강제로 신속하게 냉각되게 하여 팬케이크의 온도를 상온과 유사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쨈이나 크림과 같이 고온에서 액화되기 쉬운 재료도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된 빵 제조장치의 각 단이 체인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별도의 속도조절수단 없이도 균일한 속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도 제작 가능한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는 최상부에서 팬케이크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반죽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반죽 공급수단; 상기 반죽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반죽이 안착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1 가열판과 상기 제 1 가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버너로 구성된 제 1 조리수단; 상기 제 1 조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2 가열판과 상기 제 2 가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버너로 구성된 제 2 조리수단; 상기 제 2 조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냉각판과 상기 냉각판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판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구성된 냉각수단; 상기 제 1 조리수단과 제 2 조리수단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가열판 및 제 2 가열판에 부착된 팬케이크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뒤집어 하부의 제 2 가열판 및 냉각판에 안착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냉각수단의 단부에서 팬케이크의 상부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의 단부로 배출되는 양측의 팬케이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 제 2 조리수단 및 제 1 조리수단은 구동부로부터 스프라켓, 체인 및 기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냉각판, 제 2 가열판 및 제 1 가열판이 순차적으로 역회전하며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캠, 상기 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다시금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일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가열판과 제 2 가열판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반구형상의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이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분리판과 대면되는 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분리판과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하부의 제 2 가열판과 냉각판으로 안착시키는 안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열판, 제 2 가열판은 동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냉각판은 스테인리스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 1 가열판, 제 2 가열판 및 냉각판은 팬케이크와 접하는 면의 배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흡열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된 팬케이크를 냉각수단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시킨 뒤 내용물을 도포하게 되므로 쨈이나 크림과 같이 고온에서 액화되어 유동되기 쉬운 다양한 재료도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으로 구성된 빵 제조장치의 각 단이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별도의 속도조절수단이 없이도 균일한 속도로 가속 및 감속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빵 제조장치의 일측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조리수단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2 조리수단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냉각수단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회전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300)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1)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1: 이하, 빵 제조장치라 함)는 제 1 조리수단(100), 제 2 조리수단(200) 및 냉각수단(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구성품의 주변에는 반죽투입수단(700), 회전수단(400), 도포수단(500) 및 결합수단(600)이 설치되며, 도포수단(500)과 결합수단(600)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품은 빵 제조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900) 내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도포수단(500)을 반드시 양측에 설치하지는 않는 것은, 상황에 따라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빵 제조장치(1)의 각 구성품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 1 조리수단(100)은 컨베이어와 유사한 형상이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에는 스프라켓(13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131)의 사이에는 체인(141)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라켓(131)과 체인(141)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양측에 설치되고 양측의 체인(141)들 사이에는 체인(141)과 직교되게 제 1 가열판(110)이 다수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열판(110)들은 스프라켓(131)과 체인(141)에 의해 연속해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 1 가열판(110)들의 내부에는 제 1 버너(120)가 설치된다. 제 1 버너(120)는 제 1 가열판(110)을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량의 열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버너로는 전기버너, 가스버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조리수단(100)의 하부에는 제 2 조리수단(200)이 설치된다. 제 2 조리수단(200)은 제 1 조리수단(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양측에는 스프라켓(23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231)의 사이에는 체인(241)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라켓(231)과 체인(241)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양측에 설치되고 양측의 체인(241)들 사이에는 체인(24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 2 가열판(210)이 다수 설치된다.
또한 제 2 가열판(210)들의 내부에는 제 2 버너(220)가 설치되며, 제 2 버너(220) 역시 제 1 버너(120)와 같이 전기버너, 가스버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조리수단(200)의 하부에는 냉각수단(300)이 설치된다. 냉각수단(300)은 상기 제 1 조리수단(100) 및 제 2 조리수단(200)과 동일하게 양측에 스프라켓(331)이 설치되고 스프라켓(331)의 사이에 평행하게 체인(341)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341)에는 직교되게 냉각판(310)이 다수 설치되며 상기 냉각판(310)들의 내부에는 냉각기(32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냉각기(320)는 상기 냉각판(310)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제 1 조리수단(100) 및 제 2 조리수단(200)의 열에 의해 구워져 완성된 팬케이크를 상온과 유사한 온도로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냉각기(320)는 스프라켓(331)에 의해 회전되어 상부로 위치하게 된 냉각판(3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팬케이크가 냉각수단(300)의 반대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판(310)과의 열교환에 의해 25도 전후의 상온으로 냉각될 수 있게 해야 하는 것으로서, 이에 합당한 열량의 냉열을 냉각판(310)들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제 1 가열판(110)과 제 2 가열판(210)은 동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버너(120) 및 제 2 버너(220)의 고열과 접하는 각 가열판의 특성상 열에 변형되지 않고 음식을 조리하는데 따른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는 동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냉각판(310)의 경우에는 스테인리스를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테인리스가 음식물과의 접촉에도 안전하고 냉열의 전도율이 높은 것은 물론, 기계적인 성형성이 좋아 다른 재료에 비해 냉각판(310)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제 1 가열판(110), 제 2 가열판(210)은 동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이 열에 의한 변형이 작으면서도 음식물과 접촉하여도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냉각판(310)은 스테인리스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테인리스의 경우 프레스가공과 같은 가공성이 뛰어나며 식품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열전도율이 높아 팬케이크를 냉각시키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가열판(110), 제 2 가열판(210) 및 냉각판(310)은 팬케이크와 접하는 면의 배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흡열판(111,211,311)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의 흡열판(111,211,311)은 각 판들의 배면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판으로서, 각 판들의 열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조리수단(100), 제 2 조리수단(200) 및 냉각수단(300)은 빵 제조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9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 조리수단(100)이 최상단에 위치하고 제 2 조리수단(200)은 제 1 조리수단(100)의 하부에 위치되며 냉각수단(300)은 제 2 조리수단(200)의 하부인 최 하단에 위치된다.
도 3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단(300)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수단(300), 제 2 조리수단(200) 및 제 1 조리수단(1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80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800)는 구동모터(810), 구동축(811), 캠(820), 랙기어(830) 및 피니언기어(840)로 구성된다.
먼저, 구동모터(8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이다. 상기에서 구동모터(810)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동축(811)은 감속기(미 도시됨)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되며, 단부에는 캠(820)이 부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810)의 회전력은 캠(820)에 전달되고, 캠(820)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캠(820)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830)가 접촉되며, 랙기어(830)의 측면에는 랙기어(830)의 평행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게 하는 피니언기어(84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피니언기어(840)는 랙기어(830)의 왕복운동에 따라 정역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으로는 회전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클러치기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800)의 동력은 체인과 기어에 의해 냉각수단(300), 제 2 조리수단(200) 및 제 1 조리수단(100)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냉각수단(300), 제 2 조리수단(200) 및 제 1 조리수단(1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800)의 피니언기어(840)의 외부에는 스프라켓(841)이 설치되며, 피니언기어(840)와 냉각수단(300)의 스프라켓(841,332)들은 체인(333)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구동부(800)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냉각수단(300)의 스프라켓(332)의 회전력은 이웃하는 스프라켓(335)에 전달된 뒤 다시금 제 2 조리수단(200)의 스프라켓(232)에 체인(233)에 의해 전달된다.
냉각수단(300)의 냉각판(31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은 스프라켓(335)의 외부에 결합된 기어(338)와 냉각판(310)을 회전시키는 스프라켓(331)에 결합된 기어(337)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전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냉각판(310)들은 피니언기어(840)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단(3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 2 조리수단(200)의 제 2 가열판(210)들은 피니언기어(8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 2 조리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의 회전방향은 서로 역방향이 된다.
제 2 조리수단(200)의 스프라켓(231)을 회전시키는 스프라켓(232)은 외부에 결합된 기어(235)가 제 1 조리수단(1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라켓(236)의 외부에 결합된 기어(23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조리수단(200)의 외부에 결합된 기어(234,235)들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 2 조리수단(200)의 스프라켓(236)과 체인(237)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조리수단(100)의 스프라켓(132)은 제 2 조리수단(200)의 제 2 가열판(210)이 회전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제 1 조리수단(100)의 제 1 가열판(110) 역시 상기 스프라켓(132)과 직접 연결된 스프라켓(13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 2 조리수단의 제 2 가열판(210)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제 1 조리수단(100), 제 2 조리수단(200) 및 냉각수단(300)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한 것은 팬케이크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조리 및 냉각과정을 거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구성들을 다수의 기어와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동력전달되게 구성한 것은 제 1 가열판(110), 제 2 가열판(210) 및 냉각판(310)이 모두 동일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조리수단(100), 제 2 조리수단(200) 및 냉각수단(300)의 주변에는 반죽투입수단(700), 회전수단(400), 도포수단(500) 및 결합수단(600)이 설치된다. 상기 반죽투입수단(700)은 제 1 조리수단(100)의 상부에서 제 1 가열판(110)이 출발하는 지점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수단(400)은 제 1 조리수단(100)과 제 2 조리수단(200)의 제 1 가열판(110)과 제 2 가열판(210)이 하강 되는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도포수단(500)은 냉각수단(300)의 단부에 인접한 평행면 상부에 설치되며, 결합수단(600)은 냉각수단(300)의 팬케이크가 배출되는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반죽투입수단(700)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조리수단(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가열판(110)이 지정된 위치에 도착하였을 때 제 1 가열판(110)의 중앙에 반죽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죽투입수단(700)에는 제 1 가열판(11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확인센서(71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확인센서(710)는 포토센서 또는 제 1 가열판(110)과 접촉에 의해 위치를 식별하는 접촉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400)은 제 1 조리수단(100)과 제 2 조리수단(200)의 회전되는 방향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체(410), 분리판(420) 및 안착판(430)을 주요 구성품으로 해서 구성된다.
먼저, 회전수단(400)의 본체(410)는 하우징(900)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조리수단(100)과 제 2 조리수단(200)에 대향 되는 면이 오목한 반구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후술 될 분리판(420)과 연결되는 가이드 공(411) 및 볼트 공(412)이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410)은 상기 본체(4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본체(420)와 제 1 조리수단(100) 또는 제 2 조리수단(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본체(410)의 반구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분리판(420)의 상부는 회전되면서 하강되는 제 1 가열판(110) 또는 제 2 가열판(210)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가열판(110) 또는 제 2 가열판(210)과 접하는 끝단은 주방용품인 뒤집개와 같이 얇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판(420)은 본체(410)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분리판(420)에는 본체(410)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핀(421)이 양측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고, 양측 가이드 핀(421)의 사이에는 본체(410)로부터 분리판(4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볼트(422)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410)의 가이드 공(411)에는 상기 분리판(420)의 가이드 핀(421)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본체(410)의 볼트 공(412)에는 상기 체결볼트(422)가 삽입되어 단부에 너트(423)가 결합 되므로 인해 본체(41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분리판(420)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본체(410)와 분리판(420)의 사이에는 스프링(425)이 더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425)은 분리판(420)을 제 1 가열판(110) 또는 제 2 가열판(210)으로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410)와 체결볼트(42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분리판(420)과 본체(410) 사이의 가이드 핀(42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포수단(500)은 상기 냉각수단(300)의 단부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각판(31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팬케이크의 표면에 팥앙금, 크림, 쨈과 같은 내용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도포수단(500)도 상기 반죽투입수단(700)과 마찬가지로 팬케이크의 정확한 위치에 내용물을 투입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 반죽투입수단(70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위치확인센서(510)를 사용하여 냉각판(310)과 팬케이크의 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600)은 냉각수단(300)에서 배출되는 양측의 팬케이크를 서로 결합 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냉각수단(300)에서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전달받을 때에는 'V'자 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개방되고, 양측의 팬케이크가 내부로 들어오면 상부 개방된 곳을 오므려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던 팬케이크가 내용물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접착되게 한다.
상기에서 양측 팬케이크(A)와 내용물이 일체가 되어 빵(B)이 완성되면 상기 결합수단(600)은 하부방향이 개방되는 역'V'자 형상이 되어 빵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빵은 다시금 냉각수단(300)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배출용 컨베이어(910)에 공급되어 포장수단(미 도시됨)으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1)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빵 제조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최초에 예열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이를 위해 반죽투입수단(700)에서 반죽이 투입되지 않는 상태로 일정시간 공회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버너(120), 제 2 버너(220) 및 냉각기(320)를 가동시켜 제 1 조리수단(100)과 제 2 조리수단(200)은 충분한 온도로 예열되게 하고, 냉각수단(300)의 냉각판(310)도 충분한 온도로 냉각시켜야 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팬케이크를 구울 준비가 완료되면 반죽투입수단(700)에서 제 1 조리수단(100)의 제 1 가열판(110) 상부로 반죽을 일정량씩 투입한다.
상기 투입된 반죽은 제 1 가열판(11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1 버너(120)의 열기에 의해 익혀진다. 이때, 제 1 조리수단(100)에서 팬케이크(A)의 익혀지는 정도는 제 1 가열판(110)과 접하지 않는 상부의 반죽도 어느 정도 익혀져 제 1 조리수단(10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수단(400)에 의해 회전되면서도 회전수단(400)의 구성품에 반죽이 묻지 않을 정도까지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 1 조리수단(100)에서 익혀진 팬케이크(A)는 제 1 조리수단(10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수단(400)에 의해 분리되어 제 2 조리수단(200)으로 공급된다. 이때, 회전수단(400)은 분리판(420)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제 1 가열판(110)의 표면에서 팬케이크(A)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팬케이크(A)는 분리판(420)과 본체(4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반구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팬케이크(A)는 상하가 반전되게 뒤집히고 본체(410) 하부에 구비된 안착판(43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착판(430)은 에어실린더(431)에 의해 단속적으로 회전되면서 하부에 구비된 제 2 조리수단(200)의 제 2 가열판(210)의 상부에 팬케이크(A)를 안착시킨다.
상기 회전수단(400)에 의해 반전되어 공급되는 팬케이크는 제 2 가열판(210)의 상부에서 이동되면서 구워지게 되고, 제 2 조리수단(200)의 단부에서 배출될 때에는 다시금 상기 설명된 제 1 조리수단(100)의 회전수단(400)과 동일한 구조의 회전수단(400)에서 반전되면서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수단(300)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 2 조리수단(200)의 단부에 설치된 회전수단(400)에 대한 설명은 제 1 조리수단(100)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수단(400)의 설명으로 대신하여도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냉각수단(300)에 공급된 팬케이크(A)는 결합수단(600)을 향해 이동되면서 냉각판(310)과 열교환에 의해 점차 냉각된다. 이때, 팬케이크의 냉각되는 온도는 25도 전후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온으로 급냉된 팬케이크는 자연냉각시킨 것에 비해 수분이 고르게 분포하여 식감이 더욱 부드러운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냉각수단(300)에서 팬케이크(A)는 배출되기 직전에 도포수단(500)으로부터 팥앙금, 생크림, 쨈과 같은 내용물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공급받게 되며, 내용물이 공급되는 형태는 양측의 팬케이크 또는 일측의 팬케이크의 표면에 얇게 도포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빵 제조장치(1)는 냉각수단(300)을 통해 제 2 조리수단(200)에서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상온에 가깝게 냉각시킴으로 고온에서 유동성을 갖게 되는 내용물도 반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팬케이크의 온도에 의해 유체상태로 변하므로 제조과정에서 팬케이크의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관계로 사용이 곤란하였던 내용물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내용물의 종류를 종래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양측에서 구워진 후 내용물이 도포된 형태로 냉각수단(300)에서 배출되는 팬케이크는 양측 냉각수단(300)의 단부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수단(600)에 공급된다.
결합수단(600)은 양측에서 공급되는 팬케이크를 서로 겹합시켜 빵(B)을 완성함과 동시에 포장수단(미 도시됨)으로 공급하고, 포장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품으로 빵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특정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빵 제조장치 제 1 조리수단: 100
110: 제 1 가열판 120: 제 1 버너
200: 제 2 조리수단 210: 제 2 가열판
220: 제 2 버너 300: 냉각수단
310: 냉각판 320: 냉각기
400: 회전수단 410: 본체
420: 분리판 430: 안착판
500: 도포수단 510: 위치확인센서
600: 결합수단 700: 반죽투입수단
710: 위치확인센서 800: 구동부
810: 구동모터 820: 캠
830: 랙기어 840: 피니언기어

Claims (4)

  1. 양측에서 팬케이크를 자동으로 제작한 뒤 제작된 팬케이크의 표면에 팥앙금, 생크림, 쨈 등의 내용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도포한 후 서로 적층시켜 빵을 제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최상부에서 팬케이크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반죽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반죽 투입수단;과
    상기 반죽 투입수단에서 공급된 반죽이 안착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1 가열판과 상기 제 1 가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버너로 구성된 제 1 조리수단;과
    상기 제 1 조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제 2 가열판과 상기 제 2 가열판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가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버너로 구성된 제 2 조리수단;과
    상기 제 2 조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식으로 연속되게 회전되는 냉각판과 상기 냉각판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판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구성된 냉각수단;과
    제 1 조리수단과 제 2 조리수단의 회전되는 방향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조리수단의 회전되는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가열판에 부착된 팬케이크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이를 뒤집에 하부의 제 2 조리수단의 제 2 가열판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 2 조리수단의 회전되는 방향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 2 가열판에 부착된 팬케이크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이를 뒤집에 하부의 냉각판에 안착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의 단부에서 팬케이크의 상부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상기 냉각수단의 단부로 배출되는 양측의 팬케이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 제 2 조리수단 및 제 1 조리수단은 구동부로부터 스프라켓, 체인 및 기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냉각판, 제 2 가열판 및 제 1 가열판이 순차적으로 역회전하며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캠, 상기 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다시금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일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1 가열판과 제 2 가열판에 인접하게 각각 구비되는 반구형상의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이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분리판과 대면되는 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분리판과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는 팬케이크를 하부의 제 2 가열판과 냉각판으로 안착시키는 안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판, 제 2 가열판은 동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냉각판은 스테인리스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 1 가열판, 제 2 가열판 및 냉각판은 팬케이크와 접하는 면의 배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흡열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KR1020100035459A 2010-04-16 2010-04-16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KR10126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59A KR101260702B1 (ko) 2010-04-16 2010-04-16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59A KR101260702B1 (ko) 2010-04-16 2010-04-16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82A KR20110115882A (ko) 2011-10-24
KR101260702B1 true KR101260702B1 (ko) 2013-05-10

Family

ID=4503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459A KR101260702B1 (ko) 2010-04-16 2010-04-16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98B1 (ko) * 2023-05-03 2023-10-04 손원익 터널 로스터와 냉각 터널을 이용한 그래놀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2587B (zh) * 2014-05-26 2016-06-29 鸡西市憨乐尔食品有限公司 一种多工位煎饼流水线
KR102551668B1 (ko) * 2022-12-13 2023-07-05 주식회사 인크레더블 버티컬-디스트리뷰터와 터널 로스터를 구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KR102665233B1 (ko) * 2023-04-11 2024-05-10 (유)목양 커팅 칼 자동 관리 및 효율적인 오븐 및 숙성 기능을 갖는 햄버거 및 핫도그 빵 제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98B1 (ko) * 2023-05-03 2023-10-04 손원익 터널 로스터와 냉각 터널을 이용한 그래놀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82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88573B (zh) 全自动智能多锅位烹饪方法
KR101260702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빵 제조장치
CN105877517A (zh) 全自动烤肉机
CN104686602A (zh) 连续自动封盖烙饼机
CN210989616U (zh) 一种偏心式自动烹饪机器人及采用其的烹饪系统
CN202589319U (zh) 一种全自动多功能烧烤车
CN204654670U (zh) 自翻自出白吉馍烘烤炉
CN106318613A (zh) 烘烤装置
KR101023471B1 (ko) 비닐장갑 성형장치
CN202722366U (zh) 全自动油条机
CN104663749B (zh) 紫菜夹心自动烘烤机
CN206143150U (zh) 烘烤装置
CN105494491B (zh) 一种油式烙馍机及烙馍方法
WO2007100237A2 (es) Máquina tortilladora de bandas o comales metálicos continuas calentadas por aire a altas temperaturas
CN109008610B (zh) 一种自动蒸炉系统
CN205041239U (zh) 一种自动翻转机构
CN103948305A (zh) 煮饺子机
CN210989618U (zh) 一种偏心式自动烹饪装置
CN207236008U (zh) 豆巴子生产设备
CN200997862Y (zh) 直线运动加热装置
CN208491751U (zh) 一种面食烹饪机构
CN215533705U (zh) 一种烧烤均匀的乳猪炉
CN102640940A (zh) 全自动煎板式蛋卷机及其工作方法
CN205865808U (zh) 全自动豆饼机
CN214178996U (zh) 一种自动化电热烤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